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584B1 -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584B1
KR102217584B1 KR1020200089186A KR20200089186A KR102217584B1 KR 102217584 B1 KR102217584 B1 KR 102217584B1 KR 1020200089186 A KR1020200089186 A KR 1020200089186A KR 20200089186 A KR20200089186 A KR 20200089186A KR 102217584 B1 KR102217584 B1 KR 10221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reflection
irradiation ligh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산
Original Assignee
김석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산 filed Critical 김석산
Priority to KR102020008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를 형성하며, 몸체는 구획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여 구획 가능한 영역을 통해 플렉서블하게 폴딩되는 바디 유닛; 바디 유닛 상에 제공되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징 유닛; 바디 유닛 상에 제공되며, 바디 유닛의 폴딩을 따라 이미징 유닛과 오버랩되어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굴절률이 조절되도록 하는 리프랙션 유닛; 및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소정의 모드를 설정하여 이미징 유닛과 리프랙션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유닛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System for refraction control by selectively overlapping lens}
본 발명은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념적으로 구획 가능한 영역으로 구분되는 영역을 통하여 폴딩되며,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역과 굴절률을 조절하는 영역의 오버랩을 통해, 목적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GSM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스마트폰 보급률이 51%에 달했다고 보고했으며, 스마트폰 보급률은 꾸준히 상승해 2020년에는 보급률이75%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의 경우, 미래창조과학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2018년 스마트폰 보급률이 85%로 세계 최고 수준이라 보고 했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은 폴더블폰과 5세대(5G) 폰 경쟁으로 재편되고 있다. 폴더블폰은 하면이 접히는 스마트폰으로 차세대 OLED 기술인 플렉시블 OLED가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접히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와 컨텐츠가 소비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의 형태변화는 모양의 변화만이 아니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역할을 동시에 한다는 것이다. 접으면 스마트폰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며, 펴는 경우 태블릿 PC와 같은 큰 화면으로의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큰 화면은 멀티태스킹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화면을 최소한 두개 또는 여러 개로 나누어 화면을 구획하면 업무의 활용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변화는 혁신적인 변화로 사용자들의 편의성과 활용성에 대한 장점을 제공한다.
다양한 장점에 의해 폴더블폰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는 추세이며, 기존의 변화 없는 스마트폰의 디자인과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혁신에 메마른 사용자에게 뚜렷하게 발현된 폴더블폰의 기술 혁신은 눈여겨 볼 만한 시장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내 S사가 포문을 연 폴더블폰 시장은 중국과 미국에서 잇따라 따라잡기에 나서는 추세이며,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2019년 50만대, 2020년 500만대를 거쳐 2023년 3500만 대로 확대돼 연평균 190% 성장 할 것이라 전망하였다.
아울러, 국내S사 외에도 중국의 H사가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할 예정이며 2020년에는 다양한 스마트폰 업체들이 줄지에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만큼 관련 시장의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
폴더블폰 시장은 아직 초기단계이며, 시장의 기대에 따라 기술 개발이 차츰 이루어지고 있는데, 폴더블폰 기술에 대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공개번호 제10-2016-0080034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1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공개 특허기술문헌으로는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등록번호 제10-2016-0117381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짐에 따라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펼쳐진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각도 이상이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고,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펼쳐진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 이상이면 터치 패널을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2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공개 특허기술문헌으로는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공개번호 제10-2016-0034660호, 이하 특허문헌3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폴더블 하우징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공간적 또는 시각적으로 분리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방향(예: 사용자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제1 방향(예: 제3자 방향)을 향한 상태로 변화하였다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제3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저장된 이미지를 쉽게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개된 선행 공개 특허문헌으로서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공개번호 제10-2017-0079545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4의 경우, 제1 바디부 및 제1 바디부를 기준으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본체, 제1 바디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카메라, 제2 바디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 카메라,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가 상대회전 되는 것에 종속하여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평평한 상태에서 카메라와 관련된 제1 촬영 모드에 진입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가 상대회전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촬영 모드와 다른, 카메라와 관련된 제2 촬영 모드에 진입하도록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의 공개문헌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이동식 단말기에 대한 제어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며, 특허문헌4의 경우, 카메라가 각각 형성되어 각 카메라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짐에 따라 포커싱을 달리 하는 것에 대한 것으로 현재까지는 카메라의 단순한 기능이나 디스플레이의 제어에 관련된 특허만이 존재한다.
