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015B1 -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015B1
KR101107015B1 KR1020100085813A KR20100085813A KR101107015B1 KR 101107015 B1 KR101107015 B1 KR 101107015B1 KR 1020100085813 A KR1020100085813 A KR 1020100085813A KR 20100085813 A KR20100085813 A KR 20100085813A KR 101107015 B1 KR101107015 B1 KR 10110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key
rubber
bracket
couple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8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015B1/ko
Priority to PCT/KR2011/005480 priority patent/WO2012030070A2/ko
Priority to CN2011800421556A priority patent/CN103141032A/zh
Priority to US13/820,136 priority patent/US20140124343A1/en
Priority to EP11822045.8A priority patent/EP2613446A4/en
Priority to JP2013526995A priority patent/JP201354126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13/063Casings hermetically closed by a diaphragm through which passes an actu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판면에 사이드키관통구가 형성된 사이드키장착부가 마련되는 후면 케이스; 사이드키장착부의 사이드키관통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면에 마련되는 방수 테이프; 및 방수 테이프와 결합되는 사이드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기능이 우수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방수 성능이 우수한 사이드 키 구조를 갖춘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고 개인 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라는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쓰인다.
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용 PDA는 일반 PDA에 없는 바코드스캐너, 카드 결제기 등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로서,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는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 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산업용 PDA는 전술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 PDA와 달리 일반적인 환경이 아닌 산업용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어느 수준 이상의 요구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즉 산업용 PDA는 일반 PDA와 달리 영하 10도 이하의 냉동창고에서 사용할 때도 있을 것이고 또한 야외에서도 장시간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히 예측되며 집배원 같은 사용자가 업무 상 함부로 다룰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어느 수준 이상의 내충격성, 방수, 내열/냉기능 등을 갖추어야 제품으로서 경쟁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산업용 PDA는 일반 PDA보다 좀더 견고하고 단단히 만들어져야 함은 물론 특히 눈이나 비에 견딜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함은 제품이 가져야 하는 필수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산업용 PDA의 방수 기능에 있어서 구조상 방수에 취약하고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공되는 사이드 키이다. 사이드키는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부착되어 사용자 선택 정보 신호를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 회로 기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품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 중에서 특히 산업용 PDA의 경우에 방수 기능이 우수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사이드 키 구조를 갖춘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기능이 우수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면에 사이드키관통구가 관통 형성된 사이드키장착부가 마련되는 후면 케이스;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의 상기 사이드키관통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면에 마련되는 방수 테이프; 및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되는 사이드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키 유닛은,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하며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버튼유닛; 상기 버튼유닛과 인접하여 마련되며 버튼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메인 PCB에 전달하는 사이드키PCB; 및 상기 사이드키PCB와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유닛을 지지하는 사이드키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유닛은, 상기 사이드키관통구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이드버튼; 상기 사이드버튼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버튼과 결합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되는 사이드키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키러버는,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하는 러버몸체부; 및 상기 러버몸체부의 중앙부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탄소 접점이 마련된 러버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버입력부는 상기 러버몸체부의 중앙부에 오목한 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키러버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키러버는 표면을 통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키PCB는, 상기 버튼유닛의 접촉으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기판부; 및 상기 입력기판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상기 메인 PCB에 전달하는 접속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부는 복수의 포고핀(Pogo Pin)을 포함하며, 상기 포고핀이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키브라켓은, 상기 사이드키PCB와 결합되며 상기 버튼유닛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하는 브라켓몸체부; 상기 브라켓몸체부에 양 측면에 단이 지도록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날개부; 및 상기 브라켓몸체부의 하부에 지면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마련되며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와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결합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의 양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브라켓날개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상기 브라켓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는 나사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테이프는 고무 재질에도 부착될 수 있는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이드키장착부가 구비된 후면 케이스를 마련하는 단계; 사이드키러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키러버에 사이드버튼을 합착하는 단계; 상기 후면 케이스의 사이드키관통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면에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방수 테이프에 상기 사이드키러버를 부착하는 단계; 사이드키PCB와 사이드키브라켓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키PCB가 부착된 상기 사이드키브라켓을 상기 후면 케이스의 슬라이딩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키브라켓을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나사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사이드키러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드키러버를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기능이 우수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면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이드 키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이드 키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사이드키 러버와 사이드키 PC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Ⅷ-Ⅷ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이드 키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사이드 키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사이드키 러버와 사이드키 PC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Ⅷ-Ⅷ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측면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는 판면에 사이드키관통구(111)가 형성된 사이드키장착부(110)가 마련되는 후면 케이스(100)와, 사이드키장착부(110)의 사이드키관통구(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면에 마련되는 방수 테이프(200)와, 방수 테이프(200)와 결합되는 사이드키 유닛(300)을 포함한다.
