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620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620B1
KR101515620B1 KR1020150012126A KR20150012126A KR101515620B1 KR 101515620 B1 KR101515620 B1 KR 101515620B1 KR 1020150012126 A KR1020150012126 A KR 1020150012126A KR 20150012126 A KR20150012126 A KR 20150012126A KR 101515620 B1 KR101515620 B1 KR 10151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isplay area
sub
user inte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현
최연호
김용호
라진
박용국
배유동
임애영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620B1/ko
Priority to US14/745,926 priority Critical patent/US9710161B2/en
Priority to EP22194752.6A priority patent/EP4138368B1/en
Priority to EP19195701.8A priority patent/EP3595275A1/en
Priority to EP16182538.5A priority patent/EP3110113B1/en
Priority to EP15196816.1A priority patent/EP3041201B1/en
Priority to CN201610585781.4A priority patent/CN106227344B/zh
Priority to CN201510906432.3A priority patent/CN105739813B/zh
Priority to CN201910659777.1A priority patent/CN110377196B/zh
Priority to US15/207,206 priority patent/US10331341B2/en
Priority to US16/404,338 priority patent/US10747431B2/en
Priority to US16/940,028 priority patent/US1178259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측면으로 구부러진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진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motion)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ER TERMINCAL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C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측면으로 구부러진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진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크기도 최소화되면서 그 기능은 더욱 다양해져,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나 사용자 인터렉션 방식에 대해서도 다양한 니즈(needs)가 발생하고 있다. 즉, 컨텐츠의 종류 및 기능이 크게 증대함에 따라, 단순히 버튼을 선택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종래의 인터렉션 방식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고정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2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고정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motion)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제공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1 UI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방향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되는 상기 제1 UI를 제거하고, 제2 UI를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된 제2 UI를 제거하고, 상기 제1 UI를 제1 서브 영역에 제공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만 제1 UI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된 제1 UI를 제거하고, 상기 제1 UI를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제1 UI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알림 이벤트가 감지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회전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UI를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하나에 제공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UI가 제공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메인 영역에 제공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이벤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이-메일 수신 이벤트, SNS 수신 이벤트, 전화 수신 요청 이벤트,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이벤트, 알람(alarm) 이벤트 및 배터리 잔량 안내 이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고정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2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고정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motion)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1 UI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방향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되는 상기 제1 UI를 제거하고, 제2 UI를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된 제2 UI를 제거하고, 상기 제1 UI를 제1 서브 영역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만 제1 UI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된 제1 UI를 제거하고, 상기 제1 UI를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제1 UI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알림 이벤트가 감지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회전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UI를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UI가 제공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메인 영역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영역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5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7 및 도 5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영역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UI(User interface)라 함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 및 알림 정보를 나타내는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UI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UI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뿐만 아니라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UI 엘리먼트는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현되거나, 또는 상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드백이 가능한 일 영역이 있으면, 이 영역을 UI 엘리먼트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 감지부(4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구체적으로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메인 영역과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영역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영역을 메인 영역이라고 하고, 크기가 작은 영역을 서브 영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홈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홈 버튼이나 전면 스피커 등이 배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한 영역을 메인 영역이라고 하고, 측면에 위치한 영역을 서브 영역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영역은 영역 내의 UI를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서브 영역은 메인 영역의 UI를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에 구비된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1 측면으로 구부러진 제1 서브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2 측면으로 구부러진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고정된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고정된 부분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정면에 위치한 평평한 부분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의 면적은 메인 영역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영역은 메인 영역과 상이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메인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었다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외관을 이루는 면(surface)들 중에서 우측 면(right side surface), 좌측 면(left side surface), 상측 면(upper side surface), 하측 면(lower side surface)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면은 둔각을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서브 영역의 형태, 위치, 개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서브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면들 중 사이드 면에 위치하는 경우, 서브 영역을 엣지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감지부(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10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400)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x,y,z 축의 회전 기울기 및 기울기 변화량(즉, 회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200)는 감지부(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 중 UI를 표시할 서브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0)는 판단된 서브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UI,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 또는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U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서브 영역에 제1 UI가 제공되고,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1 방향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되는 제1 UI를 제거하고, 제2 UI만을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된 제2 UI를 제거하고, 제1 UI를 제1 서브 영역에 다시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서브 영역에만 제1 UI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된 제1 UI를 제거하고, 제1 UI를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1 UI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알림 이벤트가 감지된 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회전 움직임에 따라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UI를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중 하나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림 이벤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이-메일 수신 이벤트, SNS 수신 이벤트, 전화 수신 요청 이벤트,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이벤트, 알람(alarm) 이벤트 및 배터리 잔량 안내 이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알림 UI가 제공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메인 영역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이벤트가 메시지 수신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20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메인 영역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제1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영역에 제1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제2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영역에 제2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 상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제1 서브 영역에 제1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제2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이전에 수행한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보안요구가 낮은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보안요구가 높은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제1 뎁스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상기 제1 뎁스의 하위 뎁스인 제2 뎁스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서브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UI를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200)는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2 UI를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하며, 메인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고, 제1 서브 영역에 제1 UI가 제공되며,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제2 UI에 터치 인터렉션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메인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고, 제1 서브 영역에 제1 UI가 제공되며, 제2 서브 영역에 제2 UI가 제공되는 동안 제2 UI에 포함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하나에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며, 제2 UI가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음량 조절 UI 엘리먼트에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음량 조절 UI 엘리먼트에 입력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메인 영역(1010) 및 두 개의 서브 영역(1020,1030)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메인 영역(1010)은 전면에 배치되고, 우측면 및 좌측면에 각각 서브 영역(1020, 1030)이 배치된다. 이때, 메인 영역(1010)과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경계 라인(1050-1, 1050-2)에 의해 구분된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전면 방향에서 시청 가능하도록 메인 영역(1010)과 둔각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일부만을 감싸듯이 벤딩될 수 있다. 또한, 경계 라인(1050-1,1050-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가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라인이 아닌 평평한 면에 위치하는 라인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메인 영역(1010) 및 두 개의 서브 영역(1020,1030)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두 개의 서브 영역(1020, 1030)은 메인 영역(1010)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며, 전면 방향이 아닌 우측 및 좌측 방향에서 시청 가능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영역(1010)과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경계 라인(1050-1, 1050-2)에 의해 구분된다.
