KR102088910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10B1
KR102088910B1 KR1020130028248A KR20130028248A KR102088910B1 KR 102088910 B1 KR102088910 B1 KR 102088910B1 KR 1020130028248 A KR1020130028248 A KR 1020130028248A KR 20130028248 A KR20130028248 A KR 20130028248A KR 102088910 B1 KR102088910 B1 KR 10208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utput
control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178A (ko
Inventor
이천희
황선중
최동원
김남훈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910B1/ko
Priority to US14/043,235 priority patent/US9134846B2/en
Priority to PCT/KR2013/012016 priority patent/WO2014142428A1/en
Publication of KR2014011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며,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 및 기 설정된 설정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ING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고정하고 외관을 구성하는 베젤을 포함한다. 보다 향상된 품질의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면적 및 두께가 확장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두꺼워진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베젤의 두께 또한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영상을 제공받는 사용자에게 영상의 표시품질뿐만 아니라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의 미려함도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디자인 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베젤 및 디스플레이부의 물리적 형상의 변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장자리가 절곡된 형상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며,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 및 기 설정된 설정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절곡부의 전면은 곡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베젤부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으로 향하여 절곡되며,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절곡부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절곡부의 너비는 상기 평면부의 너비의 약 1/6 이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상기 절곡부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소리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는 상기 소리의 음량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소리의 출력이 제한되는 음소거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곡부에 상기 제어 이미지의 출력을 제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에 근거하여 상기 절곡부에 상기 제어 이미지를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평면부는 상부 모서리, 하부 모서리,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부는 하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곡부에 상기 터치입력을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 중 적어도 일 영역 및 상기 평면부에 상기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절곡부에 상기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1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절곡부에 상기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평면부에 상기 화면정보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각에 따른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이미지를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절곡부에 상기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표시장치는 가장자리 중 일 영역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화면정보의 분할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각 절곡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을 부착하는 접착부재 및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절곡부는 기 설정된 곡률로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곡면에 출력되는 분할영상의 비례값을 보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절곡부에 출력되는 화면정보의 일부를 제어 이미지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절곡부를 포함하여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분할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결합부분의 노출영역을 최소화하여 표시품질이 향상된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를 구도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절곡부에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여 제공되는 화면정보와 함께 보다 많은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영상표시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c 및 도 3d는 도 3a의 A 영역의 부분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7a 및 도 7c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량변화에 관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음량변화에 관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음성인식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a 및 도 11b는 터치감지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사용자의 위치인식 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a 및 도 13b는 알림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는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출력영역이 제어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케이블, 위성통신, IPTV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의 예로서 DTV(digital television)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상기 전자 기기가, D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는, 셋톱박스(settop box; STB), IPTV(Internet Protocol TV),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 이동 단말기(200), 방송국(broadcasting station, 300) 및 인터넷(internet, 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V(10)는, 상기 방송국(30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TV(10)는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4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표시장치(100) 및 외부 입력 장치(2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신호 입출력부(130),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오디오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튜너(110)는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한다. 반면, RF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튜너(110)는 RF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는 복조부(120)로 입력되고,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튜너(12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하나의 튜너(110)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튜너,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튜너는 기 저장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 2 튜너는 제 1 튜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 또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ATSC 방식이면,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몬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DVB 방식이면,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몬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130)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위해,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블루레이(Blu-ray) 플레이어,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휴대기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장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 파일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130)는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셋톱 박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V)용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톱 박스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톱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TV는 전송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되는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 및 신호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TS)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여기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전원 제어,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 입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와 외부 입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튜닝(tuning)하도록 튜너(110)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트림 신호(TS), 예를 들어,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고, H.26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등이 조절되도록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되거나, 외부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MPEG 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며, AAC 디코더를 이용하여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 예를 들어, 스피커로 전달되거나,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튜너(110) 또는 신호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일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표시되고,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된다.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각각의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PG 정보는, 예를 들어, ATSC 방식에서는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를 포함하고, DVB 방식에서는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OSD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신호는 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60)의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며,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한다. 외부 입력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 마우스,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RF 통신,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통해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 원격 제어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공간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에서 본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고정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케이블, 위성통신, IPTV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영상표시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도 3a의 영상표시장치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는 적어도 일 모서리에 절곡부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평면부(171)와 상기 평면부(171)의 좌우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는 상기 평면부(171)의 일 모서리로부터 기 설정된 너비를 가지고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의 너비는 상기 평면부(171)의 너비의 약 1/6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절곡부의 너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의 너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절곡부 상의 출력영역을 기 설정된 너비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고도 불리는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정공 주입 전극(양극)인 제 1전극(anode)과 전자 주입 전극(음극)인 제 2전극(cathode)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에 각각 전자와 정공을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쌍을 이루어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소멸하여 발광하는 소자이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녹색(green), 청색(blue), 적색(red)의 세 가지 색을 나타낼 수 있고, 백라이트(backlight)가 불필요하여 전력소모가 적으며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휠 수 있는(flexible)하고 투명한 재지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에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형성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이 가능하다.
