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31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312A
KR20160077312A KR1020140186160A KR20140186160A KR20160077312A KR 20160077312 A KR20160077312 A KR 20160077312A KR 1020140186160 A KR1020140186160 A KR 1020140186160A KR 20140186160 A KR20140186160 A KR 20140186160A KR 20160077312 A KR20160077312 A KR 2016007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acing
cover member
front surface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주
김민성
탄티엔 엔귀엔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312A/ko
Priority to US14/875,907 priority patent/US20160179257A1/en
Publication of KR2016007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편평부 및 상기 편평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벤딩된 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에지부의 일단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 방향으로 벤딩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들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갖는 영상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 장치들은 정면상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표시 장치들의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감소 될수록 더 넓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의 폭을 최소화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의 내구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편평부 및 상기 편평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벤딩된 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편평부는 네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의 네 변중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며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휘어진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전면, 상기 제1 전면과 마주하는 제1 배면, 및 상기 제1 전면과 상기 제1 배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에지부의 일단부를 감싼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전면과 마주보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배면과 마주보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에지부의 일단부를 따라 상기 편평부의 네 변 중 적어도 한 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가요성 있는 금속, 고무, 또는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하우징, 윈도우 부재, 및 더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배면과 마주보며 상기 편평부와 평행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을 구성한다.
상기 더미부재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더미부재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 커버부재,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1 전면과 마주하는 제2 배면, 상기 제2 배면과 마주하는 제2 전면, 및 상기 제2 전면과 상기 제2 배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2 전면과 마주보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배면과 마주보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에지부가 벤딩될 때, 상기 에지부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a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고, 상기 표시면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상기 제3 방향축(DR3)은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축이다. 그러나, 상기 방향축들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휴대 전화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 장치(DA)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R) 및 상기 표시영역(AR)에 인접한 베젤영역(BR)을 포함한다. 일 예로써, 상기 표시영역(AR)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젤영역(BR)은 상기 표시영역(AR)을 에워싼다. 다시 말해, 상기 베젤영역(BR)은 상기 표시영역(AR)의 테두리를 이룬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DA)는 윈도우 부재(WM), 표시패널(DP), 커버부재, 더미 부재(DM), 및 하우징(HUS)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WM)는 상기 표시 장치(DA)의 표시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 장치(DA)의 전면을 구성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WM)는 유리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 투명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부재(WM)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윈도우 부재(WM)의 평면상 형상은 상기 표시 장치(DA)의 디자인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WM)는 평면상에서 코너들이 라운딩된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WM)는 상기 표시영역(AR)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윈도우 부재(WM)는 상기 베젤영역(BR)에 중첩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표시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제공된다.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WM)의 배면과 마주보며 배치된다. 상기 표시패널(DP)은 편평부(FP)와 상기 편평부(FP)로부터 벤딩된 에지부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편평부(FP)는 상기 표시영역(AR)에 중첩한다. 상기 편평부(FP)는 상기 윈도우 부재(WM)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편평부(FP)는 네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FP)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FP)의 네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FP)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에지부(EP1) 및 상기 편평부(FP)의 상기 일측과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하는 상기 편평부(FP)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에지부(EP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에지부(EP1)와 상기 제2 에지부(EP2)는 소정의 곡률로 상기 윈도우 부재(WM)를 향하여 벤딩된다. 이하, 상기 제1 에지부(EP1)와 상기 제2 에지부(EP2)가 상기 윈도우 부재(WM)를 향하여 벤딩된 것을 내측 벤딩으로 정의한다. 그와 반대로 벤딩된 것은 외측 벤딩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에지부(EP1) 및 상기 제2 에지부(EP2)가 상기 편평부(FP)를 기준으로 상기 편평부(FP)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지부는 한 개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에지부가 복수 개로 제공될 경우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에지부(EP1)의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일단부 및 상기 제2 에지부(EP2)의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타단부를 커버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에지부(EP1)의 일단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재(CM1) 및 상기 제2 에지부(EP2)의 타단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재(CM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부재(CM1)는 상기 제1 에지부(EP1)의 일단부를 따라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커버부재(CM2)는 상기 제2 에지부(EP2)의 일단부를 따라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CM1) 및 상기 제2 커버부재(CM2)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재(CM1) 및 상기 제2 커버부재(CM2)는 금속,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부재(CM1) 및 상기 제2 커버부재(CM2)는 접착 테이프로 제공되어 상기 표시패널(DP)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더미 부재(DM)는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윈도우 부재(WM)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더미 부재(DM)는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윈도우 부재(WM)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상기 더미 부재(DM)는 투명한 부재로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더미 부재(DM)는 상기 편평부(FP) 내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AR)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상기 표시영역(AR) 내에서는 영역에 무관하게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윈도우 부재(WM) 사이에 동일한 광 경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더미 부재(DM)와 상기 윈도우 부재(WM) 사이 및 상기 더미 부재(DM)와 상기 표시패널(DP) 사이에는 감압 접착층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더미 부재(DM)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더미 부재(DM)는 편광판과 같은 광학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더미 부재(DM)는 상기 표시패널(DP)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패널(DP)를 보호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기 표시패널(DP)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HUS)은 상기 표시패널(DP)을 수납하고, 상기 윈도우 부재(WM)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HUS)은 바닥부(BP) 및 측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BP)는 상기 편평부(FP)에 대응하며 상기 표시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1 에지부(EP1)와 상기 제2 에지부(EP2)에 대응하는 제1 측벽부(WP1) 및 제2 측벽부(WP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부(WP1) 및 상기 제2 측벽부(WP2)를 연결하는 제3 측벽부(WP3) 및 제4 측벽부(WP4)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들(WP1~WP4)은 상기 바닥부(BP)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P), 상기 제1 측벽부(WP1), 및 상기 제2 측벽부(WP2)는 각각 상기 편평부(FP), 상기 제1 에지부(EP1), 및 상기 제2 에지부(EP2)를 지지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측벽부(WP1)와 상기 제2 측벽부(WP2)는 상기 제1 에지부(EP1)와 상기 제2 에지부(EP2)와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길이는 상기 제3 방향(DR3)을 따라 측정되었다.
