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182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182B1
KR102492182B1 KR1020160105696A KR20160105696A KR102492182B1 KR 102492182 B1 KR102492182 B1 KR 102492182B1 KR 1020160105696 A KR1020160105696 A KR 1020160105696A KR 20160105696 A KR20160105696 A KR 20160105696A KR 102492182 B1 KR102492182 B1 KR 10249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lock screen
processor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850A (ko
Inventor
최연호
이일호
박현섭
노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1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잠금 화면 및 홈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Out Bending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뒷면까지 확장된 전자 장치(Half Round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즉, 전자 장치의 여러 면에 걸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한 번에 볼 수 있는 표시영역은 제한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하면 어느 표시영역에 정보를 제공할지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영역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작 방법 및 각 표시영역 간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해 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잠금 화면 및 홈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잠금 화면 및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활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c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표시영역에 따른 잠금 화면의 유형 및 레이아웃 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의 잠금 화면이 동일한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의 잠금 화면이 상이한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확장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나 중요도에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나 중요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연결(coupled)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하는 것은, 각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disclosure)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임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수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표현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의 좌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고, 도 1a의 우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는 후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어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후면 디스플레이는 전면 디스플레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면 디스플레이를 메인 표시영역(10), 후면 디스플레이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설명한다.
도 1b의 좌측 도면은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된 전체 디스플레이의 전면도를 나타내고, 도 1b의 우측 도면은 전체 디스플레이의 후면도를 나타낸다.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각을 이룰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고, 각진 형상일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경계 라인(30-1, 30-2)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과 구분된다.
도 1b에 도시된 경계 라인(30-1, 30-2)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계 라인(30-1, 30-2)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경계 라인(30-1, 30-2)은 제조사에 의해 제조 시에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경계 라인(30-1, 30-2)이 변경되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의 영역 크기가 변경되고,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측,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측면이 아닌 복수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각종 센서 및 리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지향성 리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일체형 커버에 리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리시버가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화 통화 시에 상하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서브 표시영역(20)이 메인 표시영역(10)으로부터 곡면 형상의 라운드 표시영역(30)을 거쳐 연장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도 실시 예를 확장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으로부터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 그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설명한다.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20)을 바라보는 경우의 좌측 및 우측을 반대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10),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서브 표시영역(2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전부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면 및 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단어이고, 특별히 단어의 의미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하여는 일 측면 및 타 측면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의 모든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전체를 디스플레이(110)로 덮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U'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ㄷ'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90°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형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결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UI, 전화 통화를 위한 UI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각각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을 연동시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동영상과는 무관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별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패턴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스와이프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잠금 화면은 홈 화면을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 인증 등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이다. 잠금 화면은 스와이프 잠금 화면, 생체 정보 잠금 화면, 패턴 잠금 화면, PIN 잠금 화면, 패스워드 잠금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얼마든지 다른 유형의 잠금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각 영역에 각각 다른 유형의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동일한 유형의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유형의 잠금 화면의 UI를 변형하여 복수의 영역 각각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영역에 스와이프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스와이프 잠금 화면은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잠금 화면과 다른 UI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시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은 후술할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감지될 때, 하늘을 향하는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감지될 때,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조작 외에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흔들기 등으로도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조작의 유형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을 제공할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패턴 잠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보다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더욱 복잡한 패턴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잠금 화면이 패턴 잠금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서브 표시영역(20)에 잠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패스워드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의 유형, 형태 및 디스플레이될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된 잠금 화면은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된 잠금 화면과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하나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잠금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110) 상의 다른 표시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잠금 화면을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잠금 화면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잠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의 속도에 기초하여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잠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터치 및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서브 표시영역(20)에서 감지된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감지된 경우에 제공되는 홈 화면의 일부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홈 화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대기 상태에서 제공하는 화면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위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홈 화면에 제공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감지되어 홈 화면이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경우,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모든 