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587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587A
KR20220067587A KR1020200152904A KR20200152904A KR20220067587A KR 20220067587 A KR20220067587 A KR 20220067587A KR 1020200152904 A KR1020200152904 A KR 1020200152904A KR 20200152904 A KR20200152904 A KR 20200152904A KR 20220067587 A KR20220067587 A KR 2022006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display area
fol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587A/ko
Priority to US17/365,156 priority patent/US11890855B2/en
Priority to PCT/KR2021/013213 priority patent/WO2022102956A1/ko
Priority to EP21892126.0A priority patent/EP4228016A4/en
Priority to CN202180077008.6A priority patent/CN116472792A/zh
Publication of KR2022006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01L51/523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내충격층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제1 표시영역, 제2 표시영역,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 사이의 제1 폴딩 표시영역, 제3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 사이의 제2 폴딩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은 상기 제1 표시영역이 외부에 배치되도록 제1 곡률반경으로 폴딩된다. 내충격층은 상기 제1 표시영역,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일부분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다른 일부분,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 및 상기 제3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큰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폴딩 가능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액티브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을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형상의 표시장치들이 개발되면서, 다양한 형상을 가진 액티브 영역이 구현되고 있다. 또한, 사용형태에 따라 액티브 영역이 가변되는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내충격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1 표시영역, 제2 표시영역,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 사이의 제1 폴딩 표시영역, 제3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 사이의 제2 폴딩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은 상기 제1 표시영역이 외부에 배치되도록 제1 곡률반경으로 폴딩되고,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은 상기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이 마주하도록 제2 곡률반경으로 폴딩된다. 상기 내충격층은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내충격층은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큰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일부분에 더 중첩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표시영역의 다른 일부분 및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에 더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곡률반경은 상기 제2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의 탄성 모듈러스는 100Gpa 내지 200Gpa이고, 상기 제2 부분의 탄성 모듈러스는 4Gpa 내지 10Gpa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시트는 인바 또는 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간격은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영역,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 상기 제2 표시영역,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 및 상기 제3 표시영역이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는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의 45% 내지 55%의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에 인접한 일면 및 상기 일면 보다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멀리 배치된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의 상기 타면에 직접 배치된 발포 수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영역, 상기 제2 표시영역,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 상기 제3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폴딩영역, 제3 영역, 및 제2 폴딩영역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충격층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딩영역과 상기 제2 폴딩영역 각각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내충격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표시모듈, 지지플레이트, 금속 시트, 및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제1 영역,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1 폴딩영역,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의 제2 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금속 시트는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3 영역에 중첩한다. 상기 금속 시트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표시모듈의 하면에 부착된 제1 접착층에 부착된다. 상기 제1 폴딩영역과 상기 제2 폴딩영역 각각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폴딩될 때,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모듈의 제1 표시영역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모듈의 제2 표시영역 및 제3 표시영역은 서로 마주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입력센서, 및 상기 표시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1 폴딩영역, 상기 제2 영역, 상기 제2 폴딩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너비는 상기 제2 폴딩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딩영역 및 상기 제2 폴딩영역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시트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경계는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폴딩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 제1 표시영역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탄성 모듈러스가 큰 내충격층이 외부의 충격을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폴딩상태와 펼침상태가 변화되는 과정에서 접착층의 이동이 적은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내충격층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가 배치됨으로써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가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내충격층의 제1 부분은 지지플레이트의 제1 폴딩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의 제1 폴딩영역이 외부에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층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따른 내충격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층의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폴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장치(DD)는 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 봤을 때"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표시장치(DD)는 복수 개의 폴딩영역(FA1, FA2) 및 복수 개의 비폴딩영역들(NFA1, NFA2, NFA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폴딩영역(FA1), 제2 폴딩영역(FA2), 제1 비폴딩영역(NFA1), 제2 비폴딩영역(NFA2), 및 제3 비폴딩영역(NFA3)을 포함하는 표시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방향(DR1) 내에서 제1 폴딩영역(FA1)은 제1 비폴딩영역(NFA1)과 제2 비폴딩영역(NFA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폴딩영역(FA2)은 제2 비폴딩영역(NFA2)과 제3 비폴딩영역(NFA3) 사이에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2개의 폴딩영역(FA1, FA2)과 3개의 비폴딩영역들(NFA1, NFA2, NFA3)이 도시되었으나, 폴딩영역(FA1, FA2)과 비폴딩영역들(NFA1, NFA2, NFA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증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펼쳐진 상태에서 평탄한 표시면(DS)을 포함할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장치(DD)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 주변의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NDA)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 폴딩영역(FA1)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제1 폴딩영역(FA1)은 소정의 곡률 및 제1 곡률반경(R1)을 갖는다. 제1 비폴딩영역(NFA1)의 표시면은 외부에 배치되고, 제2 비폴딩영역(NFA2)의 표시면이 제1 비폴딩영역(NFA1)의 표시면과 멀어지도록 아웃-폴딩(outer-folding)될 수 있다. 제2 폴딩영역(FA2)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제2 폴딩영역(FA2)은 소정의 곡률 및 제2 곡률반경(R2)을 갖는다. 제2 비폴딩영역(NFA2)의 표시면과 제3 비폴딩영역(NFA3)의 표시면이 가까워지고 마주하도록 인-폴딩(inner-folding)될 수 있다.