상기 표시패널(DP)과 달리 상기 하우징(HUS)은 리지드한 성질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HUS)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P), 상기 제1 측벽부(WP1) 및 상기 제2 측벽부(WP2)는 일체의 형상을 갖거나, 서로 조립가능한 부분들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로써, 벤딩되지 않은 표시패널을 도시하였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DP)은 적어도 일부분이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편평부(FP)로부터 상기 제1 에지부(EP1)와 상기 제2 에지부(EP2)가 가상의 접이선들(BL)을 따라 내측 벤딩될 때, 상기 접이선들은 상기 표시패널(DP)의 상기 가요성을 갖는 일부분 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지부(EP1)와 상기 제2 에지부(EP2)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DP) 전체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예를 들어, 유기발광 표시패널(orgnic light emmitting diode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m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을 예로써 설명한다.
상기 표시패널(DP)이 상기 편평부(FP), 상기 제1 에지부(EP1), 및 상기 제2 에지부(EP2)로 구분되는 것과 별개로, 상기 표시패널(DP)은 화소(PX)의 배치 여부에 따라 상기 활성 영역(ACT)과 비활성 영역(NC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ACT)은 상기 화소(PX)가 배치된 영역이고, 상기 비활성 영역(NCT)은 상기 화소(PX)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활성 영역(NCT)은 상기 활성 영역(ACT)의 테두리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2개의 접이선들(BL)이 상기 활성 영역(ACT)에 중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상기 2개의 접이선들(BL)은 상기 비활성 영역(NCT)에 중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에지부(EP1) 및 상기 제2 에지부(EP2)에는 상기 화소(PX)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은 주사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주사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비활성 영역(NCT)의 일측에는 상기 주사 라인들(GL)에 연결된 구동회로(DV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플렉서블 회로기판(FC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FCB)은 상기 편평부(FP)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FCB)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구동회로(DVC)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FCB)은 상기 표시패널(DP)과 다른 회로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주사 라인들(GL) 중 i번째 주사 라인(GLi)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중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화소(PX(i,j))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화소(PX(i,j))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화소(PX(i,j))는 표시소자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PX(i,j))는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로써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 및 커패시터(C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는 상기 i번째 주사 라인(GLi)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커패시터(Cap)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는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는 상기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의 턴-온 구간 동안 발광한다.
도 6a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A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더미 부재(DM)와 마주보는 제1 전면(D-F), 상기 제1 전면(D-F)과 마주보는 제1 배면(D-R), 및 상기 제1 전면(D-F)과 상기 제1 배면(D-R)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면은 4개의 측면들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상기 표시패널(DP) 일측에 위치하는 에지부(EP)의 일단면을 제1 측면(D-S)으로 하여 설명한다.
단면상에서 볼 때, 상기 에지부(EP)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며 소정 곡률 반경(R)을 가지고 휘어진다. 상기 곡률 반경(R)은 상기 표시패널(DP)의 두께, 탄성도, 상기 공간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더미 부재(DM)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측벽부(WP) 사이의 거리(D)는 상기 곡률 반경(R)과 같거나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을 커버하는 커버부재(CM)는 상기 제1 전면(D-F)과 마주보는 제1 부분(P1), 상기 제1 부분(P1)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배면(D-R)과 마주보는 제2 부분(P2), 및 상기 제1 부분(P1) 및 상기 제2 부분(P2)을 연결하는 제3 부분(P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P1) 및 상기 제2 부분(P2)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 부분(P3)은 상기 제1 부분(P1) 및 상기 제2 부분(P2)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 부분(P3)의 일단은 상기 제1 부분(P1)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부분(P3)의 타단은 상기 제2 부분(P2)에 연결된다. 상기 제3 부분(P3)은 상기 제1 측면(D-S)과 마주보며 배치된다.