사용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서브 표시영역(20)에서 감지되어 홈 화면이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경우,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고, 접근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도 일부 사용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거나 접근이 허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일부 사용 권한이 제한된 경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홈 화면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GUI는 사용자에게 추가 인증을 요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는 추가 인증이 완료되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사용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스토리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GPS 칩(145), 통신부(150), 감지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감지부(155)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3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20)의 동작은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컨텐츠 재생 모듈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UI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GPS 칩(14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12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4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15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감지부(155)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155)는 상술한 터치 이외에,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그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후면, 테두리,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는 터치 센서 외에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182)는 제어 주체의 모션을 촬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밖에, 도 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c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의 소프트웨어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c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는 OS(191), 커널(192), 미들웨어(193), 어플리케이션(194)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91)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91)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92)은 디스플레이(11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93)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9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c에 따르면, 미들웨어(193)는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윈도우 매니저(193-2),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 보안 모듈(193-4), 시스템 매니저(193-5), 연결 매니저(193-6), X11 모듈(193-7), APP 매니저(193-8),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를 포함한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는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보안 모듈(193-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93-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93-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93-6)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93-6)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X11 모듈(193-7)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93-8)는 스토리지(13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93-8)는 X11 모듈(193-7)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즉, APP 매니저(193-8)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스토리지(13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서 설명한 구성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어느 한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다른 두 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는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전화 또는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가까운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정보가 제공될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서브 표시영역(20)의 일 영역을 연속하여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정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될 영역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별로 홈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프로세서(130)는 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제공할 정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정보를 제공할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오브젝트 뿐만 아니라 오브젝트의 크기, 내용 및 레이아웃을 모두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분할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화 수신 UI를 터치하여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 통화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계속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을 음소거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일 일시 정지해둘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조합하거나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사용자 터치 입력이 감지되더라도 터치 영역에 따라 설정 값의 조절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드래그 조작의 방향에 따라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드래그 조작이 메인 표시영역(10)인 경우보다 서브 표시영역(20)인 경우에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은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대한 동작은 얼마든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드래그 입력 전에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정보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특정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방송 컨텐츠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컨텐츠의 채널 또는 음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화면, 홈 화면 및 그에 따른 기능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문자 메시지 수신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110)에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이벤트를 모두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감지된 방향에 기초하여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정보를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복수의 표시영역 중 위쪽을 향하는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어느 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지는 제조사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면, 복수의 표시영역 중 위쪽을 향하는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고, 복수의 표시영역 중 위쪽을 향하는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해당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표시영역 중 어느 한 표시영역이 터치된 상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면, 터치된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이 터치된 상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면 메인 표시영역(10)에서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이 터치된 상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메시지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은 후에 터치되는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이벤트의 종류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을 고려하여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이 위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의 전원 버튼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잠금 화면을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된 경우에는 잠금 화면을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이 위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원 버튼 조작에 따라 잠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있는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노크 온(Knock On)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서 노크 온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노크 온 인터랙션은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을 연속으로 두 번 터치하는 인터랙션을 의미한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랙션의 유형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노크 온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각각의 표시영역을 구분하여 구분된 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20)을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중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된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영역(12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조작에 따라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전원 버튼(610)이 조작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홈 버튼(620)이 조작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버튼의 조작 횟수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원 버튼(610)이 한 번 조작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전원 버튼(610)이 두 번 연속으로 조작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610)이 