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274A -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274A
KR20140101274A KR1020130142618A KR20130142618A KR20140101274A KR 20140101274 A KR20140101274 A KR 20140101274A KR 1020130142618 A KR1020130142618 A KR 1020130142618A KR 20130142618 A KR20130142618 A KR 20130142618A KR 20140101274 A KR20140101274 A KR 2014010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flexible display
folding
portable terminal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훈
김선영
김정현
이나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0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는, 단말장치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단말장치를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하는 폴딩부와, 상기 단말장치 바디의 상위에 실장되어, 상기 폴딩부의 벤딩 방향에 따라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폴딩부 벤딩 시, 상기 폴딩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신률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인장 정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FLEXI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이탈이나 파손 없이,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vending)하거나 폴딩(folding)할 수 있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devivce), 전기발광 표시장치(ELD: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들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유리와 같은 단단한 기판을 사용하여 평판 형태로 구현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에서 몇몇 핵심 기술들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맞게 개발하면(예를 들어, 유연하고 투명한 기판으로 유리기판을 대체하는 등의) 바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도록 전자제품들을 개발하면 바로 플렉서블 전자장치가 개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발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휴대단말장치, 모니터, TV 등과 장치의 구조에 관한 개발도 시급해졌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전자 장치의 구조가 벤딩이나 폴딩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의 연신율 차이로 인해 파손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간의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용도와 기호에 따라 휴대단말장치를 다양한 각도로 벤딩(vending)할 수 있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장치에 직접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폴딩(folding)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의 벤딩을 위한 부품을 따로 추가하지 않고, 전체적인 두께를 늘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작자의 입장에서 제조하기 용이하고,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와 이용 간편성을 추구할 수 있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는, 단말장치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단말장치를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vending)하는 폴딩부와, 상기 단말장치 바디의 상위에 실장되어, 상기 폴딩부의 벤딩 방향에 따라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폴딩부 벤딩 시, 상기 폴딩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신률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인장 정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에 의한 표시화면을 출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상단과 하단을 전면 또는 배면으로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는 폴딩 구조를 일면에 포함하고, 상기 벤딩 구동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구조를 타면에 포함하는 단말장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는, 휴대단말장치의 이용용도에 따라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전면 또는 배면의 다양한 각도로 벤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벤딩 시, 단말장치 바디의 벤딩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신율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인장 정도의 차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단말장치 바디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상단과 하단의 비율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벤딩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다양한 비율로 거치할 수 있고, 조작에 용이하며,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폴딩 상태 유지 구조에 있어서 자성을 생략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의 운용 및 작동에 전기적, 물리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아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전면과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폴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전면으로 벤딩하여 세워둔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배면으로 벤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전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반적인 휴대단말장치 상에 실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폴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딩부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벤딩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가 펼쳐진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가 전면으로 폴딩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가 배면으로 폴딩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일반적인 단말장치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커버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제조를 위한 일부 공정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장치는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GSM Envisonment)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및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전면과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폴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전면으로 벤딩하여 세워둔 모습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배면으로 벤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의 바디(110)를 구비하고, 단말장치의 바디(110)의 전면 상에 실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 바디(110)는 내외부에 휴대단말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카메라, SD 메모리, SIM 카드, 안테나 등의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얇은 판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또는 플렉서블 기판을 내외부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장치 바디(110)는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렌드(ABS), 폴리카보네이트(PC), POM(Acetal Resin)와 같은 비금속성의 경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단말장치 바디(110)는 상기 소재에 대하여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단말장치 바디(110)의 전면 상에 일부면이 부착되어 실장, 장착, 접합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부면이 단말장치 바디(110)의 전면의 일부에 접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가장자리 부위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이탈이나 변형, 손상 방지를 위해 단말장치 바디(110)에 형성된 노치(222, 도 6b 참조)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기존의 유리 기판 대신 얇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OLDE(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PD: Electrophoretic Display)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단말장치 바디(110)의 배면에 단말장치 커버(200)가 접착될 수 있고, 단말장치 커버(200)는 러버(rubber), 우레탄(urethane), 실리콘(silicon), 가죽, TPE, TPU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소재로서의 연질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폴딩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노트북 같은 형태로 세워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상태로 북(BOOK) 형태로 세워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으로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구조에 관하여 이하 도 6a, 도 6b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전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가장자리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 바디(110)와 단말장치 바디(110)의 전면에 실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장치 바디(110)는 일단에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를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시키거나 접을 수 있는 폴딩부(150, 160)를 포함한다. 폴딩부(150, 160)는 단말장치 바디(110) 자체의 일단에 형성된 유연성을 가진 부분으로서, 360도 이내의 각도로 벤딩하며 접힘과 펼침 동작하는 힌지 역할을 할 수 있다.
