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750B1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750B1
KR102358750B1 KR1020140192498A KR20140192498A KR102358750B1 KR 102358750 B1 KR102358750 B1 KR 102358750B1 KR 1020140192498 A KR1020140192498 A KR 1020140192498A KR 20140192498 A KR20140192498 A KR 20140192498A KR 102358750 B1 KR102358750 B1 KR 10235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display area
application
control inpu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841A (ko
Inventor
이도영
천시내
이주환
박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50B1/ko
Priority to PCT/KR2015/000371 priority patent/WO2016108321A1/en
Priority to US14/606,772 priority patent/US9857957B2/en
Publication of KR2016008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로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가 제 1 파트에 위치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오브젝트가 제 2 파트에 위치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넓은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폴더블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의 휴대성이 높아질 수 있다. 최근에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엣지 영역(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는 엣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복수의 바디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바디가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측면 영역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측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측면 영역에 복수의 바디 각각에 대응하는 파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폴딩되는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폴딩 센서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및 폴딩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제 1 바디가 제 2 바디로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하고,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가 제 1 파트에 위치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오브젝트가 제 2 파트에 위치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로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가 제 1 파트에 위치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오브젝트가 제 2 파트에 위치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바디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바디가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측면 영역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측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측면 영역에 복수의 바디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레스홀드 시간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바디가 나누어진 구조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할 실시예들은 복수의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바디 또는 세 개의 바디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복수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2a 내지 도 2d에서 후술한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의 각각의 바디는 하나의 통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벤딩되는 벤딩축에 기초하여 각각의 바디를 구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유저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벤딩되는 축을 기준으로 각각의 바디 또는 영역을 구별하여 비주얼 정보를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a 내지 도 3d에서 후술한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 및 폴딩 센서 유닛(13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회전 센서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유닛들은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이루는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닛들은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우징된 하나의 독립한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로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로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3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각각의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의해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전면 방향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정면 방향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설정되고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측면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엣지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전면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측면에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 내부에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은 포터블 디바이스(100) 내에서 벤딩된 형태로 하우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은 곡률이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중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은 곡률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는 하나의 엣지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서로 구별될 수 있는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하나의 통합된 유닛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폴딩되는 폴딩축에 기초하여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a 내지 도 3d에서 후술한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은 제스처 인풋으로서,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풋은 인풋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인풋 또는 음성이나 오디오를 통해 입력되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통합된 엘레멘트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딩 센서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폴딩 센서 유닛(130)은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폴딩 센서 유닛(130)은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바디는 제 2 바디에 인접한 바디일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는 제 3 바디에 인접한 바디일 수 있다. 이때,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는 제 1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와 제 3 바디는 제 2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인접한 바디가 폴딩되는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복수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폴딩 센서 유닛(130)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바디의 폴딩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폴딩 센서 유닛(130)은 폴딩되는 바디 간의 거리 또는 바디 간의 각도를 이용하여 폴딩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 센서 유닛(130)은 폴딩되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거리가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내이면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폴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거리는 폴딩 여부를 디텍트하는 임계 거리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폴딩 센서 유닛(130)은 폴딩되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내이면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폴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임계 각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즉, 폴딩 센서 유닛(130)은 바디 간의 거리 또는 각도를 이용하여 폴딩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폴딩 센서 유닛(130)은 폴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5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폴딩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폴딩 센서 유닛(130)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폴딩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회전 센서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센서 유닛(140)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회전 축을 따라 회전하는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회전축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 방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회전축일 수 있다. 이때, 폴딩 센서 유닛(13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에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회전하는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임계 각도이고,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전면 방향이 지상과 반대 방향인 경우, 회전 각도는 0도일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90도 또는 90도로부터 일정한 오차 범위 내의 각도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전면 방향이 지상과 90도인 경우, 회전 센서 유닛(14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회전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회전하여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볼때만 제 1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 및 폴딩 센서 유닛(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회전 센서 유닛(140)을 더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50)는 폴딩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폴디드 스테이트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가 오버랩되어 폴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폴디드 스테이트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가 오버랩되고, 제 2 바디와 제 3 바디가 오버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폴디드 스테이트는 복수의 모든 바디가 오버랩되어 폴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측면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인 경우, 각각의 바디의 측면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이때,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바디의 