조작되면 더이상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전원 버튼(610)이 한 번 더 조작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볼륨 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잠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버튼의 조작을 조합하여 잠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잠금 화면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홈 화면이 곧바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잠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이 기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마지막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운드 표시영역(30)만이 이용되다가 꺼진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며 다시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잠금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도 6a 내지 도 6c의 실시 예를 조합하여 잠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 및 버튼 조작 중 적어도 둘을 조합하여 잠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 및 버튼 조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을 제공할 복수의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표시영역에 따른 잠금 화면의 유형 및 레이아웃 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잠금 화면은 스와이프 잠금 화면, 생체 정보 잠금 화면, 패턴 잠금 화면, PIN 잠금 화면, 패스워드 잠금 화면 중 하나일 수 있고, 그 밖에 다른 유형의 잠금 화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가 발생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생체 정보 잠금 화면, 패스워드 잠금 화면, 패턴 잠금 화면, PIN 잠금 화면, 스와이프 잠금 화면 중 하나를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벤트가 발생하여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스와이프 잠금 화면만을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라운드 표시영역(30)의 크기가 작아 다른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잠금 화면이 패스워드 잠금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패스워드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스와이프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각 표시영역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잠금 화면이 패턴 잠금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5 × 5의 패턴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3 × 3의 패턴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패턴을 설정하는 경우에 5 × 5 및 3 × 3의 두 종류의 패턴 입력을 요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표시영역에 복수의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복수의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해제된 잠금 화면의 유형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위쪽에는 패턴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메인 표시영역(10)의 아래쪽에는 스와이프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해체된 잠금 화면의 유형에 기초하여 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홈 버튼(710)을 통한 지문이 인식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을 제공하고, 패턴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홈 화면을 제공하고, 스와이프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홈 화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잠금 화면의 난이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생체 정보 잠금 화면, 패스워드 잠금 화면, 패턴 잠금 화면, PIN 잠금 화면, 스와이프 잠금 화면의 순으로 난이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잠금 화면에 대한 난이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순서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얼마든지 다른 순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유형의 잠금 화면이라도 다양한 난이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에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잠금 화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난이도의 잠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의 잠금 화면이 동일한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에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잠금 화면이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 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패턴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된 패턴 잠금 화면과 동일한 유형 및 레이아웃의 패턴 잠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처음부터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일한 패턴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일한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잠금 화면의 유형 및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경우, 잠금 화면의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패스워드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 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패스워드 잠금 화면보다 난이도가 낮은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에 PIN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에 PIN 잠금 화면보다 난이도가 높은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상이한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일한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또는 잠금 화면이 해제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제공할 표시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잠금 화면이 해제된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8b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잠금 화면이 해제된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이 해제된 시점에서 위쪽을 향하는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공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모든 사용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8b의 우측 도면과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크기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공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모든 사용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의 잠금 화면이 상이한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상이한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상이한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프로세서(120)는 해제된 잠금 화면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공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모든 사용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사용 권한이 제공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 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홈 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공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모든 사용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보다 잠금 화면의 난이도가 낮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도 9b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공하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일부 사용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b의 좌측 도면에는 시간 정보, 날씨 정보만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발신은 제한되고 수신만 가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해제된 잠금 화면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홈 화면에 제공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사용 권한이 제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 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이 있더라도 사용 권한이 변경되지는 않는다. 즉,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홈 화면을 메인 표시영역(10)으로 이동시켜 제공할 수는 있으나, 사용 권한은 제한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홈 화면을 메인 표시영역(10)으로 이동시켜 제공하는 경우, 사용 권한을 변경하기 위한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일부 사용 권한이 제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만 홈 화면을 제공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서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사용 권한이 제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 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이 있더라도 메인 표시영역(10)으로 홈 화면을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관리자 권한을 제공하기 위한 GUI(910)를 홈 화면에 포함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GUI(910)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사용 권한이 제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 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 또는 GUI(910)를 터치하는 동작에 따라 난이도가 높은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난이도가 높은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난이도가 높은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홈 화면을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공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모든 사용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9b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이용하는 것으로만 기재하였으나,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스와이프 잠금 화면이 제공될 수 있고,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최소한의 기능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해제된 잠금 