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30B1 - 플렉시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330B1
KR101420330B1 KR20120067300A KR20120067300A KR101420330B1 KR 101420330 B1 KR101420330 B1 KR 101420330B1 KR 20120067300 A KR20120067300 A KR 20120067300A KR 20120067300 A KR20120067300 A KR 20120067300A KR 101420330 B1 KR101420330 B1 KR 10142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eformation
size
display area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423A (ko
Inventor
곽준호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6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330B1/ko
Priority to US13/616,993 priority patent/US9142162B2/en
Priority to TW101138012A priority patent/TWI588803B/zh
Priority to CN201310103587.4A priority patent/CN103514826B/zh
Priority to JP2013120507A priority patent/JP6232214B2/ja
Publication of KR2014000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화질 특성을 향상하도록 본 발명은 유연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접히고, 접힘에 따라 크기가 변하고 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변형을 인지하는 변형 감지부,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구현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질 특성을 향상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표시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평판 표시 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휘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응용과 용도가 확장되고 있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원하는 정도로 표시 장치를 휘게 하거나 접는경우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의 크기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이 왜곡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휘거나 접는 경우 휘거나 접기 전의 최초의 화상의 해상도를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플렉시블 표시 장치 사용 시 화질 특성이 감소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화질 특성을 향상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연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접히고, 접힘에 따라 크기가 변하고 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변형을 인지하는 변형 감지부,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구현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기판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의 가로 대 세로의 비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판이 접히게 되어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표시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결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해상도 조절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해상도 조절부에 전달하고, 상기 해상도 조절부는 상기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결정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감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 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가 감지한 상기 기판의 변형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판이 접힌 후 실질적으로 갖는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들 각각은 상기 기판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기판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들 각각은 상기 기판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기판의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들 각각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이 접힘으로 변형 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판이 접힌 후 실질적으로 갖는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을 갖고, 상기 폭은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의 일 모서리에서 다른 모서리를 향하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와 이웃한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 모서리 및 이와 마주보는 다른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analogue to digital)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해상도 조절부가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조절부의 해상도 조절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해상도 조절부와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면 중 화상이 구현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유연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적어도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액정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화질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DA)을 갖는 기판(101), 변형 감지부(120), 제어부(130) 및 해상도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기판(101)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기판(101)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기판(101)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질은 다양한 유기물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기판(101)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휘거나 접히게 된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기판(101)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접어 기판(101)의 크기를 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한번 더 접어 기판(101)의 크기가 1/4로 줄어들 수도 있다.
기판(101)의 표시 영역(DA)은 화상을 구현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기판(101)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한다. 즉, 전술한 대로 기판(101)을 접어서 기판(101)의 크기가 작아지면 표시 영역(DA)도 그에 대응하도록 작아진다(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변형 감지부(120)는 표시 영역(DA)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변형 감지부(120)는 기판(101)의 면 중 표시 영역(DA)에서 화상이 구현되는 방향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변형 감지부(120)는 기판(10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은 기판(101)의 전면 방향을 도시한 것으로 변형 감지부(120)는 실제로는 보이지 않으므로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 감지부(120)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화상의 특성을 감소하지 않도록, 기판(101)상의 일면에 표시 영역(DA)과 소정의 영역에서 중첩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변형 감지부(120)는 In-Cell 구조, 즉 표시 영역(DA)에 형성되는 절연층들 및 도전층들 중 어느 하나의 층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 감지부(120)는 복수의 감지 부재(121,122,123,124), 즉 제1 감지 부재(121), 제2 감지 부재(122), 제3 감지 부재(123) 및 제4 감지 부재(124)를 포함한다.