도 5는 도 4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르면,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메인 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90도에 가깝게 벤딩될 수 있다. 즉, 각 서브 영역(1020,10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전부를 감싸듯이 벤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메인 영역(1010) 및 세 개의 서브 영역(1020,1030,1040)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두 개의 서브 영역(1020, 1030)은 메인 영역(1010)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며, 하나의 서브 영역(1040)은 메인 영역(102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영역(1010)과 두 개의 서브 영역(1020, 1030)은 경계 라인(1050-1, 1050-2)에 의해 구분되며, 후면에 배치된 서브 영역(1040)과 두 개의 서브 영역(1020, 1030)은 경계 라인(1050-3, 1050-4)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세 개의 서브 영역(1020,1030,104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모두 감싸도록 벤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9에서는, 서브 영역(1020, 1030)이 라운드 형태인 곡면 형태로 구성되어 메인 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서브 영역(1020, 1030)을 포함하는 곡면이 둔각(θ)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서브 영역(1020, 1030)도 평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역(1010)을 포함하는 평면과, 서브 영역(1020, 1030, 1040)을 포함하는 평면은, 경계 라인을 따라 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서브 영역(1020)을 포함하는 면은 경계 라인(1050)에서 둔각(θ)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이 밖에도, 단면 구성은 사다리꼴, 5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도 8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영역(1060) 및 상측 면, 하측 면 각각에 배치된 서브 영역(1070,108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영역(1060)과 상측 면 및 하측 면에 배치된 서브 영역(1070,1080)은 경계 라인(1090-1,1090-2)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8에서는 두 측면에만 서브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세 측면 이상에 서브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메인 영역(1010) 및 네 개의 서브 영역(1020,1030,1070,10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영역(1060)과 네 개의 면에 배치된 서브 영역(1020,1030, 1070,1080)은 경계 라인(1050-1,1050-2,1090-1,1090-2)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 감지부(4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200)는 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가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 제어부(200), 저장부(310), GPS 칩(320), 통신부(330), 비디오 프로세서(340), 오디오 프로세서(350), 버튼(360), 마이크부(370), 촬상부(380), 스피커부(390), 감지부(40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감지부(400)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아래에 모두 실장될 수 있으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의 서브 영역 아래에만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일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일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구부러진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310)에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가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 서브 영역 및 그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경계 라인에 대하여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그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버스(250)를 포함한다.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등은 버스(2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230)는 저장부(3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20)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30)는 ROM(22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RAM(210)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3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10)에 복사하고, RAM(210)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중에서 활성화된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24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로 제공되어,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GPS 칩(320)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0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3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30)는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2), 무선 통신 칩(333), NFC 칩(334)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통신부(3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이나 블루투스 칩(3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333)은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33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35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340) 및 오디오 프로세서(35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메인 영역,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390)는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버튼(36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 부(37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촬상부(38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위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촬상부(380) 및 마이크 부(37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380)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촬상부(38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가 지원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서는,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모션 인식 기술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홈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듯한 모션을 취하거나,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어를 발음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다양한 상태 및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감지부(400)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움직임 또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0)는 서브 영역에 대한 터치 면적 및 그립 압력 분포를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10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10)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11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저장부(310)에는 OS(1110), 커널(1120), 미들웨어(1130), 어플리케이션(11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1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1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120)은 감지부(40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12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11에 따르면, 미들웨어(1130)는 X11 모듈(1130-1), APP 매니저(1130-2), 연결 매니저(1130-3), 보안 모듈(1130-4), 시스템 매니저(11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130-6), UI 프레임워크(1130-7), 윈도우 매니저(1130-8), 필기 인식 모듈(11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1130-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130-2)는 저장부(31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11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130-2)는 X11 모듈(11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11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1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11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130-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1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나 서브UI 프레임워크(11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130-6)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1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11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11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1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1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1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그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1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1140-1 ~ 11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PU(230)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11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1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31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구성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어부(20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를 바탕으로 복수의 서브 영역 중 UI를 디스플레이할 서브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400)가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기울기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공작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부(300)의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가 3축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면, 도 12에 표시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후면이 중력 방향과 수직인 경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이 중력 방향과 수직인 경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 )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테이블의 표면과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를 가정할 시,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상기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가속도 센서는 좌표계에서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0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성분에 의해 측정된 경우, 각 축들에 대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기울기를 확인(연산)할 수 있다. 이때, 기울기는 롤각(roll angle), 피치각(pitch angle), 및 요각(yaw angle)으로 나타낼 수 있다. 