화면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해제된 잠금 화면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홈 화면에 포함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화면의 난이도는 잠금 화면의 유형 및 레이아웃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와이프 잠금 화면이 해제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을 통해 잠금 화면이 해제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홈 화면을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 뿐만 아니라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선택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0b는 서브 표시영역(20)을 통해 잠금 화면이 해제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일부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제공되는 홈 화면이 메인 표시영역(10)으로 이동되더라도 홈 화면이 변경되지 않고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도 변경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진 촬영 기능만을 제공하고, 기존에 촬영된 사진을 보는 기능은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에는 디스플레이(110)의 터치 입력의 기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앞면에서 좌측 상단을 기준으로 우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양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디스플레이(110)의 뒷면에서는 우측 하단을 기준으로 좌측 및 상측으로 갈수록 양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며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터치 패널 역시 하나가 이용되며, 구부러지는 형태로 인해 좌표값이 반대로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도 11b는 상하 방향의 터치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면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하측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Y축에 대하여 값이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GUI에 대하여 Y축에 대하여 값이 커지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c는 좌우 방향의 터치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X축 방향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면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우측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X축에 대하여 값이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GUI에 대하여 X축에 대하여 값이 커지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확장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1210)은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되고, 접혀지지 않은 영역(1220)은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1210)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12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접혀지지 않은 영역(1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a에서는 뒤집어진 영역(1210)의 면적이 접혀지지 않은 영역(1220)의 면적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정확히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다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번 접어 라운드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라운드 표시영역에 대한 실시 예도 적용 가능하다.
도 12b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12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되고, 후면 디스플레이(124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한다(S1310). 그리고,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한다(S1320).
여기서,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1310)는 디스플레이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시점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1310)는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잠금 화면의 유형, 형태 및 디스플레이될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표시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잠금 화면을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 및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1320)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홈 화면에 제공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1320)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홈 화면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잠금 화면은 스와이프 잠금 화면, 생체 정보 잠금 화면, 패턴 잠금 화면, PIN 잠금 화면, 패스워드 잠금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잠금 화면 및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활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설명이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을 예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운드 표시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0 : 메인 표시영역 20 : 서브 표시영역
30 : 라운드 표시영역 120 : 프로세서
130 : 스토리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5 : GPS 칩 150 : 통신부
155 : 감지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카메라
183 : 마이크

Claims (18)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시점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잠금 화면의 유형, 형태 및 디스플레이될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상기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화면을 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표시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 화면을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및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홈 화면에 제공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상기 홈 화면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화면은,
    스와이프 잠금 화면, 생체 정보 잠금 화면, 패턴 잠금 화면, PIN 잠금 화면, 패스워드 잠금 화면 중 하나인, 사용자 단말 장치.

  10.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시점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잠금 화면의 유형, 형태 및 디스플레이될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화면을 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표시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화면을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및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 화면이 제공될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화면의 유형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홈 화면에 제공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상기 홈 화면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화면은,
    스와이프 잠금 화면, 생체 정보 잠금 화면, 패턴 잠금 화면, PIN 잠금 화면, 패스워드 잠금 화면 중 하나인, 제어 방법.
KR1020160105696A 2015-08-05 2016-08-19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2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1163P 2015-08-05 2015-08-05
US62/201,163 2015-08-05
KR1020160002217 2016-01-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217 Division 2015-08-05 2016-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50A KR20170017850A (ko) 2017-02-15
KR102492182B1 true KR102492182B1 (ko) 2023-01-26

Family

ID=5620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696A KR102492182B1 (ko) 2015-08-05 2016-08-19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3613A1 (en) 2020-01-24 2022-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Volume adjusting gesture and mistouch prevention on rolling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649A1 (en) 2011-09-27 2013-03-28 Scott A. Myers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20130300697A1 (en) 2012-05-14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 having bend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42B1 (ko) * 2013-07-30 2020-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649A1 (en) 2011-09-27 2013-03-28 Scott A. Myers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20130300697A1 (en) 2012-05-14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 having bend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50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3268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15712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195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901554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10211984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TWI708169B (zh)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02418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077362A1 (en) Terminal with fingerprint reader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through fingerprint reader
KR10230820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635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인터렉션 방법
US1057214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921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2608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3287887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69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