감지 부재(121,122,123,124)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고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감지 부재(121), 제2 감지 부재(122), 제3 감지 부재(123) 및 제4 감지 부재(124)는 각각 기판(101)의 가로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기판(101)의 세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제1 감지 부재(121)는 기판(10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감지 부재(121)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감지 부재(122)는 제1 감지 부재(1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감지 부재(122)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3 감지 부재(123)는 제2 변형 감지부재(1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 감지 부재(123)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4 감지 부재(124)는 제3 감지 부재(123)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감지 부재(121,122,123,124)들은 기판(101)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감지부(120)는 기판(101)의 휨 또는 접힘을 인지한다. 변형 감지부(120)는 압전 소자와 같은 형태를 구비하여 기판(101)이 휘거나 접히는 것을 인지한다. 또한 변형 감지부(120)의 각 감지 부재(121,122,123,124)는 기판(101)의 영역 별로 휨 또는 접힘을 인지하여 기판(101)의 크기가 변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구체적인 내용을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변형 감지부(120)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즉, 변형 감지부(120)의 각 감지 부재(121, 122, 123, 124)가 취득한 기판(101)의 변형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130)의 정보 취득을 용이하게 하도록 변형 감지부(120)와 제어부(130)사이에는 증폭기(160)가 배치될 수 있다. 증폭기(160)는 변형 감지부(120)가 감지한 기판(101)의 변형에 대한 정보를 증폭하여 변형 감지부(120)가 취득한 정보를 제어부(130)가 더 효과적으로 취득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증폭기(160)는 본 실시예의 선택적 구성요소이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증폭기(160)와 제어부(130)사이에 A/D(analogue to digital) 컨버터(170)를 구비하여 변형 감지부(120)가 취득한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130)는 보다 정밀하게 변형 감지부(120)가 취득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A/D 컨버터(170)는 본 실시예의 선택적 구성요소이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변형 감지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통하여 기판(101)의 변형 또는 접힘에 대하여 인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기판(101)의 변형된 크기에 대하여 인지하게 된다(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변형된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DA)의 크기를 판단한다.
해상도 조절부(140)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기판(101)의 변형된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DA)의 크기에 적합한 화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러한 화상의 크기에 적합한 화상의 해상도를 결정하여 화상의 해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130)가 최적의 해상도를 결정하고, 이러한 해상도 정보를 해상도 조절부(140)가 전달받아 그 정보대로 해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는 해상도 조절부(140)와 제어부(130)가 각각 구별된 구성 요소로서 분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해상도 조절부(140)는 제어부(130)와 일체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130)내에 해상도 조절부(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해상도 조절 시 제어부(130)는 메모리(150)로부터 화상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여 해상도 조절부(140)의 해상도 조절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메모리(150)는 해상도 조절부(14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메모리(150)가 제어부(130)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50)는 본 실시예의 선택적 구성요소이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101)의 배면에 형성된 변형 감지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기판(10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점선(L1, L2, L3, L4)은 가상의 선이다. 구체적으로, 점선(L1, L2, L3, L4)은 사용자가 기판(101)을 접는 기준선이 될 수 있다. 즉, 점선(L1, L2, L3, L4)의 위치 및 간격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는 네 개의 점선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점선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기판(101)의 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표시 영역(DA)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화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표시 영역(DA)은 기판(101)이 접히기 전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적절한 크기를 갖고, 표시 영역(DA)에는 그 크기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화살표 대로 점선(L1)을 기준으로 기판(101)을 접게되면 도 2c에 도시된 대로 기판(101)의 실질적인 크기는 반으로 줄어든다. 이 때 표시 영역(DA)의 크기도 기판(101)에 대응하여 줄어든다. 한편, 사용자가 인식하는 화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시 영역(DA)의 가로 대 세로의 비는 변하지 않은 채 크기가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대로 점선(L1)을 기준으로 기판(101)을 접게되는 경우 기판(101)의 배면에 형성된 변형 감지부(120)중 제4 감지 부재(124)가 기판(101)의 변형을 감지한다. 이 때 제1 감지 부재(121), 제2 감지 부재(122) 및 제3 감지 부재(123)는 기판(101)의 변형을 감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변형 감지부(120)가 감지한 기판(101)의 변형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30)에 전달된다. 전술한 대로 선택적으로 증폭기(160) 및 A/D 컨버터(170)가 배치되어 제어부(130)가 효율적으로 변형 감지부(120)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변형 감지부(120)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기판(101)이 접혀서 실질적으로 줄어든 크기를 파악한다. 즉, 제어부(130)는 변형 감지부(120)의 복수의 감지 부재들(121,122,123,124)중 제4 감지 부재(124)만이 기판(101)의 변형을 감지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통하여 기판(101)을 접은 기준선이 대략적으로 기판(101)의 중앙, 즉 점선(L1)과 유사한 위치임을 파악한다. 결과적으로 기판(101)의 크기가 대략적으로 반으로 줄어들었음을 파악한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기판(101)의 줄어든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DA)의 크기 및 표시 영역(DA)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해상도 조절부(140)에 전달한다.