후면 케이스(100)는 모바일 단말기(1)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품으로 전면 케이스(150)와 사이에 내부 구성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두고 결합한다. 사이드키 유닛(300)은 모바일 단말기(1)의 측면에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구성품으로 모바일 단말기(1)의 메뉴선택, 바코드 입력 등의 사용자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1)의 메인 PCB(10)에 전달한다. 이러한 사이드키 유닛(300)이 모바일 단말기(1)에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 부위에 틈이 발생하여 단말기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할 염려가 있다. 특히, 산업용 PDA의 경우에는 방수성과 내구성이 더욱 요구되므로 조립의 편리성과 방수 효과를 위하여 사이드키 유닛(300) 후면 케이스(100)에 결합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적용할 경우 제작 및 조립의 편리성과 방수성능의 우수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방수 테이프(200)와 사이드키 유닛(300)의 결합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이드키 유닛(300)은 방수 테이프(200)와 결합하며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버튼유닛(310)과, 버튼유닛(310)과 인접하게 마련되며 버튼유닛(31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메인 PCB(10)에 전달하는 사이드키PCB(320, Printed Circuit Board)와, 사이드키PCB(320)와 결합되고 사이드키장착부(110)에 결합되어 버튼유닛(310)을 지지하는 사이드키브라켓(330)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버튼유닛(310)은 사용자가 사이드키 유닛(300)을 통한 사용자 입력 시 누름동작이 수행되는 부분으로서, 사이드키관통구(111)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이드버튼(311)과, 사이드버튼(311)과 결합되고 사이드버튼(311)과 결합된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 테이프(200)와 결합되는 사이드키러버(312)를 포함한다.
사이드버튼(311)은 사용자 입력 시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후면 케이스(100)의 사이드키관통구(111)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1)의 외부로 돌출된다. 사이드버튼(311)은 모바일 단말기(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하부에 후면 케이스(100)의 사이드키관통구(111)보다 크게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사이드버튼(311)이 사이드키관통구(1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이드버튼(311)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 성형되었으나 이와 유사한 다른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도 있다.
사이드키러버(312)는 방수 테이프(200)와 결합하는 러버몸체부(312a)와, 러버몸체부(312a)의 중앙부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탄소 접점(312c)이 마련된 러버입력부(312b)를 포함한다.
러버몸체부(312a)는 사이드버튼(3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드버튼(311)보다 크게 마련되며 사이드버튼(311)의 형상으로 제작된다. 러버몸체부(312a)의 가장자리에는 사이드버튼(311)을 수용하도록 러버몸체부(312a)의 두께방향으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 안쪽의 공간에 사이드버튼(311)이 수용된다. 또한 러버몸체부(312a)의 테두리 단부는 방수 테이프(200)와 결합된다.
러버입력부(312b)는 러버몸체부(312a)의 중앙부에 오목한 돔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러버입력부(312b)의 모바일 단말기(1) 외측 방향에는 사이드버튼(311)이 합착되어 사이드버튼(311)이 동작하는 경우 러버입력부(312b)가 일체로 동작하게 되고, 모바일 단말기(1) 내측 방향의 표면에는 사이드키PCB(320)에 신호를 전달하는 탄소 접점(312c)이 마련된다. 즉 사이드버튼(311)을 누름 동작하는 경우 사이드버튼(311)과 일체로 결합된 러버입력부(312b)가 같이 동작하게 되어 러버입력부(312b)의 사이드키PCB(320) 방향으로 마련된 탄소 접점(312c)이 사이드키PCB(320)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사이드키PCB(3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키러버(312)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버튼(311)을 통하여 러버입력부(312b)가 누름 동작된 후 사이드버튼(311)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에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러버입력부(312b) 및 사이드버튼(311)이 원위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이드키러버(312)의 러버입력부(312b)의 단면의 형상은 사이드버튼(311)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이드버튼(311)에 의하여 러버입력부(312b)가 누름 동작 된 후 압력 제거 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러버입력부(312b)가 원위치된다.
