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088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088B1
KR102426088B1 KR1020210117204A KR20210117204A KR102426088B1 KR 102426088 B1 KR102426088 B1 KR 102426088B1 KR 1020210117204 A KR1020210117204 A KR 1020210117204A KR 20210117204 A KR20210117204 A KR 20210117204A KR 102426088 B1 KR102426088 B1 KR 102426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area
display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231A (ko
Inventor
강동구
김윤경
이용연
곽지연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폴딩 라인(folding line)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folding)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 중 폴딩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 및 상기 커버에서만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만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크기도 최소화되면서 그 기능은 더욱 다양해져,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나 사용자 인터렉션 방식에 대해서도 다양한 니즈(needs)가 발생하고 있다. 즉,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변하고, 컨텐츠의 종류 및 기능이 크게 증대함에 따라, 단순히 버튼을 선택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종래의 인터렉션 방식으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의 축소화를 위해, 힌지부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접히는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힌지부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접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접혀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거나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중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에 다양한 UI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에 기설정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설정된 각도까지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통해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통해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노출 영역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 각도 범위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전화 통화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 각도 범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전화 요청을 수용하고, 전화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화 요청을 수용하고 전화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각도까지 폴딩되는 제1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2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맞닿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폴딩되는 제2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단순 정보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folding)된 경우, 상기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에 기설정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설정된 각도까지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노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통해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통해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노출 영역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 각도 범위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전화 통화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 각도 범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전화 요청을 수용하고, 전화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화 요청을 수용하고 전화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각도까지 폴딩되는 제1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2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맞닿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접는 제2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단순 정보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폴딩 라인(folding line)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folding)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z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노출 영역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커버에서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커버에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커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일정 각도로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가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이 제2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면은 잠금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메뉴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경우, 상기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의 일부 영역이 온 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포던스(affordance)가 상기 커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렉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폴딩 상태 또는 상기 제1 폴딩 상태와 반대방향으로 폴딩되는 제2 폴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딩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폴딩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폴딩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z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동시에 상기 커버에서 제2 사용자 인터렉션 및 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방향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각도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화면은 잠금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메뉴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경우, 상기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의 일부 영역이 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일부 영역이 온 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포던스를 상기 커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커버의 일부 영역을 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a 및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사각형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인터렉션 및 언폴딩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2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인터렉션 및 언폴딩 인터렉션을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능을 유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살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한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27 및 도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전화요청이 수신된 경우, 노출 영역에 어포던스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언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및 커버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1 및 도 32는 디스플레이부가 제2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스플레이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 및 커버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제1 화면을 일시적으로 오프 시키거나 또는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또는 커버를 터치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가 화면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및 커버에서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음량을 조절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1 내지 도 46은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다양한 어포던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인터렉션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처리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전화요청 수신시 처리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5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언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및 커버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처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제2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발광부에 어포던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 및 UI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될 수 있도록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폴딩된 상태에서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UI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120)는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 및 디스플레이부(11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언폴딩되는 언폴딩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폴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힌지부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폴딩(folding)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에 기설정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UI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UI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감지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영역의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감지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음악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노출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영역의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노출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되는 동안 노출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오디오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에는 발신자에 대한 정보 및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UI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설정된 각도까지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120)를 통해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콘 중 메시지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메시지 아이콘에 대응되는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폴딩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20)를 통해 UI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부(120)를 통해 UI를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UI를 통해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후 감지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UI를 통해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감지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UI를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제1 각도 범위로 펼쳐지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전화 통화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제1 각도 범위 이상으로 펼쳐지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전화 요청을 수용하고, 전화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를 펼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전화 요청을 수용하고 전화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를 제1 각도까지 폴딩되는 제1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제2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폴딩되는 제2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단순 정보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2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통신부(240), 저장부(250), 오디오 처리부(260), 스피커부(270), 감지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VO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2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22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2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제1 영역(320) 및 제1 영역(320)보다 넓은 제2 영역(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제2 영역(330) 중 일부가 외부 노출되는 노출 영역(3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폴딩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힌지부(310)가 길이가 짧은 변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10)가 길이가 긴 변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역시 디스플레이부(230)는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제1 영역(350) 및 제2 영역(3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제2 영역(360) 중 일부가 외부 노출되는 노출 영역(37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40)는 와이파이칩(241), 블루투스 칩(242), 무선 통신 칩(243), NFC 칩(244)을 포함한다. 