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218B1 -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218B1
KR101208218B1 KR1020100103132A KR20100103132A KR101208218B1 KR 101208218 B1 KR101208218 B1 KR 101208218B1 KR 1020100103132 A KR1020100103132 A KR 1020100103132A KR 20100103132 A KR20100103132 A KR 20100103132A KR 101208218 B1 KR101208218 B1 KR 10120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ressing
upper case
lower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609A (ko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주) 캐치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캐치웰 filed Critical (주) 캐치웰
Priority to KR102010010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218B1/ko
Priority to PCT/KR2011/006731 priority patent/WO2012053743A1/ko
Publication of KR2012004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단말기 본체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 시 버튼스위치의 버튼부와 스위치부 사이에 마련되는 연성재질의 실링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버튼스위치의 접촉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부를 누름 동작에 따라 작동시키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에 스위치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버튼공에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스위치부를 작동시키는 버튼부와, 스위치부와 버튼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호 결합부위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와, 버튼부와 실링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 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가압에 대하여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BUTTON SWITCH ASSEMBLY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부를 작동시키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고 개인 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라는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사회 속에서 각각의 개인은 각자 나름대로의 정보를 보관하거나 유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개인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그것들 중의 하나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다.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용 PDA는 일반 PDA에 없는 바코드스캐너, 카드결제기 등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로서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산업용 PDA는 전술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 PDA와 달리 일반적인 환경이 아닌 산업용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어느 수준 이상의 요구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즉, 산업용 PDA는 일반 PDA와 달리 영하 10도 이하의 냉동창고에서 사용할 때도 있을 것이고, 또한 야외에서도 장시간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히 예측되며, 집배원 같은 사용자가 업무 상 함부로 다룰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어느 수준 이상의 내충격성, 방수, 내열/냉기능 등을 갖추어야 제품으로서 경쟁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산업용 PDA는 일반 PDA보다 좀더 견고하고 단단히 만들어져야 함은 물론 특히 눈이나 비에 견딜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함은 제품이 가져야할 필수적인 사항이다.
한편, 이러한 산업용 PDA는 단말기 본체의 일측면에 스위치부를 누름 동작에 따라 작동시키는 다양한 버튼부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버튼부와 스치부 사이에 고무와 같은 연성재질의 실링부재가 위치한다. 또한, 이러한 실링부재는 단말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호 결합부위에 위치하여 단말기 본체의 방수 기능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PDA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 시 버튼부와 스위치부 사이에 마련되는 연성재질의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가압에 따른 실링부재의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여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스위치부 가압 및 가압 해제에 필요한 텐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버튼 가압 시 버튼부와 스위치부 사이의 접촉 동작의 오류가 발생하는 등 버튼스위치의 접촉 동작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 시 버튼스위치의 버튼부와 스위치부 사이에 마련되는 연성재질의 실링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버튼스위치의 접촉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부를 누름 동작에 따라 작동시키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스위치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버튼공에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작동시키는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호 결합부위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를 조립 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압에 대하여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호 대향되는 테두리 결합부위의 내측 상하면에 리브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각각 접촉되는 상하면에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리브가 각각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외곽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실링 접촉되는 실링접촉부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실링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가압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필요한 텐션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텐션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실링접촉부의 단면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도록 지지부재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호 결합에 따른 가압에 대하여 상기 텐션부를 지지하여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가압력을 상기 가압부에 집중하여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텐션부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텐션부 영역을 커버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버튼부는 중앙부위가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게 접하고 테두리부위가 상기 지지부재와 대응되게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게 접하는 면에 상기 가압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압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연성재질의 실링부재가 마련되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 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호 결합부위를 기밀하게 실링함으로써 단말기 본체의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부와 스위치부 사이에 마련되는 연성재질의 실링부재를 별도의 사출물로 제작된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버튼 가압 시 버튼부와 스위치부 사이의 접촉 동작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버튼스위치의 접촉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버튼스위치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산업용 PDA를 일 예로 들어 예시하였으나, 산업용 PDA뿐만 아니라 일반 PDA, 휴대폰, PMP 등 모든 모바일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1)는 단말기 본체(100)와 버튼스위치 조립체(2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는 중간프레임(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중간프레임은 각종 전자부품들이 실장된 내장부품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101)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에 각각 결합된다.