롤각은 도 12에서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피치각은 도 13에서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요각은 도 13에서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 중 Z축 중력 가속도가 +9.8m/sec2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기울기가 롤각, 및 피치각은 '0'에 해당하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놓이는 기울기가 Z축의 중력 가속도를 받는 후면이 중력 방향과 90도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자세 또는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기울기의 변화량을 통해 회전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0)는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에 포함된 두 개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영역(1310)에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1320)에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UI 및 제2 UI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UI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UI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방향의 z축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제2 서브 영역(1320)에 디스플레이된 제2 UI를 제거하고, 제1 서브 영역(1310)에만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UI와 제2 UI가 서로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인 경우, 제1 UI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동일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UI와 제2 UI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인 경우, 제1 UI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기 전과 후에 상이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후, 제1 UI에는 제2 UI에서 제공되었던 UI를 엘리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영역(1310)에만 제1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서브 영역(1320)은 정보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는 화면이 단색(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출력되는 상태이거나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방향의 z축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1310)에 디스플레이된 제1 UI를 제거하고, 제2 서브 영역(1320)에만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UI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기 전과 후에 상이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UI와 제2 UI가 서로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인 경우, 제2 UI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동일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UI와 제2 UI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인 경우, 제2 UI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기 전과 후에 상이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후, 제2 UI에는 제1 UI에서 제공되었던 UI를 엘리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영역(1320)에만 제2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1 서브 영역(1310)은 정보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는 화면이 단색(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출력되는 상태이거나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영역에만 제1 UI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제공된 제1 UI를 제거하고, 제1 UI를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화면(1400)에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1420)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기울기 및 사용자 위치에 따라 제2 서브 영역(1420)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과 가까운 제2 서브 영역(1420)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에는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중지를 선택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동영상 컨텐츠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2 서브 영역(1420)에 디스플레이되었던 UI를 제거하고, 제1 서브 영역(1410)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영역(1410)에 디스플레이되는 UI는 제2 서브 영역(1420)에서 제공되었던 UI와 동일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이벤트가 감지된 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감지된 회전 움직임에 따라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UI를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중 하나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동영상 컨텐츠(150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의 일 측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UI(15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UI(1530)에는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문구뿐만 아니라 발신자 정보, 메시지 내용,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위한 아이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영역의 일 측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UI(153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도 15b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15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위치한 제1 서브 영역(1510)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알림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림 UI에는 메시지의 유형을 나타내는 아이콘,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발신 번호, 발신자 이름 등), 메시지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내용의 길이가 기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제1 서브 영역(1510)은 메시지 내용을 전부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 내용의 길이가 상기 기설정된 값 초과일 경우, 제1 서브 영역(1510)은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시지 내용을 이동하여 전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영역의 일 측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UI(153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도 15c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15c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에 위치한 제2 서브 영역(1520)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알림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림 UI에는 메시지의 유형을 나타내는 아이콘,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발신 번호, 발신자 이름 등), 메시지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 UI가 제공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540)을 메인 영역에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한편, 기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1510) 또는 제2 서브 영역(1520)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알림 UI를 제거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x축 또는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y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부(380)가 사용자를 촬영한 경우, 제어부(200)는 촬상부(38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추적된 사용자 시선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기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 중 UI를 디스플레이할 서브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이동 또는 회전에 따라 사용자 시선을 추적하여 사용자 시선과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사용자 시선과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시선과 가장 가까운 제1 서브 영역(1610)을 온하여 제1 서브 영역(1610)에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 시선과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사용자 시선과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이 제1 서브 영역(1610)에서 제2 서브 영역(1620)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2 서브 영역(1620)을 온하고, 제1 서브 영역(1610)에 표시되었던 UI를 제2 서브 영역(1620)에 표시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영역을 온하는 것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고, 서브 영역을 오프하는 것은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기울기만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롤각이 제1 범위(예를 들어, 0-180도) 내인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온하고, 제2 서브 영역에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롤각이 제2 범위(예를 들어, 180-360도) 내인 경우, 제어부(200)는 제2 서브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온하고, 제1 서브 영역에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파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파지 상태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 중 UI를 디스플레이할 서브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는 서브 영역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의 터치 면적 및 그립 압력 분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400)는 서브 영역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의 터치 면적 및 그립 압력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부(400)로부터 수신된 터치 면적 및 그립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파지한 손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서브 영역에 하나의 터치 영역이 감지되고, 우측의 서브 영역에 네 개의 터치 영역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왼손으로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의 서브 영역에 하나의 터치 영역이 감지되고, 좌측의 서브 영역에 네 개의 터치 영역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오손으로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왼손으로 파지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1710)을 온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1720)에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오른손으로 파지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1720)을 온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1710)에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 기울기, 파지 상태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편하고 직관적으로 서브 영역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제1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영역에 제1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제2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영역에 제2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1510)에 이전에 수행한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1520)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1510)에 보안요구가 낮은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1520)에 보안요구가 높은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1510)에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1520)에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1510)에 제1 뎁스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1520)에 상기 제1 뎁스의 하위 뎁스인 제2 뎁스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 상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좌측면의 서브 영역(1510)에 제1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1520)에 제2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서브 영역 모두가 온 되어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서브 영역이 온 되는 상태는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서브 영역이 오프되는 상태는 정보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제1 서브 영역에 이전에 수행한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탭(1810 내지 185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1860 