폴딩부(150, 1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 바디(110)의 정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단말장치 바디(110)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뻗친 비율이 서로 다르거나 또는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폴딩부(150, 160)의 배치 영역에 대해서 이와 같이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폴딩부(150, 160)는 단말장치 바디(110)의 내측에 구성되는 폴딩부(150)와 단말장치 바디(110)의 외측에 구성되는 폴딩부(160)를 분리하여 따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체형의 폴딩부인 가정 하에 설명하기로 하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의 폴딩부(150, 160)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단말장치 바디(110)의 가장자리의 일단에 후크(112)와,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폴딩 시 상기 일단에 대면하는 타단에 구비되어 후크(112)와 체결되는 후크 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크(112)와 후크 홈(114)의 결합에 의해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가 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폴딩부(16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폴딩부(160)는 단말장치 바디(110) 일부 자체에 형성된 구조이거나, 단말장치 바디(110)와 분리적으로 형성되어 단말장치 바디(110)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폴딩부(160)는 전면과 배면의 단면이 톱니 모양의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딩부(160)는 벤딩되는 부분을 톱니 모양의 요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벤딩 시 재료가 늘어나는 비율인 연신율(elongation)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딩부(160)는 전면과 배면, 즉 양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에 의해 휴대단말장치(100)가 전면과 배면으로 폴딩되거나 벤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굴곡이 없는 단면으로 구성된 경질의 재료(20)와 비교하면, 벤딩 시 톱니 모양의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폴딩부(160)가 벤딩 부분이 훨씬 수월하게 연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폴딩부(160)는 단말장치 바디(110) 자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에 힌지와 같은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의해 휴대단말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전자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단말장치 바디의 전면과 배면에 폴딩부(160)로서 형성된 요철 구조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1)는 휴대단말장치(100)의 벤딩이나 폴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들 간에 성립해야 하는 최소한의 수학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장치의 벤딩 또는 폴딩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유지해야 하는 최소의 임계값은, 폴딩부(160)의 윗변 길이, 폴딩부(160)의 두께, 폴딩부(160)의 개수 및 서로 인접한 요철 사이의 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0-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장치(100)의 벤딩이나 폴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벤딩 부분이 파손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의 지름값(x)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설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한계 굽힘을 유지하기 위한 식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폴딩부(160)는 상대적으로 경질 재료로 형성되고, 단말장치 커버(200)는 연질 재료로 형성된 예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한계 굽힘 값을 유지하는 지름을 x라 할 경우, 톱니구조의 윗변 길이를 y라 하고, 경질 재료의 두께를 t라 하고, 톱니구조의 개수를 n이라 할 수 있다. 각 톱니(아크)사이의 각이 2θ하면, x의 값은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하여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1 에 의해 설계자는 폴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파손 방지를 위해 폴딩부(160)의 톱니구조의 개수 또는 경질 재료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폴딩부(160)의 요철구조는 도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배면에 식각된 부분이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되거나, 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배면 각각에 식각된 부분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구조는 단말장치 바디(11O)의 일부가 전면과 배면으로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 이후, 상기 분리되어 형성된 전면과 배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추후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구조는 일체형의 단말장치 바디(110) 일부의 전면과 배면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폴딩부(160)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벤딩 또는 폴딩 상태를 유지시키는 프리스탑(free stop) 힌지장치(164)를 적어도 하나 더 구비할 수 있다.
프리스탑 힌지장치(164)는 폴딩부(160) 전면의 요철구조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그 두께가 상기 요철구조의 최상 높이와 동일하도록 성형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늘리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프리스탑 힌지장치(164)를 전면의 요철구조를 가로지르는 배치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배면의 요철구조를 가로지르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가 벤딩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 실장할 수도 있다.