아웃-폴딩(outer-folding)되는 제1 폴딩영역(FA1)의 제1 곡률반경(R1)은 인-폴딩(inner-folding)되는 제2 폴딩영역(FA2)의 제2 곡률반경(R2)보다 클 수 있다. 제1 곡률반경(R1)과 제2 곡률반경(R2)에 따라, 제1 폴딩영역(FA1)의 제1 방향(DR1)의 너비 및 제2 폴딩영역(FA2)의 제1 방향(DR1)의 너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딩영역(FA1)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제2 폴딩영역(FA2)의 제1 방향(DR1)의 너비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아웃-폴딩(outer-folding) 동작과 인-폴딩(inner-folding) 동작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고, 아웃-폴딩(outer-folding) 동작과 인-폴딩(inner-folding)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만 일어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층(WP)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에 따른 내충격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보호층(PF), 내충격층(IRL), 제1 쿠션층(C1), 지지플레이트(SP), 제2 쿠션층(C2), 윈도우(WIN), 윈도우 보호층(WP),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은 적층구조에서 인접한 부재들을 결합한다.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은 감압 접착제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쿠션층(C1) 및 제2 쿠션층(C2) 중 어느 하나와 그에 연관된 접착층들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상술한 구성들 이외에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DD)는 반사 방지층, 방열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제1 폴딩영역(FA1), 제2 폴딩영역(FA2), 제1 비폴딩영역(NFA1), 제2 비폴딩영역(NFA2), 및 제3 비폴딩영역(NFA3)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폴딩 표시영역(FDA1), 제2 폴딩 표시영역(FDA2), 제1 표시영역(DA1), 제2 표시영역(DA2), 및 상기 제3 표시영역(DA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역/부분과 영역/부분이 대응한다"는 것은 중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일한 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표시모듈(DM)의 구성요소들도 상술한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적어도 표시패널(DP)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입력센서(IS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센서(ISL)는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입력센서(ISL)는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센서(ISL)는 셀프캡 방식 또는 뮤츄얼캡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센서(ISL)는 액티브 타입의 입력장치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도 있다.
표시모듈(DM)은 외부광 반사율을 낮추기 위해 반사방지층(RP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컬러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은 표시패널(DP)의 화소들마다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청색 화소에는 청색 컬러필터가 배치되고, 적색 화소에는 적색 컬러필터가 배치되고, 녹색 화소에는 녹색 컬러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의 경계에는 블랙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윈도우(WIN)는 표시모듈(D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로부터 표시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WIN)는 베이스층으로써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WIN)는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울트라 씬 글래스 (UTG: Ultra-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베이스층 상에 코팅된 지문 방지층 및/또는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방지층과 하드코팅층의 재료는 공지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윈도우 보호층(WP)은 윈도우(WIN)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윈도우(WIN)로부터 탈착과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의 접착력이 제2 내지 제5 접착층들(AL2 내지 AL5)의 접착력보다 작다. 윈도우 보호층(WP)이 외부 압력에 의해 손상되면 새로운 윈도우 보호층(WP)으로 교체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베이스층으로써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필름과 같은 가요성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베이스층 상에 코팅된 지문 방지층 및/또는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방지층과 하드코팅층의 재료는 공지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 보호층(WP)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접착층(AL-I)으로 접착된 폴리우레탄 필름(SRL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SRL2)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의 적층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보호층(PF)은 표시모듈(DM)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F)은 표시모듈(DM)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층(PF)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PF)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층(PF)의 하측에 내충격층(IRL)이 배치된다. 내충격층(IRL)은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내충격층(IRL)은 제1 표시영역(DA1), 제1 폴딩 표시영역(FDA1), 및 제2 표시영역(DA2)의 일부분에 중첩하는 제1 부분(P1) 및 제2 표시영역(DA2)의 다른 일부분, 제2 폴딩 표시영역(FDA2), 및 상기 제3 표시영역(DA3)에 중첩하는 제2 부분(P2)을 포함한다.
