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148A -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148A
KR20240058148A KR1020247011322A KR20247011322A KR20240058148A KR 20240058148 A KR20240058148 A KR 20240058148A KR 1020247011322 A KR1020247011322 A KR 1020247011322A KR 20247011322 A KR20247011322 A KR 20247011322A KR 20240058148 A KR20240058148 A KR 2024005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panel
mode
transparent
varia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5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19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electrochromic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실 환경에서도 ACR를 높여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중첩되는 가변 차광 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이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부분이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기 위하여 영상표시기기의 성능 향상 및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졌고, 향상된 영상표시기기의 성능을 통하여 단순히 방송국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시청할 뿐만 아니라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등 영상표시기기를 통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OLED 디스플레이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는 자발광 소자로 휘도가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초박막화가 가능하여 차세대 표시 장치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는 캐소드와 애노드를 투명 전극으로 형성하고, 각 화소가 OLED, OLED를 구동하는 화소 회로 및 투명부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양측으로 발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양면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OLED 디스플레이는 항상 각 화소의 투명부를 통해 외부광을 투과시키므로 투과광을 차단해야 하는 블랙을 구현하기 어렵고, 명실 환경에서 외부광에 의해 ACR(Ambient Contrast Ratio)이 떨어져서 시인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명실 환경에서도 ACR를 높여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중첩되는 가변 차광 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이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부분이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복수의 차광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 중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트 위치에 대응되는 일부 차광 영역이 상기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차광 영역이 상기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Electrochromic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차광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여 차광 모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나머지 차광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서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면적이 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복수의 영상 파라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복수의 영상 파라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값 이상이거나 미만이 되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중첩되어,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주변광 센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광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광의 밝기에 따라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의 차광 농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광 농도가 상기 측정된 주변광 밝기와 비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중첩되는 가변 차광 패널, 및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광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의 일부분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일부분이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서 투명 모드가 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중첩되는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이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부분이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 영역이 선별적으로 차광 모드로 되도록 함으로써, 명실 환경에서도 상기 일부 영역에서 ACR을 높여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 영역이 선별적으로 차광 모드로 될 때, 주변광 밝기에 따라 차광 농도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가변 차광 패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동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차광 패널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가변 차광 패널이 서로 중첩된 것을 도시한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가변 차광 패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동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가변 차광 패널 내에서 차광 모드로 전환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가변 차광 패널에서 차광 농도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4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컨텐츠 소스 별로 분류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는,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외부 장치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및 통화와 관련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드 오브젝트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는 카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의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내에, 수신되는 방송 영상과,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영상은 잠금 설정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에, 영상표시기기 내의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터 설정, 네트워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셋업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로그인, 도움말 또는 나가기 항목에 대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 내의 카드 오브젝트명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접속된 외부장치 또는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포커싱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 내로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에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해 좀더 살펴보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 및 가변 차광 패널(182)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투명 OLED 디스플레이는 항상 각 화소의 투명부를 통해 외부광을 투과시키므로 투과광을 차단해야 하는 블랙을 구현하기 어렵고, 명실 환경에서 외부광에 의해 ACR(Ambient Contrast Ratio)이 떨어져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차광 여부가 가변되는 가변 차광 패널(18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OLED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일측면에 중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대표적인 예로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와 전기 변색 필터로 알려진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Electrochromic Device)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투명 OLED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배면에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가 중첩되어 부착될 수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PDLC의 경우 전원이 공급되면 투명해지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불투명해진다. 즉, PDLC는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 불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비해,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불투명해지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투명해진다. 즉,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는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 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는 "투명"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투명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투명 상태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가변 차광 패널(182)이 투명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차광 패널(182)로서는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투명 상태를 유지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가 PDLC보다 전력 소비 측면에서 좀더 유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가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광 영역 (또는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가 36개의 영역(A1-A36)으로 구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보다 더 많거나 적은 개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복수의 차광 영역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의 경우 응답속도가 면적에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에 작은 블록으로 나누는 경우 응성 속도 측면에서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는 각 차광 영역이 개별적으로 투명 모드와 차광 모드 간에 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 및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 이외에도 차광패널 컨트롤러(183) 및 복수의 드라이버(184-1 내지 184-N)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널 컨트롤러(183)는 상기 제어부(17)과 통신하여, 전원을 온(ON)하거나 오프(OFF)할 차광 영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각 드라이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184-1 내지 184-N)는 상기 차광 패널 컨트롤러(183)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들 중에서 전원이 온되어야 하는 차광 영역에는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오프해야 하는 차광 영역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이 공급되는 차광 영역은 차광 모드가 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차광 영역은 투명 모드가 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드라이버가 여러 개의 차광 영역들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여러 개의 차광 영역들에 동시에 전원을 온거나 오프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차광 영역들을 서로 개별적으로 다르게 온하거나 오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도 3에서 도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되었다.