상기 절곡부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171)로부터 연장되어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171)로부터 연장되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평면부(171),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설정에 의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출력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면정보의 크기를 재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 산출된 크기의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베젤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베젤부(410) 또한 상기 절곡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베젤부(4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전면에서 상기 베젤부(410)가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부(410)는 약 2.5mm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케이스(400)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후면케이스(400)에 고정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100)가 특정 대상에 세워지거나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면부(171),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화면정보(30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300)를 상기 평면부(171),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대응되도록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연속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3a 및 도 3b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가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는 상기 평면부(171)를 기준으로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각각의 너비 및 절곡된 각도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b는 벽면에 장착된 영상표시장치를 A 방향으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벽면(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벽면(10)에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후면부에 고정부(4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베젤부(410)의 일 영역이 상기 벽면(10)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베젤부(410)의 일부가 상기 벽면(10)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431)의 두께는 상기 평면부(171)로부터 상기 절곡부까지의 폭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431)은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벽면(1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예를 들어, 벽걸이형 TV), 상기 고정부(431)가 가려지므로 심플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70)의 벽면과의 일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120)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선택적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300)를 상기 평면부(171)에만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를 비활성화(301')시킨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를 비활성화(301')시키거나, 기 설정된 영상(301')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상기 화면정보(300)의 일부가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정보(300)의 크기를 재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170) 상에 출력되는 동안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70) 상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와 평면부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7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평면부(171)의 상, 하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3 및 제4 절곡부(173a, 17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절곡부(173a, 173b)는 기 설정된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171)의 일 모서리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절곡부(173a, 173b)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평면부(171), 상기 제3 및 제4 절곡부(173a, 173b)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상기 화면정보(30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평면부(171)의 좌, 우, 상, 하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절곡부(172a, 172b, 173a, 173b)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발명에 따르면 디자익적 미려함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평면부로부터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디스플레이부(17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c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70)로 구성된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70)를 접합하여 화면분할 영상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정보(300)는 일 모서리가 서로 접합된 두 개의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170)에 분할되어 출력된다.
도 7a의 B에서 바라본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절곡부(172)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두 개의 영상표시장치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절곡부(172)가 서로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절곡부(172)는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71)로부터 수직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조공정 상의 과정에 따라, 상기 평면부(171)와 상기 절곡부(172)가 이어지는 연결부(173)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절곡부(172) 사이에 접착부재(450)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결합한다. 다만, 상기 두 개의 절곡부(172)를 결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젤부(410)에 장착되는 추가적인 체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연결부(173)에 상기 화면정보(300)의 일부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즉, 상기 평면부(171)와 접합되지 아니하는 절곡부(172) 및 상기 연결부(173)에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된다.
