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652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652B1
KR102243652B1 KR1020140017885A KR20140017885A KR102243652B1 KR 102243652 B1 KR102243652 B1 KR 102243652B1 KR 1020140017885 A KR1020140017885 A KR 1020140017885A KR 20140017885 A KR20140017885 A KR 20140017885A KR 102243652 B1 KR102243652 B1 KR 10224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touch input
transparent display
detec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952A (ko
Inventor
천시내
김지환
김종호
이도영
김용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52B1/ko
Priority to US14/223,432 priority patent/US9529383B2/en
Priority to PCT/KR2014/002516 priority patent/WO2015122559A1/en
Publication of KR2015009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Abstract

본 명세서는 유저가 더욱 편리하고 더욱 정확하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유닛; 제 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구비하여 전면(front side)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제 2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구비하여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 및 후면(back side)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센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으로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센싱하는, 포지션 센서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포지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버랩된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인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들)의 활성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유저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개인간 통신, 음악 청취뿐만 아니라 웹 서핑, 전자 금융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다. 기존의 컴퓨터를 통해 가능했던 서비스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됨에 따라 유저들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위와 같은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므로 유저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양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을 추가로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유저가 디스플레이를 넓고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따라 터치 센서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활성화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폴딩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하고, 디텍트한 포지션에 따라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폴딩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하고, 디텍트한 포지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경우, 활성화된 일부 영역을 스케일링하여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유닛; 제 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구비하여 전면(front side)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제 2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구비하여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 및 후면(back side)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센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으로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센싱하는, 포지션 센서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포지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버랩된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인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텍트한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따라 활성화될 터치 센서 유닛을 결정하므로,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적합한 터치 입력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유저가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텍트한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따라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유닛을 결정하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징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경우 활성화된 일부 영역을 스케일링하므로,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을 탑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포지션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포지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하고,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바이스’라 약칭할 수 있다.
도 1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을 탑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1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을 탑재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이란,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며, 빛을 반사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디바이스(1010)의 본체를 향해 폴딩되는 형태로서 디바이스(1010)에 탑재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10) 본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유닛(1020)을 향해 폴딩되는 형태로서 디바이스(10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유닛(1020)의 일측과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이 디스플레이 유닛(1020)을 향해 폴딩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디스플레이 유닛(10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이 디스플레이 유닛(1020)을 향해 폴딩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디스플레이 유닛(1020)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유닛(10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20)의 전면에 위치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므로, 유저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02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1010)는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의 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디바이스(1010)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1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 폴딩 또는 언폴딩 방향, 및/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과 디스플레이 유닛(1020) 사이의 각도 등을 기준으로 디바이스(1010)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1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의 폴딩 상태에 따라 크게 4가지 포지션 상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디바이스(1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의 폴딩 상태에 따른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1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 및 디스플레이 유닛(1020)에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1010)는 디텍트한 포지션에 따라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1030) 및 디스플레이 유닛(10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2020), 디스플레이 유닛(2030),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 포지션 센서 유닛(2050) 및 프로세서(20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020)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201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 유닛(2020)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터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0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020)은 유저의 롱-프레스(long-press) 터치 입력, 숏-프레스(short-press) 터치 입력, 드래그(drag) 터치 입력, 릴리즈(release)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센서 유닛(2020)은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터치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0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유닛(2020)은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터치 센서 유닛(2020)은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과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유닛(2020)은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과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을 터치 센서 유닛(2020)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유닛(2020)이 터치 입력을 센싱한다고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이 터치 입력을 센싱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센서 유닛(2020)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디스플레이 유닛(2030)의 전면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프로세서(2010)가 실행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20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유저의 시각을 통해 인식 가능한 시각적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오브젝트는 실시예로서 이미지, 그림, 텍스트, 동영상, 사진, 텍스트, 실행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불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후술할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과 