해상도 조절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표시 영역(DA)을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고 표시 영역(DA)의 크기에 적합한 해상도를 결정하여 표시 영역(DA)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기판(101)의 크기가 변형되었어도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크기와 적절한 해상도의 화상을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변형 감지부(120)의 폭, 길이, 배치 위치 및 배치 간격 등의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기판(101)의 변형, 즉 접힘 정도를 정밀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01)의 배면에 배치된 변형 감지부(120)로 인하여 기판(101)을 사용자가 접어 기판(101)의 실질적인 크기가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기판(10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 및 해상도를 조절하여 화질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변형 감지부(120)가 복수의 감지 부재(121,122,123,124)를 구비하여 기판(101)의 접히는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하여 기판(101)의 크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는 표시 영역(DA)을 갖는 기판(101), 변형 감지부(220)를 포함하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부(미도시) 및 해상도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변형 감지부(220)는 복수의 감지 부재(221,222,223,224,225,226,227), 즉 제1 감지 부재(221), 제2 감지 부재(222), 제3 감지 부재(223), 제4 감지 부재(224), 제5 감지 부재(225), 제6 감지 부재(226) 및 제7 감지 부재(227)를 포함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201)의 배면에 형성된 변형 감지부(22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감지 부재(221), 제2 감지 부재(222), 제3 감지 부재(223) 및 제4 감지 부재(224)는 기판(201)의 가로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기판(201)의 세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제1 감지 부재(221)는 기판(201)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고, 제1 감지 부재(221)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감지 부재(222)는 제1 감지 부재(2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감지 부재(222)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3 감지 부재(223)는 제2 변형 감지부재(2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 감지 부재(223)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4 감지 부재(224)는 제3 감지 부재(123)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감지 부재(221,222,223,224)들은 기판(201)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 감지 부재(225), 제6 감지 부재(226) 및 제7 감지 부재(227)는 기판(201)의 세로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기판(201)의 가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제5 감지 부재(225)는 제1, 2, 3, 4 감지 부재(221,222,223,224)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5 감지 부재(225)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6 감지 부재(226)는 제5 감지 부재(225)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6 감지 부재(226)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7 감지 부재(227)는 제6 감지 부재(226)의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감지 부재(225,226,227)들은 기판(201)의 상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20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점선(L1, L2, L3, L4) 및 기판(201)의 좌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점선(M1, M2, M3)은 가상의 선이다. 구체적으로, 점선(L1, L2, L3, L4, M1, M2, M3)은 사용자가 기판(201)을 접는 기준선이 될 수 있다.
도 3b는 기판(201)의 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표시 영역(DA)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화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표시 영역(DA)은 기판(201)이 접히기 전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표시 영역(DA)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화살표 대로 점선(L1)을 기준으로 기판(201)을 접게되면 도 3c에 도시된 대로 기판(201)의 실질적인 크기는 반으로 줄어든다. 이 때 표시 영역(DA)의 크기도 기판(201)에 대응하여 줄어든다. 한편, 사용자가 인식하는 화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시 영역(DA)의 가로 대 세로의 비는 변하지 않은 채 크기가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대로 점선(L1)을 기준으로 기판(201)을 접게되는 경우 기판(201)의 배면에 형성된 변형 감지부(220)중 제4 감지 부재(224)가 기판(201)의 변형을 감지한다. 이 때 제1 감지 부재(221), 제2 감지 부재(222) 및 제3 감지 부재(223)는 기판(201)의 변형을 감지하지 못한다. 또한 제5 감지 부재(225), 제6 감지 부재(226) 및 제7 감지 부재(227)는 기판(201)의 변형을 감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변형 감지부(220)가 감지한 기판(201)의 변형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된다. 제어부(미도시)는 변형 감지부(220)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기판(201)이 접혀서 실질적으로 줄어든 크기를 파악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기판(201)의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DA)의 크기 및 표시 영역(DA)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해상도 조절부(미도시)에 전달한다.