공개번호 제10-2016-0080034호 등록번호 제10-1942950호 공개번호 제10-2016-0034660호 공개번호 제10-2017-0079545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플렉서블한 몸체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바디와 디스플레이가 폴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폴딩이 이루어지면, 이미지 획득을 위한 영역과 이미지로부터 굴절률을 조절하는 영역이 오버랩 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굴절률의 조절로 인하여 피사체의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은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는 구획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구획 가능한 영역을 통해 플렉서블하게 폴딩(folding) 되는 바디 유닛(body unit); 상기 바디 유닛 상에 제공되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징 유닛(imaging unit); 상기 바디 유닛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바디 유닛의 폴딩을 따라 상기 이미징 유닛과 오버랩되어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굴절률이 조절되도록 하는 리프랙션 유닛(refraction unit); 및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소정의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유닛(contro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유닛을 따라 플렉서블하게 형성되며,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획 가능한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이 상기 구획 가능한 영역으로부터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바디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이 폴딩을 형성하며, 폴딩을 통해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이 오버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이미징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획득하되, 상기 리프랙션 유닛은,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오버랩에 의해 조사광이 조절되어 상기 이미징 유닛으로 하여금 포커싱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을 통해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을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시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상기 이미지가 확인되도록 하는 이미지 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미션 수신부; 및 상기 미션 수신부에서 수신된 미션에 따라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동작을 조절하는 미션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하여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상기 조사광에 대한 설정 모드를 조절하여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을 임의 조절하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상기 리프랙션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리프랙션 유닛으로 인가되는 상기 조사광의 양을 조절하는 라이트(light)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폴딩을 통하여 이미징 유닛과 리프랙션 유닛이 오버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촬영물을 제시하도록 한다.
둘째, 이미징 유닛과 리프랙션 유닛의 각각의 콘트롤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임의 조절에 의해 다양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피사체로부터의 조사광에 대한 조절을 통하여 피사체의 다양한 동작 및 환경에서의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이미징 유닛과 리프랙션 유닛이 오브젝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제시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사용자의 임의 조절을 미션 수신부가 수신하여 미션 동작이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부에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리프랙션 유닛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리프랙션 유닛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각 유닛의 블록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바디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리프랙션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콘트롤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이미징 유닛과 리프랙션 유닛이 오브젝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제시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사용자의 임의 조절을 미션 수신부가 수신하여 미션 동작이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부에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리프랙션 유닛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리프랙션 유닛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각 유닛의 블록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바디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리프랙션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10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콘트롤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은 바디 유닛(body unit, 100), 이미징 유닛(imaging unit, 200), 리프랙션 유닛(refraction unit, 300), 콘트롤 유닛(control unit, 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디 유닛(100)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ivice) 예컨대, 워치형 디바이스, 글래스형 디바이스, HMD(Head Mounted Displa) 등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고정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바디 유닛(100)은 몸체를 형성하며, 몸체는 구획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여 구획 가능한 영역을 통해 플렉서블하게 폴딩될 수 있다.
바디 유닛(100)은 폴딩되어 한면과 다른 한면이 접촉하여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폴딩(folding) 되어 접혀진 상태는 임의의 외력에 의하여 펼쳐 질 수 있으나, 임의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획 가능한 영역은 개념적으로 구획되는 영역에 해당하며, 개념적 구획 가능한 영역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굽힐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 가능한 영역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도 있으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지 않으나 몸체 즉, 바디 유닛(100)의 플렉서블함을 제공하는 하나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유닛(100)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립 형태, 슬라이드 형태, 스윙 형태, 스위블 형태, 클램셀 형태 등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바디 유닛(100)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디 유닛(100)이 양 측면으로 형성된 형태 외 3개 이상의 구획되는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미징 유닛(200)의 경우, 바디 유닛(100) 상에 제공되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촬영을 실시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해당하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빛에 해당하는 조사광을 통하여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징 유닛(200)은 빛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기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이용한 비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미징 유닛(200) 내부에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는 빛을 받아들여 이미징 유닛(200)에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조사광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사광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사광을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인 전기신호로 바꾸는 장치(예컨대, CMOS, CC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신호로 바뀐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보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촬영 직후 확인이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미징 유닛(200)은 조리개를 통해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셔터를 통하여 빛을 차단하거나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징 유닛(200)의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어두운 곳에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래시(미도시)의 구비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징 유닛(200)은 바디 유닛(100)의 전후 모두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되어 짐에 따라 바디 유닛(100)의 전면에 형성된 오브젝트(피사체)와 후면에 형성된 오브젝트를 모두 촬영하여 보여 지도록 할 수 있다.