구별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디바이스의 본체에 구비되어 메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터치 센서 유닛(20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디스플레이 유닛(2030)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2030)은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202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30)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30)과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은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은 터치 센서 유닛(20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은, 디스플레이 유닛(2030)과 달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은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은, 디스플레이 유닛(2030)과는 달리,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유닛(2020)을 구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의 “양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유닛(2020)을 사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 양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3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은 포지션 센서 유닛(2050)에 의해 디텍트된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포지션 센서 유닛(2050)은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센싱할 수 있다. 포지션 센서 유닛(2050)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의 폴딩 정도 또는 언폴딩 정도를 기준으로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지션 센서 유닛(2050)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의 폴딩 정도 또는 언폴딩 정도를 센싱함으로써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센싱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포지션은 크게 4가지 포지션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포지션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포지션 센서 유닛(2050)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근접 센서, 카메라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속도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0)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10)는 컨텐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10)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10)는 포지션 센서 유닛(2050)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하고, 디텍트한 포지션에 기초하여 각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010)는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하면, 디텍트한 포지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3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에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202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010)는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하면, 디텍트한 포지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3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2010)는 디텍트한 포지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3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 및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나아가, 프로세서(2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3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따라 유저가 디바이스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 역시 도 4 내지 도 6 및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유저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센싱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센싱된 유저 입력에 따라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010)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10)와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30)에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2020)을 ‘제 1 터치 센서 유닛’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 1 터치 센서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2030)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2020)을 ‘제 2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3 터치 센서 유닛’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 2 터치 센서 유닛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의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으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2040)의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3은 포지션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포지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의 폴딩 정도 또는 언폴딩 정도를 기준으로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포지션 센서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포지션으로서 크게 4가지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된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디스플레이 유닛(3010)과 오버랩된 포지션을 ‘제 1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디스플레이 유닛(3010) 전면에 위치하도록 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디스플레이 유닛(3010)과 오버랩된 포지션을 ‘제 1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포지션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의 후면이 디스플레이 유닛(3010)의 전면과 서로 마주보거나 맞닿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제 1 포지션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3010) 전면에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위치하므로, 유저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3010)을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언폴딩된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언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10) 사이의 각도(θ)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인 포지션을 ‘제 2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포지션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의 후면 및 디스플레이 유닛(3010)의 전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포지션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정한 오차 범위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방향’은 정확히 동일한 방향뿐만 아니라, 일정한 오차 범위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나타낼 수 한편, 여기서 기설정된 각도 범위는 제조사의 제조 과정, 디바이스의 설계 방식, 구조, 목적, 디자인,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바깥 방향으로 폴딩된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바깥 방향으로 폴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3010)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과 오버랩된 포지션을 ‘제 3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이 디스플레이 유닛(3010) 후면에 위치하도록 폴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3010)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과 오버랩된 포지션을 ‘제 3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포지션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유닛(3010)의 후면과 서로 마주보거나 맞닿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유닛(3010)이 디바이스 본체에 구비된 경우,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3010)의 후면은 디바이스 본체의 후면을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3020)과 디스플레이 유닛(3010)이 이루는 각도(θ)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미만인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4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과 디스플레이 유닛(4020)이 오버랩된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바이스(4010)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4010)에 구비된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4010)는 디텍트한 제 1 포지션에 대응하여 터치 센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402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일 실시예로서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4010)는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4010)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에 구비된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40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404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4010)는 디스플레이 유닛(4020)의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의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4010)의 제 1 포지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4020)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에 의해 커버되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은 가능하나,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의 후면 및 디스플레이 유닛(4020)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바이스(4010)는 