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141A -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141A
KR20220018141A KR1020200098209A KR20200098209A KR20220018141A KR 20220018141 A KR20220018141 A KR 20220018141A KR 1020200098209 A KR1020200098209 A KR 1020200098209A KR 20200098209 A KR20200098209 A KR 20200098209A KR 20220018141 A KR20220018141 A KR 2022001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requency
display area
image data
driving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은실
권상안
김순동
김태훈
윤창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141A/ko
Priority to US17/321,227 priority patent/US11501682B2/en
Priority to CN202110606310.8A priority patent/CN114067716A/zh
Publication of KR2022001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제1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가 이루는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지는 특성을 극대화하여 폴딩(folding)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2개 이상의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들은 하나의 플렉서블 표시 패널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생활에 널리 이용되는 Tablet PC, Note PC, 스마트 폰 등의 IT 제품들에 대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IT 제품들의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전력 소모로 인해 제품의 사용 시간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제1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가 이루는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제2 몸체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저주파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하는 정지 영상 판단부 및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구동 주파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플리커가 발생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플리커 수치를 포함하는 플리커 수치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폴딩 각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폴딩 각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상기 플리커 수치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최적 구동 주파수들을 결정하고,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상기 최적 구동 주파수들 중에서 최대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제2 몸체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가 이루는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지면에 근접한 부분을 판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지면에 근접한 부분에 대한 근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전달하는 호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제1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가 이루는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제2 몸체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저주파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제1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의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폴딩 각도가 작아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영역의 구동 주파수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여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응시할 것으로 예측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표시 영역이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지 동영상을 표시하는지 여부 및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영상의 플리커 수치를 이용하여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플리커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폴딩 각도가 18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폴딩 각도가 12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폴딩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폴딩 각도가 6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제1 표시 영역이 120Hz로 구동되고 제2 표시 영역이 1Hz로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경우에서 게이트 구동부가 제1 프레임에 출력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경우에서 게이트 구동부가 제2 프레임에 출력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플리커 수치 저장소의 예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딩 라인(FL)을 따라 접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폴딩 라인(FL)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폴딩 라인(FL)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연속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서로 독립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폴딩 라인(F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딩 라인(FL)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딩 라인(FL)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딩 라인(FL)이 1개이고, 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표시 영역(DA1, DA2)이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딩 라인은 2개 이상일 수 있고, 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표시 영역의 개수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호스트(600) 및 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 모듈을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iming Controller Embedded Data Driver, TED)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에미션 신호를 출력하는 에미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100),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600)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호스트(600)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에 대한 각도 정보(AG)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센서(700)는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상기 폴딩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700)는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 중 지면에 근접한 부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700)는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 중 지면에 근접한 부분에 대한 근접 정보를 상기 호스트(6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센서(700)는 각도 센서, 굴곡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6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600)는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 중 지면에 근접한 부분에 대한 근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각도 정보(AG)를 상기 센서(7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600)는 세트 또는 프로세서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P1) 및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가 18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P1) 및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가 12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P1) 및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몸체부(P1) 및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가 6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응시하기 어려운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 중 상기 제2 몸체부(P2)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입력 주파수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저주파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주파수는 120Hz일 수 있고, 상기 저주파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상기 입력 주파수는 60Hz이거나, 240Hz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 구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중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저주파 구동 주파수는 10Hz이거나, 5Hz이거나, 2Hz일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중 하나는 사용자에게 응시될 가능성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사용자에게 응시될 가능성이 낮은 영역은 지면에 근접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즉, 도 6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와 같은 90도이고, 상기 제2 몸체부(P2)가 지면에 접촉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몸체부(P1)의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몸체부(P2)의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중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주로 응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와 같은 90도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응시하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키보드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의 경우와 달리,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와 같은 90도이고, 상기 제1 몸체부(P1)가 지면에 접촉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중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주로 응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구동 주파수가 상기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저주파 구동 주파수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입력 주파수일 수 있다.