프리스탑 힌지장치(164)는 예컨대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용수철이나 힌지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폴딩부(160)의 벤딩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어떠한 소재와 형태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딩부(160)가 단말장치 바디(110)의 정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전면과 배면에 복수의 요철 구조를 포함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폴딩부(160)의 상부와 하부를 5:5 비율로 나누는 A-A'선을 따라 휴대단말장치(100)를 벤딩하면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00)의 상단과 하단을 5:5 비율로 벤딩하여 세울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폴딩부(160)의 하부와 상부를 3:7 비율로 나누는 B-B'선을 따라 휴대단말장치(100)를 벤딩하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00)의 상단과 하단을 3:7 비율로 벤딩하여 세울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단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소프트 키로 표시된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고, 상단 부분은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의한 출력으로서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1d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전면으로 접히게 반으로 폴딩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상단을 사용자가 손가락의 힘을 이용하여 끌어내리면, 상기 상단과 대면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하단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단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 일단에 표시된 인포메이션 창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인포메이션 창은 휴대단말장치의 배터리 상태, 통신 상태, 메시지 수신 상태 및 실행중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가 폴딩된 상태에서 이의 상단이나 하단을 소정의 힘으로 밀거나 끌어내리면, 폴딩부(160)의 벤딩에 의해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일부가 슬라이딩 될 수 있다.또한, 슬라이딩에 의해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를 완전히 열지 않아도 간단한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최소한의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인포메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과 배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단말장치 바디(110)의 두께가 두껍더라도 연신율을 높인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연신율이 거의 없더라도 상대적으로 두께가 굉장히 얇기 때문에 벤딩 또는 폴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신율 차이로 인해,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벤딩이나 폴딩 시 폴딩부(160)가 벤딩되는 방향과 반대인 외부는 인장되고, 벤딩되는 내부는 압축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휴대단말장치(100)의 외곽 방향으로 밀려나거나, 내곽 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를 전면으로 폴딩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폴딩부(160)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압축되지 못하고, 폴딩부(160)의 압축 정도에 비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가장자리가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올 수 있다.
반대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를 배면으로 폴딩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폴딩부(160)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지 못하고, 폴딩부(160)의 연장 정도에 비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가장자리가 내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벤딩이나 폴딩 시, 폴딩부(16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연신율 차이로 인하여, 단말장치 바디(110)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단말장치 바디(110)로부터 이탈되거나, 표면이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벤딩이나 폴딩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부를 개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는 폴딩부(160)를 기준으로 단말장치 바디(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단의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드(130), 슬라이드(130)의 슬라이딩 범위 한정을 위한 슬롯(120), 슬라이드(170)를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 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단의 슬라이딩부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드(172), 슬롯(122), 가이드부(140, 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폴딩부(160)의 복수의 요철구조 중 중심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한 면(180)에 접착되고, 상단과 하단의 슬라이드(170, 172)의 표면에 각각 접착될 수 있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단말장치 바디(110)와 접착되는 부분을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폴딩부(160)와 서로 다른 연신율에 의해 벤딩이나 폴딩 시 발생하는 밀림이나 끌어당겨짐에 의한 파손, 이탈에 대처하도록 단말장치 바디(110)에 대면하는 면 전체에 접착되지 않고, 단말장치 바디(110)의 일부에 접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와 더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와 단말장치 바디(110) 간의 갭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커버할 수 있는 노치(222)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단말장치 바디(110)의 가장자리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가 펼쳐진 경우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가 전면으로 폴딩된 경우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가 배면으로 폴딩된 경우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먼저 설계자에 의해 폴딩부(160)가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드(130, 140)가 슬롯(120, 122)의 중단 부위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전면이 (b)와 같이 노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노출되도록 폴딩부(160)가 180도 정도로 펼쳐진 경우, 폴딩부(160)의 측면은 (a)과 같이 펼쳐진 상태가 된다.