리프랙션 유닛(300)은 바디 유닛(100) 상에 제공되며, 바디 유닛(100)의 폴딩을 따라 이미징 유닛(200)과 오버랩되어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굴절률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리프랙션 유닛(300)은,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킬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유리 또는 광물,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과하는 빛은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과하여 굴절하게 되며, 굴절된 빛을 통해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부(110)에 제시되는 이미지를 목적이 따라 다양하게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즉, 리프랙션 유닛(300)은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을 통과하여 조사광에 대한 굴절을 변화시키며 변화된 굴절로 인하여 오브젝트의 이미지에 대한 접사, 광각, 아웃포커싱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시할 수 있다.
종래의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에 여러 개의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는데 내장된 카메라는 각각 다른 렌즈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맞추어 카메라를 선택하여 촬영하거나 여러 개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화면을 조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제시하는데, 이러한 경우, 스마트폰의 한정된 물리적 공간에 많은 카메라가 구비되기 어려우며, 스마트폰에 여러 개의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외관이 견고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할 수 있다.
콘트롤 유닛(400)의 경우,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소정의 모드를 설정하여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 유닛(40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명령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입력 받을 수도 있으며, 음성 인식, 동작 인식 등을 통하여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콘트롤 유닛(400)이 콘트롤하는 영역은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징 유닛(200)의 촬영모드, 대기모드 등과 같은 설정, 리프랙션 유닛(300)의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조절 및 굴절률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콘트롤 유닛(400)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 미리 설정된 입력버튼을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사용자는 화면의 터치를 통해 콘트롤 유닛(400)에 명령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작동 제어에 대한 물리적 버튼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는 바디 유닛(100)의 일측에서 사용자의 임의 외력을 통하여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바디 유닛(100)은,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바디 유닛(100)을 따라 플렉서블하게 형성되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체적인 처리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카메라 구동여부, 프로그램 진행 여부 이외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의 현재 촬영 상태나 리프랙션 유닛(300)의 굴절을 통한 오브젝트 이미지의 변화 등을 화면을 통해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와 프로그램, 기계,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서 사용자의 입력 및 명령을 받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필요한 요소를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필요한 요소로부터 의도한 결과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바디 유닛(100)의 플렉서블한 움직임을 따라 폴딩과 언폴딩(unfolding)에 대하여 굽혀지거나 펴지는 것이 가능하여야 하며, 플렉서블하게 움직이지만, 개념적으로만 구분되어 질 뿐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방식에 따라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되어 보여지는 오브젝트의 이미지 화면은 이미징 유닛(200)을 통하여 촬영되는 화면일 수 있으며,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하여 촬영되는 오브젝트에 해당할 수도 있다.
폴딩된 바디 유닛(100)을 통해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하여 오브젝트가 촬영되는 경우, 바디 유닛(100)은 폴딩을 유지하는 상태로 오브젝트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폴딩을 유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바디 유닛(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촬영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110)는, 구획 가능한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경우, 변형이 가능한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형성되는 경우, 바디 유닛(100)과 함께 접힘, 구부러짐, 말림 등의 외력에 의한 플렉스블한 형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힘이나 구부러짐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구획 가능한 영역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은 하나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구획 가능한 영역은 방향에 상관없이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예컨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외의 그 외의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구획 가능한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획되는 영역은 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 전면에 제공하여 구획되는 영역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여 구획된 영역으로 구분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디 유닛(100) 전체를 형성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도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의해 각각 나누어지는 두개의 영역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경우 투명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투명한 상태라 함은 예컨대, 유리 혹은 투명한 재질을 통하여 제공되며, 투명한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앞서 서술한 터치 혹은 그 외의 조작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바디 유닛(100)은,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이 구획 가능한 영역으로부터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폴딩되는 경우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이 오버랩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로 오버랩 되기 위하여 구획 가능한 영역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획 가능한 영역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구비되어 폴딩 되는 경우 오버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 유닛(100)이 전면으로 폴딩되는 경우 전면에 형성된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이 오버랩 될 수 있으며, 이미징 유닛(200)이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 리프랙션 유닛(300)은 후면에 구비된 이미징 유닛과 오버랩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랩을 형성하기 위하여 리프랙션 유닛(300)은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여 관통하는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관통하는 홀을 통하여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이 통과되어 이미징 유닛(200)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바디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이 폴딩을 형성하며, 폴딩을 통해 이미징 유닛(1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이 오버랩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구획되는 영역을 폴딩을 통하여 이미징 유닛(1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은 오버랩을 형성하며, 오버랩을 통하여 오브젝트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촬영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다.