내지 189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까지 사용한 순서에 따라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웹 어플리케이션의 제1 웹 화면에 대응되는 제1 탭(1810), 웹 어플리케이션의 제1 웹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탭(1820),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3 탭(1830),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4 탭(1840)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5 탭(1850)을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인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콘(1860),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연락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아이콘(1870),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3 아이콘(1880) 및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4 아이콘(189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탭을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어부(20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히스토리와 관련된 UI 엘리먼트, 방문 사이트에 대한 UI 엘리먼트, 최근 연락한 연락처에 대한 UI 엘리먼트 등과 같이 이전에 수행한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즐겨찾기와 관련된 UI 엘리먼트, 도구 모음과 관련된 UI 엘리먼트, 위젯 UI 엘리먼트 등과 같이 미래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UI에 포함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하나를 메인 영역으로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UI 엘리먼트와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0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2 탭(1820)을 터치한 후 메인 영역 방향인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19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웹 화면(190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0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웹 화면(190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콘(1860)을 터치한 후 메인 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0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2000)을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서는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드래그 인터렉션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탭을 연속으로 터치하는 더블 탭 인터렉션, 탭을 기설정된 시간 터치하는 롱 탭 인터렉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UI에 포함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하나에 특정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작업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영역에 은행 업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100)이 디스플레이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스타일러스 펜이 제2 탭(1820)에 근접하는 호버링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제2 웹 화면을 축소하여 제2 탭(1820) 근처에 제2 웹 화면의 미리보기 화면(21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보기 화면(2110)은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제2 웹 화면을 축소한 형태의 화면으로서, 미리보기 화면(2110)이 선택된 경우, 미리보기 화면이 확대되어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제2 웹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스타일러스 펜이 제5 탭(1850)으로 이동되어 근접하는 호버링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탭(1850)에 대응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채팅 화면을 축소하여 제5 탭(1820) 근처에 미리보기 화면(21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보기 화면(2120)은 제5 탭(1850)에 대응되는 채팅 화면을 축소한 형태의 화면으로서, 미리보기 화면(2110)이 선택된 경우, 미리보기 화면이 확대되어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인 영역에 은행 업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100)이 디스플레이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탭(1820)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제2 웹 화면을 축소하여 제2 탭(1820) 근처에 미리보기 화면(22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보기 화면(2210)은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제2 웹 화면을 축소한 형태의 화면으로서, 미리보기 화면(2210)이 선택된 경우(예를 들어, 미리보기 화면(2210)에 더블 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미리보기 화면이 확대되어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제2 웹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5 탭(1850)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탭(1850)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채팅 화면을 축소하여 제5 탭(1850) 근처에 미리보기 화면(22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호버링 인터렉션 또는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사용자는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 엘리먼트와 관련된 태스크를 미리보기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영역에 미리보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미리보기 화면을 고정시키고,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이 제2 탭(1820)을 호버링하는 동안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된 버튼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200)는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하고,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미리보기 화면(23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드래그하기 위한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보기 화면(2310)을 고정시키고,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드래그 인터렉션에 따라 이동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탭(1820)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터치하는 롱-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2 탭(1820)에 대응되는 미리보기 화면(24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드래그하기 위한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보기 화면(2410)을 고정시키고,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드래그 인터렉션에 따라 이동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서브 영역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를 서브 영역에서 제거하고,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서브 영역에 포함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종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좌측면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핀치-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탭들(1810 내지 1850)을 모두 제거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탭들(1810 내지 1850)과 관련된 태스크를 모두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을 도 2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홈 화면(2510)으로 전환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두 개의 UI 엘리먼트에 대한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적어도 두 개의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작업 화면을 메인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채팅 화면(2600)이 디스플레이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아이콘(1860) 및 제4 아이콘(1890)을 동시에 터치한 후 메인 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의 상단에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10)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영역의 하단에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의 화면을 홈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채팅 화면(2600)이 디스플레이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서로 가까워지도록 드래그하는 핀치-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2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홈 화면(2710)으로 전환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확대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까지 디스플레이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세로로 파지된 상태에서 메인 영역에 동영상 컨텐츠(2800)가 재생되고, 상측면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복수의 UI 엘리먼트(2810 내지 289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 및 하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서로 가까워지도록 드래그하는 핀치-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컨텐츠(2800)를 확대하여 서브 영역까지 디스플레이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서브 영역에 포함된 UI를 제거하여 메인 영역에 확대된 동영상 컨텐츠(28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멀티태스킹 또는 빠른 화면 전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9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연결되어 공유 모드로 전환된 경우,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공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공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유 모드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제1 서브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와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공유 작업과 관련된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그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그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900)을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제1 내지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2910 내지 2940)을 디스플레이하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그림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복수의 아이콘(2950 내지 299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대응되는 아이콘(2910 내지 2940)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름, ID,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대응되는 아이콘(2910 내지 2940)에는 각각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을 나타내는 고유의 인디케이터(예를 들어, 색, 명암, 투명도 등)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연결하는 동안 복수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 중 하나에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특정 인터렉션이 감지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에 그림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동안 그림 어플리케이션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이콘(2910)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현재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작업을 제1 사용자와 공유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사용자가 제1 사용자와 공유하여 그림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마다 상이한 방식으로 편집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사용자가 편집한 내용은 검정색으로 표시되며, 제1 사용자가 편집한 내용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마다 표시되는 방식은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이콘(2910)은 배경 화면이 파란색일 수 있다.