상기 제1 부분(P1), 상기 제2 부분(P2), 및 상기 제3 부분(P3) 각각은 상기 제1 전면(D-F), 상기 제1 배면(D-R), 및 상기 제1 측면(D-S)에 접촉한다.
상기 제2 부분(P2)은 상기 제1 배면(D-R)과 상기 측벽부(WP)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부분(P3)은 상기 제1 측면(D-S)과 상기 윈도우 부재(WM)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CM)는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 형상에 대응하여 ??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부재(CM)는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1)과 상기 제2 부분(P2)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기존에는 표시패널을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을 향하여 벤딩시키는 과정에서 벤딩된 에지부의 일단부에 크랙(crack)이 생기거나, 상기 에지부의 일단부의 막이 벗겨지는 형상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A)는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를 보호하는 상기 커버부재(CM)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에지부(EP)가 벤딩될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긁힘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DP)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어 상기 표시패널(DP)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며,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A)는 상기 표시패널(DP)의 적어도 일측을 벤딩시킴에 따라 베젤의 폭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커버부재(CM-1)는 제1 부분(P1-1), 제2 부분(P2-1), 및 제3 부분(P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P1-1)은 상기 제1 부분(P1-1)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1 요철부(B1)를 갖는다. 상기 제2 부분(P2-1)은 상기 제2 부분(P2-1)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2 요철부(B2)를 갖는다. 상기 제1 요철부(B1) 및 상기 제2 요철부(B2) 각각은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룬다.
상기 커버부재(CM-1)는 상기 제1 요철부(B1) 및 상기 제2 요철부(B2)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CM-1)와 상기 표시패널 간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CM-1)는 상기 표시패널을 더 단단히 고정시켜 상기 표시패널(DP)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커버부재(CM-2)는 제1 부분(P1-2), 제2 부분(P2-2), 및 제3 부분(P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P1-2)은 상기 제1 부분(P1-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1 곡면부(CP1)를 갖는다. 상기 제2 부분(P2-2)은 상기 제2 부분(P2-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2 곡면부(CP2)를 갖는다. 상기 제1 곡면부(CP1) 및 상기 제2 곡면부(CP2) 각각은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룬다. 상기 제1 곡면부(CP1)와 상기 제2 곡면부(CP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부분(P3)의 길이와 같거나, 상기 제3 부분(P3)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커버부재(CM-2)는 상기 제1 곡면부(CP1) 및 상기 제2 곡면부(CP2)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1 부분(P1-2) 및 상기 제2 부분(P2-2)이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 및 배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CM-2)가 상기 표시패널에 가압하는 면적을 줄임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CM-2)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 및 배면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커버부재(CM-3)는 제1 부분(P1-3), 제2 부분(P2-3), 및 제3 부분(P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P1-3)은 상기 제1 부분(P1-3)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1 절곡부(BP1)를 갖는다. 상기 제2 부분(P2-3)은 상기 제2 부분(P2-3)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2 절곡부(BP2)를 갖는다. 상기 제1 절곡부(BP1) 및 상기 제2 절곡부(BP2) 각각은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룬다. 상기 제1 절곡부(BP1)와 상기 제2 절곡부(BP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부분(P3)의 길이와 같거나, 상기 제3 부분(P3)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커버부재(CM-3)는 상기 제1 절곡부(BP1) 및 상기 제2 절곡부(BP2)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1 부분(P1-3) 및 상기 제2 부분(P2-3)이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 및 배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CM-3)가 상기 표시패널에 가압하는 면적을 줄임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CM-3)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 및 배면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구성요소에 대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A-1)는 표시패널(DP), 더미 부재(DM), 커버부재(CM-4), 및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TS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패널(DP)의 제1 전면(D-F)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더미 부재(DM)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패널(DP)과 동일한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패널(DP)의 편평부(FP) 및 에지부(EP)에 전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패널(DP)과 함께 벤딩된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서로 마주하는 제2 전면(T-F)과 제2 배면(T-R), 및 상기 제2 전면(T-F)과 상기 제2 배면(T-R)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면은 4개의 측면들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상기 터치 센서(TSP)의 일측에서 벤딩된 부분의 일단면을 제2 측면(T-C)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전면(T-F) 상에는 상기 더미 부재(DM)가 배치된다. 상기 제2 배면(T-R)은 상기 제1 전면(D-F)과 접촉한다. 상기 제2 측면(T-S)은 상기 표시패널(DP)의 제1 측면(D-S)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부재(CM-4)는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와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에 인접한 상기 터치 센서(TSP)의 일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CM-4)는 상기 제2 전면(T-F)과 마주보는 제1 부분(P1-4), 상기 제1 부분(P1-4)과 대향하며 상기 표시패널(DP)의 제1 배면(D-R)과 마주보는 제2 부분(P2-4), 및 상기 제1 부분(P1-4) 및 상기 제2 부분(P2-4)을 연결하는 제3 부분(P3-4)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부분(P3-4)은 상기 제1 측면(D-S) 및 상기 제2 측면(T-S)과 마주보면 배치된다.