제1 부분(P1)은 제2 부분(P2)보다 큰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다. 제1 부분(P1)의 탄성 모듈러스는 100Gpa 내지 200Gpa이고, 제2 부분(P2)의 탄성 모듈러스는 4Gpa 내지 10Gpa일 수 있다. 제1 부분(P1)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고, 제2 부분(P2)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시트는 인바(Invar) 또는 서스(SUS)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모듈러스가 큰 제1 부분(P1)을 원활하게 폴딩시키기 위해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곡률반경(R1)은 제2 곡률반경(R2)보다 큰 값을 갖는다.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에따라 후술하는 제1 쿠션층(C1)을 형성할 때 평탄한 베이스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분(P1)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표시영역(DA1)이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윈도우(WIN)를 통해 인가된 외부충격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부분(P1)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부분(P1)은 제1 표시영역(DA1)에 중첩하면 충분하다.
다만, 제1 부분(P1)이 제1 폴딩 표시영역(FDA1) 및 제2 표시영역(DA2)의 일부분을 더 커버함으로써, 윈도우 보호층(WP)의 상측으로부터 표시장치(DD)를 바라봤을 때, 제1 부분(P1)의 하측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 상태에서 제1 폴딩영역(FA1)이 외부에 노출되는데, 제1 부분(P1)은 후술하는 지지플레이트(SP)의 제1 폴딩영역(SP-F1)을 커버하여 개구부들(OP)에 의한 시인성 차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와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200)의 외부 충격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충격층(IRL)의 제1 부분(P1)에 인바 시트를 적용하여 펜 드랍 실험을 진행한 것이다. 비교예에 따르면, 내충격층(IRL)의 제1 부분(P1)에 인바 시트와 동일한 두께의 폴리 이미드 필름을 적용하여 펜 드랍 실험을 진행한 것이다. 내충격층(IRL)을 제외하고, 표시장치들(100, 200)의 적층구조는 서로 동일하고, 적층구조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의 실험예에서 9cm에서 펜을 드랍했을 때, 표시패널에 손상이 발생하였고, 일부의 실험예에서 10cm에서 펜을 드랍했을 때, 표시패널에 손상이 발생하였다. 비교예에 따르면, 일부의 실험예에서 7cm에서 펜을 드랍했을 때, 표시패널에 손상이 발생하였고, 일부의 실험예에서 8cm에서 펜을 드랍했을 때, 표시패널에 손상이 발생하였다. 평균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9.6cm에서 펜을 드랍했을 때, 표시패널에 손상이 발생하였고, 비교예에 따르면 7.8cm에서 펜을 드랍했을 때, 표시패널에 손상이 발생하였다. 인바 시트는 폴리 이미드 필름 대비 고강성이고, 고복원력을 가지므로 펜 드랍 충격에 대한 내성이 더 크기 때문에 상술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내충격층(IRL)의 하측에 제1 쿠션층(C1)이 배치된다. 제1 쿠션층(C1)은 표시모듈(DM)에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모듈(DM)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쿠션층(C1)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층으로써 발포 수지, 스펀지,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쿠션층(C1)은 내충격층(IRL)을 베이스층으로 이용하여 발포된 수지층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쿠션층(C1)과 내충격층(IRL) 사이에 접착층이 미-배치될 수 있다. 내충격층(IRL)의 두께방향에서 마주하는 일면과 타면 중 표시모듈(DM)로부터 멀리 배치된 면 상에 제1 쿠션층(C1)이 배치된다.
