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990B1 -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990B1
KR102058990B1 KR1020120103782A KR20120103782A KR102058990B1 KR 102058990 B1 KR102058990 B1 KR 102058990B1 KR 1020120103782 A KR1020120103782 A KR 1020120103782A KR 20120103782 A KR20120103782 A KR 20120103782A KR 102058990 B1 KR102058990 B1 KR 10205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item
shortcut
shortcut interface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524A (ko
Inventor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990B1/ko
Priority to US13/742,100 priority patent/US9015584B2/en
Priority to PCT/KR2013/007394 priority patent/WO2014046385A1/en
Publication of KR2014003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 형태로 쇼트컷(shortcut)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 1 터치 인풋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터치 인풋은 쇼트컷 인터페이스(shortcut interface)를 설정하기 위한 인풋이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함,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주변의 그래픽 이미지와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함, 상기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제 2 터치 인풋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여 제 3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 형태로 쇼트컷(shortcut)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센싱할 수 있는 휴대 장치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 PC(Tablet PC), 휴대폰, 스마트 폰, 리모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에 해당한다.
최근 들어, 정보 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각종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휴대폰은 스마트 폰으로 진화하면서, 단순히 전화를 송수신하는 고유 기능 이외에 인터넷 기능 등이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이 늘어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예로서, 사용자는 시간이나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이메일 확인, 뱅킹 업무, 게임 등의 다양한 작업을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이 많아지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크기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넓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가 한 손(10)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조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한 손(10)으로 잘 닿는 영역(120)이 있는 한편, 잘 닿지 않는 영역(110)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조작한다. 그러나, 문자 입력 등에 대한 작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용자는 한 손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따라서, 한 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하기 어려운 특정 영역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상관없이 한 손으로 조작이 용이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하여 쇼트컷(shortcut)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 형태로 쇼트컷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 1 터치 인풋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터치 인풋은 쇼트컷 인터페이스(shortcut interface)를 설정하기 위한 인풋이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함,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주변의 그래픽 이미지와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함, 상기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제 2 터치 인풋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여 제 3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 1 터치 인풋을 수신하되, 상기 제 1 터치 인풋은 쇼트컷 인터페이스(shortcut interface)를 설정하기 위한 인풋이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 제공하되, 상기 가상의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주변의 그래픽 이미지와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인디케이팅하며, 상기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제 2 터치 인풋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여 제 2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상관없이 한 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편리하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인비저블(invisible)한 택타일 피드백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시야의 방해없이 편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경우, 텍스처 정보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모드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모드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센싱할 수 있는 휴대 장치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 PC(Tablet PC), 휴대폰, 스마트 폰, 리모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다만,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10), 센서 유닛(220), 택타일 피드백 유닛(230), 스토리지 유닛(240) 및 컨트롤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컨트롤러(25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컨트롤러(2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유닛(2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풋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인식하는 환경을 컨트롤러(250)로 전달하고,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유닛(21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사용자의 환경을 센싱하여, 컨트롤러(25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구성 요소(element)로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센서 유닛(22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센싱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통해서도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디스플레이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터치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여 컨트롤러(250)에 전달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230)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에 대해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230)은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과 디스플레이 유닛(21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택타일 피드백 유닛(230)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상술한 택타일 피드백 유닛(230)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240)은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240)은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 및 아이템의 링크 정보 또는 실행 정보를 스토리지 유닛(240)에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240)은 모바일 디바이스(240)의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오디오 입출력 유닛, 파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미도시)는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 유닛(미도시)는 스피커, 이어폰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오디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입출력 유닛은 오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워 유닛(미도시)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shortcut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아이템은 하이퍼텍스트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310)일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행하는 특정 기능에 대한 아이콘(320)일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 330, 340, 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는 문장 중의 어구나 단어, 그리고 표제어를 모은 목차 등이 서로 관련된 문자 데이터 파일로서, 각 노드(node)들이 연결된 네트워크로 구성된 효율적인 정보 검색에 이용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웹 페이지상의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주 찾는 사이트의 주소에 링크되는 하이퍼텍스트(330), 자주 찾는 사이트의 메인 화면에 링크되는 하이퍼텍스트(340), 사이트 내에 기사들에 대한 목차로서 기사 내용에 링크되는 하이퍼텍스트(350) 등도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술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쇼트컷(shortcut)란 어떤 것에 도달하거나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일상적인 통로나 방법에 비해 더 짧고 빠르게 갈 수 있는 길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정상적인 방법에 비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shortcut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아이콘이나 하이퍼텍스트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간이나 장소, 현재 수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구애받지 않고 아이템을 간편하고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의 (a)에서는 웹 페이지 상에 존재하는 하이퍼텍스트가 아이템의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41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상의 이미지는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아이템에 하이라이트 표시가 된 이미지, 아이템에 명암 표시가 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410)은 도 4의 (b)와 같이 아이템이 존재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아이템으로부터 근접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특정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어느 위치에 설정되는지 디스플레이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상의 이미지를 통하여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인디케이팅할 수 있다.