다만,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73)에 출력되는 화면정보(300)를 사용자에게 평면의 영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연결부(173)에 출력되는 화면정보(300)의 일부를 보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연결부(173)의 곡률에 따라 상기 화면정보의 비례값(scaling)을 확대 적용하여 상기 화면정보의 형상을 재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70)가 접합되는 영역에서도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70)가 연결하기 위한 구조는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사용자는 연속적인 화면정보를 제공받으므로, 조립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체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70)가 서로 결합되는 절곡부를 제외한 나머지 절곡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70)의 절곡부(172)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절곡부(172)사이에 접착부재(45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연결부(173)에 상기 화면정보(300)의 출력이 제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연결부(173)를 가리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상기 연결부(173)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부(451)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화면정버(300)의 일부를 보정하는 과정 없이 상기 화면정보(300)를 분할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진부(451)의 너비는 0.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4개의 디스플레이부(170)가 하나의 화면정보(300)를 출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각 영상표시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170)의 각 절곡부가 접합된다. 상기 각 디스플레이부(170)의 절곡부(172)가 접합하는 구조는 도 7a에서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c의 영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170)는 4개의 가장자리에에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디스플레이부(170)의 모서리가 모두 모이는 영역에 상기 충진부(451)가 충진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화면분할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경우, 각 영상표시장치를 결합하는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70)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청자에게 보다 고품질의 화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결합영역을 최소화하여 외관의 미려함이 향상된 화면분할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절곡부에 의하여 다양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절곡부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량변화에 관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상기 음량변화에 대응되는 음량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10 정도의 음량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상기 소리의 음량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310)를 출력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20정도의 음량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되는 제1 이미지(310)를 제1 변형 이미지(310')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1 변형 이미지(310, 310')는 일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바(bar)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1 변형 이미지(310, 310')에 포함되는 바(bar)의 개수를 다르게 출력하여, 오디오 출력부(18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음량 차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바(bar)로 구성되는 제1 및 제1 변형 이미지(310, 310')는 길이가 다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1 변형 이미지(310, 3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량 변화를 구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음량 이미지를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상기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상기 음량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음량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미지(310) 및 제1 변형 이미지(310, 31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변화하는 음량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음량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정보와 구획되는 영역에 표시되므로 화면정보를 가리지 않고 음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음량변화에 관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상기 평면부(171)에 화면정보(300)가 출력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오디오 출력부(180)에서 소리가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소리의 음향효과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320)를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이미지(320)는 사운드 이퀼라이저(sound equalizer)를 표시하는 무비클립(move cl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상기 소리의 음량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소리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되는 상기 제2 이미지(320)의 출력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음소거(MUTE)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의 영상출력을 제한하고, 어떠한 영상도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는 비활성상태가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향효과를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고, 음소거 상태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음소거(MUTE)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되는 제2 이미지(320)의 출력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화면정보를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와 상기 평면부(171)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즉, 음소거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전체적으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의 크기를 재 산출하고, 상기 제2 이미지(320)의 출력을 제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전체적으로 상기 화면정보(30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소리의 출력을 제한하고, 영상만을 제공받고 싶은 경우 상기 절곡부까지 화면을 확장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소거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미지(320)는 상기 제1 절곡부(172a) 및 상기 제2 절곡부(172b) 중 어느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0은 음성인식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석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변경하거나, 상기 화면정보의 출력상태의 변경 및 상기 음향의 조절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170)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171)의 아래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4 절곡부(173b')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정보(300)는 상기 평면부(171)에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음성인식모드로 전환되면, 음성인식표시(35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4 절곡부(173b)에,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인가되었음을 알리는 제3 이미지(33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제3 이미지(330)는 상기 음성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으로 추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음성의 음향 및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채널변경 11이라는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화면정보(300)를 상기 채널 11에 대응되는 다른 화면정보(300')으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제4 절곡부(173b)에 상기 제3 이미지(330)을 출력하고 상기 제3 이미지(330)가 상기 음성에 대응되어 변화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성인식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입력되고 있는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터치감지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용자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입력장치(190)의 조작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절곡부 터치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및 상기 평면부(171)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1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상기 터치감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이미지(340)를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곡부(172a)에는 영상의 출력을 제한하거나, 상기 제1 절곡부(172a) 및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을 변경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절곡부(172a)에 제4 이미지(34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4 이미지(340')는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포함되는 각 그래픽이미지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a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평면부(171)에만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절곡부(172a) 및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굴곡부(172b)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이미지(340)는 상기 제2 절곡부(172b) 상에 상기 화면정보(300)와 오버랩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도 11b의 (a) 및 (b)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거리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감지부(미도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는 