상단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드(130)는 슬롯(120)의 중단 부위로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드(130)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130) 면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상단도 슬라이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상단이 단말장치 바디(110)로부터의 이탈이나 파손 없이 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드(140)는 슬롯(122)의 중단 부위로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드(140)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140) 면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하단도 슬라이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하단이 단말장치 바디(110)로부터의 이탈이나 파손 없이 펴질 수 있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먼저, 설계자에 의해 폴딩부(160)가 전면으로 최대한 폴딩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드(130, 140)가 슬롯(120, 122)의 최외곽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전면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폴딩된 경우, 폴딩부(160)의 측면은 (a)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폴딩부(160)는 전면과 배면의 요철 구조에 의한 높은 연신율에 의해 폴딩된 안쪽은 압축되고, 폴딩된 바깥쪽은 인장되는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연신율이 낮아 폴딩된 안쪽과 바깥쪽이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고, 폴딩부(160)의 폴딩에 의해 상단의 가장자리와 하단의 가장자리가 각각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상단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드(130)는 슬롯(120)의 최외곽까지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드(130)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130) 면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상단도 외곽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상단이 단말장치 바디(110)로부터의 이탈이나 파손 없이 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단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드(140)는 슬롯(122)의 최외곽까지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드(140)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140) 면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하단의 외곽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하단이 단말장치 바디(110)로부터의 이탈이나 파손없이 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가장자리에 대면하여 단말장치 바디(110)에 형성된 노치(222, 도 6b 참조)에 의해 가장자리 부위가 커버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벤딩이나 폴딩에 따라 슬라이딩되어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단말장치 바디(110)의 내부 부품이 노출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가장자리에서 들뜨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노치(222)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 대면하는 면은 샤무드, 스웨이드, 초극세사 면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표면을 보호하는 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설계자에 의해 폴딩부(160)가 배면으로 최대한 폴딩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드(130, 140)가 슬롯(120, 122)의 최내곽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100)의 배면이 안쪽으로 향하고, 전면이 바깥쪽으로 폴딩된 경우, 폴딩부(160)의 측면은 (a)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폴딩부(160)는 전면과 배면의 요철 구조에 의한 높은 연신율에 의해 폴딩된 안쪽은 압축되고, 폴딩된 바깥쪽은 인장된다.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연신율이 낮아 폴딩된 안쪽과 바깥쪽이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고, 단말장치 바디(110)의 두께로 인해 폴딩시 상단과 하단의 가장자리가 안쪽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단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드(130)는 슬롯(120)의 최내곽까지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드(130)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130) 면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상단도 내곽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상단이 단말장치 바디(110)로부터의 이탈이나 파손없이 내곽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단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드(140)는 슬롯(122)의 최내곽까지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드(140)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140) 면에 접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하단의 내곽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하단이 단말장치 바디(110)로부터의 이탈이나 파손없이 내곽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커버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바디(one body) 휴대단말장치(100)의 형상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제외한 휴대단말장치(100)의 3면을 감싸는 단말장치 커버(200)를 제작할 시, 단말장치 커버(200)가 전면이나 배면으로 접히는 부분의 구겨짐 또는 벌어짐의 문제 해결을 위한 형상을 제안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휴대단말장치(100)의 단면과 같이 제조되는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와 접하는 끝단으로부터 절곡(C.cut)된다. 이때, 단말장치 커버(200)의 상기 끝단으로부터 절곡된 사선은 폴딩부(160)의 수직선상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선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이 끝나는 부분(상기 사선의 끝)은 폴딩부(160)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 커버(200)의 전면방향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1 절곡부로 명명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절곡부가 형성된 단말장치 커버(200)의 반대편의 단말장치 커버(200) 표면으로부터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도 절곡(C.cut)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 커버(200)의 표면으로부터 절곡된 사선은 폴딩부(160)가 시작되는 수직선상의 높이와 동일해지는 선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 커버(200) 배면방향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2 절곡부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는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면하며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의 기울기 각도는 폴딩부(160)와 단말장치 커버(200)의 두께 차이로 인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질의 재료로 형성된 폴딩부(160)에 인접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곡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제1 절곡부에 의해 휴대단말장치(100)를 전면이나 배면으로 폴딩 시 단말장치 커버(200)가 접히는 부분에서 경질의 재료와 연질의 재료 간의 연신율 차이에 의한 구겨짐, 변형, 벌어짐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제조를 위한 일부 공정 단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폴딩부(16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바디(110)와 단말장치 커버(200)는 이중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1차적으로 단말장치 바디(110)를 내부 구조물로서 성형한 뒤, 단말장치 바디(110)의 일면을 노출시킨다.