도 4의 (c) 내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410)에서 제 2 영역(430)으로 이동하는 터치 인풋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서는 제 1 영역(410)에서 제 2 영역(430)으로 이동하는 터치 인풋이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경로에 대응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의 이미지(420)를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어느 위치에 설정될 예정인지 알 수 있다.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터치 인풋이 완료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가 완료된 제 2 영역(430)에 쇼트컷 인터페이스(440)를 설정한다. 이때,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도 4의 (e)에 도시하였지만, 이것을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즉,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뿐,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터치 인풋으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결정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쇼트컷 인터펭스를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템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아이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은 기 설정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템을 터치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이나 사각형과 같이 영역을 설정하는 터치 인풋에 대하여, 설정된 영역 안에 아이템이 존재하면 해당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 외,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할 아이템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터치하는 인풋을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을 인식하는 것은 기 설정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이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510)에 제공한다. 가상의 이미지는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아이템에 하이라이트 표시가 된 이미지, 아이템에 명암 표시가 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템이 선택되면,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520, 521, 522, 523)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5의 (c)와 같이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할 때,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잡는 방식(grip)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을 달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잡는 방식에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영역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잡고,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5의 (c)에서 오른쪽 영역(522, 523)만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왼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잡고, 왼쪽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5의 (c)에서 왼쪽 영역(520, 52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5의 (d)와 같이, 사용자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520, 521, 522, 523) 중에서 특정 영역(520)을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특정 영역(520)을 선택하는 터치 인풋을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510)에서 제 2 영역(520)으로 이동하는 인풋으로 인식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제 2 영역(5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영역을 지정하면,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지정한 제 2 영역(520)에 쇼트컷 인터페이스(530)를 설정한다. 이때,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도 5의 (e)에 도시하였지만, 이것을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즉,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뿐, 인비저블(invisible)하다.
도 5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된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수 있는 영역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기 설정해두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잡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된 다른 아이템들과 오버랩 되지 않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려는 영역이 기존에 설정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영역과 중복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6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아이템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로 설정할 수 있는 영역(620, 621, 622) 또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로 이미 설정된 영역(623)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터치 인풋을 통해 가상의 이미지(610)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영역(620, 621, 622) 중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선택한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도 6의 (b)와 같이,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에 따른 터치 인풋을 통해 가상의 이미지(610)를 기존에 쇼트컷 인터페이스로 이미 설정된 영역(62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도 6의 (c)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 박스(63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안내 메시지 박스(6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쇼트컷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할 것인지 또는 같은 영역에 중복으로 설정할 것인지 등에 대한 선택 인풋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중복 설정을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택타일 패드백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바꿔가며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과정을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면, 이질적인 질감, 텍스처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으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식별할 수 없더라도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임을 쉽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때, 택타일 피드백을 위한 텍스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처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텍스처 정보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정된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별로 설정된 텍스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경우, 텍스처 정보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때 기 설정된 텍스처 정보를 시각화하여 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아이템(700)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부드러운 느낌의 텍스처 정보를 제공하는 솜털 이미지(710), 거친 느낌의 텍스처 정보를 제공하는 나무 이미지(720), 울퉁불퉁한 느낌의 텍스처 정보를 제공하는 자갈 이미지(73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텍스처 정보를 시각화한 특정 이미지를 터치하면, 특정 이미지의 텍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택타일 피드백을 미리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텍스처 정보를 시각화한 이미지 리스트 중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해당 텍스처 정보를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텍스처 정보로 설정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텍스처 정보를 시각화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대신, 사용자가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인풋의 압력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설정된 텍스처 정보로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처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거나 가상의 이미지를 높은 압력으로 누르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거친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린 속도로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거나 가상의 이미지를 낮은 압력으로 누르고 있는 경우, 사용자거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설정이 완료되면,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텍팅된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한 이후 또는 제공 중에 사용자의 터치 인풋이 디텍팅하면,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여 아이템의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810)을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텍스처 정보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서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810)을 도시하였지만 그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여 실제 사용자는 눈으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볼 수 없다.