불필요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4010)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402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4010)는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40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브젝트(1)는, 디스플레이 유닛(4020)에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은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어 빛을 투과시키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이 디스플레이 유닛(4020)의 전면에 위치하더라도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402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조합으로서, 디바이스(4010)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4020)에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404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4010)는 디스플레이 유닛(402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1)를 기준으로 제 2 터치 입력(4040)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바이스(4010)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제 2 터치 입력(4040)을 디텍트하고,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404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02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4020)에 제 1 오브젝트(1)로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제 2 터치 입력(4040)으로서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4010)는 디텍트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따라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과 오브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유닛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402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1)를 인지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4030) 전면을 터치함으로써 제 1 오브젝트(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이 언폴딩된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이 바깥 방향으로 언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 및 디스플레이 유닛(5020)이 이루는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인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에 구비된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2 포지션에 대응하여 터치 센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502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일 실시예로서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5020)의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의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5020)의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504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의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503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을 언폴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 및 디스플레이 유닛(5020)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제 2 포지션에서 유저가 터치 입력을 하기 편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 후면 및 디스플레이 유닛(5020) 전면의 각 터치 센서 유닛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의 제 2 포지션에서 불필요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자 함이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3 터치 센서 유닛과 함께 추가로 활성화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 양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동시에 디텍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502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오브젝트(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50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오브젝트(2)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제 2 오브젝트(2)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오브젝트(1)로부터 연속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오브젝트(2)는 제 1 오브젝트(1)와 함께 하나의 연속된 사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오브젝트(2)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오브젝트(1)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오브젝트(1)가 사진인 경우, 제 2 오브젝트(2)는 해당 사진의 추가 정보로서 사진이 생성된 날짜, 시간, 장소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조합으로서, 디바이스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5020)에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 유닛(5020)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504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5040)에 기초하여 제 1 오브젝트(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에 제 2 오브젝트(2)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5010)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503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5030)에 기초하여 제 2 오브젝트(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이 바깥 방향으로 폴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6010)과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이 오버랩된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에 구비된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3 포지션에 대응하여 터치 센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601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일 실시예로서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6010)의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의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6010)의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의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6030)을 디텍트할 수 있다. 특히, 제 3 포지션에서 디바이스는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 후면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6030)을 디텍트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제 3 포지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유닛(6010)의 후면과 서로 마주보거나 맞닿아 있는 상태이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의 전면에 대한 유저의 터치 입력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불필요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601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60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조합으로서, 디바이스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6010)에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 유닛(6010)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603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601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1)를 기준으로 제 1 터치 입력 및 제 3 터치 입력(6030)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제 1 터치 입력 및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3 터치 입력(603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601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6010)에 제 1 오브젝트(1)로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3 터치 입력(6030)으로서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따라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과 오브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유닛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601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1)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제 1 오브젝트(1)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의 후면에 위치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6020)을 터치함으로써 제 1 오브젝트(1)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하고,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포지션 및 제 3 포지션에서 제 3 터치 센서 유닛이 활성화되는 영역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전 영역(overall region)을 활성화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 전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7010)을 디텍트할 수 있다. 반면, 디바이스가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제 3 터치 센서 유닛 중 일부 영역(7020)(partial region)을 활성화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 중 일부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701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제 2 포지션의 경우, 유저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제 2 오브젝트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 3 포지션에서 유저가 제 3 터치 입력(7010)을 이용하여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경우, 유저는 디바이스 후면에 위치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게 되므로,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전 영역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경우,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후면의 터치 영역을 한정하더라도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데 문제가 없다. 