해상도 조절부(미도시)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표시 영역(DA)을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고 표시 영역(DA)의 크기에 적합한 해상도를 결정하여 표시 영역(DA)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기판(201)의 크기가 변형되었어도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크기와 적절한 해상도의 화상을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변형 감지부(220)의 폭, 길이, 배치 위치 및 배치 간격 등의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기판(201)의 변형, 즉 접힘 정도를 정밀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그리고 나서, 도 3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대로 점선(M1)을 기준으로 기판(201)을 접게되면 도 3d에 도시된 대로 기판(201)의 실질적인 크기는 더 줄어든다. 이 때 표시 영역(DA)의 크기는 기판(201)의 크기에 대응하여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식하는 화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시 영역(DA)의 가로 대 세로의 비는 변하지 않으므로, 도 3c와 비교할 때 도 3d의 표시 영역(DA)의 크기는 그대로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c에 도시된대로 점선(M1)을 기준으로 기판(201)을 접게되는 경우 기판(201)의 배면에 형성된 변형 감지부(220)중 제7 감지 부재(227)가 기판(201)의 변형을 감지한다. 이 때 제5 감지 부재(225), 제6 감지 부재(226)는 기판(201)의 변형을 감지하지 못한다. 또한, 제1 감지 부재(221), 제2 감지 부재(222), 제3 감지 부재(223) 및 제4 감지 부재(224)는 기판(201)의 변형을 감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변형 감지부(220)가 감지한 기판(201)의 변형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230)에 전달된다. 제어부(230)를 통한 해상도 조절부(미도시)로의 정보 전달 및 해상도 조절부(미도시)의 해상도 조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는 전술한 실시에와 비교할 때 변형 감지부(220)의 감지 부재의 개수를 증가하여 배치 위치를 다양하게 하여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의 기판(201)의 변형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하여 표시 영역(DA)의 크기 및 해상도를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300)는 표시 영역(미도시)을 갖는 기판(301), 변형 감지부(320)를 포함하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부(미도시) 및 해상도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변형 감지부(3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복수의 감지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일체화된 형태를 갖는다. 변형 감지부(320)는 기판(301)의 일측 가장자리 및 이와 인접한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고, 영역별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기판(30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변형 감지부(320)의 폭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변형 감지부(320)는 직각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변형 감지부(320)는 우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대응하고, 우측 상부 모서리와 좌측 하부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기판(30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점선(L1, L2, L3, L4)는 가상의 선이다. 구체적으로, 점선(L1, L2, L3, L4)은 사용자가 기판(301)을 접는 기준선이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점선(L1)을 기준으로 기판(301)을 접게되면 변형 감지부(320)의 소정의 폭(HL1)이 기판(301)의 변형을 감지한다. 또한, 점선(L2)을 기준으로 기판(301)을 접게되면 변형 감지부(320)의 소정의 폭(HL2)이 기판(301)의 변형을 감지한다. 또한, 점선(L3)을 기준으로 기판(301)을 접게되면 변형 감지부(320)의 소정의 폭(HL3)이 기판(301)의 변형을 감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 감지부(320)가 복수의 감지 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기판(201)을 접는 점선(L1,L2,L3)에 따라 변형 감지부(320)가 접히는 폭이 다르게 되므로 그 폭에 따라서 기판(301)의 접히는 위치 및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변경된 기판(301)의 크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기판(301)을 접을 때 점선(L1)을 기준으로 기판(301)을 접을 때에 비하여 점선(L3)을 기준으로 기판(301)을 접을 때 변형 감지부(320)가 감지한 값의 크기는 크다. 즉, 변형 감지부(320)가 감지한 기판(301)의 변형 정도에 대한 값의 크기를 통하여 기판(301)의 접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형 감지부(320)가 감지한 기판(201)의 변형 정도에 대한 값의 크기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는 기판(301)의 접힘 위치를 파악하고, 접힘 위치를 통하여 기판(301)이 접힌 후 실질적으로 기판(301)이 갖는 변경된 크기를 파악한다.
제어부(미도시)를 통한 해상도 조절부(미도시)로의 정보 전달 및 해상도 조절부(미도시)의 해상도 조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를 전술한 다른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300)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작 단계(S1)에서 변형 감지 단계(S2)로 진행한다. 변형 감지 단계(S2)에서 변형 감지부(120)가 기판(101)의 변형을 감지한 경우에는 해상도 결정 단계(S3) 및 해상도 조절 단계(S4)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 때 해상도 결정 단계(S3)는 제어부(130)가 변형 감지부(120)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해상도 결정 단계(S3)는 제어부(130)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해상도 조절부(140)가 해상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변형 감지 단계(S2)에서 변형 감지부(120)가 기판(201)의 변형을 감지하지 못 한 경우, 즉 기판(101)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해상도 유지 단계(S5)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아무런 동작 및 조작이 없을 경우 대기 모드 단계(S6)에 머무르고, 인터럽트 단계(S7)에서 인터럽트 키 또는 버튼이 눌러질 경우 다시 시작 단계(S1)로 되돌아가 전술한 단계들을 수행한다. 인터럽트 단계(S7)에서 인터럽트 키 또는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 종료 감지 단계(S8)로 진행한다.