윈도우 보호층(WP)의 상측으로부터 표시장치(DD)를 바라봤을 때, 제1 쿠션층(C1)의 하측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제1 쿠션층(C1)은 유색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제1 쿠션층(C1)은 광을 흡수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쿠션층(C1)의 하측에 지지플레이트(SP)가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SP)는 60GPa 이상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SP)는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플레이트(SP)는 다양한 금속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SP)는 제1 폴딩영역(FA1), 제2 폴딩영역(FA2), 제1 비폴딩영역(NFA1), 제2 비폴딩영역(NFA2), 및 제3 비폴딩영역(NFA3)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폴딩영역(SP-F1), 제2 폴딩영역(SP-F2), 제1 영역(SP-1), 제2 영역(SP-2), 및 제3 영역(S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딩영역(SP-F1) 및 제2 폴딩영역(SP-F2)은 제1 영역(SP-1), 제2 영역(SP-2), 및 제3 영역(SP-3)보다 폴딩에 대한 반발력이 낮은 재료를 포함하거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폴딩영역(SP-F1) 및 제2 폴딩영역(SP-F2)은 제1 영역(SP-1), 제2 영역(SP-2), 및 제3 영역(SP-3)보다 좀 더 용이하게 폴딩되는 재료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폴딩영역(FA1) 및 제2 폴딩영역(FA2)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제1 폴딩영역(SP-F1)과 제2 폴딩영역(SP-F2)은 서로 다른 제1 방향(DR1)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제1 폴딩영역(SP-F1)은 제2 폴딩영역(SP-F2)보다 큰 제1 방향(DR1)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SP)의 하측에 제2 쿠션층(C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a는 지지플레이트(SP)을 베이스층으로 이용하여 발포된 수지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플레이트(SP)와 제2 쿠션층(C2)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될 수 도 있다. 제2 쿠션층(C2)은 제1 쿠션층(C1)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SP)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일부분(AA)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플레이트(SP)는 제1 폴딩영역(SP-F1), 제2 폴딩영역(SP-F2), 제1 영역(SP-1), 제2 영역(SP-2), 및 제3 영역(S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딩영역(SP-F1)과 제2 폴딩영역(SP-F2) 각각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은 소정의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은 격자 형태로 배열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제1 폴딩영역(SP-F1)과 제2 폴딩영역(SP-F2)에 형성됨으로써, 제1 폴딩영역(SP-F1)과 제2 폴딩영역(SP-F2)의 면적을 감소시켜 제1 폴딩영역(SP-F1)과 제2 폴딩영역(SP-F2)의 강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딩영역(SP-F1)과 제2 폴딩영역(SP-F2)은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더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층(IRL)의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폴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펼쳐진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경계영역(BA)에서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 사이의 간격(GP)은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부분(P1)의 엣지와 제2 부분(P2)의 엣지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정상 오차범위에서 제1 부분(P1)의 엣지와 제2 부분(P2)의 엣지는 이격될 수 있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표시패널(DP)의 일측 엣지(DP-E1)와 제1 부분(P1)의 일측 엣지(E1)가 중첩하고, 표시패널(DP)의 타측 엣지(DP-E2)와 제2 부분(P2)의 일측 엣지(E2)가 중첩하는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경계는 표시패널의 일측 엣지(E1)로부터 제1 방향(DR1)의 길이의 45% 내지 55%의 범위(이하, 중앙범위)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표시패널(DP)의 제1 방향(DR1)의 길이는 도 2a와 같이, 표시장치(DD)가 펼쳐진 상태에서 일측 엣지(DP-E1)로부터 타측 엣지(DP-E2)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1 폴딩영역(FA1)과 제2 폴딩영역(FA2)에는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표시장치(DD)의 구성부재들은 적층된 위치에 따라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을 받는다.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은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곡률반경(R1')으로 폴딩된 제1 부분(P1)에는 인장응력(TS)이 발생하고, 제2 곡률반경(R2')으로 제2 부분(P2)에는 압축응력(CS)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에 발생하는 응력은 적층 위치, 다른 구성요소들의 탄성 모듈러스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분(P1)에 압축응력(CS)이 발생하고, 제2 부분(P2)에 인장응력(TS)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제1 폴딩영역(FA1) 및 제2 폴딩영역(FA2)에 발생한 인장응력(TS)과 압축응력(CS)은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전단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폴딩영역(FA1)에 대응하는 부분과 제2 폴딩영역(FA2)에 대응하는 부분에 응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중앙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작은 전단응력이 발생하거나, 실질적으로 응력이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정 중앙에 해당하는 영역에 미치는 전단응력은 실질적으로 제로에 가깝다.