또한,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그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2940) 근처에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31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3110)에는 메시지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제4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 화면이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내지 제4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에 지도 화면(3200)을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타 사용자와 대응되는 아이콘들(3210 내지 3240)을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 서브 영역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250 내지 327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2930) 근처에 제3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32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공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공유 모드에서 스케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화면에 스케줄 화면(3300)을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타 사용자와 대응되는 아이콘들(3310 내지 3340)을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 서브 영역에는 스케줄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50 내지 338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스케줄 어플리케이션에 메모를 작성한 경우, 제어부(200)는 작성된 메모를 수신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케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바로 약속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재 연결된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에게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유 모드에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화면에 컨텐츠 리스트 화면(3400)을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타 사용자와 대응되는 아이콘들(2910 내지 2940)을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 서브 영역에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2950 내지 299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3410)를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이콘(2910)으로 드래그하고, 제2 이미지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3420)를 제4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이콘(2940)으로 드래그한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이미지 컨텐츠를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제2 이미지 컨텐츠를 제4 사용자에 대응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재 연결된 타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함께 공유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유 모드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화면에 음악 재생 화면(3500)을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타 사용자와 대응되는 아이콘들(3510 내지 3540)을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 서브 영역에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550 내지 359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재생 목록을 이용하여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메인 영역의 일 지점(3550)을 터치한 후 재생 목록 아이콘(3590)으로 드래그 한 경우, 제어부(200)는 현재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음악을 재생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와 함께 대화를 하면서 동영상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공유 모드에서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화면에 동영상 컨텐츠(3600)를 디스플레이하고, 하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타 사용자와 대응되는 아이콘들(3610 내지 36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와 동일한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제1 사용자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콘(3610 내지 3640) 중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이콘(3610) 근처에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문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와 함께 회의를 수행하는 동안 문서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유 모드에서 문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메인 화면에 문서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고, 하측면의 서브 영역에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3710 내지 37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7과 같은 실시예들 통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과 다양한 공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사용자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도 38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도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에 아이콘을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제1 서브 영역에 타 사용자들과 공유 가능한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개인적인(private) 태스크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의 서브 영역(3810)에 공유 가능한 주변 기기 또는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NS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며, 하측면의 서브 영역(3820)에 다운로드 가능한 주변 기기 또는 개인 파일을 보관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컨텐츠가 터치된 후, 상측면의 서브 영역(381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로 드래그되면, 제어부(290)는 드래그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주변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컨텐츠를 업로드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컨텐츠가 터치된 후, 하측면의 서브 영역(381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로 드래그되면, 제어부(290)는 드래그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주변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컨텐츠를 업로드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의 서브 영역(3910)에 보안 요구가 낮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진 촬영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등)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하측면의 서브 영역(3920)에 보안 요구가 높은 보안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은행 거래 어플리케이션, 보안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하측면의 서브 영역(3920)에 보안 요구가 높은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보안 요구가 높은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0의 첫 번째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하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0의 두 번째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의 하단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UI(40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UI(4010)에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0의 세 번째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의 서브 영역(4020)에 보안 요구가 높은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아이콘(예를 들어,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은행 거래 어플리케이션, 보안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영역의 하단 영역 중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0의 네 번째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의 서브 영역(4020)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을 제거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측면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하측면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은 보안 요구에 의해 제어부(200)가 직접 결정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수신되는 메시지의 보안 요구도에 따라 상이한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보안 요구도가 낮은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의 서브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41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4110)를 터치한 후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도 4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4110)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수신된 메시지 내용(41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보안 요구도가 높은 보안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의 서브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42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4210)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도 4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메시지를 열람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 UI(42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 UI(422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에 수신된 보안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외부로부터 보안 요구도가 높은 전화 번호로부터 전화 통화가 요청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의 서브 영역에 일반 모드로 통화할지 보안 모드로 통화할지 여보를 결정하는 UI(43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일반 모드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암호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보안 모드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드의 전화 통화라 함은 사용자 음성이 암호화되어 송수신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요구가 낮은 작업은 다른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상측면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보안 요구가 높은 작업은 다른 사용자가 볼 수 없는 하측면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보안성이 높은 작업에 대해 보안을 유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4 내지 도 4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복수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면, 제어부(200)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좌측면의 서브 영역(4410)에 디스플레이하고, 통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우측면의 서브 영역(44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4500)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4510)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명령에 따라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4510)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4520)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며, 메인 영역(4500')에 웹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스피커부(390) 또는 다른 오디오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메인 영역(4500')에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나, 좌측면의 서브 영역(4510)에 포함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하나에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UI 엘리먼트에 감지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면의 서브 영역(4510)에 