다만, 이 경우 활성화된 일부 영역(7020)에 대한 스케일링이 필요한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7020)만을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유저가 보다 쉽고 편하게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7020)을 활성화하는 경우, 최초로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701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는 영역(7020)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701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최초로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70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반경(r) 이내의 영역(7020)을 활성화 영역(702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3 입력을 기준으로 활성화 영역(7020)을 결정하면, 결정된 활성화 영역(7020)에 대해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제 3 터치 입력(701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제 3 터치 센서 유닛 전체 영역에 대하여 활성화 영역(7020)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제 3 터치 입력(701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포지션의 디바이스가, 길이가 1cm인 제 3 터치 입력(7010)에 대해 제 1 커맨드를 수행했던 경우, 제 3 포지션의 디바이스는 1/4cm인 제 3 터치 입력(7010)에 대해서 동일한 제 1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1/4 값은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활성화된 일부 영역(7020)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이렇듯 활성화된 일부 영역(7020)을 스케일링한 뒤 제 3 터치 입력(7010)을 디텍트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유저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이 언폴딩된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이 바깥 방향으로 언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 및 디스플레이 유닛(8010)이 이루는 각도(θ)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미만인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각도 범위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하기 위한 각도 범위와 동일한 각도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 및 디스플레이 유닛(8010)이 이루는 각도(θ)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미만임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 및 디스플레이 유닛(8010) 사이의 각도(θ)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의 최소 각도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이 언폴딩 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포지션 → 제 4 포지션 → 제 2 포지션 순으로 포지션이 변경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에 구비된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801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일 실시예로서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의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8010)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8010)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의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8030)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801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80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오브젝트(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조합으로서, 디바이스는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8010)에 제 1 오브젝트(1)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 유닛(8010)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오브젝트(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에 제 2 오브젝트(2)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803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8030)에 기초하여 제 2 오브젝트(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이 언폴딩되어 제 4 포지션에서 제 2 포지션으로 디바이스의 포지션이 변경된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중이던 제 2 오브젝트(2)를 좌우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의 포지션이 제 4 포지션에서 제 2 포지션으로 변경된 경우, 유저를 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의 면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4 포지션의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의 전면이 실질적으로 유저를 향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포지션의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8020)의 후면이 실질적으로 유저를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를 향하는 면을 기준으로 제 2 오브젝트(2)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포지션 변경에 따라 제 2 오브젝트(2)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순서도에서 도 1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S9010).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폴딩 정도 또는 언폴딩 정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된 포지션을 제 1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디스플레이 유닛과 이루는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인 포지션을 제 2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각 포지션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S9020).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전 단계(S9020)에서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도 제 1 포지션에서의 디바이스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S9010 단계에서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제 1 터치 입력 및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디텍트할 수 있다(S9040).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 및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전 단계(S9040)에서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오브젝트를,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3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S9050).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전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오브젝트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도 제 2 포지션에서의 디바이스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는 추가적으로 제 3 포지션 및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깥 방향으로 폴딩된 포지션을 제 3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과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이루는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미만인 포지션을 제 4 포지션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제 3 포지션 또는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포지션에 대응하여 구비된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각도 및 방향은 정확한 값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각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각도 및 방향은 실질적인 각도 및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일정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20: 디스플레이 유닛
1030: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유닛;
    제 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구비하여 전면(front side)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제 2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구비하여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 및 후면(back side)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센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으로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센싱하는, 포지션 센서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포지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버랩된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인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각도가 상기 기설정된 각도 범위 미만인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각각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안쪽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과 마주보는 면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지션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버랩된 포지션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깥 방향으로 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이 마주보는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전 영역(Overall region)을 활성화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의 전 영역에 대한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Partial region)을 활성화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 영역을, 상기 제 3 포지션이 디텍트된 후 최초로 디텍트된 상기 제 3 터치 입력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초로 디텍트된 제 3 터치 입력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을 상기 일부 영역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 