제어부(290)는 통신부(24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와이파이 칩(241), 블루투스 칩(24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241)이나 블루투스 칩(2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24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24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저장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250)에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250)에는 OS(410), 커널(420), 미들웨어(430), 어플리케이션(4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4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4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420)은 디스플레이부(23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4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미들웨어(430)는 X11 모듈(430-1), APP 매니저(430-2), 연결 매니저(430-3), 보안 모듈(430-4), 시스템 매니저(4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 UI 프레임워크(430-7), 윈도우 매니저(430-8), 필기 인식 모듈(4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430-1)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430-2)는 저장부(25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4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430-2)는 X11 모듈(4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4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4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4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430-5)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4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나 서브UI 프레임워크(4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28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440-1 ~ 4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CPU(294)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25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26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2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70)는 오디오 처리부(2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2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2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281), 움직임 감지부(282) 및 폴딩 감지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28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82)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폴딩 감지부(283)는 벤딩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접혔는지 여부 및 접힌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터치 감지부(281)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버스(296)를 포함한다. 이때,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등은 버스(2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94)는 ROM(2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RAM(2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91)에 복사하고, RAM(2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2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내지 2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노출 영역에 제공되는 UI>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영역(320)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340)에 기설정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UI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UI(5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UI(5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UI(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UI(520)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정보, 재생/정지 아이콘, 건너뛰기 아이콘, 되감기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이 포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노출 영역을 연속적으로 두 번 터치하는 인터렉션 등)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이 포함된 UI(5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은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을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외부로부터 메시지나 데이터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통신부(240)를 통해 외부로부터 SN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SNS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5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SNS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540)에는 발신자에 대한 정보 및 SNS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UI(6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UI(610)는 상하로 스와이프(swipe)하는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610)에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노출 영역의 모서리에 복수의 점을 포함하는 UI(6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62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점들을 잇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건반 형태의 UI(6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630)에 기설정된 리듬으로 건반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홈 아이콘을 포함하는 UI(6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640)에 포함된 홈 아이콘을 기준으로 핀치-아웃(pinch-out)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호 형태의 UI(7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가 음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른 설정(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꼭지점 중 하나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꼭지점에 대응되는 코너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는 UI(7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폴딩 인터렉션 및 언폴딩 인터렉션>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를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아이콘 내지 제4 아이콘(810 내지 840)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1 아이콘 내지 제4 아이콘(810 내지 840) 중 제4 아이콘(840)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아이콘(840)에 대응되는 메시지 창(850)을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4 아이콘(84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터치된 다른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81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아이콘(810)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를 들어, 최근 전화 통화 목록 화면, 주소록 화면, 전화 발신 화면 등)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아이콘(82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아이콘(820)에 대응되는 웹 브라우저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아이콘(83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3 아이콘(830)에 대응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를 들어, 음악 재생 화면, 음악 리스트 화면 등)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을 터치한 후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9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91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70도 내지 120도)만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통화 요청을 수락하고, 스피커 폰 기능을 실행하며, 전화 통화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9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뉴스 정보(1010)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뉴스 정보(1010)와 함께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0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02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70도 내지 120도)만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답장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창(10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을 터치한 후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와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에 상이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1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110)가 디스플레이되는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 UI(1110)와 함께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1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노출 영역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실행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30)의 일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135)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120)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답장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창(11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언폴딩 인터렉션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순서에 따라 상이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a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 12a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홈 화면(12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고,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 12b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2 홈 화면(12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2c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40)에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 12b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2 홈 화면(12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언폴딩 인터렉션만이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노출 영역을 터치한 후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a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3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10)을 터치한 후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a의 우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전화 통화 기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인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20)(또 다른 실시예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10)를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a의 우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전화 통화 