상부케이스(110)는 다수개의 신호입력버튼(103)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신호입력버튼(103)의 위치에 따라 절취된 버튼공과, 액정디스플레이(10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절취된 화면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는 상부케이스(110)와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어 상부케이스(110)와의 사이에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하는 내장부품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케이스(130)의 배면에는 배터리를 장착하기 배터리 장착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는 상호 대향되는 테두리 결합부위의 내측 상하면에 리브(110a)(130a)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조립 시 후술하는 실링부재(23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홈(233a)에 삽입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상호 결합부위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 사이의 테두리 결합부위를 따라 후술할 실링부재(230)가 마련된다.
또한, 단말기 본체(100)는 적어도 일측면에 버튼공(105)이 마련되어 음성조절, 스캔 등을 위한 내부 스위치부(10)를 누름 동작에 따라 작동시키는 버튼스위치 조립체(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버튼스위치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1)의 버튼스위치 조립체(200)는 버튼부(210), 실링부재(230) 및 지지부재(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10)는 단말기 본체(100)에 스위치부(10)와 대응되게 형성된 버튼공(105)에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스위치부(10)를 작동시킨다.
버튼부(210)는 후술할 실링부재(230)의 가압부(231) 및 텐션부(235) 영역을 커버하는 면적을 가진다. 또한, 버튼부(210)는 중앙부위가 가압부(231)와 대응되게 접하고, 테두리부위가 후술할 지지부재(250)와 대응되게 접한다.
이때, 버튼부(210)는 가압부(231)와 대응되게 접하는 면(내측면)에 가압부(231)의 일부(외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압부 삽입홈(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부(210)는 사출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230)는 스위치부(10)와 버튼부(210)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상호 결합부위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 사이의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된다. 이때, 실링부재(230)는 모바일 단말기(1)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도록 단말기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230)는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와 각각 접촉되는 상하면에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리브(110a)(130a)가 각각 삽입되도록 홈(233a)이 형성된다. 그 결과,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조립 시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의 리브(110a)(130a)가 실링부재(230)의 홈(233a)에 맞물려 삽입됨으로써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상호 테두리 결합부위에 대한 실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230)는 실리콘, 테프론, NBR(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링부재(230)는 가압부(231), 실링접촉부(233) 및 텐션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31)는 실링부재(23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스위치부(10)와 버튼부(210)의 사이에서 버튼부(21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스위치부(1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231)는 실링부재(230)의 중앙부위에 사각형 돌기 형태로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돌기, 타원형 돌기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231)의 일부(외측 돌출부)는 후술하는 버튼부(210)의 가압부 삽입홈(211)에 삽입됨으로써 버튼부(210)의 위치를 고정하고 버튼부(210)의 가압력을 스위치부(1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링접촉부(233)는 후술할 텐션부(235)를 사이에 두고 가압부(231)의 외곽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 사이를 기밀하게 실링한다. 이를 위해, 실링접촉부(233)는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와 각각 접촉되는 상하면에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리브(110a)(130a)가 각각 삽입되도록 홈(233a)이 형성된다. 그 결과,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조립 시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의 리브(110a)(130a)가 실링접촉부(233)의 홈(233a)에 맞물려 삽입됨으로써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상호 테두리 결합부위에 대한 실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링접촉부(233)의 단면 두께는 가압부(231)의 단면 두께와 동일하거나 가압부(231)의 단면 두께 보다 약간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부(235)는 가압부(231)와 실링접촉부(233)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버튼부(210)의 누름 동작에 따라 가압부(231)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필요한 텐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텐션부(235)의 단면 두께는 가압부(231)와 실링접촉부(233)의 단면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텐션부(235)는 후술할 지지부재(250)가 삽입되도록 지지부재 삽입홈(235a)을 포함하는데, 지지부재 삽입홀(235a)은 가압부(231)와 실링접촉부(233) 사이의 영역에 가압부(231)의 외곽을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오목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단말기 본체(100)에 마련된 다양한 버튼부(210)와 연성재질의 실링부재(230)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상호 결합에 따른 실링부재(23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2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250)는 실링부재(230)의 지지부재 삽입홈(235a)에 삽입되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상호 결합에 따른 가압에 대하여 텐션부(235) 영역을 지지하여 텐션부(235)의 약한 지지력을 보강하고 버튼부(210)의 누름 동작에 따른 가압력을 가압부(231)에 집중하여 전달하게 된다.
지지부재(250)는 텐션부(235) 영역의 지지부재 삽입홈(235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가압부(231)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관통공(251)이 길게 형성된다.