측면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1 바디와 인접한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결합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 3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로 변경된 경우,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인접한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결합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파트는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파트는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를 측면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영역에 임의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파트는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파트는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3 파트는 제 3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제 3 파트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임의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일 예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은 메시지를 교환하는 각각의 대화창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오브젝트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와 관련된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일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50)는 폴딩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언폴디드 스테이트는 각각의 바디가 언폴딩되어 플랫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 트리거링 신호는 폴딩 센서 유닛(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가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가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에 위치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가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파트에 위치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1 파트는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파트일 수 있다. 또한, 제 2 파트는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파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제 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가 제 3 파트에 위치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3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바디에 대응하는 파트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지 여부에 따라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바디의 종류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면 두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면 세 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는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엘레먼트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2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바디는 고정된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 및 제 2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와 제 2 바디(220) 사이에 위치한 고정된 제 1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딩되는 경우, 제 1 바디(210)의 후면은 제 2 바디(220)의 후면과 오버랩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후면이 오버랩되도록 바디를 폴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고정된 제 1 폴딩축 및 제 2 폴딩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폴딩축은 제 1 바디(210)와 제 2 바디(220)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축일 수 있다. 또한, 제 2 폴딩축은 제 2 바디(220)와 제 3 바디(230)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축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딩되는 경우, 제 1 바디(210)의 후면은 제 2 바디(220)의 후면과 오버랩될 수 있다. 동시에 제 2 바디(220)의 전면과 제 3 바디(230)의 전면이 오버랩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세 개의 바디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폴딩할 수 있다.
또한,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고정되지 않은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축은 유저에 의해 포터블 디바이스(100)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딩축을 디텍트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한쪽 영역을 제 1 바디로, 다른 영역을 제 2 바디로 하여 폴딩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임의로 설정된 두 개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두 개의 폴딩축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폴딩축을 기준으로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나누어질 수 있다. 이때, 폴딩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바디가 두 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노출되는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딩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정면 영역은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50-1)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50-1)은 제 1 바디(310)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바디(320)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결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바디가 세 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노출되는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딩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정면 영역은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일 수 있다. 즉, 정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앞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50-2)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50-2)은 제 1 바디(310)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320)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바디(330)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딩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바디의 측면 전체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딩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내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 폴딩축을 기준으로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외의 영역을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에 위치하는 영역을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일정한 곡률을 이루면서 폴딩축과 인접한 영역을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두께에 기초한 측면을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딩된 상태에서 생성되는 측면을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40)에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 회전되면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유저가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세워서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40)을 바라보면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오브젝트(360-1, 360-2, 36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파트(350-1, 350-2, 35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파트(350-1)는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파트일 수 있다. 또한, 제 2 파트(350-2)는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파트일 수 있다. 또한, 제 3 파트(350-3)는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파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오브젝트가 제 1 파트(350-1)에 위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오브젝트가 제 2 파트(350-2)에 위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오브젝트가 제 3 파트(350-3)에 위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오브젝트(36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오브젝트(360-2)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3 오브젝트(360-3)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360-1)는 제 1 파트(350-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오브젝트(360-2)는 제 2 파트(350-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3 오브젝트(360-3)는 제 3 파트(350-3)에 위치할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360-1)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370-1)을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360-2)에 대응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370-2)을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오브젝트(360-3)에 대응하는 제 3 어플리케이션(370-3)을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각각의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두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50-1)에 위치하는 제 1 오브젝트(36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50-2)에 위치하는 제 2 오브젝트(360-2)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360-1)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370-1)을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360-2)에 대응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370-2)을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40)에 제 1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1 파트(350-1), 제 2 파트(350-2) 및 제 3 파트(35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50-1), 제 2 파트(350-2) 및 제 3 파트(350-3)에 독립적으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50-1)에서 제 1 오브젝트(36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50-2)에서 제 2 오브젝트(360-2)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파트(350-3)에서 제 3 오브젝트(360-3)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360-1) 및 제 2 오브젝트(360-2)는 동일한 제 1 어플리케이션(370-1)에 대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즉, 제 1 오브젝트(360-1)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370-1)과 