화면(13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UI(13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40)를 터치한 후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의 우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을 유지하며, 전체 화면에 재생 리스트(13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40)를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의 우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음악 플레이어 화면(136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만큼 언폴딩되는 제1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완전히 언폴딩하는 제2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4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4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30도 내지 150도)만큼 언폴딩되는 제1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통화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1430-1 내지 1430-3)을 포함하는 UI(1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아이콘(1430-1 내지 1430-3) 중 사진 공유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완전히 언폴딩하는(즉,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180가 되도록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전화 통화 요청을 수용하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영역에 전화 통화 화면(1440)을 디스플레이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14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1450)에 포함된 복수의 사진 중 하나를 전화 통화 화면(1440)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사진을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90)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에 따라 복수의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메시지에는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부재중 통화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SNS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1개의 안내 메시지(15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제1 각도 범위(예를 들어, 5도 내지 15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2 개의 안내 메시지(1510,1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제2 각도 범위(예를 들어, 15 도 내지 25 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3 개의 안내 메시지(1510,1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커질수록 디스플레이되는 안내 메시지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제4 각도 범위(예를 들어, 35도 내지 45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안내 메시지(1510 내지 15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제1 안내 메시지(1510)가 가장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안내 메시지(1510 내지 155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안내 메시지(152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다시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제2 안내 메시지(1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안내 메시지(1510 내지 155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안내 메시지(152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완전히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2 안내 메시지(1520)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서 감지되는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에 좌우 방향의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노출 영역에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 또는 다음에 수신된 메시지를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에 아래 방향의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전체 화면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b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2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셤이 감지되고, 제2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3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셤이 감지되고, 제3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4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셤이 감지된 후,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6b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1620'),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1630'), 제3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1640') 및 홈 화면(165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 디스플레이부(230)의 형태 변형에도 현재 기능 유지>
제어부(290)는 폴딩 인터렉션 또는 언폴딩 인터렉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현재 기능을 유지하며, 현재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를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7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7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7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72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전화 통화 화면(17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7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디스플레이부(230)를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7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9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전체 화면으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통화를 수용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18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를 수용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182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를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8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8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와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1 전화 통화 화면(19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θ만큼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힌지 각도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하고,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전화 통화 화면(19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화 통화 화면(1920)은 제1 전화 통화 화면(1910)에 포함된 정보 량 및 아이콘보다 적은 정보량 및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가 수행 중을 안내하는 UI(19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1 네비게이션 화면(20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θ만큼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힌지 각도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하고,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네비게이션(20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비게이션 화면(1920)이 안내하는 영역이 제1 네비게이션 화면(1910)이 안내하는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제3 네비게이션 화면 UI(20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네비게이션 화면(2030)에는 제1 네비게이션 화면(2010) 및 제2 네비게이션 화면(2020)과 달리 지도 화면이 아닌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폴딩 인터렉션 또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더라도 화면의 크기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정보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1 주소록 리스트(21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제2 주소록 리스트(21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주소록 리스트(2110)에는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 이름 정보, 전화 번호 정보, 바로 걸기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주소록(2120)에는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 및 이름 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뉴스의 제목(22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의 제목뿐만 아니라 뉴스 이미지, 뉴스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면(22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될 경우 노출되는 노출 영역과 감춰지는 히든 영역에 상이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2310)에는 공용 정보(public information)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고, 히든 영역(2320)에는 개인 정보(private information)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2330)에는 공용 정보인 바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고, 히든 영역(2340)에는 개인 정보인 신용카드 리스트, 거래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241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20).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경우(S2420-Y),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에 기설정된 UI를 디스플레이한다(S2430). 이때, 기설정된 UI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폴딩 상태에 기초한 인터렉션 방법>
도 25a 내지 도 25d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한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7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인터렉션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폴딩 라인(2505, folding line)을 기준으로 제1 영역(2503) 및 제1 영역(2503)보다 넓은 제2 영역(2501)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230),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2509), 디스플레이부(230) 및 커버(2509)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280) 및 감지부(280)를 통해 폴딩 라인(2505)을 기준으로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이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folding)되는 경우, 폴딩 상태에서 제2 영역(2501)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2507) 및 커버(2509)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제어하고, 커버(2509)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되는 경우,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을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폴딩 상태 또는 제1 폴딩 상태와 반대방향으로 폴딩되는 제2 폴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단계 S470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1 폴딩 상태에서는 제2 영역(2501)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2507) 및 커버(2509)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하고, 제2 폴딩 상태에서는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을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4703).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 상태 및 언폴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에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 라인(2505)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라인(2505)은 디스플레이부(230)에 생성되는 가상의 라인이며,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 라인(2505)을 기준으로 폴딩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 라인(2505)을 기준으로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영역(2501)은 제1 영역(2503)보다 넓이가 클 수 있다. 제2 영역(2501)은 제1 영역(2503)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제2 영역(2501)은 제1 영역(2503)보다 면적이 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에는 커버(2509)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커버(2509)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2509)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509)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제1 폴딩 상태 또는 제2 폴딩 상태로 폴딩 될 수 있다. 제1 폴딩 상태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되는 것이다.