바디 유닛(100)이 폴딩되어 리프랙션 유닛(300)과 이미징 유닛(100)이 중첩되면, 바디 유닛(100)은 중첩됨을 인식하여 리프랙션 유닛(300)과 이미징 유닛(100)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후면 또는 외부에 하나 더 형성되는 경우, 폴딩이 형성되면 후면 또는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촬영되는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후면 또는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서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후면을 향하도록 폴딩되는 경우, 촬영되는 오브젝트의 이미지는 양면에 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일면에 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은 오브젝트의 위치 및 사용자의 촬영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이미징 유닛(200)은,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획득하되, 리프랙션 유닛(300)은,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의 오버랩에 의해 조사광이 조절되어 이미징 유닛(200)으로 하여금 포커싱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서로 오버랩 된 경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조사광을 먼저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해 통과시키며,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해 통과되어 굴절이 변화된 조사광은 이미징 유닛(200)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최종적 목적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리프랙션 유닛(300)의 조절 또는 이미징 유닛(200)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리프랙션 유닛(300)의 경우, 도6및 9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드부(310), 익스펜션부(320), 포커싱부(330), 프록시미티부(34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드부(310)는, 와이드부(310)와 이미징 유닛(200)의 거리를 짧게 형성하여,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해 보여지는 모든 오브젝트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이드부(310)의 경우, 여러 곳에서 들어오는 조사광을 한 번에 한 곳에 모이게 하여 넓은 시야에 대한 오브젝트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드부(310)는, 일측에 조사광을 분산하는 광 분산 와이드부(311)를 구비한 후 타측에 조사광을 모으는 광 집합 와이드부(31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 통하여 와이드부(310)에 들어온 조사광이 광 집합 와이드부(312)를 통해 멀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익스펜션부(320)는, 익스펜션부(320)와 이미지 유닛(200)이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익스펜션부(320)는, 조사광을 분산하고 조사광을 한 곳으로 모이게 하는 과정을 통해 오브젝트에 대한 조사광 확대가 가능하도록 하여, 실제로는 원거리에 있는 오브젝트가 굴절을 통해 확대되어 짐에 따라 가깝게 보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익스펜션부(320)는, 일측에는 조사광을 한곳으로 모이게 하는 광 집중 익스펜션부(321)와 타측에는 조사광을 넓히는 광 확장 익스펜션부(322)를 형성한다.
포커싱부(330)는 포커싱부(330)와 이미징 유닛(200)이 항상 같은 거리를 유지하며, 오브젝트가 포커싱부(330)와 이미징 유닛(200)이 설정한 초점의 거리에 들어오는 경우 오브젝트의 이미지가 확실하게 보여 지도록 하며, 초점 거리에 들어오지 않는 오브젝트에 대하여서는 이미지가 불확실하게 보여 지도록 할 수 있다.
포커싱부(330)는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조절부(350)를 중심으로 비대칭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포커싱부(331)는 크지만, 백 포커싱부(332)는 작게 형성되는 라이트 조절부(350)를 중심으로 하는 비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비대칭적으로 구성된 포커싱부(330)의 오브젝트 이미지에 대한 결과물은 중심부는 밝고 선명하지만, 주변부는 밝고 선명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포커싱부(330)는 오브젝트의 심도 있는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록시미티부(340)는 프록시미티부(340)와 이미징 유닛(200)의 거리를 증가시켜 실제 오브젝트의 거리보다 더 가까운 오브젝트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록시미티부(340)의 경우, 조사광을 한 곳에 모이게 함을 통해 실제 오브젝트의 거리보다 근접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얼마나 조사광을 한 곳에 모이게 할 수 있는지에 따라 오브젝트의 세밀한 촬영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록시미티부(340)는, 라이트 조절부(350)를 중심으로 동일한 프록시미티부(340)를 구비하고 동일한 프록시미티부(340) 사이에 조사광을 한곳으로 모아주며 이동함을 통하여 오브젝트의 확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리프랙션 유닛(300)은 각각의 모드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리프랙션 유닛(300)내에 구비되는 각각의 조합에 의하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리프랙션 유닛(300)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각 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조합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리프랙션 유닛(300)에 구비되는 와이드부(310), 익스펜션부(320), 포커싱부(330), 프록시미티부(340)의 각각은 리프랙션 유닛(300)의 내부에 형성되어져 사용자의 조절에 의하여 조절되어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되어 보여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도8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수신부(111) 및 이미지 제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수신부(111)의 경우,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을 통해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을 통과하여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미지 제시부(112)의 경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제시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이미지가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하는 과정을 이미지 수신부(111)와 이미지 제시부(112)가 제공하며, 이미지 수신부(111)는 리프랙션 유닛과 이미징 유닛(200)을 통해 들어온 오브젝트에서 반사된 조사광이 디지털 신호화 되어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콘트롤 유닛(400)은, 도10도시된 바와 같이, 미션 수신부(410) 및 미션 동작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션 수신부(410)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미션 수신부(410)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의 터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미션을 수신할 수 있다.