또한 사이드키러버(312)는 사이드키러버(312)의 표면에 틈이 발생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이 통과할 수 없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사이드키러버(312)의 러버몸체부(312a)의 테두리 단부는 방수 테이프(200)에 부착되고 따라서 사이드키러버(312)와 방수 테이프(200) 사이는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사이드키러버(312)의 표면을 통하여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드키러버(312)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사이드키러버(312)의 표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사이드키러버(312)와 방수 테이프(200)가 결합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의 사이드키 유닛(30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수 테이프(200)는 고무 재질에도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이드키PCB(320)는, 버튼유닛(310)의 접촉으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기판부(321)와, 메인 PCB(10)와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메인 PCB(10)에 전달하는 접속단자부(322)를 포함한다.
입력기판부(321)는 사이드키러버(312)와 유사한 형상의 판면으로 마련되며 입력기판부(321)의 중앙부에는 접점스위치가 프린트된다. 버튼유닛(310)이 누름 동작되어 사이드키러버(312)에 마련된 탄소 접점(312c)이 입력기판부(321)의 접점스위치에 접촉되면 접점스위치 상에 전류가 흐르면서 사이드키 유닛(300) 입력을 인식하게 된다.
접속단자부(322)는 입력기판부(321)의 후면 상부에 마련되어 메인 PCB(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기판부(321)에 의해 인식된 전류 신호를 메인 PCB(10)로 전달하여 사이드키 유닛(300) 입력을 메인 PCB(1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속단자부(322)는 메인 PCB(10)에 탄성 가압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포고핀(322a, Pogo Pin)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이드키브라켓(330)은, 사이드키PCB(320)와 결합되며 버튼유닛(3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하는 브라켓몸체부(331)와, 브라켓몸체부(331)에 양 측면에 단이 지도록 연장되어 마련되며 후면 케이스(100)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날개부(332)와, 브라켓몸체부(331)의 하부에 지면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마련되며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후면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333)를 포함한다.
브라켓몸체부(331)는 사이드키PCB(3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사이드키PCB(320)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면 중앙에 사이드키PCB(320)의 접속단자부(322)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다. 브라켓몸체부(331)는 사이드키PCB(320)와 접착 테이프로 부착된다.
브라켓날개부(332)는 사이드키PCB(320)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된 브라켓몸체부(331)의 양 측면에서 단이 지도록 연장되어 마련된다. 브라켓날개부(332)는 후면 케이스(100)의 사이드키장착부(110) 양 측면에 마련된 슬라이딩결합부(120)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간편히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라켓결합부(333)는 브라켓몸체부(331)의 하부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통하여 후면 케이스(100)에 마련된 나사결합부(130)에 나사 결합된다.
사이드키브라켓(330)은 사이드키 유닛(300) 상의 사이드키PCB(320)와 버튼유닛(310)을 지지하여 사이드키 유닛(300)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사이드키브라켓(330)은 다른 구성품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틸 재질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키브라켓(330)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브라켓몸체부(331)에 사이드키PCB(320)를 접착 테이프로 결합시킨 후 브라켓날개부(332)에 의하여 후면 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결합한 후 브라켓결합부(333)와 후면 케이스(100)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키브라켓(330)에 의하면 조립과 분해가 쉬워 공정이 단순해지고 사이드키 유닛(300)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후면 케이스(100)는 사이드키장착부(110)의 양 측면에 마련되어 브라켓날개부(33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120)와, 사이드키장착부(110)의 하부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상기 브라켓결합부(333)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31)이 형성되는 나사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결합부(120)는 두 개의 기둥이 공간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두 개의 기둥 사이 공간에 브라켓날개부(332)가 슬라이딩되어 장착된다. 슬라이딩결합부(120)는 사이드키장착부(110)의 양 측면에 브라켓날개부(332)와 대응되도록 각각 마련된다.
나사결합부(130)는 사이드키브라켓(330)이 슬라이딩 결합부에 장착될 때 사이드키브라켓(330)의 브라켓결합부(333)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나사결합부(130)에는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브라켓결합부(333)와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에 의하면, 방수 기능이 우수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방법은 사이드키장착부가 구비된 후면 케이스를 마련하는 단계(S100)와, 사이드키러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련하는 단계(S200)와, 사이드키러버에 사이드버튼을 합착하는 단계(S300)와, 후면 케이스의 사이드키관통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면에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S400)와, 방수 테이프에 사이드키러버를 부착하는 단계(S500)와, 사이드키PCB와 사이드키브라켓을 부착하는 단계(S600)와, 사이드키PCB가 부착된 사이드키브라켓을 후면 케이스의 슬라이딩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S700)와, 사이드키브라켓을 후면 케이스의 나사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S800)를 포함한다.