도 2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되어 있다. 제1 폴딩 상태에서는 제2 영역(2501)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2507) 및 커버(2509)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되는 경우, 제2 영역 중 일 부분(2507)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폴딩 상태는 제1 폴딩 상태와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부에 배치된 커버(2509)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될 수 있다.
도 25c및 도 25d는 디스플레이부(230)가 제2 폴딩 상태로 폴딩 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2 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을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2503) 및 제2 영역(2501)에서만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고,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에 배치된 커버(2509)에서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
도 26a 내지 도 26c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8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처리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2601)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제어부(29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는 복수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일 수 있으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에 배치된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단계 S480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z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4803).
사용자 인터렉션은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에 배치된 커버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디스플레이부(230)에서 감지될 수 있다.
도 2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611, 2612, 2613, 2614, 2615, 2616)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26a에서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되고, 실행중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2601)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2603)이 감지되면, 도 26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611, 2612, 2613, 2614, 2615, 261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611, 2612, 2613, 2614, 2615, 2616)은 z축 방향(2620)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611, 2612, 2613, 2614, 2615, 2616)은 사다리꼴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한테 입체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Z축 방향(2620)은 디스플레이부 평면에 수직된 방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611, 2612, 2613, 2614, 2615, 2616)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6c를 참조하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611, 2612, 2613, 2614, 2615, 2616)중 선택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2621)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611, 2612, 2613, 2614, 2615, 2616)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28b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전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노출 영역에 어포던스(affordance)가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9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전화 요청 수신시 처리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가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어 있으며,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되어 있다. 제1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2701)로 덮여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을 수신하면(단계 S4901), 제어부(290)는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2703)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280)는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2705)을 감지하고(단계 S4903),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렉션(2705)에 기초하여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할 수 있다(단계 S4905).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감지부(28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2705)은 드래그 제스처 또는 플릭 제스처일 수 있다. 노출 영역(2703)에 디스플레이되는 UI는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을 지시하는 어포던스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230)가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노출 영역(2703)에는 전화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하는 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버(2701)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수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되고, 사용자가 커버(2701)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거절'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거절될 수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어 있으며,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되어 있다. 제1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2709)로 덮여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을 수신하면(단계 S4901), 제어부(290)는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2707)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280)는 커버(2709)에서 사용자 인터렉션(2711)을 감지하고(단계 S4903),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렉션(2711)에 기초하여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할 수 있다(단계 S4905).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감지부(28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2711)는 드래그 제스처 또는 플릭 제스처일 수 있다. 노출 영역(2707)에 디스플레이되는 UI는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을 지시하는 어포던스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0)가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노출 영역(2707)에는 전화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하는 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버(2709)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거절'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되고, 사용자가 커버(2709)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수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거절될 수 있다.
도 2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어 있으며, 제1 폴딩 상태로 폴딩 되어 있다. 제1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2803)로 덮여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을 수신하면(단계 S4901), 제어부(290)는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2801)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290)는 커버(2803)에서 사용자 인터렉션(2805)을 감지하고(단계 S4903),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렉션(2805)에 기초하여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할 수 있다(단계 S4905).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감지부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2805)은 탭핑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2805)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가볍게 두드리는 노크(Knock) 제스처일 수 있다. 노출 영역(2801)에 디스플레이되는 UI는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을 지시하는 어포던스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가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노출 영역(2801)에는 전화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 하는 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버(2803)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수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되고, 사용자가 커버(2803)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거절'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거절될 수 있다.