폴딩동작과 펼침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전단응력에 의해 제4 접착층(AL4, 도 2a 참조)이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경계영역(BA)에서 변형될 가능성은 낮다. 예컨대, 제4 접착층(AL4)이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틈으로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복원력이 감소됨으로써 발생하는 다른 접착층들(AL1 내지 AL3, AL5)의 뭉침 현상도 경계영역(BA)에서 발생될 가능성이 낮다. 경계영역(BA)에서는 접착층들(AL1 내지 AL5)에도 전단응력이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도 4c는 Optimap 설비를 이용하여 윈도우(WIN)의 상측에서 표시장치(DD)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경계영역(BA)과 그 주변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경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두드러지게 시인되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폴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내충격층(IRL) 이외의 다른층들도 제1 부분(P10, P100, P1000)과 제2 부분(P20, P200, P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P10, P100, P1000)은 적어도 제1 표시영역(DA1)에 중첩한다. 제1 부분(P10, P100, P1000)은 제1 표시영역(DA1), 제1 폴딩 표시영역(FDA1), 및 제2 표시영역(DA2)의 일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부분(P10, P100, P1000)은 제2 부분(P20, P200, P2000)보다 큰 탄성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탄성 모듈러스의 수치범위는 상술한 내충격층(IRL)의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의 수치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WIN)는 제1 부분(P10)과 제2 부분(P20)을 포함하고,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 보호층(WP)은 제1 부분(P100)과 제2 부분(P200)을 포함하고,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호층(PF)은 제1 부분(P1000)과 제2 부분(P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P10, P100, P1000)과 제2 부분(P20, P200, P2000)의 배치 및 두께에 대한 설명은 앞선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비폴딩영역(NFA1)에 중첩하는 영역에 다양한 부재들 각각의 큰 강성을 갖는 부분들이 배치됨으로써 폴딩 상태에서 내충격에 의해 표시모듈(DM)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충격층(IRL)은 복수 개의 제1 부분들(P1-1 내지 P1-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부분들(P1-1 내지 P1-5)은 도 2a에 도시된 하나의 제1 부분(P1)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5개의 제1 부분들(P1-1 내지 P1-5)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을 뿐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제1 부분들(P1-1 내지 P1-5)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제3 곡률반경(R3)으로 폴딩된 제3 폴딩영역(FA3) 및 제4 비폴딩영역(NFA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곡률반경(R3)은 제1 곡률반경(R1)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3 폴딩영역(FA3)이 아웃-폴딩됨으로써 대칭형 표시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폴딩영역(FA3) 및 제4 비폴딩영역(NFA4)에 대한 설명은 앞선 제1 폴딩영역(FA1) 및 제1 비폴딩영역(NFA1)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AL1 내지 AL5 제1 내지 제5 접착층
C1 제1 쿠션층
C2 제2 쿠션층
DA1 제1 표시영역
DA2 제2 표시영역
DA3 제3 표시영역
DD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E1 일측 엣지
E2 타측 엣지
FA1 제1 폴딩영역
FA2 제2 폴딩영역
FA3 제3 폴딩영역
FDA1 제1 폴딩 표시영역
FDA2 제2 폴딩 표시영역
FX1 제1 폴딩축
FX2 제2 폴딩축
GP 간격
IRL 내충격층
ISL 입력센서
NDA 비표시영역
NFA1 제1 비폴딩영역
NFA2 제2 비폴딩영역
NFA3 제3 비폴딩영역
NFA4 제4 비폴딩영역
OP 개구부
P1, P10, P100, P1000 제1 부분
P2, P20, P200, P2000 제2 부분
R1 제1 곡률반경
R2 제2 곡률반경
R3 제3 곡률반경
RPL 반사방지층
SP-1 제1 영역
SP-2 제2 영역
SP-3 제3 영역
SP-F1 제1 폴딩영역
SP-F2 제2 폴딩영역
SP 지지플레이트
WP 윈도우 보호층

Claims (21)

  1. 제1 표시영역, 제2 표시영역,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 사이의 제1 폴딩 표시영역, 제3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 사이의 제2 폴딩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은 상기 제1 표시영역이 외부에 배치되도록 제1 곡률반경으로 폴딩되고,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은 상기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이 마주하도록 제2 곡률반경으로 폴딩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내충격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충격층은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큰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일부분에 더 중첩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표시영역의 다른 일부분 및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에 더 중첩하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반경은 상기 제2 곡률반경보다 큰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탄성 모듈러스는 100Gpa 내지 200Gpa이고, 상기 제2 부분의 탄성 모듈러스는 4Gpa 내지 10Gpa인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는 인바 또는 서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간격은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 상기 제2 표시영역,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 및 상기 제3 표시영역이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는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의 45% 내지 55%의 범위에 배치된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에 인접한 일면 및 상기 일면 보다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멀리 배치된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의 상기 타면에 직접 배치된 발포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 상기 제2 표시영역, 상기 제1 폴딩 표시영역, 상기 제3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폴딩 표시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폴딩영역, 제3 영역, 및 제2 폴딩영역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충격층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영역과 상기 제2 폴딩영역 각각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가 정의된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내충격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윈도우;