사이드키러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련하는 단계(S200)에서, 사이드키러버(312)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마련한다. 사이드키러버(312)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사이드키 유닛(300)이 누름 동작 되는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버튼부가 반복 동작될 수 있다.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S400)에서, 방수 테이프(200)는 고무 재질에도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특수 제작된 테이프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방수 기능이 우수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모바일 단말기
100 : 후면 케이스 110 : 사이드키장착부
200 : 방수 테이프 300 : 사이드키 유닛
310 : 버튼유닛 311 : 사이드버튼
312 : 사이드키러버 312a : 러버몸체부
312b : 러버입력부 312c : 탄소 접점
320 : 사이드키PCB 321 : 입력기판부
322 : 접속단자부 330 : 사이드키브라켓
331 : 브라켓몸체부 332 : 브라켓날개부
333 : 브라켓결합부

Claims (15)

  1. 판면에 사이드키관통구가 관통 형성된 사이드키장착부가 마련되는 후면 케이스;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의 상기 사이드키관통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면에 마련되는 방수 테이프; 및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되는 사이드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유닛은,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하며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버튼유닛;
    상기 버튼유닛과 인접하여 마련되며 버튼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메인 PCB에 전달하는 사이드키PCB; 및
    상기 사이드키PCB와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유닛을 지지하는 사이드키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유닛은,
    상기 사이드키관통구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이드버튼;
    상기 사이드버튼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버튼과 결합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되는 사이드키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러버는,
    상기 방수 테이프와 결합하는 러버몸체부; 및
    상기 러버몸체부의 중앙부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탄소 접점이 마련된 러버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입력부는 상기 러버몸체부의 중앙부에 오목한 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러버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러버는 표면을 통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PCB는,
    상기 버튼유닛의 접촉으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기판부; 및
    상기 입력기판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상기 메인 PCB에 전달하는 접속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는 복수의 포고핀(Pogo Pin)을 포함하며,
    상기 포고핀이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브라켓은,
    상기 사이드키PCB와 결합되며 상기 버튼유닛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하는 브라켓몸체부;
    상기 브라켓몸체부에 양 측면에 단이 지도록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날개부; 및
    상기 브라켓몸체부의 하부에 지면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마련되며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와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결합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의 양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브라켓날개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사이드키장착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상기 브라켓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는 나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테이프는 고무 재질에도 부착될 수 있는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4. 사이드키장착부가 구비된 후면 케이스를 마련하는 단계;
    사이드키러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키러버에 사이드버튼을 합착하는 단계;
    상기 후면 케이스의 사이드키관통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면에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방수 테이프에 상기 사이드키러버를 부착하는 단계;
    사이드키PCB와 사이드키브라켓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키PCB가 부착된 상기 사이드키브라켓을 상기 후면 케이스의 슬라이딩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키브라켓을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나사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러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드키러버를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20100085813A 2010-09-02 2010-09-02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0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813A KR101107015B1 (ko) 2010-09-02 2010-09-02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1/005480 WO2012030070A2 (ko) 2010-09-02 2011-07-25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CN2011800421556A CN103141032A (zh) 2010-09-02 2011-07-25 移动终端机及其制造方法
US13/820,136 US20140124343A1 (en) 2010-09-02 2011-07-2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1822045.8A EP2613446A4 (en) 2010-09-02 2011-07-2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526995A JP2013541265A (ja) 2010-09-02 2011-07-25 モバイル端末機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813A KR101107015B1 (ko) 2010-09-02 2010-09-02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015B1 true KR101107015B1 (ko) 2012-01-25

Family

ID=4561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813A KR101107015B1 (ko) 2010-09-02 2010-09-02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24343A1 (ko)
EP (1) EP2613446A4 (ko)
JP (1) JP2013541265A (ko)
KR (1) KR101107015B1 (ko)
CN (1) CN103141032A (ko)
WO (1) WO2012030070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6294A (zh) * 2013-03-22 2014-09-24 林佐伟 一种用于电子设备的防水保护套