포함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볼륨 조절 UI 엘리먼트에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볼륨 조절 UI 엘리먼트에 감지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451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4500)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웹 화면을 제거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4600)에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4610)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요청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역(4620)에 전화 수신 요청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면의 서브 영역(46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는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 번호, 발신자 이름, 발신자 ID 등), 수신 수락 또는 거절을 위한 UI 엘리먼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여(46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통해 통화 수락을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외부 장치와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도 4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역(4620)에 디스플레이되었던 UI를 현재 통화 상태를 안내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UI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현재 메인 영역(4600)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고, 통화음을 출력하도록 스피커부(3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근처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의 좌측(4710-1)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메인 영역의 우측(4710-2)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29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4720-1)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4720-2)에 제2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의 상단(4730-1)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메인 영역의 하단(4730-2)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29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 중 상단(4740-1)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 중 상단(4740-3)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 중 하단(4740-2)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 중 하단(4740-1)에 제2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의 좌상단(4750-1)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메인 영역의 우상단(4750-2)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메인 영역의 좌하단(4750-3)에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메인 영역의 우하단(4750-4)에 제4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29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 중 상단(4760-1)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 중 상단(4760-3)에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며, 좌측면의 서브 영역 중 하단(4760-2)에 제3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 중 하단(4760-4)에 제4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8 내지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변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메인 영역에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영역을 분할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8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윗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8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하단 및 우측면 서브 영역의 하단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10)를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상단 및 우측면 서브 영역의 상단에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 의해 실행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응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분할된 UI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도 49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윗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9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 서브 영역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10)를 위쪽으로 이동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된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20)를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대한 드래그 인터렉션이 윗 방향으로 계속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도 49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10)를 디스플레이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에 드래그 인터렉션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49의 네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10)의 일부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20)의 일부(어두운 부분)가 방향이 거꾸로 디스플레이되었음을 판단하고, 도 49의 다섯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10)의 일부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20)의 일부의 방향을 바꾸어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0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하단 및 우측면 서브 영역의 하단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10)가 디스플레이되고,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상단 및 우측면 서브 영역의 상단에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2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0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4810)만을 복수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뎁스를 가지는 UI 엘리먼트를 복수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200)는 제1 서브 영역에 제1 뎁스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브 영역에 제1 뎁스의 하위 뎁스인 제2 뎁스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1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5110)에 제1 뎁스의 메뉴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메뉴 아이템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1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5110)에 제1 뎁스의 메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5120)에 제1 메뉴 아이템의 하위 뎁스에 포함된 메뉴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뎁스의 메뉴 아이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비디오 설정, 오디오 설정, 네트워크 설정 등과 관련된 메뉴 아이템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뎁스의 메뉴 아이템은 밝기 설정, 명암비 설정, 색상 설정 등과 같은 비디오 설정의 하위 뎁스에 관한 메뉴 아이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뎁스의 메뉴 아이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하위 뎁스의 메뉴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하위 뎁스의 메뉴 아이템이 존재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하위 뎁스에 포함된 메뉴 아이템들을 좌측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2 및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클립보드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52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웹 브라우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클립 보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2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측면의 서브 영역(5220)에 복사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5221 내지 5225)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박스 안에 X가 존재하는 아이템은 클립 보드 비우기 기능을 위한 아이콘이며, 박스 안에 T가 존재하는 아이템은 텍스트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며, 박스 안에 I가 존재하는 아이템은 이미지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며, 박스 안에 V가 존재하는 아이템은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다.
그리고, 도 52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 화면 중 일부 텍스트 컨텐츠(5230)를 선택한 후, 도 52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역(5220)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2의 네 번째 도면과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역(5220) 중 드래그된 영역에 추가된 텍스트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5226)을 추가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추가된 아이콘(5226)은 다른 아이콘(5221 내지 5225)과 색, 투명도, 밝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좌측면의 서브 영역(5210)에 추가된 아이콘(5226)의 미리 보기 내용(5211)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 52의 다섯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어플리케이션(52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클립 보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2의 여섯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서브 영역(5220)에 복사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5221 내지 5226)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3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메인 영역의 임의의 영역에 붙여넣기 기능을 활성화한 후, 제2 아이콘(5322)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선택된 제2 아이콘(5322)을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5210)에 제2 아이콘(5322)의 미리 보기 내용(5311)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3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제3 아이콘(5323)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선택된 제3 아이콘(5323)을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5210)에 제3 아이콘(5323)의 미리 보기 내용(5312)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3의 세 번째 도면과 같이, 제6 아이콘(5326)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선택된 제6 아이콘(5326)을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5210)에 제6 아이콘(5326)의 미리 보기 내용(5313)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3의 네 번째 도면과 같이, 제4 아이콘(5324)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선택된 제4 아이콘(5324)을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5210)에 제4 아이콘(5324)의 미리 보기 내용(5314)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3의 다섯 번째 도면과 같이, 제4 아이콘(5324)을 메인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3의 여섯 번째 도면과 같이, 제6 아이콘(5326)에 대응되는 텍스트(5330)를 메인 영역에 붙여넣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이콘(5321)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3의 일곱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들(5321 내지 5326) 중 일부 아이콘(5322 내지 5326)을 제거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2 및 도 5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클립보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를 더욱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게 된다.