도 7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은 60도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몸체부(P1)의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몸체부(P2)의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중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주로 응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사용자가 응시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판단되는 표시 영역(도 6의 DA2 또는 도 7의 DA1)의 구동 주파수를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설정하여,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도 4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큰 180도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몸체부(P1)의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몸체부(P2)의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모두 응시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가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큰 120도인 경우에도, 사용자는 상기 제1 몸체부(P1)의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몸체부(P2)의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모두 응시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기 쉬운 영역으로 판단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입력 주파수로 설정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중 어느 하나를 응시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판단하는 기준이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사용 양태에 따라 90도보다 크게 설정되거나, 90도보다 작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2의 제1 표시 영역(DA1)이 120Hz로 구동되고 제2 표시 영역(DA2)이 1Hz로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경우에서 게이트 구동부(300)가 제1 프레임에 출력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경우에서 게이트 구동부(300)가 제2 프레임에 출력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120Hz로 결정하고,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1Hz로 결정한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제1 게이트 신호 그룹(G11 내지 G1N)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하는 제2 게이트 신호 그룹(G21 내지 G2N)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게이트 신호 그룹(G11 내지 G1N) 및 상기 제2 게이트 신호 그룹(G21 내지 G2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제1 구동 주파수가 120Hz이고,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제2 구동 주파수가 1Hz일 때, 1초 동안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120개의 라이팅 프레임을 갖고,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1개의 라이팅 프레임 및 119개의 홀딩 프레임을 갖는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이 상기 라이팅 프레임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이트 신호 그룹(G11 내지 G1N)은 활성화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이 상기 홀딩 프레임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이트 신호 그룹(G11 내지 G1N)은 비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게이트 신호 그룹(G11 내지 G1N)은 마스킹 방식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이 상기 라이팅 프레임을 갖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게이트 신호 그룹(G21 내지 G2N)은 활성화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이 상기 홀딩 프레임을 갖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게이트 신호 그룹(G21 내지 G2N)은 비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게이트 신호 그룹(G21 내지 G2N)은 마스킹 방식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제1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모두 라이팅 프레임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신호 그룹(G11 내지 G1N) 및 상기 제2 게이트 신호 그룹(G21 내지 G2N)은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도 10은 제2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라이팅 프레임을 가지나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홀딩 프레임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신호 그룹(G11 내지 G1N)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게이트 신호 그룹(G21 내지 G2N)은 비활성화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상기 제1 몸체부(P1)와 상기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가 작아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영역의 구동 주파수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플리커 수치 저장소의 예시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0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딩 라인(FL)을 따라 접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호스트(600) 및 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가 이루는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정지 영상 판단부(220) 및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를 알리는 플래그(SF)를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지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 경우 1의 플래그를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에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동영상인 경우 0의 플래그를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이 상시 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정지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1의 플래그를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지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호스트(6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각도 정보(AG)에 포함된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에 따라 플리커가 발생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플리커 수치(FV)를 포함하는 플리커 수치 저장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폴딩 각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플리커 수치(FV)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특정 계조에서 플리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플리커 수치(FV)가 높은 경우, 상기 구동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특정 계조에서 플리커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 플리커 수치(FV)가 낮은 경우, 상기 구동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 중 상기 제2 몸체부(P2)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FV)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고정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결정된 고정 저주파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사용자에 의해 응시될 가능성이 낮은 영역이므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미리 결정된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응시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므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FV)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예컨대, SF=0),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픽셀의 스위칭 소자들을 정상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정상 구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입력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예컨대, SF=1),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픽셀의 스위칭 소자들을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저주파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플리커 수치 저장소(240)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입력 계조는 8bit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최소 계조는 0계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최대 계조는 255계조일 수 있다. 상기 플리커 수치 저장소(240)의 플리커 설정 단계들의 개수는 64개일 수 있다. 상기 플리커 수치 저장소(240)의 플리커 설정 단계들의 개수가 커지면, 상기 플리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상기 구동 제어부(200)의 로직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무한정 크게 설정할 수는 없다.
도 12에서,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들의 개수는 256개이고, 상기 플리커 설정 단계들의 개수는 64개이므로, 상기 플리커 수치 저장소(240)는 4개의 계조에 하나의 플리커 수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리커 설정 단계는 0 내지 3계조의 플리커 수치 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리커 설정 단계는 4 내지 7계조의 플리커 수치 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플리커 설정 단계는 8 내지 11계조의 플리커 수치 4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4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2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플리커 설정 단계는 12 내지 15계조의 플리커 수치 8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8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5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플리커 설정 단계는 16 내지 19계조의 플리커 수치 12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12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10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플리커 설정 단계는 20 내지 23계조의 플리커 수치 16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16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30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플리커 설정 단계는 24 내지 27계조의 플리커 수치 20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20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60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2 플리커 설정 단계는 244 내지 247계조의 플리커 수치 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3 플리커 설정 단계는 248 내지 251계조의 플리커 수치 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4 플리커 설정 단계는 252 내지 255계조의 플리커 수치 0을 저장하고, 상기 플리커 수치 0에 대응하는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예컨대, SF=0),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픽셀의 스위칭 소자들을 상기 정상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예컨대, SF=1),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픽셀의 스위칭 소자들을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예컨대, SF=0),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픽셀의 스위칭 소자들을 상기 정상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는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예컨대, SF=1),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픽셀의 스위칭 소자들을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상기 제1 몸체부(P1)와 상기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가 작아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영역의 구동 주파수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응시할 것으로 예측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표시 영역이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지 동영상을 표시하는지 여부 및 표시 패널(100)이 표시하는 영상의 플리커 수치를 이용하여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플리커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표시 