도 28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어 있으며,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되어 있다. 제1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2809)로 덮여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폴딩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을 수신하면(단계 S4901), 제어부(290)는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2807)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280)는 커버(2809)에서 사용자 인터렉션(2811)을 감지하고(단계 S4903),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렉션(2811)에 기초하여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할 수 있다(단계 S4905).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감지부(28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전화 요청을 수용 또는 거절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2811)은 탭핑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2811)은 사용자 단말 장치를 가볍게 두드리는 노크(Knock) 제스처일 수 있다. 노출 영역(2807)에 디스플레이되는 UI는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을 지시하는 어포던스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0)가 제1 폴딩 상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노출 영역(2807)에는 전화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 하는 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버(2809)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수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되고, 사용자가 커버(2809)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거절'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전화 통화가 거절될 수 있다.
도29a 내지 도30b는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901)의 언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901) 및 커버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부(2901)에 실행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이며, 도 5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901)의 언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901) 및 커버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처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901)가 언폴딩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901)에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일 수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901)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부(2901)에서 제1 사용자 인터렉션(2913)을 감지하고, 동시에 커버에서 제2 사용자 인터렉션(2910)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S5001).
여기서 ‘동시에’의 의미는 시간적으로 중복되는 구간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시작과 끝이 반드시 일치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제1 사용자 인터렉션(291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2910)은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291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2910)은 플릭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291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2910)은 서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부(2901)에서 제1 사용자 인터렉션(2913)을 감지하고, 커버에서 제2 사용자 인터렉션(2910)을 감지하고,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291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2910)에 기초하여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901)에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5003).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감지부(28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901)에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901)에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903, 2905, 2907, 2909)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903, 2905, 2097, 2909)은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2909)위에 애플리케이션(2907)이 겹쳐서 디스플레이되고, 애플리케이션(2907)위에 애플리케이션(2905)가 겹쳐서 디스플레이되고, 애플리케이션(2905)위에 애플리케이션(290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0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01)가 언폴딩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001)에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일 수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3001)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부(3001)에서 제1 사용자 인터렉션(3003)을 감지하고, 동시에 커버에서 제2 사용자 인터렉션(3005)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S5001).
여기서 ‘동시에’의 의미는 시간적으로 중복되는 구간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시작과 끝이 반드시 일치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제1 사용자 인터렉션(300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3005)은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300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3005)은 플릭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300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3005)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300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3005)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부(3001)에서 제1 사용자 인터렉션(3003)을 감지하고, 커버에서 제2 사용자 인터렉션(3005)을 감지하고,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300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3005)에 기초하여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3001)에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5003).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감지부(28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3001)에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방향(300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 방향(3005)이 서로 다른 방향인 경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일정 각도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부(3001)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방향(3003) 및 제2 사용자 인터렉션 방향(3005)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일정 각도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부(3001)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30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01)에 현재 실행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3007, 3009, 3011, 301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3007, 3009, 3011, 3013)은 일정각도로 서로 겹치면서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3013)위에 애플리케이션(3011)이 일정 각도로 겹쳐서 디스플레이되고, 애플리케이션(3011)위에 애플리케이션(3009)가 일정 각도로 겹쳐서 디스플레이되고, 애플리케이션(3009)위에 애플리케이션(3007)이 일정각도로 겹쳐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31a 내지 도 32c는 디스플레이부(230)가 제 2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부(230)에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1은 디스플레이부가 제2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2 폴딩상태로 폴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제2 영역 및 제1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영역에는 제1 화면(310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폴딩 상태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3105, 3103)을 감지하고(단계 S5101), 사용자 인터렉션(3105, 3103)에 대응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이 제2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5103).