미션 수신부(41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프로그램을 통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미리 설정된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개념적 버튼을 제시하며, 이러한 개념적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미션 동작부(420)의 경우, 미션 수신부(410)에서 수신된 미션에 따라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미션을 입력 받은 미션 수신부(410)는 입력 받은 미션을 동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신 받은 동작에 대하여 각 이미징 유닛(200)과 리프랙션 유닛(300)의 동작을 조절하고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미션 동작부(42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동작하여 명령 동작의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명령 동작의 결과는 오브젝트 이미지에 대한 변화 이미지 등을 통하여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의 리프랙션 유닛(300)은,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광량을 측정하여 리프랙션 유닛(300)으로 인가되는 조사광의 양을 조절하는 라이트(light) 조절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 조절부(350)는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광량 측정을 통하여 조사광이 리프랙션 유닛(300)으로 인가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데, 라이트 조절부(350)는 조사광이 들어오는 공간의 조절의 통하여 인가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조사광이 매우 많은 경우, 즉, 매우 밝은 조명으로 인하거나 낮에 촬영되는 오브젝트(피사체)의 경우, 라이트 조절부(350)가 광이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좁게 형성하면 조사광이 적게 들어와 적당한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는 반면, 라이트 조절부(350)가 광이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넓게 형성하면, 조사광이 너무 많이 들어와 하얗게 제시되어 이미지의 구분이 힘들 수 있다.
라이트 조절부(350)가 조절하는 조사광이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은 야간, 낮에 따라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광량 측정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임의 조절로 인하여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라이트 조절부(350)는 조사광이 들어오는 공간의 넓고 좁음 뿐만 아니라, 조사광이 들어오는 시간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조사광은 야간의 경우, 매우 적은 양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라이트 조절부(350)가 조사광이 들어오는 시간을 조절함에 따라 야간에서의 오브젝트의 이미지 획득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사광이 들어오는 속도를 조절함으로 빠른 움직임을 형성하는 오브젝트(피사체)의 촬영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유닛
110: 디스플레이부
111: 이미지 수신부
112: 이미지 제시부
200: 이미징 유닛
300: 리프랙션 유닛
310: 와이드부
311: 광 분산 와이드부
312: 광 집합 와이드부
320: 익스펜션부
321: 광 집중 익스펜션부
322: 광 확장 익스펜션부
330: 포커싱부
331: 프론트 포커싱부
332: 백 포커싱부
340: 프록시미티부
350: 라이트 조절부
400: 콘트롤 유닛
410: 미션 수신부
420: 미션 동작부

Claims (10)

  1.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는 구획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구획 가능한 영역을 통해 플렉서블하게 폴딩(folding) 되는 바디 유닛(body unit);
    상기 바디 유닛 상에 제공되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징 유닛(imaging unit);
    상기 바디 유닛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바디 유닛의 폴딩을 따라 상기 이미징 유닛과 오버랩되어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굴절률이 조절되도록 하는 리프랙션 유닛(refraction unit); 및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소정의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유닛(control unit)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유닛을 따라 플렉서블하게 형성되며,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획 가능한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은,
    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제공되며, 구부러지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여 구획된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이 상기 구획 가능한 영역으로부터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되는 개념적 영역이 폴딩을 형성하며, 폴딩을 통해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이 오버랩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 유닛이 폴딩되어 상기 리프랙션 유닛과 이미징 유닛이 중첩되면, 바디 유닛은 중첩됨을 인식하여 리프랙션 유닛과 이미지 유닛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이미징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획득하되,
    상기 리프랙션 유닛은,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오버랩에 의해 조사광이 조절되어 상기 이미징 유닛으로 하여금 포커싱 이미지를 획득하며,
    이미징 유닛과 리프랙션 유닛이 서로 오버랩 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조사광을 먼저 상기 리프랙션 유닛을 통해 통과시키며, 상기 리프랙션 유닛을 통해 통과되어 굴절이 변화된 조사광은 상기 이미지 유닛을 통과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을 통해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을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시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상기 이미지가 확인되도록 하는 이미지 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미션 수신부; 및
    상기 미션 수신부에서 수신된 미션에 따라 상기 이미징 유닛과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동작을 조절하는 미션 동작부; 및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하여 상기 리프랙션 유닛의 상기 조사광에 대한 설정 모드를 조절하여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을 임의 조절하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션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개념적 버튼을 제시하여, 개념적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도록 하며,
    상기 리프랙션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조사광의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리프랙션 유닛으로 인가되는 상기 조사광의 양을 조절하는 라이트(light) 조절부;