근접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와 가까이 이동하는 사용자의 손(또는 터치물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부는 터치입력을 인가받는 터치감지부가 형성되는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곡부(172b) 상에 상기 터치감지부 및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인접하는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상기 터치입력을 인가 받는 그래픽 이미지(34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화면정보(300)가 상기 제1 절곡부(172a) 및 상기 평면부(171)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상기 화면정보(300)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340)의 출력을 제한하고, 다시 상기 화면정보(30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b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상기 그래픽 이미지(340)가 상기 화면정보(300) 상에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인접하게 위치하면, 상기 화면정보(300)가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정보 전체를 계속적으로 제공받으면서,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의 위치인식 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입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화면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화면정보(300)를 시청하는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는 상기 평면부(171)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및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된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는 상기 화면정보(300)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거리(D1)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1a, 172b)의 상기 화면정보(300)의 출력을 제한하고, 제5 이미지(35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화면정보(300)를 상기 평면부(171)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5 이미지(350)는 사용자에게 시청거리가 가깝다는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경고 이미지로서 기 설정된 색의 빛을 출력하거나, 움직임, 깜박거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감지되는 시청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정보(300)가 상기 평면부(171)에 출려되는동안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되는 이미지가 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색이 변하거나, 상기 시청거리에 대한 수치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기준거리(D1)보다 가까운 제2 기준거리(D2)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의 출력을 제한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시청거리가 더 좁아진 경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평면부(171)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다만, 상기 화면정보(300)의 출력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300)에 대응되는 소리는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소리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320)를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리의 출력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320)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평면부(171)가 비활성화 된 것이 디스플레이부(170)의 오류가 아닌, 시청거리에 대한 경고임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평면부(171)를 비활성화시키는 대신,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상기 평면부(171)에 시청거리가 가깝다는 경고를 하기 위한 다른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화면정보(300)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시청거리가 변하면 다시 상기 화면정보(3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상의 적어도 일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정보를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알림기능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여 시청시간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절곡부에 표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활성화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기록되는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제1 기준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제6 이미지(361)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제6 이미지(361)는 기 설정된 색의 빛이 출력으로 구현되거나 기설정된 이미지, 현재 시각 및 디스플레이부(170)의 활성시간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기록되는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기준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제6 변환이미지(36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6 변환이미지(362)는 상기 제6 이미지(361)의 색과 다른 색의 빛의 출력으로 구현되거나, 현재 시각 및 디스플레이부(170)의 활성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활성화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화면정보를 시청하는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른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화면정보를 제공받는 동안 시간의 흐름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시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여.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을 알려주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은 사용자의 제어명령 없이 구동되는 동작에 해당된다. 도 13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정보(300)가 상기 평면부(171)에 출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는 화면정보의 일부가 출력되거나, 다른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3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상기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절곡부(172b)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수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제7 이미지(37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정보(300)를 평면부(171)에 출력하고 상기 절곡부에 또다른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화면정보(300)의 제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메시지 수신 등을 알릴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화면정보(300)가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및 상기 평면부(171)에 표시되고,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절곡부(172b)를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b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시각에 상기 화면정보의 저장 기능이 실행되면, 녹화기능이 실행되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기 설정된 시각에 녹화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절곡부(172a)에 제8 이미지(37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각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중 적어도 하나에 특정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정보를 제공받는 동안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출력영역이 제어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장착되는 하나의 센서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시청하는 사용자 및 주변환경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카메라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평면부(171)와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 각각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3개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센서는 인접하게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영역(CA) 즉, 상기 평면부(171)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평면부(171)에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평면부(171) 및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172a, 172b)에 상기 화면정보(300)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절곡부(172a)에 인접하는 왼쪽 영역(AL)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절곡부(172a) 및 상기 평면부(171) 상에 상기 화면정보(30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절곡부(172b)의 출력을 제한하거나 다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절곡부(172b)에 인접하는 오른쪽 영역(AR)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절곡부(172b) 및 상기 평면부(171) 상에 상기 화면정보(30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절곡부(172a)의 출력을 제한하거나 다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면정보를 시청하는 위치에 따라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이 변하여 시인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20)는 화면정보(300)의 출력영역을 결정한다(S101).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화면정보(300)를 상기 평면부(171)에만 출력할 것인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전체에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화면정보(30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102).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기능의 제어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의 소리출력의 제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제어, 상기 무선통신부(미도시) 및 상기 저장부(160)의 제어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절곡부에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S103).