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을스케일링 하여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의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4 포지션에서 상기 제 2 포지션으로의 전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4 포지션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 중이던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좌우 반전시켜 상기 제 2 포지션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브젝트는 상기 제 1 오브젝트로부터 연속된 오브젝트, 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고 제 2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디텍트하는 단계; 로서, 상기 포지션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안쪽 방향으로 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버랩된 제 1 포지션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인 제 2 포지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된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된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된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언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각도가 상기 기설정된 각도 범위 미만인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4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텍트한 제 1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텍트한 제 2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깥 방향으로 폴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이 마주보는 제 3 포지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각각 디텍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포지션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의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한 제 3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삭제
KR1020140017885A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85A KR102243652B1 (ko)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223,432 US9529383B2 (en) 2014-02-17 2014-03-24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PCT/KR2014/002516 WO2015122559A1 (en) 2014-02-17 2014-03-2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85A KR102243652B1 (ko)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952A KR20150096952A (ko) 2015-08-26
KR102243652B1 true KR102243652B1 (ko) 2021-04-23

Family

ID=5379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85A KR102243652B1 (ko)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29383B2 (ko)
KR (1) KR102243652B1 (ko)
WO (1) WO2015122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2840B2 (en) * 2014-10-15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54248B2 (en) * 2014-11-28 2016-09-27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Touch inp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JP6411210B2 (ja) * 2014-12-26 2018-10-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KR102448863B1 (ko) * 2016-03-08 2022-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67144B1 (ko) * 2016-04-26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101319B (zh) * 2016-07-27 2019-10-2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终端及其显示控制方法
CN108107640A (zh) * 2016-11-23 2018-06-01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反射式显示设备
US10473957B2 (en) * 2016-11-23 2019-11-12 E Ink Holdings Inc. Reflective display apparatus
KR20180064631A (ko) * 2016-12-05 2018-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908727B2 (en) * 2017-11-02 2021-02-02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pad an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
KR102487389B1 (ko) * 2018-01-30 202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49236B1 (ko) 2019-04-04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33788A (ko) * 2019-09-19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폴더블 전자 장치를 이용한 생체정보 추정 방법
KR20210123647A (ko) * 2020-04-03 2021-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지문을 감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20045635A (ko) * 2020-10-06 202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063936A (ko) * 2020-11-11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439A1 (en)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20100295802A1 (en) 2009-05-25 2010-11-25 Lee Dohui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76591A1 (en) 2009-09-30 2011-03-31 Hitachi, Lt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US20130076591A1 (en) 2011-09-27 2013-03-28 Imerj LLC Detail on triggers: transitional stat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9119B2 (en) 2002-02-28 2006-07-18 Palm, In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7463247B2 (en) 2004-08-02 2008-12-09 Nokia Corporation Flip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277421A1 (en)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Device with a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Incorporating the Display Module into the Device
KR20110065702A (ko) 2009-12-10 201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8941683B2 (en) * 2010-11-01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interaction
KR101305135B1 (ko) 2010-12-29 2013-09-05 이경신 듀얼 터치패널을 갖는 단말기
JP5772289B2 (ja) * 2011-06-24 2015-09-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462069B (zh) * 2011-12-30 2014-11-2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
JP2013175152A (ja) 2012-01-24 2013-09-05 Dexerials Corp 透明導電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入力装置、電子機器、ならびに薄膜のパターニング方法
KR102164453B1 (ko) 2012-04-07 202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오브젝트 제어 방법 및 그 디바이스와 기록 매체
KR102126382B1 (ko) * 2014-02-19 2020-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439A1 (en)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20100295802A1 (en) 2009-05-25 2010-11-25 Lee Dohui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76591A1 (en) 2009-09-30 2011-03-31 Hitachi, Lt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US20130076591A1 (en) 2011-09-27 2013-03-28 Imerj LLC Detail on triggers: transitional st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2559A1 (en) 2015-08-20
US20150234507A1 (en) 2015-08-20
US9529383B2 (en) 2016-12-27
KR20150096952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65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657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8910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013095B1 (en) Multi-type gesture-equipped touch scre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23003127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16995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43018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providing image la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S2748044T3 (es) Aparato de pantall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US10504488B2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31825B1 (ko)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448587B2 (en) Digital device for recognizing double-sided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589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I502478B (zh) 觸摸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2453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EP4138368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766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defining scroll-wheel functionality on a touchpad
US20130154955A1 (en) Multi-Surface Touch Sensor Device With Mode of Operation Selection
US11003328B2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WI502479B (zh) 解鎖方法與電子裝置
KR20180023284A (ko) 복수의 터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상태 전환 방법
TW201432557A (zh) 具有非故意輸入預防機制之觸控螢幕
KR102559030B1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349015B2 (ja) タッチ入力装置のディスプレイ方法
KR10229582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6304232B2 (ja)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