종료 감지 단계(S8)에서 종료 버튼 또는 키가 눌러질 경우 종료 단계(S8)를 수행하고, 종료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다시 대기 모드 단계(S6)로 되돌아가 전술한 단계들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동작은 하나의 예이다. 즉,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작동은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DA)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물론 도 6은 전술한 다른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은 기판(101), 제1 전극(110), 중간층(114) 및 제2 전극(115)을 포함한다.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101)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기판(101)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기판(101)상에 형성된다. 제1 전극(110)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목적 및 설계 조건에 따라서 제1 전극(110)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Yb 또는 Ca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101)과 제1 전극(110)사이에 버퍼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미도시)은 기판(101)을 통한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기판(101)상부에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버퍼층(미도시)은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고, 예시한 재료들 중 복수의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14)이 제1 전극(110)상에 형성된다. 중간층(114)은 가시 광선을 구현하도록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중간층(114)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14)이 저분자 유기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HIL)은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또는 스타버스트(Starburst)형 아민류인 TCTA, m-MTDATA, m-MTDAPB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HTL)은 N,N'-비스(3-메틸페닐)- 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 벤지딘(α-NPD)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주입층(EIL)은 LiF, NaCl, CsF, Li2O, BaO, Liq 등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ETL)은 Alq3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호스트 물질과 도판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로는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 (Alq3), 9,10-디(나프티-2-일)안트라센 (AND), 3-Tert-부틸-9,10-디(나프티-2-일)안트라센 (TBADN), 4,4'-비스(2,2-디페닐-에텐-1-일)-4,4'-디메틸페닐 (DPVBi), 4,4'-비스Bis(2,2-디페닐-에텐-1-일)-4,4'-디메틸페닐 (p-DMDPVBi), Tert(9,9-디아릴플루오렌)s (TDAF), 2-(9,9'-스피로비플루오렌-2-일)-9,9'-스피로비플루오렌 (BSDF), 2,7-비스(9,9'-스피로비플루오렌-2-일)-9,9'-스피로비플루오렌 (TSDF), 비스(9,9-디아릴플루오렌)s (BDAF), 4,4'-비스(2,2-디페닐-에텐-1-일)-4,4'-디-(tert-부틸)페닐 (p-TDPVBi), 1,3-비스(카바졸-9-일)벤젠 (mCP), 1,3,5-트리스(카바졸-9-일)벤젠 (tCP), 4,4',4"-트리스(카바졸-9-일)트리페닐아민 (TcTa), 4,4'-비스(카바졸-9-일)비페닐 (CBP), 4,4'-비스Bis(9-카바졸일)-2,2'-디메틸-비페닐 (CBDP), 4,4'-비스(카바졸-9-일)-9,9-디메틸-플루오렌 (DMFL-CBP), 4,4'-비스(카바졸-9-일)-9,9-비스bis(9-페닐-9H-카바졸)플루오렌 (FL-4CBP), 4,4'-비스(카바졸-9-일)-9,9-디-톨일-플루오렌 (DPFL-CBP), 9,9-비스(9-페닐-9H-카바졸)플루오렌 (FL-2CB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의 도판트 물질로는 DPAVBi (4,4'-비스[4-(디-p-톨일아미노)스티릴]비페닐), ADN (9,10-디(나프-2-틸)안트라센), TBADN (3-터트-부틸-9,10-디(나프-2-틸)안트라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극(115)은 중간층(114)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115)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또는 Ca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15) 상에 밀봉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미도시)는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중간층(114) 및 기타층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밀봉 부재(미도시)는 플라스틱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복수의 중첩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D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물론 도 7은 전술한 다른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은 기판(201), 제1 전극(210), 화소 정의막(219), 중간층(214) 및 제2 전극(215)을 포함한다.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01)상에 제1 전극(210)이 형성된다.
제1 전극(210)상에 절연물을 이용하여 화소 정의막(219)이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정의막(219)은 제1 전극(210)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개구를 갖도록 형성된다.
중간층(214)은 제1 전극(210)의 노출된 상면에 형성된다. 중간층(214)은 가시 광선을 구현하도록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제2 전극(215)은 중간층(214)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215) 상에 밀봉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D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물론 도 8은 전술한 다른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은 기판(601)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603), 게이트 전극(605), 소스 전극(607) 및 드레인 전극(608)을 구비한다.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601)상에 버퍼층(602)이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닌 바, 생략이 가능하다.
버퍼층(602)상에 소정 패턴의 활성층(603)이 형성된다. 활성층(603)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활성층(60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한 후에 3족 또는 5족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활성층(603)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604)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604)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605)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604)은 활성층(603)과 게이트 전극(605)을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물 또는 SiNx, SiO2같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605)은 Au, Ag, Cu, Ni, Pt, Pd, Al, Mo를 함유할 수 있고, Al:Nd, Mo:W 합금 등과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한 층과의 밀착성, 평탄성, 전기 저항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605)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617)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617) 및 게이트 절연막(604)은 활성층(60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활성층(603)의 노출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하도록 소스 전극(607) 및 드레인 전극(608)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607) 및 드레인 전극(608)은 다양한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복층 구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상부에 패시베이션층(618)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극(607) 및 드레인 전극(608)상에 패시베이션층(618)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층(618)은 드레인 전극(608)의 전체를 덮지 않고 소정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드레인 전극(608)과 연결되도록 제1 전극(610)이 형성된다.