여기서 ‘동시에’의 의미는 시간적으로 중복되는 구간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시작과 끝이 반드시 일치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렉션(3103, 3105)은 터치 인터렉션 일 수 있다. 제2 화면은 제1 화면에 메뉴가 포함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제2 화면은 개인화된 홈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제2 화면은 빈 화면(blank screen)일 수 있다. 빈 화면은 화면 오프 상태의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및 제1 영역에서 동시에 터치 인터렉션(3103, 3105)을 감지하면, 제어부(29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제1 화면(3101)을 제1 화면에 대한 메뉴화면(3107)이 포함되어 있는 제2 화면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1b에는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제2 화면은 제1 화면(3101)에 메뉴(3107)가 포함될 수 있다. 메뉴(3107)는 제1 화면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도 31c에는 제1 화면(3101)에 또 다른 형태의 메뉴(3109)가 포함되어 있는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도 3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2 폴딩 상태로 폴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제2 영역 및 제1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영역에는 제1 화면(310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폴딩 상태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3205, 3203)을 감지하고(단계 S5101), 사용자 인터렉션(3205,3203)에 대응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이 제2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5103).
여기서 ‘동시에’의 의미는 시간적으로 중복되는 구간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시작과 끝이 반드시 일치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렉션(3205, 3203)은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3205, 3203)은 플릭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2 폴딩 상태에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및 제1 영역에서 동시에 터치 인터렉션(3203, 3205)을 감지하면, 제어부(29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101)을 개인화된 홈화면(3213)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2c를 참조하면 제2 영역에 개인화된 홈화면(321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32b를 참조하면 제1 화면이 잠금화면(3207)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및 제1 영역에서 동시에 드래그 제스처(3209, 3211)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폴딩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잠금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제2 영역 및 제1 영역에서 동시에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를 감지하고, 드래그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개인화된 홈화면(3213)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230) 및 커버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제1 화면을 일시적으로 오프(Off)시키거나 또는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를 참조하면 제2 폴딩 상태로 폴딩된 디스플레이부(230)에 제1 화면(3301)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및 제1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3303, 3305)을 감지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렉션(3303, 3305)에 대응하여 제1 화면을 화면 오프 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3b를 참조하면 제2 폴딩 상태로 폴딩된 디스플레이부(230)에 제1 화면(3307)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및 제1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자 인터렉션(3309, 3311)을 감지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렉션(3309, 3311)에 대응하여 제1 화면을 화면 오프 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1 화면에서 제2 화면으로 변경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2 화면은 화면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화면은 잠금 화면일 수 있다.
도 34a 내지 도 36b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0)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 또는 커버를 터치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가 화면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가 감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 전체 영역이 화면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가 감지되는 동안 터치가 감지된 영역이 화면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폴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3401) 및 제1 영역(340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제2 영역(3401) 및 제1 영역(3403)은 화면 오프 상태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영역(3401)을 터치하면(3405), 감지부(28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290)는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동안 제2 영역(3401) 전체 또는 제2 영역(3401) 중 터치가 감지된 영역 부근의 화면을 온 상태로 전환활 수 있다. 화면 온 상태의 영역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3407)에서 사용자의 터치(3409)를 감지하고 터치가 감지된 제2 영역(3407)이 화면 온 상태로 전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의 제2 폴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3501) 및 제2 영역(350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제1 영역(3501) 및 제2 영역(3503)은 화면 오프 상태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영역(3501)을 터치하면(3505), 감지부(28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290)는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동안 제1 영역(3501) 전체 또는 제1 영역(3501) 중 터치가 감지된 영역 부근의 화면을 온 상태로 전환활 수 있다. 화면 온 상태의 영역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3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3507)에서 사용자의 터치(3509)를 감지하고 터치(3509)가 감지된 제1 영역(3507)이 화면 온 상태로 전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폴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3601, 360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커버(3601,3602)에서는 사용자의 터치(3605)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6b를 참조하면 커버(3607),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3609) 이 도시되어 있다.