여기서 단말장치 바디(110)는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렌드(ABS), 폴리카보네이트(PC), POM(Acetal Resin)와 같은 비금속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2차적으로 단말장치 바디(110)의 주위를 오버 몰딩(over molding)을 하고, 노출된 단말장치 바디(110)의 상위와 오버 몰딩된 부분 상위에 단말장치 커버(200)를 성형한다. 상기 오버 몰딩 시,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단말장치 바디(110) 주위를 경사지게 몰딩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 커버(200)는 러버(rubber), 우레탄(urethane), 실리콘(silicon), 가죽, TPE, TPU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소재로서의 연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종 소재의 이중 사출을 완성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에 제1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말장치 커버(200)의 가장자리를 부분 식각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는, 휴대단말장치의 이용용도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다양한 각도로 벤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벤딩 시, 단말장치 바디의 벤딩 부분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신율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인장 정도의 차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단말장치 바디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 시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상단과 하단의 비율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벤딩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를 다중 각도로 거치할 수 있고, 조작에 용이하며,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폴딩 상태 유지 구조에 있어서 자성을 생략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의 운용 및 작동에 전기적, 물리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아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10: 단말장치 바디
200: 단말장치 커버 120, 122: 슬롯
130, 140: 슬라이드 132, 142, 131, 141: 가이드부
112: 후크 114: 후크 홈
160: 폴딩부 164: 프리스탑 힌지장치
222: 노치 3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laims (18)

  1. 단말장치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단말장치를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하는 폴딩부;
    상기 단말장치 바디의 상위에 실장되어, 상기 폴딩부의 벤딩 방향에 따라 전면 또는 배면으로 벤딩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폴딩부 벤딩 시, 상기 폴딩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신률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인장 정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폴딩부의 벤딩 상태를 유지시키는 프리스탑(free stop) 힌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단말장치 바디의 전면과 배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탑 힌지장치는,
    상기 단말장치 바디에 형성된 요철구조를 적어도 한 군데 이상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폴딩부가 전면으로 벤딩 시, 상기 폴딩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신율 차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상기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외곽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폴딩부가 배면으로 벤딩 시, 상기 폴딩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신율 차이와 상기 단말장치 바디의 두께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상기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내곽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말장치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단말장치 바디 표면의 일부가 식각되어 형성된 슬롯; 및
    상기 슬롯의 양 끝에 상기 슬라이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폴딩부의 복수의 요철구조 중 중심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한 면에 접착되고, 상기 상단과 하단의 슬라이드 면에 접착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대면하여 상기 단말장치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 구동 시에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일부를 커버하는 노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단말장치 바디 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가장자리 일단에 구비되는 후크와, 상기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폴딩 시 상기 일단에 대면하는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는 단말장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벤딩 또는 폴딩 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유지해야 하는 최소의 임계값은, 상기 폴딩부의 윗변 길이, 상기 폴딩부의 두께, 상기 폴딩부의 개수 및 서로 인접한 요철 사이의 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가장자리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접하는 끝단으로부터 사선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단말장치 커버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접하는 끝단으로부터 절곡된 사선이 상기 폴딩부의 수직선상의 높이와 동일한 수평선상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7.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에 의한 표시화면을 출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의 상단과 하단을 전면 또는 배면으로 소정의 각도로 벤딩시키는 폴딩 구조를 일면에 포함하고, 상기 벤딩 구동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구조를 타면에 포함하는 단말장치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벤딩 또는 폴딩 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유지해야 하는 최소의 임계값은,
    상기 최소의 임계값을 x로, 상기 폴딩부의 윗변 길이를 y로, 상기 폴딩부의 두께를 t로, 상기 폴딩부의 개수를 n으로, 상기 서로 인접한 요철 사이의 각을 2θ로 결정하여, 수학식
    Figure pat00002
    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휴대 단말장치.