제1 전극(610)상에 절연물로 화소 정의막(619)을 형성한다. 화소 정의막(619)은 제1 전극(610)의 소정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제1 전극(610)과 접하도록 중간층(6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중간층(614)과 연결되도록 제2 전극(615)을 형성한다.
제2 전극(615) 상에 밀봉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D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물론 도 9는 전술한 다른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은 기판(701)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캐패시터(718)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703), 게이트 전극(705), 소스 전극(707) 및 드레인 전극(708)을 구비한다.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701)상에 버퍼층(702)이 형성된다. 버퍼층(702)상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활성층(703)이 형성된다. 또한 버퍼층(702)상에 제1 캐패시터 전극(711)이 형성된다. 제1 캐패시터 전극(711)은 활성층(703)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층(702)상에 활성층(703) 및 제1 캐패시터 전극(711)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70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706)상에 게이트 전극(705), 제1 전극(710) 및 제2 캐패시터 전극(713)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705)은 제1 도전층(705a) 및 제2 도전층(705b)을 구비한다.
제1 전극(710)은 제1 도전층(705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710)의 상부의 소정의 영역에는 도전부(710a)가 배치되는데 도전부(710a)는 제2 도전층(705b) 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2 캐패시터 전극(713)은 제1 층(713a) 및 제2 층(713b)을 구비하는데, 제1 층(713a)은 제1 도전층(705a)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층(713b)은 제2 도전층(705b) 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2 층(713b)은 제1 층(713a)보다 작게 제1 층(713a)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캐패시터 전극(713)은 제1 캐패시터 전극(711)과 중첩되고 제1 캐패시터 전극(711)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전극(710), 게이트 전극(705) 및 제2 캐패시터 전극(713)상에 층간 절연막(717)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717)상에 소스 전극(707) 및 드레인 전극(708)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707) 및 드레인 전극(708)은 활성층(703)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소스 전극(707) 및 드레인 전극(708)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제1 전극(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도 8에는 드레인 전극(708)이 제1 전극(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전극(708)은 도전부(710a)와 접한다.
층간 절연막(717)상에 소스 전극(707), 드레인 전극(708) 및 캐패시터(718)를 덮도록 화소 정의막(719)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719)은 제1 전극(710)의 상면에 대응되는 소정의 개구부(719a)를 갖도록 형성되고, 화소 정의막(719)의 개구부(719a)를 통하여 노출된 제1 전극(710)상에 중간층(714)이 형성된다.
중간층(714)상에 제2 전극(715)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전극(715)상에 밀봉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제1 전극(710), 중간층(714) 또는 제2 전극(715)을 외부의 이물 또는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유리, 금속 박막 등으로 형성되거나 유기물과 무기물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표시 영역(DA)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 즉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 단말기(20)의 표시부(24)가 액정 소자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0)는 기판(101), 변형 감지부(120) 및 터치 패널(120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0)는 도 1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상부에 터치 패널(1200)이 더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다른 플렉시블 표시 장치(200,300)에 터치 패널(12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터치 패널(1200)은 유연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기판(101)과 마찬가지로 휘거나 접히게 된다.
또한 도 10에는 변형 감지부(120)가 기판(101)의 하면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감지부(120)가 기판(101)과 터치 패널(1200)사이 또는 터치 패널(1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플렉시블 표시 장치
101, 201, 301: 기판
DA: 표시 영역
130: 제어부
120, 220, 320: 변형 감지부
160: 증폭기
170: A/D 컨버터
150: 메모리

Claims (31)

  1. 유연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접히고, 접힘에 따라 크기가 변하고 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변형을 인지하는 변형 감지부;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구현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판이 접히게 되어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표시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결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해상도 조절부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기판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의 가로 대 세로의 비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유연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접히고, 접힘에 따라 크기가 변하고 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변형을 인지하는 변형 감지부;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구현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판이 접히게 되어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해상도 조절부에 전달하고,
    상기 해상도 조절부는 상기 실질적으로 변경된 상기 기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결정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감지 부재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 적으로 길어지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가 감지한 상기 기판의 변형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판이 접힌 후 실질적으로 갖는 크기를 판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들 각각은 상기 기판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기판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 배열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들 각각은 상기 기판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기판의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 배열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부재들 각각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플렉시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일체화된 형태를 갖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이 접힘으로 변형 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판이 접힌 후 실질적으로 갖는 크기를 판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을 갖고, 상기 폭은 영역별로 상이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의 일 모서리에서 다른 모서리를 향하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와 이웃한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플렉시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 모서리 및 이와 마주보는 다른 모서리에대응하도록 형성된 플렉시블 표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analogue to digital)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해상도 조절부가 일체화된 형태를 갖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조절부의 해상도 조절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또는 상기 해상도 조절부와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플렉시블 표시 장치.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면 중 화상이 구현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된 플렉시블 표시 장치.