패널을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분할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 및 도 12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0,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딩 라인(FL)을 따라 접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호스트(600) 및 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세그먼트들(SEG11 내지 SEG8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이 8행 5열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SEG11 내지 SEG85)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내지 제4 행의 세그먼트들(SEG11 내지 SEG4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5 내지 제8 행의 세그먼트들(SEG51 내지 SEG85)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단위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플리커 수치(FV)를 판단한다고 할 때, 단 하나의 픽셀에서 상기 플리커 수치(FV)가 크게 나타나면 모든 패널을 해당 플리커 수치(FV)에 맞게 높은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셀에서는 30Hz로 구동해야 플리커가 발생하지 않고, 나머지 모든 픽셀에서는 1Hz로 구동해도 플리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모든 패널을 30Hz로 구동하는 것은 소비 전력을 필요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을 플리커가 시인되는 단위인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상기 소비 전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정지 영상 판단부(220) 및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에 따라 플리커가 발생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플리커 수치(FV)를 포함하는 플리커 수치 저장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를 알리는 플래그(SF)를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A)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A)는 상기 호스트(6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각도 정보(AG)에 포함된 상기 폴딩 각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상기 플리커 수치(FV)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세그먼트 정보(SEG)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최적 구동 주파수들을 결정하고,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상기 최적 구동 주파수들 중에서 최대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세그먼트(SEG11)의 최적 구동 주파수가 10Hz이고, 나머지 모든 세그먼트의 최적 구동 주파수가 2Hz인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10Hz를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몸체부(P2) 중 상기 제2 몸체부(P2)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A)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FV)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트 정보(SEG)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고정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결정된 고정 저주파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230A)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플리커 수치(FV)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트 정보(SEG)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FV)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트 정보(SEG)를 기초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몸체부(P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상기 제1 몸체부(P1)와 상기 제2 몸체부(P2)의 폴딩 각도가 작아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영역의 구동 주파수를 최소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응시할 것으로 예측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표시 영역이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지 동영상을 표시하는지 여부 및 표시 패널(100)이 표시하는 영상의 플리커 수치를 이용하여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플리커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220: 정지 영상 판단부 230, 230A: 구동 주파수 결정부
240: 플리커 수치 저장소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호스트 700: 센서

Claims (20)

  1. 제1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가 이루는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제2 몸체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저주파 구동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하는 정지 영상 판단부; 및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구동 주파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플리커가 발생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플리커 수치를 포함하는 플리커 수치 저장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폴딩 각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되고,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폴딩 각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상기 플리커 수치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세그먼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최적 구동 주파수들을 결정하고,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상기 최적 구동 주파수들 중에서 최대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제2 몸체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저주파 구동 주파수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구동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의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기 플리커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가 이루는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지면에 근접한 부분을 판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지면에 근접한 부분에 대한 근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전달하는 호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5. 제1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가 이루는 폴딩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제2 몸체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 주파수보다 작은 저주파 구동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쓰레스홀드 각도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스홀드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200098209A 2020-08-05 2020-08-0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20018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209A KR20220018141A (ko) 2020-08-05 2020-08-0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17/321,227 US11501682B2 (en) 2020-08-05 2021-05-14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CN202110606310.8A CN114067716A (zh) 2020-08-05 2021-05-27 柔性显示装置以及利用其的显示面板的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209A KR20220018141A (ko) 2020-08-05 2020-08-0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41A true KR20220018141A (ko) 2022-02-15

Family

ID=8011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209A KR20220018141A (ko) 2020-08-05 2020-08-0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1682B2 (ko)
KR (1) KR20220018141A (ko)
CN (1) CN1140677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5135B2 (en) * 2021-05-28 2023-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creen flicker performance manager
KR20240003374A (ko) * 2022-06-30 202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9355A1 (en) * 2004-02-17 2007-06-2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the same
KR20080105595A (ko) * 2007-05-31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통전압 설정장치 및 방법
JP6046413B2 (ja) * 2011-08-08 2016-12-14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4004632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12965640A (zh) * 2014-02-28 2021-06-1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KR102358750B1 (ko) * 2014-12-29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2026B1 (ko) * 2015-05-29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102538875B1 (ko) * 2016-07-20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1885B1 (ko) 2017-11-22 2022-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33574B2 (en) * 2018-10-16 2021-09-2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mmunication device
KR102529503B1 (ko) * 2018-11-21 2023-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00128283A (ko) * 2019-05-02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28925A (ko) * 2019-05-07 2020-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KR20200142394A (ko) * 2019-06-12 2020-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KR20210013477A (ko) * 2019-07-26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구동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67716A (zh) 2022-02-18
US11501682B2 (en) 2022-11-15
US20220044614A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6192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EP2804171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2833352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7021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48845B1 (ko)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JP200701136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0876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0539263B1 (ko) 듀얼 패널 구동 시스템 및 구동 방법
KR2021011960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2001814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2016028430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76579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37708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21002123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16584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2419974A (zh) 显示装置和驱动显示装置的显示面板的方法
US118170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JP2001306038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2002297100A (ja) 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情報端末機器
US8896584B2 (en) Sca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KR10141169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9916810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US1086757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JP2002366116A (ja) 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情報端末機器
US11551603B2 (en) Display apparatus with frequency controller to determine driving frequency based on input image data and play speed setting,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