WO2017142320A1 (ko) * 2016-02-19 2017-08-24 주식회사 와이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US10010005B2 (en) 2015-11-06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KR101899496B1 (ko) * 2012-02-21 2018-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US10424445B2 (en) 2013-09-03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button
KR20190109847A (ko) * 2018-03-19 2019-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2740B (zh) * 2016-05-31 2018-01-21 Acbel Polytech Inc 濾波連接器及其濾波電路板
WO2018043844A1 (ko) * 2016-08-30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897611B2 (ja) 2018-03-15 2021-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マイクロ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US10546702B2 (en) * 2018-05-04 2020-01-28 Jen-Wen SUN Key structure with display module
CN112689412A (zh) * 2020-12-07 2021-04-20 深圳市卡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用节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15A (ko) * 2001-11-28 2003-06-09 이토스템 주식회사 셀룰라폰의 본체 전면케이스 구조
KR20080029785A (ko) * 2006-09-28 2008-04-03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방수구조
KR20080047255A (ko) * 2006-11-24 2008-05-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JP2008130519A (ja) 2006-11-24 2008-06-05 Fujitsu Ltd 端子および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6370A (en) * 1987-03-27 1990-01-23 Teletec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microprocessor and software enhanced communications equipment
JP3079489B2 (ja) * 1995-11-02 2000-08-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パネルユニット
JP4442963B2 (ja) * 1999-10-26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ボタンスイッチ
JP4062675B2 (ja) * 2002-08-12 2008-03-19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横型押しボタンスイッチとその実装方法
KR100546965B1 (ko) * 2005-01-31 2006-01-26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JP4352178B2 (ja) * 2005-06-09 2009-10-2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押釦スイッチの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US20070215451A1 (en) * 2006-03-16 2007-09-20 Michael Sasloff Mobile device arrangement including replaceable touch panel
US7492602B2 (en) * 2006-07-14 2009-02-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JP4725895B2 (ja) * 2006-09-28 2011-07-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筐体の防水構造
CN101471194A (zh) * 2007-12-24 2009-07-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模组及应用该按键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JP5115310B2 (ja) * 2008-04-28 2013-01-0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101685716A (zh) * 2008-09-25 2010-03-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水按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15A (ko) * 2001-11-28 2003-06-09 이토스템 주식회사 셀룰라폰의 본체 전면케이스 구조
KR20080029785A (ko) * 2006-09-28 2008-04-03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방수구조
KR20080047255A (ko) * 2006-11-24 2008-05-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JP2008130519A (ja) 2006-11-24 2008-06-05 Fujitsu Ltd 端子および携帯端末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496B1 (ko) * 2012-02-21 2018-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CN104066294A (zh) * 2013-03-22 2014-09-24 林佐伟 一种用于电子设备的防水保护套
US10424445B2 (en) 2013-09-03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button
KR102058220B1 (ko) * 2013-09-03 2019-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10005B2 (en) 2015-11-06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WO2017142320A1 (ko) * 2016-02-19 2017-08-24 주식회사 와이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CN108701569A (zh) * 2016-02-19 2018-10-23 天津威盛电子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的侧按钮结构
KR20190109847A (ko) * 2018-03-19 2019-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KR102468709B1 (ko) * 2018-03-19 202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3446A2 (en) 2013-07-10
CN103141032A (zh) 2013-06-05
WO2012030070A3 (ko) 2012-04-26
EP2613446A4 (en) 2014-01-22
WO2012030070A2 (ko) 2012-03-08
JP2013541265A (ja) 2013-11-07
US20140124343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015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27052B1 (ko) 모바일 단말기
US8232485B2 (e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ulti-character keycap
KR101107016B1 (ko) 모바일 단말기
US897104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peripheral expansion module
KR101164098B1 (ko) 모바일 단말기
KR101208218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US20070223182A1 (en) Modular protective housing with peripherals for a handheld communicatons device
US8183478B2 (e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nected keycap
US7794239B2 (en) Mobile terminal
KR101107014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72048A1 (en) Key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CN113972082A (zh) 按键及电子设备
CA2716036C (en) A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ulti-character keycap
KR100700726B1 (ko) 모바일 단말기
CA2718570C (en) A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nected keycap
KR100851362B1 (ko) 모바일 단말기
CN100456405C (zh) 电子装置
EP2613445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