제 2 오브젝트(360-2)에 대응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370-2)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50-1)에서 제 1 오브젝트(36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파트(350-3)에서 제 3 오브젝트(360-3)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제 1 파트(350-1) 및 제 3 파트(350-3)에서만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제 2 파트(350-2)에서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37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37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320)에 제 2 인터페이스(370-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2 파트(350-2)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지 못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제 2 인터페이스(370-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터페이스(370-4)는 홈화면 인터페이스, 메뉴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인터페이스(370-4)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기설정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유저는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바디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브젝트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7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50-1)에서 제 1 오브젝트(72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720-1)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제 1 컨텐츠(730-1)와 관련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제 1 컨텐츠(730-1)는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50-2)에서 제 2 오브젝트(720-2)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오브젝트(720-2)는 제 2 컨텐츠(730-2)와 관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파트(350-3)에서 제 3오브젝트(720-3)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오브젝트(720-3)는 제 3컨텐츠(730-3)와 관련된 컨텐츠일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츠(730-1)를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컨텐츠(730-2)를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컨텐츠(730-3)를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언폴디드 스테이트에서 폴디트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바디(310)의 후면은 제 2 바디(320)의 후면과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320)의 전면은 제 3 바디(330)의 전면과 오버랩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경우,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언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37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어플리케이션(370-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37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언폴디드 스테이트에서 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370-1)을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종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언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2 어플리케이션(370-2)을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어플리케이션(370-2)을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3 어플리케이션(370-3)을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370-3)을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될 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레스홀드 시간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도 4a 및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 1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스레스홀드 시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50-1)의 제 1 오브젝트(36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50-2)의 제 2 오브젝트(360-2)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파트(350-3)의 제 3 오브젝트(360-3)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마지막에 디텍트되는 컨트롤 인풋을 기준으로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시간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임계 시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37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어플리케이션(370-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37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31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제 2 바디(32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각각의 바디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c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오브젝트를 해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인디케이터(920-1, 920-2, 92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선택된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지 못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인디케이터(920-1, 920-2, 920-3)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기 전의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50-1)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유저(1040)가 제 1 오브젝트(102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1020)와 관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파트(35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1020)와 인접하여 제 1 인디케이터(106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디케이터(1060)는 제 1 오브젝트(1020)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50-2)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2 오브젝트(103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오브젝트(1030)는 제 1 오브젝트(1020)와 관련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1020)는 어플리케이션이고, 제 2 오브젝트(1030)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파트(350-3)에 제 2 오브젝트(1030)와 관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파트(350-3)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3 오브젝트(104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오브젝트(1040)는 제 2 오브젝트(1030)와 관련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3 오브젝트(1040)는 제 2 오브젝트(1030)의 하위 메뉴일 수 있다. 그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오브젝트(1040)와 관련된 비주얼 정보(10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102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제 2 오브젝트(102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각각의 대화창일 수 있다. 또한, 제 3 오브젝트(1030)는 대화창을 여는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뉴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3 오브젝트(103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후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비주얼 정보(1050)로서 채팅창(10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채팅창(1050)은 제 1 바디(310), 제 2 바디(320) 및 제 3 바디(330)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가 제 2 바디로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S111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가 오버랩되어 폴딩되면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폴딩되어 오버랩되면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바디가 모두 폴딩되면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2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각각의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폴디드 스테이트인 경우, 복수의 바디는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이때,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인접한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파트는 제 1 바디에 대응하고 제 2 파트는 제 2 바디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113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S114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바디가 언폴딩되어 플랫한 상태를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바디 간의 거리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폴딩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5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오브젝트가 제 1 파트에 위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오브젝트가 제 2 파트에 위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제 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가 제 3 파트에 위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의 각각의 파트는 복수의 바디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바디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포터블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130 : 폴딩 센서 유닛
140 : 회전 센서 유닛
150 : 프로세서

Claims (20)