화면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3607)를 터치(3611)하면, 노출 영역(3609)이 화면 오프 상태에서 화면 온 상태로 전환되고,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37a 내지 도 40b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 및 커버에서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 및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 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3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커버가 마주 본 형태로 폴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3701) 및 제1 영역(3703)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제2 영역(3701)에서 사용자 인터렉션(3705)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7b를 참조하면 뮤직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3707)에서 사용자 인터렉션(3709)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렉션(3709)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 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3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가 커버가 마주 본 형태로 폴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3801) 및 제2 영역(3803)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제1 영역(3801)에서 사용자 인터렉션(3805)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8b를 참조하면 뮤직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3809)에서 사용자 인터렉션(3807)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렉션(3807)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 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3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 본 형태로 폴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중 일부분(3911)만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커버(3901, 3903)에서 사용자 인터렉션(3905)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9b를 참조하면 뮤직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커버(3907)에서 사용자 인터렉션(3913)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렉션(3913)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중 노출 영역(3911)은 화면 오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40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 본 형태로 폴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 중 일부분만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커버(4001, 4003)에서 사용자 인터렉션(4005)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0b를 참조하면 뮤직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커버(4005)에서 사용자 인터렉션(4007)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렉션(4007)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 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는 빈 화면(black screen) 상태일 수 있다.
도 41a 내지 도 46c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다양한 어포던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2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발광부에 어포던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30) 및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커버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후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부(230) 및 커버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폴딩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에 오브제트를 디스플레이 하고(단계 S5201),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커버의 일부 영역이 온 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포던스가 커버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은 커버(4101)로 덮혀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103)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4103)에는 날씨, 전화번호, 수신 메시지 및 알림 메시지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커버(4101)에는 복수의 발광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LED가 3 X 4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발광부를 제어하여 노출 영역(4103)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복수의 LED중 일부를 온 또는 오프하여 노출 영역(4103)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출 영역(4103)에 특정 지역의 날씨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290)는 커버(4125)의 발광부를 제어하여 다른 지역의 날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2개의 LED(4105, 4107)를 온 시켜, 사용자가 터치하도록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LED(4107)를 터치하면 다른 지역의 날씨 정보가 노출 영역(4103)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LED를 터치하는 것은 LED를 직접 터치하거나 또는 LED의 주변 영역을 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4113)로 덮여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111)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4111) 에 채팅 메시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하좌우 스크롤을 통해 다른 메시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여 상하좌우 방향의 스크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4개의 LED(4115, 4117, 4118, 4120)을 온 시켜, 사용자가 터치하도록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LED(4120)를 터치하면(4121) 다른 메시지가 노출 영역(4111)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LED를 터치하는 것은 LED를 직접 터치하거나 또는 LED의 주변 영역을 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1c를 참조하면 도 41b에서 사용자가 LED(4120)를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노출영역(4123)에 다른 메시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커버(4125)에는 4개의 LED가 온 되어 있다.
도 41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로 덮여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127)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4127)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G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커버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안내하는 어포던스(4129)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12개의 LED를 모두 온 시키고, 사용자가 LED를 터치하면 LED 위치에 대응하는 숫자가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5'에 대응하는 위치의 LED(4123)를 터치함에 따라 '5'가 노출 영역(4127)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LED를 터치하는 것은 LED를 직접 터치하거나 또는 LED의 주변 영역을 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4203)로 덮여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노출 영역(4203)에 전화 요청 수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커버(4203)에는 전화 요청 수신 메시지와 관련된 어포던스(4205)가 제공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개의 LED가 차례로 점등 되면서 사용자가 LED가 점등 되는 방향을 따라 인터렉션(4207)을 수행하도록 어포던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 요청이 수신되면 노출 영역(4201)에 전화 요청 수신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LED가 점등 되는 방향을 따라 커버(4203)를 우에서 좌로(4207) 드래그하면,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요청이 거절 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4303)로 덮여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301)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4301) 및 커버(4303)에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유도하는 어포던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손가락의 회전을 요구하는 인터렉션이 필요한 경우, 노출 영역(4301)에 GUI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커버(4303)에 GUI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포던스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4303)에는 복수의 LED(4305, 4307)가 원 형태로 점멸될 수 있다.
도 4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4403)로 덮여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40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뮤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노출 영역(4401)에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커버(4403)에는 다음 곡 또는 이전 곡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 및 현재 재생되는 곡의 음량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포던스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에 배치된 12개의 LED중 중앙에 있는 5개의 LED(4404, 4405, 4406, 4408, 4409)를 온 시켜서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LED(4406)를 터치(4407)하면 다음 곡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LED(4409)를 터치하면 이전 곡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LED(4408)를 터치하면 음량이 커질 수 있다. 사용자가 LED(4405)를 터치하면 음량이 낮아질 수 있다. 사용자가 LED(4404)를 터치하면 현재 선택된 곡이 재생 또는 정지 될 수 있다.