이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의 동작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에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즉,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의 모든 차광 영역들이 투명 모드로 되는 경우)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가변 차광 패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동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상기 가변 차광 패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에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같은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상의 밝은 생활 환경 내에 배치된 영상표시기기(100)의 투명 디스플레이(180)에 아무 것도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있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도시의 간편함을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180)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에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의 모든 차광 영역들이 투명 모드로 되어 있으므로, 배면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을 투과하여 전면에 있는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에 비디오 컨텐트(3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비디오 컨텐트(300)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과 미러링되는 스마트폰(미도시)의 화면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는 각 화소의 투명부를 통해 배면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명실 환경에서 외부광에 의해 ACR이 떨어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차광 패널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는 복수의 차광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가 36개의 차광 영역들이 A1 내지 A36으로 각각 명명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의 각각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의 각각에 대응되는 36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B1 내지 B36으로 명명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A1 차광 영역, A2 차광 영역, ... , A36 차광 영역은 각각 B1 디스플레이 영역, B2 디스플레이 영역, ... , B36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 내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도시된 가로선 및 세로선은 가상의 선으로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에서 실제로 육안으로 보이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비디오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B10, B11, B16, B17, B22, B23, B28 및 B29 영역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차광 패널 컨트롤러(183)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영역이 A10, A11, A16, A17, A22, A23, A28 및 A29 영역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 영역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면적을 갖도록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최소 면적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크기와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달라지면, 그 달라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 영역도 달라질 수 있다.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 영역은 차광 모드가 될 수 있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차광 영역은 투명 모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배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 영역이 차광 모드로 되어 있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1)가 중첩된 것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가변 차광 패널이 서로 중첩된 것을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가 36개의 차광 영역들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의 36개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서로 대응되도록 중첩된 36개의 중첩 영역들이 C1 내지 C36으로 각각 명명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A1 차광 영역, A2 차광 영역, ... , A36 차광 영역은 각각 B1 디스플레이 영역, B2 디스플레이 영역, ... , B36 디스플레이 영역과 대응되도록 중첩되어, C1 중첩 영역, C2 중첩 영역, ... , C36 중첩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첩 영역에서 차광 모드에 있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1)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첩 영역이 C10, C11, C16, C17, C22, C23, C28 및 C29 영역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첩 영역에서 차광 모드에 있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1)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가 일상의 밝은 생활 환경 내에 배치된 것에 대해 도 9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가변 차광 패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동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9는 일상의 밝은 생활 환경 내에서 배치된 영상표시기기(100)의 투명 디스플레이(180)에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는 도시의 간편함을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180)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에는 상기 차광 모드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첩 영역(400)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트(3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는 각 화소의 투명부를 통해 배면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을 투과시키더라도, 상기 비디오 컨텐트(300)가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첩 영역(400)에서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1)가 차광 모드로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광이 차단되어 투과될 수 없기 때문에 명실 환경에서 외부광에 의해 ACR이 거의 떨어지지 않아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시인성이 악화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첩 영역(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비디오 컨텐트(300)에 더욱 시선이 집중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차광 모드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첩 영역(400)의 면적이 상기 비디오 컨텐트(300)의 크기보다 더 큰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차광 모드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첩 영역(400)의 면적이 상기 비디오 컨텐트(300)의 크기와 거의 같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0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가변 차광 패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동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이 36개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의 개수가 더욱 많아질수록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해상도가 높아져서,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면적의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중첩 영역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크기에 근접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해상도가 충분히 높아질수록 상기 차광 모드로 되는 중첩 영역의 면적이 상기 비디오 컨텐트 크기에 근접될 수 있음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가변 차광 패널 내에서 차광 모드로 전환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가변 차광 패널 내에서 차광 모드로 전환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81)에서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S111].