KR1020130142618A 2013-02-08 2013-11-22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KR20140101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4314 2013-02-08
KR1020130014314 2013-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74A true KR20140101274A (ko) 2014-08-19

Family

ID=517467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18A KR20140101274A (ko) 2013-02-08 2013-11-22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KR1020140012112A KR20140101295A (ko) 2013-02-08 2014-02-03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12A KR20140101295A (ko) 2013-02-08 2014-02-03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101274A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519A1 (ko) * 2014-10-17 2016-04-21 (주)세네카 힌지 장치
KR20160078022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WO2016108546A1 (en) * 2014-12-29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KR20160080048A (ko) * 2014-12-29 201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KR20160087435A (ko) * 2015-01-13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WO2017007060A1 (ko) * 2015-07-07 201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56771A (ko) * 2015-11-13 2017-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20170070917A (ko) * 2015-12-14 2017-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US9710161B2 (en) 2014-12-29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57832B2 (en)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70778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US9983629B2 (en) 2014-08-28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US10013028B2 (en) 2016-06-09 2018-07-03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231347B2 (en) 2016-08-12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190070381A (ko) * 2017-12-12 2019-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82339A (ko) * 2017-12-29 2019-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491987B2 (en) 2016-10-13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housing
US10948947B2 (en) 2018-11-02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1085985A1 (ko) * 2019-10-28 2021-05-06 (주)에이유플렉스 디스플레이장치용 접히는 힌지
US11132027B2 (en) 2018-04-03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570914B2 (en) 2018-04-27 2023-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792947B2 (en) 2020-09-03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36A (ko) 2014-10-28 2021-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KR20160080471A (ko) * 2014-12-29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58750B1 (ko) * 2014-12-29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6091B1 (ko) * 2015-04-01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81657B1 (ko) 2015-05-27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힌지 모듈 장치
US10681194B2 (en) 2015-06-08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6204439A1 (ko) * 2015-06-18 2016-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404670B1 (ko) 2015-06-18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385232B1 (ko) 2015-06-30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1579B1 (ko)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17115B1 (ko) 2015-12-04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8061B1 (ko) 2016-01-11 2022-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878B1 (ko) 2016-01-29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9081B1 (ko) * 2016-07-28 202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시블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6648B1 (ko)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KR102595230B1 (ko) * 2016-10-13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085235B1 (ko) *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5234B1 (ko) *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5148A (ko) 2018-07-05 2020-01-15 (주)오라컴디스플레이 양방향으로 접히는 단말기용 힌지구조
KR20200065456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3178B1 (ko) * 2019-04-01 2019-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장치
CN110399921B (zh) * 2019-07-25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片处理方法及终端设备
KR102250196B1 (ko) * 2020-04-22 2021-05-10 주식회사 이음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435785B2 (en) 2020-04-22 2022-09-06 Eum, Inc. Foldable display device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3629B2 (en) 2014-08-28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WO2016060519A1 (ko) * 2014-10-17 2016-04-21 (주)세네카 힌지 장치
KR20160046079A (ko) * 2014-10-17 2016-04-28 주식회사 세네카 힌지 장치
US9898051B2 (en) 2014-10-17 2018-02-20 Seneka Co., Ltd. Hinge device
KR20160078022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US11019189B2 (en) 2014-12-29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KR20160080048A (ko) * 2014-12-29 201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US10635136B2 (en) 2014-12-29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47830B2 (en) 2014-12-29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US10747431B2 (en) 2014-12-29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10161B2 (en) 2014-12-29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43658B2 (en) 2014-12-29 2017-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US10331341B2 (en) 2014-12-29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37527B2 (en) 2014-12-29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US11782595B2 (en) 2014-12-29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08546A1 (en) * 2014-12-29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US11144095B2 (en) 2014-12-29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356265A1 (en) 2014-12-29 2020-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87435A (ko) * 2015-01-13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US9857832B2 (en)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US10542128B2 (en) 2015-07-07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7007060A1 (ko) * 2015-07-07 201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56771A (ko) * 2015-11-13 2017-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20170070917A (ko) * 2015-12-14 2017-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US10013028B2 (en) 2016-06-09 2018-07-03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231347B2 (en) 2016-08-12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18070778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US10491987B2 (en) 2016-10-13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housing
KR20190070381A (ko) * 2017-12-12 2019-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82339A (ko) * 2017-12-29 2019-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1703913B2 (en) 2018-04-03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32027B2 (en) 2018-04-03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03912B2 (en) 2018-04-03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570914B2 (en) 2018-04-27 2023-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948947B2 (en) 2018-11-02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1085985A1 (ko) * 2019-10-28 2021-05-06 (주)에이유플렉스 디스플레이장치용 접히는 힌지
US11792947B2 (en) 2020-09-03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95A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1274A (ko)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EP2765479B1 (en) Flexible portable terminal
US1017189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ide speaker hole
US9794382B2 (en) Mobile terminal
EP3346358A1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do for assembling the same
CN210091604U (zh) 柔性设备
KR20170076755A (ko) 가요성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EP2723097A2 (en) Microphone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6843388B (zh) 显示屏组件及其组装方法与电子装置
US10728371B2 (en) Mobile terminal
US98540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61384B2 (en) Connec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210037666A1 (en)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08218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US20180199447A1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094498B2 (en) Water resistant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243096A1 (en) Adhesive tape and mobile terminal
US1058210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mera device
KR20150129089A (ko)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슬롯 및 윈도우 보호 커버
KR2014006084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258379B (zh) 电子组件及保护壳
CN108646464A (zh) 背光源、显示屏模组及显示装置
JP2012175056A (ja) 携帯電子機器
CN107250926B (zh) 电子设备
KR20160115306A (ko) 전자장치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