    표시모듈;
    제1 영역,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1 폴딩영역,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의 제2 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 하측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금속 시트; 및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3 영역에 중첩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시트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표시모듈의 하면에 부착된 제1 접착층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폴딩영역과 상기 제2 폴딩영역 각각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폴딩될 때,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모듈의 제1 표시영역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모듈의 제2 표시영역 및 제3 표시영역은 서로 마주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입력센서; 및
    상기 표시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에 부착된 표시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1 폴딩영역, 상기 제2 영역, 상기 제2 폴딩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너비는 상기 제2 폴딩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너비보다 큰 표시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영역 및 상기 제2 폴딩영역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표시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경계는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KR1020200152904A 2020-11-16 2020-11-16 표시장치 KR20220067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04A KR20220067587A (ko) 2020-11-16 2020-11-16 표시장치
US17/365,156 US11890855B2 (en) 2020-11-16 2021-07-01 Display device having impact resistance layer
PCT/KR2021/013213 WO2022102956A1 (ko) 2020-11-16 2021-09-28 내충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EP21892126.0A EP4228016A4 (en) 2020-11-16 2021-09-28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PACT-RESISTANT LAYER
CN202180077008.6A CN116472792A (zh) 2020-11-16 2021-09-28 具有抗冲击层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04A KR20220067587A (ko) 2020-11-16 2020-11-16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587A true KR20220067587A (ko) 2022-05-25

Family

ID=8158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904A KR20220067587A (ko) 2020-11-16 2020-11-1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90855B2 (ko)
EP (1) EP4228016A4 (ko)
KR (1) KR20220067587A (ko)
CN (1) CN116472792A (ko)
WO (1) WO20221029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7016B2 (en)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KR20210070393A (ko) 2013-07-12 2021-06-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TWI667644B (zh) 2013-07-19 2019-08-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
KR20150015290A (ko) 2013-07-31 2015-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58750B1 (ko) 2014-12-29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4923B1 (ko) * 2015-01-20 2015-12-04 김영수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06631B1 (ko) 2015-06-08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78359B1 (ko) 2015-07-23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9196B1 (ko) 2016-08-18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95137B1 (ko) 2016-10-11 2023-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80061485A (ko) *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82409B1 (ko) * 2018-08-21 2022-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4586B1 (ko) 2018-11-07 2023-0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8016A1 (en) 2023-08-16
WO2022102956A1 (ko) 2022-05-19
US11890855B2 (en) 2024-02-06
CN116472792A (zh) 2023-07-21
EP4228016A4 (en) 2024-04-17
US20220159846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3010B2 (en) Panel bottom she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36951B2 (en) Display device
US9188802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KR102246292B1 (ko) 휴대용 전자장치
EP3640781B1 (en) Display device
JP2008197913A (ja) 電子機器
EP3865974B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07751A (ko) 표시 장치
CN111668256A (zh) 显示装置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CN114694495B (zh) 可折叠显示装置
US20240172403A1 (en) Display device
CN219372999U (zh) 一种柔性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20220067587A (ko) 표시장치
US20220140283A1 (en) Display device
US20220151082A1 (en) Display device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KR20200042056A (ko) 표시 장치
US11217766B2 (en) Display cov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114067676A (zh) 显示设备
KR20240027924A (ko) 표시 장치
KR20240034904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