그 다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의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S112].
그 다음, 상기 제어부(1700)는 상기 파악된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의 영역을 차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13].
이상에서는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의 영역 전부가 차광 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182)의 영역만이 차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일부 영역은, i)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준비될 때 사전 설정된 영역이거나, ii) 상기 비디오 컨텐트에서 복수의 영상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명암(contrast), 밝기(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값 이상이거나 미만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가변 차광 패널 내에서 차광 모드로 전환되는 영역의 차광 농도는 사전 설정된 일정 차광 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광 농도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이 구현할 수 있는 최대치 농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광 농도가 최대치인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라는 장점이 반감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상기 차광 농도를 떨어뜨리면 명실 환경에서 시인성이 많이 개선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농도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2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가변 차광 패널에서 차광 농도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80)에 주변광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주변광 센서를 통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배치되는 곳의 주변광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S121].
그 다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측정된 주변광 밝기에 따라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차광 농도가 다르게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S122]. 상기 차광 농도는 상기 가변 가광 패널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된 주변광 밝기가 밝을수록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차광 농도가 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명실 환경에서는 외부광에 의한 ACR가 떨어지지 않아서 시인성이 악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주변광 밝기가 어두울수록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차광 농도가 옅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암실 환경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라는 장점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중첩되는 가변 차광 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이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부분이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복수의 차광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 중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트 위치에 대응되는 일부 차광 영역이 상기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차광 영역이 상기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Electrochromic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차광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여 차광 모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나머지 차광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서 투명 모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면적이 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복수의 영상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복수의 영상 파라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값 이상이거나 미만이 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중첩되어,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주변광 센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광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광의 밝기에 따라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의 차광 농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광 농도가 상기 측정된 주변광 밝기와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1.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중첩되는 가변 차광 패널; 및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광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의 일부분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일부분이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서 투명 모드가 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12.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컨텐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중첩되는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이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부분이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복수의 차광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차광 영역 중에서 상기 비디오 컨텐트 위치에 대응되는 일부 차광 영역이 상기 차광 모드가 되고 나머지 차광 영역이 상기 투명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일렉트로크로믹 디바이스(Electrochromic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 차광 영역에 전원이 공급하여 차광 모드가 되고, 상기 나머지 차광 영역에 전원이 공급하지 않아서 투명 모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면적이 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복수의 영상 파라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은 상기 비디오 컨텐트의 복수의 영상 파라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값 이상이거나 미만이 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중첩되어,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주변광 센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주변광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광의 밝기에 따라 상기 차광 모드가 되는 상기 가변 차광 패널의 일부분의 차광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KR1020247011322A 2021-10-20 2021-10-20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8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4743 WO2023068400A1 (ko) 2021-10-20 2021-10-20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148A true KR20240058148A (ko) 2024-05-03

Family

ID=8605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322A KR20240058148A (ko) 2021-10-20 2021-10-20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8148A (ko)
WO (1) WO20230684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097B1 (ko) * 2006-12-19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9460118A (zh) * 2011-09-30 2019-03-12 英特尔公司 可变换的计算设备
KR20140063060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87157B1 (ko) * 2013-03-20 202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26565A (ko) * 2013-09-03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400A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0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1027354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20050267A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2005028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1703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9265B1 (ko)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916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09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268047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6346B1 (ko) 오디오 확장모듈
KR20120069961A (ko) 컨텐츠 이미지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21179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40058148A (ko)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224321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2478460B1 (ko) 표시장치와 그 영상 처리 방법
KR10170296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400239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22119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13097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6111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220638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2149200B1 (ko) 입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KR102658129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724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