도 44b를 참조하면 노출 영역(4409)에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커버(4410)에는 12개의 LED중 중앙에 있는 5개의 LED가 온 되어 있다.
사용자가 LED(4411)를 터치(4413)하면 음량이 커질수 있다.
도 44c를 참조하면 노출 영역(4415)에 음량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도 44b에서 사용자가 커버(4419)에 포함된 LED(4411)를 터치함에 따라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가 음량에 대한 정보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5a 내지 도 45c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화면이 오프된 경우, 커버에서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화면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제2 영역은 커버(4503)로 덮여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501)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를 터치(4505)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커버에 화면을 온 시킬 수 있는 인터렉션을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5b에는 도 45a에서 사용자가 커버를 터치하는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커버(4509)에 화면을 온 시키기 위한 인터렉션을 유도하는 어포던스(4513, 4511)를 제공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노출 영역(4507)은 화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제공된 어포던스를 따라 손가락을 커버에 접촉하고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4513)하고, 계속해서 우측 방향(4511)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는 노출 영역(4515)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5c를 참조하면 노출 영역(4515)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커버(4515)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어포던스(4519)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6a 내지 도 46c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를 터치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어포던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주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3)의 제2 영역은 커버(4603)로 덮여 있으며 제2 영역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460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버를 터치하면(4605) 터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어포던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6b를 참조하면 노출 영역(4607)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고 커버(4609)에 어포던스(4611, 4612)가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가 커버를 터치함에 따라 다음 곡 또는 이전 곡을 선택하기 위한 어포던스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가 좌우 방향으로 점멸되면서 사용자의 좌우 방향 드래그 인터렉션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6c를 참조하면 노출 영역(4613)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고 커버(4615)에 어포던스(4616, 4617)가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가 LED(4616)를 터치하면 이전 곡이 선택되고, 사용자가 LED(4617)를 터치하면 다음 곡이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230: 디스플레이부      120, 280: 감지부
130, 290: 제어부         210: 영상 수신부
220: 영상 처리부         240: 통신부
250: 저장부          260: 오디오 처리부
270: 오디오 출력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힌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폴딩되는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는 폴딩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 상태인 동안 전화 통화가 수신되면,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이며,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의 일부는 상기 노출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크기의 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노출 영역 상에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잠금 화면을 언락하기 위해 상기 노출 영역 상에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며,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시계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unlock)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언폴딩 상태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폴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노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언폴딩 상태로 언폴딩되면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폴딩되는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는 폴딩 상태에서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 상태인 동안 전화 통화가 수신되면,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크기의 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노출 영역 상에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잠금 화면을 언락하기 위해 상기 노출 영역 상에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시계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unlock)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언폴딩 상태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폴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노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언폴딩 상태로 언폴딩되면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10117204A 2014-02-10 2021-09-0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26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7744P 2014-02-10 2014-02-10
US61/937,744 2014-02-10
KR1020200066043A KR102300102B1 (ko) 2014-02-10 2020-06-0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043A Division KR102300102B1 (ko) 2014-02-10 2020-06-0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231A KR20210111231A (ko) 2021-09-10
KR102426088B1 true KR102426088B1 (ko) 2022-07-28

Family

ID=710873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043A KR102300102B1 (ko) 2014-02-10 2020-06-0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10117204A KR102426088B1 (ko) 2014-02-10 2021-09-0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043A KR102300102B1 (ko) 2014-02-10 2020-06-0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0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782A (ko) * 2020-12-03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8740B (zh) * 2011-04-13 2014-05-21 Wistron Corp 可撓式電子裝置
KR101881865B1 (ko) *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1661526B1 (ko) * 2012-04-08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KR101978206B1 (ko)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6674호(2013.05.30.)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3132호(2014.01.0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231A (ko) 2021-09-10
KR102300102B1 (ko) 2021-09-09
KR20200066602A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61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33195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5660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7778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0746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2608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