상기 제1 부분(P1-4) 및 상기 제2 부분(P2-4)은 각각 상기 제2 전면(T-F) 및 상기 제1 배면(D-R)에 접촉한다. 상기 제3 부분(P3-4)은 상기 제1 측면(D-S) 및 상기 제2 측면(T-S)에 접촉한다.
상기 커버부재(CM-4)는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 및 상기 터치 센서(TSP)의 일단부를 동시에 커버하여,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 및 상기 터치 센서(TSP)의 일단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터치 센서(TSP)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CM-4)는 상기 표시패널(DP) 및 상기 터치 센서(TSP)가 벤딩될 때, 상기 에지부(EP)의 일단부 및 상기 터치 센서(TSP)의 일단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막이 벗겨지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CM-4)는 상기 표시패널(DP) 및 상기 터치 센서(TSP)이 벤딩될 때, 서로 분리되는 형상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DP)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CM-4)가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터치센서(TSP)의 일단부들을 커버하는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패널(DP)의 전면 또는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부재들이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DP)과 함께 벤딩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표시패널(DP) 및 상기 광학부재들의 일단부들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A: 표시 장치 DP: 표시패널
FP: 편평부 EP: 에지부
WM: 윈도우 부재 CM: 커버부재
DM: 더미 부재 HUS: 하우징
TSP: 터치 센서 P1, P2, P3: 제1 내지 제3 부분
B1, B2: 제1, 제2 요철부

Claims (15)

  1. 영상을 표시하며, 편평부 및 상기 편평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벤딩된 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에지부의 일단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전면, 상기 제1 전면과 마주하는 제1 배면, 및 상기 제1 전면과 상기 제1 배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전면과 마주보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배면과 마주보는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1 요철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는 네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의 네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에지부의 일단부를 따라 상기 편평부의 네 변 중 적어도 한 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전면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1 전면과 마주하는 제2 배면, 상기 제2 배면과 마주하는 제2 전면, 및 상기 제2 전면과 상기 제2 배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2 전면과 마주보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배면과 마주보는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배면과 마주보며 상기 편평부와 평행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더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가요성 있는 금속, 고무, 또는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며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휘어지는 표시 장치.
KR1020140186160A 2014-12-22 2014-12-22 표시 장치 KR20160077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160A KR20160077312A (ko) 2014-12-22 2014-12-22 표시 장치
US14/875,907 US20160179257A1 (en) 2014-12-22 2015-10-06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160A KR20160077312A (ko) 2014-12-22 2014-12-2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12A true KR20160077312A (ko) 2016-07-04

Family

ID=5612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160A KR20160077312A (ko) 2014-12-22 2014-12-2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79257A1 (ko)
KR (1) KR201600773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0964S1 (en) * 2018-11-27 2021-06-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30085988A (ko) * 2021-12-07 2023-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409B1 (en) * 1999-08-12 2002-02-05 Gold Star Plastics, Inc. Flexible clip assembly
KR20070039698A (ko) * 2005-10-10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9016353B2 (en) * 2012-01-20 2015-04-28 Ming-Yang Hsieh Heat sink clip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140002102A (ko) * 2012-06-26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386219B1 (ko) * 2012-06-26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5490B1 (ko) * 2013-02-18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088910B1 (ko) * 2013-03-15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7475B1 (ko) * 2014-02-14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9257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1947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281910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202887620U (zh) 柔性显示面板及包括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KR102604087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124310A (ko) 표시모듈
US9442585B2 (en) Display device
KR101463218B1 (ko) 휴대용 단말기
US9007320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CN102855822A (zh) 柔性显示面板及包括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JP201023749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8090053A (ja) 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US9170652B2 (en)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TW201640288A (zh) 觸控顯示模組
KR102047919B1 (ko) 평판 표시 장치
EP3441827B1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70053214A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US2011001882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gh panel
JP2020504841A (ja) 表示装置アセンブリ、電子機器、およびそれらの組み立て方法
KR20190069662A (ko) 표시장치
KR20180138311A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160077312A (ko) 표시 장치
JP2012216204A (ja) 電子機器
KR101178577B1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JP200710256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の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