  2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유연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적어도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3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액정층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20120067300A 2012-06-22 2012-06-22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10142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7300A KR101420330B1 (ko) 2012-06-22 2012-06-22 플렉시블 표시 장치
US13/616,993 US9142162B2 (en) 2012-06-22 2012-09-14 Flexible display apparatus that adjusts image size and resolution according to folding thereof
TW101138012A TWI588803B (zh) 2012-06-22 2012-10-16 可撓式顯示裝置
CN201310103587.4A CN103514826B (zh) 2012-06-22 2013-03-28 柔性显示装置
JP2013120507A JP6232214B2 (ja) 2012-06-22 2013-06-07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7300A KR101420330B1 (ko) 2012-06-22 2012-06-22 플렉시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23A KR20140000423A (ko) 2014-01-03
KR101420330B1 true KR101420330B1 (ko) 2014-07-16

Family

ID=4977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7300A KR101420330B1 (ko) 2012-06-22 2012-06-22 플렉시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2162B2 (ko)
JP (1) JP6232214B2 (ko)
KR (1) KR101420330B1 (ko)
CN (1) CN103514826B (ko)
TW (1) TWI5888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28A1 (ko) * 2019-03-19 2020-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화면의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0466B (zh) * 2012-09-06 2016-07-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可摺疊式顯示器及其影像處理方法
KR102088910B1 (ko) * 2013-03-15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881161B (zh) 2014-02-27 2017-12-0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触控面板
US20150243202A1 (en) * 2014-02-27 2015-08-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Sides
TWI569193B (zh) * 2014-02-27 2017-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控面板
KR102384830B1 (ko) * 2014-03-12 2022-04-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2511325B1 (ko) * 2014-04-18 2023-03-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65244B1 (ko) * 2014-06-20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651997B2 (en) * 2014-07-30 2017-05-16 Inte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manage a spatially dynamic display
WO2016017948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TWI571844B (zh) * 2014-08-06 2017-02-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顯示系統、影像補償方法與其電腦可讀取記錄媒體
KR102223680B1 (ko) * 2014-11-03 2021-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9614168B2 (en) 2015-01-12 2017-04-04 Apple Inc. Flexible display panel with bent substrate
KR102278508B1 (ko) 2015-01-15 2021-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US9747015B2 (en) 2015-02-12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display of content on wearable displays
US9734779B2 (en) 2015-02-12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operation of wearable displays
US9606654B2 (en) 2015-04-29 2017-03-28 Yongqiang Li Activated display
US11676518B2 (en) * 2015-04-29 2023-06-13 Intel Corporation Imaging for foldable displays
KR102362187B1 (ko) 2015-05-27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325728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1188127B2 (en) 2015-12-26 2021-11-30 Intel Corporation Bendable and foldable display screen to provide continuous display
KR102462110B1 (ko) * 2016-03-15 2022-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676965B (zh) * 2016-03-29 2023-12-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06648035A (zh) * 2016-11-29 2017-05-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分辨率的调整方法及移动终端
JP6943563B2 (ja) * 2016-11-30 2021-10-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CN108255331B (zh) 2016-12-29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触摸屏及制作方法、显示屏及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KR20180097356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웃 폴딩(out-foldable)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아웃 폴딩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CN107479627A (zh) * 2017-07-19 2017-12-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笔记本与平板二合一电脑
CN109389903B (zh) * 2017-08-04 2021-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加工方法、加工系统
CN107256692B (zh) * 2017-08-11 2019-08-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分辨率更新装置、移位寄存器、柔性显示面板、显示设备
CN107577401A (zh) * 2017-08-31 2018-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364602B (zh) * 2018-04-24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其制作方法和其光学补偿方法
TWI691951B (zh) * 2018-08-10 2020-04-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
CN109192144B (zh) 2018-10-26 2021-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补偿子像素单元、制作及驱动方法、像素结构及显示面板
KR102582968B1 (ko) * 2018-12-24 2023-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CN111694455A (zh) * 2019-03-15 2020-09-22 陕西坤同半导体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CN110098233A (zh) 2019-05-06 2019-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形变检测方法