    조사광을 한번에 한곳에 모이게 하여 넓은 시야에 대한 상기 오브젝트를 촬영하는 와이드부;
    일측에는 조사광을 한곳에 모이게 하며, 타측에는 조사광을 넓히는 익스펜션부;
    상기 이미징 유닛과 같은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초점 거리에 들어오는 경우 오브젝트의 이미지가 확실하게 보여지도록 하는 포커싱부; 및
    조사광을 한 곳에 모이게 함을 통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근접 이미지를 촬영하는 프록시미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89186A 2020-07-17 2020-07-17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KR10221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186A KR102217584B1 (ko) 2020-07-17 2020-07-17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186A KR102217584B1 (ko) 2020-07-17 2020-07-17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584B1 true KR102217584B1 (ko) 2021-02-18

Family

ID=7468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186A KR102217584B1 (ko) 2020-07-17 2020-07-17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584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231A (ja) * 2002-12-19 2004-09-02 Meta Corporation Japan 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40110155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폴더 아이콘들이 이동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50020223A (ko) * 2003-08-21 2005-03-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적응적으로 폴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6010766A (ja) * 2004-06-22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
JP2007206617A (ja) * 2006-02-06 2007-08-16 Fujifilm Corp カメラ
KR20160034660A (ko) 2014-09-22 201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20160080034A (ko) 2014-12-29 201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9545A (ko)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228A (ko) * 2016-01-06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9370A (ko) * 2016-09-12 201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
KR101942950B1 (ko) 2015-03-31 2019-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11414A (ko) * 2017-07-25 2019-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 부재를 구비한 휴대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231A (ja) * 2002-12-19 2004-09-02 Meta Corporation Japan 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40110155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폴더 아이콘들이 이동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50020223A (ko) * 2003-08-21 2005-03-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적응적으로 폴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6010766A (ja) * 2004-06-22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
JP2007206617A (ja) * 2006-02-06 2007-08-16 Fujifilm Corp カメラ
KR20160034660A (ko) 2014-09-22 201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20160080034A (ko) 2014-12-29 201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2950B1 (ko) 2015-03-31 2019-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9545A (ko)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228A (ko) * 2016-01-06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9370A (ko) * 2016-09-12 201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
KR20190011414A (ko) * 2017-07-25 2019-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 부재를 구비한 휴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76512B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以及头部佩戴型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102429427B1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459457B2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JP6364715B2 (ja) 透過型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RU26380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и программа
KR102423830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814252B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KR201700352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094307A (zh) 一种具有前置摄像头的移动设备
CN105705993A (zh) 利用面部检测来控制摄像机
CN105718187A (zh) 移动终端及控制移动终端的内容的方法
KR102361025B1 (ko) 웨어러블 글래스 및 웨어러블 글래스를 통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JP2022188060A (ja) 視覚メディアのキャプチャ及び管理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8017625A1 (en) User interface for smart digital camera
CN113709410A (zh) 基于mr眼镜的人眼视觉能力增强的方法、系统及设备
KR20160146037A (ko) 카메라의 초점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US907176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N106534624A (zh) 移动终端
CN115176194A (zh) 一种用于可穿戴电子设备的超伸展铰链
KR102159767B1 (ko)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인성 개선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230047055A (ko)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98671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462259B2 (en) Electronic device
KR20130081069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17584B1 (ko)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