도 54 및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54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4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며,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4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메인 영역에 웹 브라우징 화면(54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과 동시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4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쥔 후 엄지 손가락을 좌측면의 서브 영역 중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메인 영역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스와이프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4의 네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좌측면의 서브 영역(5430) 및 우측면의 서브 영역(544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좌측면의 서브 영역(5430)에는 현재 재생 음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우측면의 서브 영역(5420)에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5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웹 브라우징 화면(55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도 55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쥔 후 엄지 손가락을 좌측면의 서브 영역 중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메인 영역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스와이프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도 55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을 좌측면의 서브 영역(55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4 및 도 55에서 설명한 스와이프 인터렉션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간편하게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메인 영역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6의 첫 번째 도면(5610)과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두 터치 지점이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핀치-아웃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의 화면을 줌-인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6의 두 번째 도면(5620)과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하고, 우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두 터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핀치-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의 화면을 줌-아웃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6의 세 번째 도면(5630)과 같이, 좌측면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우측 영역의 서브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의 화면을 패닝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571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감지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한다(S572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제1 서브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제2 서브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복수의 서브 영역에 상이한 유형의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서브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UI를 제공한다(S581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5820). 이때, 특정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 문자 수신 이벤트, SNS 수신 이벤트, 전화 요청 이벤트, 배터리 잔량 표시 이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S5820-Y),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제2 서브 영역에 제공하고, 메인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한다(S5830).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의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00: 제어부
310: 저장부 320: GPS 칩
330: 통신부 340: 비디오 프로세서
350: 오디오 프로세서 360: 버튼
370: 마이크 380: 촬상부
390: 스피커부 400: 감지부
1000: 사용자 단말 장치

Claims (18)

  1. 전자장치에 있어서,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곡면(curved)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UI 엘리먼트 중 하나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음량 조절 UI 엘리먼트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음량 조절 UI 엘리먼트에 입력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볼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전화 수신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전화 수신요청을 수락 및 거절하기 위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는,
    전화 수신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전화 수신 요청을 수락 및 거절하기 위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하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 수신을 수락하는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컨텐츠를 계속해서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동안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하나에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유저 인터페이스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3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하는 제1 제공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하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하는 제2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UI 엘리먼트 중 하나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음량 조절 UI 엘리먼트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음량 조절 UI 엘리먼트에 입력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볼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전화 수신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전화 수신요청을 수락 및 거절하기 위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제공 단계는,
    전화 수신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전화 수신 요청을 수락 및 거절하기 위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공하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 수신을 수락하는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컨텐츠를 계속해서 제공하며, 상기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동안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유저 인터페이스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3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012126A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1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45,926 US9710161B2 (en) 2014-12-29 2015-06-22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196816.1A EP3041201B1 (en) 2014-12-29 2015-11-27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182538.5A EP3110113B1 (en) 2014-12-29 2015-11-27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195701.8A EP3595275A1 (en) 2014-12-29 2015-11-27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194752.6A EP4138368B1 (en) 2014-12-29 2015-11-27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0585781.4A CN106227344B (zh) 2014-12-29 2015-12-09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201510906432.3A CN105739813B (zh) 2014-12-29 2015-12-09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CN201910659777.1A CN110377196B (zh) 2014-12-29 2015-12-09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5/207,206 US10331341B2 (en) 2014-12-29 2016-07-11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404,338 US10747431B2 (en) 2014-12-29 2019-05-06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940,028 US11782595B2 (en) 2014-12-29 2020-07-27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97223P 2014-12-29 2014-12-29
US62/097,223 2014-12-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69A Division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620B1 true KR101515620B1 (ko) 2015-05-04

Family

ID=53054225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126A KR10151562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2069A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4701A KR101515630B1 (ko) 2014-12-29 2015-01-3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14774A KR101518280B1 (ko) 2014-12-29 2015-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31966A KR102256702B1 (ko) 2014-12-29 2015-03-06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0050718A KR102157267B1 (ko) 2014-12-29 2015-04-1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50731A KR20160080049A (ko) 2014-12-29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69A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4701A KR101515630B1 (ko) 2014-12-29 2015-01-3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14774A KR101518280B1 (ko) 2014-12-29 2015-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31966A KR102256702B1 (ko) 2014-12-29 2015-03-06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0050718A KR102157267B1 (ko) 2014-12-29 2015-04-1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50731A KR20160080049A (ko) 2014-12-29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890285A1 (ko)
KR (7) KR101515620B1 (ko)
CN (2) CN107113389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475A1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069562A1 (en) * 2015-10-22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bend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72526A1 (ko) * 2018-03-06 2019-09-12 (주)코텍 엣지형 액정패널 및 그 제어 장치와 방법
WO2020013647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WO2022080883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4030272A1 (en) * 2016-01-12 2022-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9251B2 (en) 2012-02-29 2016-06-07 Corning Incorporated Ion exchanged glasses via non-error function compressive stress profiles
US11079309B2 (en) 2013-07-26 2021-08-03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articles having improved survivability
US9517968B2 (en) 2014-02-24 2016-12-13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deep depth of compression
TW202311197A (zh) 2014-06-19 2023-03-16 美商康寧公司 無易碎應力分布曲線的玻璃