  1.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가 폴딩되는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폴딩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및 상기 폴딩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가 상기 제 2 바디로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하고,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파트에 위치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파트에 위치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폴디드 스테이트는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되어 플랫한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상기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하는 상기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트는 상기 제 1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되고, 상기 제 2 파트는 상기 제 2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회전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브젝트는 상기 제 1 파트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이고, 제 2 오브젝트는 상기 제 2 파트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인,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더 디텍트하고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컨텐츠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컨텐츠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를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컨텐츠를 상기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언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언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는 상기 제 1 바디의 후면과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오버랩된 상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상기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홈화면 인터페이스, 메뉴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인,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1 인디케이터를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 1 파트에서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인,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브젝트는 상기 제 1 파트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2 파트에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3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3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바디의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폴딩 센서 유닛은 상기 제 3 바디가 상기 제 2 바디로 폴딩되는지 여부를 더 디텍트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 상기 제 2 바디 및 상기 제 3 바디가 모두 폴딩되면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3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3 파트에 위치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3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플렉서블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폴딩되는 폴딩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를 설정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0.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가 상기 제 2 바디로 폴딩된 폴디드 스테이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폴디드 스테이트에서 언폴디드 스테이트로 전환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파트에 위치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파트에 위치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바디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40192498A 2014-12-29 2014-12-29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98A KR102358750B1 (ko) 2014-12-29 2014-12-29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5/000371 WO2016108321A1 (en) 2014-12-29 2015-01-14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606,772 US9857957B2 (en) 2014-12-29 2015-01-27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98A KR102358750B1 (ko) 2014-12-29 2014-12-29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41A KR20160080841A (ko) 2016-07-08
KR102358750B1 true KR102358750B1 (ko) 2022-02-07

Family

ID=5616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498A KR102358750B1 (ko) 2014-12-29 2014-12-29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57957B2 (ko)
KR (1) KR102358750B1 (ko)
WO (1) WO2016108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750B1 (ko) * 2014-12-29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794429B1 (en) * 2018-06-29 2023-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983561B2 (en) 2018-06-29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037395B2 (en) * 2018-10-05 2021-06-15 Aruze Gaming (Hong Kong) Limited Gaming device display systems, gaming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lighting enhancements to gaming devices
KR102638783B1 (ko) * 2018-10-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101192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0119295B (zh) * 2019-04-16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20200132008A (ko) *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제공 방법
EP3971687B1 (en) * 2019-08-19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selection and customization of layout on foldable display.
CN112615947B (zh) * 2019-09-18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快速进入应用的方法与折叠屏电子设备
US11138912B2 (en) 2019-10-01 2021-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screen modes on a bendable computing device
KR20210058573A (ko) * 2019-11-14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58556A (ko) 2019-11-14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CN113364896A (zh) * 2020-03-04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电子设备
KR20220018141A (ko) * 2020-08-05 2022-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20067587A (ko) 2020-11-16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6208691A (zh) * 2021-11-30 2023-06-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1331A1 (en) 2011-08-05 2013-02-14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3103278A1 (en) 2012-01-07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20130222207A1 (en) 2012-02-29 2013-08-29 Pantech Co., Ltd. Flexi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inuous screen of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4801B2 (en) 2005-01-05 2010-05-11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US8947320B2 (en) * 2008-09-08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indica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US20110090155A1 (en) * 2009-10-15 2011-04-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ombining gestural input from multiple touch screens into one gestural input
US9335793B2 (en) * 2011-01-31 2016-05-10 Apple Inc.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JP5846857B2 (ja) 2011-10-31 2016-01-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情報端末および電子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101615791B1 (ko) * 2012-11-14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KR102206044B1 (ko) * 2012-12-10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뱅글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및 ui 표시 방법
KR20140101274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8750B1 (ko) * 2014-12-29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1331A1 (en) 2011-08-05 2013-02-14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3103278A1 (en) 2012-01-07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20130222207A1 (en) 2012-02-29 2013-08-29 Pantech Co., Ltd. Flexi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inuous screen of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41A (ko) 2016-07-08
US20160184700A1 (en) 2016-06-30
US9857957B2 (en) 2018-01-02
WO2016108321A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750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2721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657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521967B2 (en) Digital content interaction and naviga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109425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gesture thereof
EP3367207B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52197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2462856B1 (ko)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71289B1 (ko)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ES2761198T3 (es) Sistema de interacción con la mirada
US202000263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formation and haptic effects
KR102471977B1 (ko) 복수의 전자장치 사이에서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70229100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604570B1 (ko) 사용자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9828850B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200088997A (ko) 감겨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EP2840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KR2015009695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386897B2 (ja) 電子黒板、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6575199A (zh) 基于智能装置位置的应用程序交换
JP6934776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ポインタ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6691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96307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including pointer control circuitry, pointer display method, and non-temporary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4978009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和装置
KR20200115889A (ko) 전자 펜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