KR20200142394A (ko) * 2019-06-12 2020-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WO2021044950A1 (ja) * 2019-09-04 2021-03-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0706595A (zh) * 2019-10-08 2020-01-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930892A (zh) * 2019-12-06 2020-03-27 深圳市瑞丰光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20210085201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N113241013B (zh) * 2021-06-18 2022-08-1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和可折叠显示装置的控制方法
CN114338874A (zh) * 2021-12-28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图像显示方法、图像处理电路和电子设备
CN115047657B (zh) * 2022-06-27 2023-06-09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1225A1 (en) * 2007-05-23 2008-1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KR20090087303A (ko) * 2008-02-12 2009-08-17 한국과학기술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다면 디스플레이
KR20100028343A (ko) * 2008-09-04 201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6248B2 (ja) * 2000-11-09 2003-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cf基板
JP4560974B2 (ja) * 2001-03-15 2010-10-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769783B1 (ko) * 2002-03-29 2007-10-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입력 장치 및 표시 입력 시스템
JP4287675B2 (ja) * 2003-02-27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ペーパー
JP4739858B2 (ja) * 2005-08-12 2011-08-03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
TWI293434B (en) * 2005-08-17 2008-02-11 Asustek Comp Inc Alarm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0647704B1 (ko) * 2005-09-26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
JP3911515B2 (ja) * 2005-10-13 2007-05-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764282B2 (ja) * 2006-08-08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86403A (ja) * 2007-10-01 2009-04-23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
FR2926883B1 (fr) * 2008-01-24 2010-02-26 Tokheim Holding Bv Dispositif capteur de pression adapte a des atmospheres explosives ou corrosives
US20100117809A1 (en) 2008-11-11 2010-05-13 Motorola Inc. Display module with piezoelectric haptics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CN102301352A (zh) * 2009-01-29 2011-12-28 夏普株式会社 电子设备、服务器、通信系统、显示控制方法、数据通信方法、电子设备的控制方法以及程序
JP5591834B2 (ja) * 2009-03-04 2014-09-17 ナム、ドンシク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JP5252454B2 (ja) * 2009-06-30 2013-07-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接触検出装置、および、タッチセンサ機能を有する表示装置
JP5440136B2 (ja) * 2009-12-04 2014-03-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82359A (ko)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922604B2 (en) * 2010-03-26 2014-12-30 Sharp Kabushiki Kaisha Image-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ame
JP5812573B2 (ja) * 2010-03-30 2015-11-17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折り畳み式地図表示装置
US10311448B2 (en) * 2010-08-19 2019-06-04 William Eugene Urban Digital signage system
KR101258327B1 (ko) * 2010-10-13 2013-04-2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462106B2 (en) * 2010-11-09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EP2463848A1 (en) * 2010-11-09 2012-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KR101245375B1 (ko) * 2011-06-08 2013-03-20 주식회사 팬택 능동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능동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2339166A (zh) * 2011-10-12 2012-02-01 清华大学 可折叠、可柔性变形的压电触摸屏
US8610663B2 (en) * 2012-02-06 2013-12-1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234951A1 (en) * 2012-03-09 2013-09-12 Jihwan Kim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1225A1 (en) * 2007-05-23 2008-1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KR20090087303A (ko) * 2008-02-12 2009-08-17 한국과학기술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다면 디스플레이
KR20100028343A (ko) * 2008-09-04 201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28A1 (ko) * 2019-03-19 2020-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화면의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580889B2 (en) 2019-03-19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screen in deformable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2162B2 (en) 2015-09-22
US20130342439A1 (en) 2013-12-26
CN103514826B (zh) 2017-06-27
CN103514826A (zh) 2014-01-15
TW201401249A (zh) 2014-01-01
JP6232214B2 (ja) 2017-11-15
TWI588803B (zh) 2017-06-21
JP2014006523A (ja) 2014-01-16
KR20140000423A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330B1 (ko) 플렉시블 표시 장치
US900731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warpage of the same
KR10196381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9287503B2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0817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10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758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994703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bimetal element which can be controllably bent
KR101971200B1 (ko)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KR101879831B1 (ko) 플렉시블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시블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US2013016168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38038B2 (en) Display device
KR201400463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308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이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에이징 방법
KR10209270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251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