CN105753314B (zh) 2014-10-08 2020-11-27 康宁股份有限公司 包含金属氧化物浓度梯度的玻璃和玻璃陶瓷
US10150698B2 (en) 2014-10-31 2018-12-11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ultra deep depth of compression
DK3215471T3 (da) 2014-11-04 2022-01-17 Corning Inc Dybe, ubrydelige belastningsprofiler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US9701569B2 (en) 2015-07-21 2017-07-11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US11613103B2 (en) 2015-07-21 2023-03-28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DE202016008995U1 (de) * 2015-12-11 2021-04-20 Corning Incorporated Durch Fusion bildbare glasbasierte Artikel mit einem Metalloxidkonzentrationsgradienten
CN106249809B (zh) * 2015-12-31 2020-10-09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显示区域划分方法和设备
DE202017007024U1 (de) 2016-04-08 2019-03-25 Corning Incorporated Glasbasierte Artikel einschließlich eines Spannungsprofils, das zwei Gebiete umfasst
CN111423110A (zh) 2016-04-08 2020-07-17 康宁股份有限公司 包含金属氧化物浓度梯度的玻璃基制品
KR102317619B1 (ko) 2016-09-23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6803856A (zh) * 2016-12-09 2017-06-06 重庆零度智控智能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控制方法和装置
KR20180079904A (ko)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CN107040719A (zh) * 2017-03-21 2017-08-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屏终端的拍摄控制方法及拍摄控制装置
USD847814S1 (en) 2017-03-31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73308B1 (ko) 2017-04-06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839267S1 (en) 2017-04-25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64953S1 (en) 2017-07-04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5381S1 (en)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7765773B (zh) * 2017-10-19 2020-06-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728810B (zh) * 2017-10-19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D913282S1 (en) 2017-11-13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010441A (zh) * 2017-12-06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010442A (zh) * 2017-12-06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259659A (zh) * 2017-12-21 2018-07-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拾音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883943S1 (en) 2018-01-31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01564B1 (ko) 2018-09-05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061783A1 (zh) * 2018-09-25 2020-04-02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弯折电子设备及其界面适配方法
CN109600659B (zh) * 2018-12-17 2021-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播放视频时的操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66143B1 (ko) * 2018-12-21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616020B (zh) * 2019-01-30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101192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54804B1 (ko) * 2019-02-20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610818B (zh) * 2019-02-2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终端和可折叠终端的亮屏控制方法
CN111752464A (zh) * 2019-03-29 2020-10-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手势操作的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22076A (ko) * 2019-04-17 2020-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200132008A (ko)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제공 방법
KR20200142394A (ko) * 2019-06-12 2020-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CN110837318B (zh) * 2019-10-29 2023-09-1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折叠屏的防误触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17584B1 (ko) 2020-07-17 2021-02-18 김석산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KR20220010995A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9274B1 (ko) 2020-07-31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열화 보상 방법
KR2022001724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35754A (ko) * 2020-09-14 202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CN112328008B (zh) * 2020-11-12 2023-08-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83093A (ko) * 2020-12-11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상태 변경에 따른 표시 방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099784A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3025B1 (ko) 2021-02-02 2021-04-21 ㈜ 엘에이티 노광 및 전주도금을 이용한 폴더블폰용 메탈 힌지 및 그 제조방법
EP4322541A1 (en) * 2021-06-08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US11693558B2 (en)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KR20230012850A (ko) * 2021-07-16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4578972B (zh) * 2022-05-05 2022-07-26 江西科骏实业有限公司 Vr场景中兼容平面与曲面ui事件的触发方法及系统
WO2024005349A1 (ko) * 2022-07-01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에 기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183A (ko) * 2012-11-02 2014-05-12 크루셜텍 (주) 다면 표시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20140066253A (ko) * 2011-09-27 2014-05-30 애플 인크. 측벽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554A (en) * 1989-03-27 1990-12-25 Media/Graphics, Inc. Flexible display panel
JP2008072239A (ja) * 2006-09-12 2008-03-27 Sony Corp 携帯電子機器
KR100849310B1 (ko) * 2006-09-18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US8493535B2 (en) * 2008-07-14 2013-07-2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00328223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04869185B (zh) * 2010-12-27 2018-07-24 罗姆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以及用于移动电话的振动传导结构
WO2012129247A2 (en) * 2011-03-21 2012-09-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8988349B2 (en) * 2012-02-28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JP3175661U (ja) * 2012-03-02 2012-05-24 トリニティ株式会社 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音声誘導装置及び音声誘導部材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04409B1 (ko) *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0975A (ko) * 2012-09-27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086715B1 (ko) *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40132481A1 (en) * 2012-11-09 2014-05-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JP6278593B2 (ja) 2012-11-14 2018-02-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2141044B1 (ko) * 2012-12-03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KR102027555B1 (ko) * 2012-12-0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4009571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20140101274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KR20140108971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91662B2 (en) * 2013-03-04 2018-02-13 Lg Electronics Inc. Double unlocking apparatus of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88910B1 (ko) * 2013-03-15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54742B2 (en) * 2013-04-10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visible regions thereof
KR102113674B1 (ko) * 2013-06-10 2020-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터치를 이용한 객체 선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203691467U (zh) * 2014-02-11 2014-07-02 马涛 一种无边框手机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6253A (ko) * 2011-09-27 2014-05-30 애플 인크. 측벽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KR20140057183A (ko) * 2012-11-02 2014-05-12 크루셜텍 (주) 다면 표시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475A1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069562A1 (en) * 2015-10-22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bend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46977A (ko) * 2015-10-22 201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60271B2 (en) 2015-10-22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bend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23447B1 (ko) * 2015-10-2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030272A1 (en) * 2016-01-12 2022-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9172526A1 (ko) * 2018-03-06 2019-09-12 (주)코텍 엣지형 액정패널 및 그 제어 장치와 방법
WO2020013647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US11169769B2 (en) 2018-07-13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adjust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22080883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280B1 (ko) 2015-05-08
EP3890285A1 (en) 2021-10-06
KR101515630B1 (ko) 2015-04-28
CN107113389A (zh) 2017-08-29
CN107111431B (zh) 2020-12-11
EP3241346A4 (en) 2017-11-08
KR101580300B1 (ko) 2015-12-24
KR102256702B1 (ko) 2021-05-26
KR102157267B1 (ko) 2020-09-17
EP3241346B1 (en) 2021-06-30
EP3241346A1 (en) 2017-11-08
CN107113389B (zh) 2020-11-20
KR20160080049A (ko) 2016-07-07
CN107111431A (zh) 2017-08-29
KR20160080048A (ko) 2016-07-07
KR20160080034A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62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2382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US108910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41688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201617822A (zh) 連續性
KR2016012362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59091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8567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