상기 제어 이미지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곡부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며,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 및 기 설정된 설정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상기 평면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가 이어지는 부분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 중 적어도 일 영역 및 상기 평면부에 상기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절곡부에 인접하는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정보가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평면부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절곡부에 상기 화면정보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의 곡률에 따라 상기 화면정보의 비례값(scaling)을 적용하여 상기 화면정보의 형상을 재 산출하고,
    상기 연결부의 곡률에 따라 상기 재 산출된 화면정보의 형상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연결부에서도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전면은 곡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으로 향하여 절곡되며,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절곡부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상기 절곡부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에 근거하여 상기 절곡부에 상기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곡부에 상기 터치입력을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절곡부에 상기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곡부에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거리가 기 설정된 제1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절곡부에 상기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평면부에 상기 화면정보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28248A 2013-03-15 2013-03-15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8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48A KR102088910B1 (ko) 2013-03-15 2013-03-15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043,235 US9134846B2 (en) 2013-03-15 2013-10-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12016 WO2014142428A1 (en) 2013-03-15 2013-12-23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48A KR102088910B1 (ko) 2013-03-15 2013-03-15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178A KR20140113178A (ko) 2014-09-24
KR102088910B1 true KR102088910B1 (ko) 2020-03-13

Family

ID=5152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48A KR102088910B1 (ko) 2013-03-15 2013-03-15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34846B2 (ko)
KR (1) KR102088910B1 (ko)
WO (1) WO2014142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37B1 (ko) 2013-11-15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81236B1 (ko) * 2014-04-18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02823B1 (ko) * 2014-12-05 2021-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윈도우
CN104460088A (zh) * 2014-12-12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面显示器件
KR20160077312A (ko) * 2014-12-22 2016-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537527B2 (en) 2014-12-29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15620B1 (ko) * 2014-12-29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S2954487T3 (es) * 2015-02-06 2023-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pantalla con área doblada
US10051096B2 (en) 2015-02-06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pack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3054657B1 (en) 2015-02-06 2019-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KR102296846B1 (ko) * 2015-02-06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56204B2 (en) 2015-02-06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3054656B1 (en) 2015-02-06 2021-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housing
KR102369674B1 (ko) 2015-02-17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343990B1 (ko) * 2015-06-15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서로 다른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81878B1 (ko) * 2015-10-12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20170084586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584460B1 (ko) * 2016-01-21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KR102441444B1 (ko) * 2016-03-17 2022-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774814B1 (en) 2016-06-13 2017-09-26 Mohammed Tawfiq Aljhdali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KR101895217B1 (ko) * 2016-12-27 2018-09-07 전자부품연구원 타일링 멀티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792180B (zh) * 2016-12-31 2018-08-24 惠科股份有限公司 可调整曲面显示器曲率的控制方法
KR101948556B1 (ko) * 2017-09-06 2019-02-18 (주)코텍 슬롯머신 장치의 영상표시장치
KR102403929B1 (ko) * 2018-02-23 2022-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04421B1 (en) 2018-10-12 2019-12-1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compensation o a curved display
US10795499B2 (en) * 2018-11-13 2020-10-0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images of display device
US11516335B2 (en) 2020-01-21 2022-11-29 Motorola Mobility Llc Personalizable UI component layout on curved glass
US11176862B2 (en) 2020-01-21 2021-11-16 Motorola Mobility Llc Managing notifications on a curved display surface
US10957229B1 (en) * 2020-01-21 2021-03-23 Motorola Mobility Llc Content extension on curved glass
CA3119126A1 (en) * 2020-05-22 2021-11-22 Cenovus Energy Inc. Methods for producing hydrocarbons from thin, heterogenous pay reservoirs
US11693558B2 (en) *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KR20230109319A (ko) * 2022-01-13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568A (en) * 1995-12-12 1999-03-30 Rainbow Displays Inc. Tiled flat panel displays
JP4431447B2 (ja) * 2004-06-09 2010-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WO2009067224A1 (en) * 2007-11-19 2009-05-28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US20100011291A1 (en)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US7953462B2 (en) 2008-08-04 2011-05-31 Vartanian Harr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ly responsive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067779B1 (ko) * 2009-07-08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KR101273182B1 (ko)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832958B1 (ko) * 2011-06-01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영상 표시방법
KR101789625B1 (ko)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2626771B1 (en) * 2012-02-09 2018-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unted on a display apparatus
KR101420330B1 (ko) * 2012-06-22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102070776B1 (ko) * 2013-03-21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4846B2 (en) 2015-09-15
US20140267097A1 (en) 2014-09-18
KR20140113178A (ko) 2014-09-24
WO2014142428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91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2792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0916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09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086346B1 (ko) 오디오 확장모듈
KR1021179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77656B1 (ko) 영상표시기기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20140134536A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36677A (ko) 양면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80620B1 (ko) 싱크 디바이스, 소스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163853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9200B1 (ko) 입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KR2011004404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26328A (ko) 영상표시기기
KR2014010606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5850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29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2540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40106064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7661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667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400239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40058148A (ko)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3491A (ko) 영상출력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