지지부재(250)는 사출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산업용 PDA(1)는 단말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 사이에 연성재질의 실링부재(230)가 마련되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를 조립 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상호 결합부위를 기밀하게 실링함으로써 단말기 본체(100)의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링부재(230)는 스위치부(10)와 버튼부(21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실링부재(230)의 텐션부(235) 영역에는 지지부재(250)가 삽입되어 텐션부(235)의 약한 지지력을 보강하게 되므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를 조립 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가압에 대하여 실링부재(230)를 지지하여 버튼부(210)의 누름 동작에 따른 가압력을 실링부재(230)의 가압부(231) 영역에 집중하여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250)는 별도의 사출물로 제작되어 스위치부(10)와 버튼부(210) 사이에 마련되는 연성재질의 실링부재(230)를 지지함으로써, 버튼 가압 시 스위치부(10)와 버튼부(210) 사이의 접촉 동작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버튼스위치의 접촉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모바일 단말기, 산업용 PDA 100 : 단말기 본체
110 : 상부 케이스 130 : 하부 케이스
200 : 버튼스위치 조립체 210 : 버튼부
230 : 실링부재 231 : 가압부
233 ; 실링접촉부 235: 텐션부
250 : 지지부재

Claims (10)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부를 누름 동작에 따라 작동시키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스위치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버튼공에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작동시키는 버튼부;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호 결합부위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버튼부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를 조립 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압에 대하여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외곽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실링 접촉되는 실링접촉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실링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가압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필요한 텐션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호 대향되는 테두리 결합부위의 내측 상하면에 리브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각각 접촉되는 상하면에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리브가 각각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실링접촉부의 단면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도록 지지부재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호 결합에 따른 가압에 대하여 상기 텐션부를 지지하여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른 가압력을 상기 가압부에 집중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텐션부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텐션부 영역을 커버하는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중앙부위가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게 접하고, 테두리부위가 상기 지지부재와 대응되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게 접하는 면에 상기 가압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압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KR1020100103132A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KR10120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32A KR101208218B1 (ko)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PCT/KR2011/006731 WO2012053743A1 (ko) 2010-10-21 2011-09-09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32A KR101208218B1 (ko)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09A KR20120041609A (ko) 2012-05-02
KR101208218B1 true KR101208218B1 (ko) 2012-12-04

Family

ID=4597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132A KR101208218B1 (ko)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8218B1 (ko)
WO (1) WO2012053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796559U (zh) * 2012-06-26 2013-03-13 三星电子株式会社 一种侧键组件以及应用该侧键组件的便携式终端
KR102073570B1 (ko) * 2012-08-24 2020-0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US9040855B2 (en) 2012-09-11 2015-05-26 Apple Inc. 3-dimensional seal for a button
KR101648935B1 (ko) * 2014-11-10 2016-08-18 (주)블루버드 모바일 결제단말기
KR102573190B1 (ko) 2015-10-16 2023-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WO2017065397A1 (ko) * 2015-10-16 2017-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US10686920B2 (en) 2016-08-30 2020-06-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6487974A (zh) * 2016-12-30 2017-03-08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侧键结构及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114A (ja) 2004-01-13 2005-07-28 Kokusai Denki Engineering:Kk キーボタン組立構造
JP2007123118A (ja) 2005-10-28 2007-05-17 Kenwood Corp キートップ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531B1 (ko) * 2003-03-06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20050056672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KR100619856B1 (ko) * 2004-05-1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114A (ja) 2004-01-13 2005-07-28 Kokusai Denki Engineering:Kk キーボタン組立構造
JP2007123118A (ja) 2005-10-28 2007-05-17 Kenwood Corp キートップ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3743A1 (ko) 2012-04-26
KR20120041609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218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KR101027052B1 (ko) 모바일 단말기
KR10230894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348362B2 (en) Flexible portable terminal
US9989999B2 (en) Method of scanning codes and processing data with handheld scanning jacket
KR101107015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64098B1 (ko) 모바일 단말기
US8383966B2 (e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ulti-character keycap
US897104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peripheral expansion module
CN106843388B (zh) 显示屏组件及其组装方法与电子装置
KR102220753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TWI549023B (zh) 穿戴式電子裝置
US20070215451A1 (en) Mobile device arrangement including replaceable touch panel
CN102474288B (zh) 移动终端机
US10098245B2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120041605A (ko) 모바일 단말기의 커넥터 커버 조립체
CN210491417U (zh) 一种电子设备
KR20120041604A (ko)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조립체
CN115567626A (zh) 电子设备
CN111273734B (zh) 指纹模组和具有其的电子设备
TWI541629B (zh) 電子裝置的框體結構
CN114070905B (zh) 壳体组件及其电子设备
CN111258379B (zh) 电子组件及保护壳
CN112671954B (zh) 一种电子设备
KR101088048B1 (ko)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