이때, 사용자는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터치한 영역에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810)을 한 번 더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아이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해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터치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하여 비주얼 피드백을 줄 수 있다. 비주얼 피드백은, 사용자가 실제 아이템을 터치한 것과 똑같이 느낄 수 있도록 아이템이 실제로 선택되었을 때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의미한다. 따라서, 비주얼 피드백은 아이템이 선택되었을 때 눌러진 듯한 시각적 효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효과(8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볼 때에도 이미 설정된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9의 (a)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910)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여, 사용자가 사진을 보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910)을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존재함을 인지하고,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한번 더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팅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실행한다. 그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실행되었을 때 처음 디스플레이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템과 관련하여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링크 정보 또는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이거나 컨텐츠를 이용하는 도중에, 별도로 화면 전환을 할 필요없이 택타일 피드백을 통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터치 동작만으로 원하는 아이템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수신하더라도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하이퍼텍스트인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만 활성화 모드인 것이 사용자에게 더 편리할 수 있다. 반면에, 아이템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이거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인 경우, 비활성화 모드 없이 항상 활성화 모드인 것이 사용자에게 더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모드가 활성화 모드 또는 비활성화 모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은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종류, 사용자 설정 및 실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모드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종류에 따라 모드 상태가 변경되는 일 실시예이다.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종류가 하이퍼텍스트인 경우에는 하이퍼텍스트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만 활성화 모드로, 나머지는 비활성화 모드가 되도록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또한,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종류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인 경우에는 항상 활성화 모드로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쇼트컷 인터페이스(1010)로 설정된 경우, 도 10의 (b) 및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무엇인지에 상관없이 쇼트컷 인터페이스(1010)는 항상 활성화 모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1010)를 터치하면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고, 추가적으로 아이템을 바로 실행할 수도 있다.
반면에,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퍼텍스트인 아이템이 쇼트컷 인터페이스(1020)로 설정된 경우, 도 10의 (b)와 같이 하이퍼텍스트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 쇼트컷 인터페이스(1020)는 활성화 모드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다른 컨텐츠를 실행 중이면 쇼트컷 인터페이스(1020)는 비활성화 모드로 변경되어,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터치하더라도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없고, 아이템을 바로 실행할 수도 없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시간에 따라 모드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취침 시간에는 활성화 모드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지 않고 터치만으로 원하는 아이템을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하이퍼텍스트인 경우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다면 언제나 활성화 모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설정한 바에 따라 모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모드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 있더라도 활성화 모드인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바로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통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를 별도로 해제하지 않더라도, 아이템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는 잠금 해제와 동시에 아이템을 바로 실행하고, 아이템이 실행되었을 때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도 11과 같은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안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면, 지문 인식을 통해 사용자 확인이 완료된 경우에만 잠금 해제와 동시에 아이템을 바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때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반복적인 동작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방법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자 하는 아이템이 인접하게 위치한 경우에는 그 불편함이 더욱 크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아이템을 선택할 때, 복수의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영역을 설정(제 1 영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가상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가상의 이미지를 제 2 영역으로 옮기는 터치 인풋을 수신하여, 제 2 영역에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된 페이지로 쇼트컷을 제공하거나,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a에서 설정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된 페이지로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을 대표하는 하나의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2b의 쇼트컷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영역(1210)을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시 터치 인풋을 수행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2a에 도시된 페이지로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b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웹 페이지 메인 화면, 홈 화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이 다수 존재하고 각각의 아이템을 사용하는 빈도가 유사할 때 특히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a에서 설정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2c의 쇼트컷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영역(1220)을 터치하면, 아이템에 대응하는 영역별로 제공하는 텍타일 피드백이 다를 수 있다. 즉, 아이템에 대응하는 텍스처 정보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원하는 특정 아이템을 구분하여 쇼트컷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설정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기 때문에,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 변경 등이 어려울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비저블(visible) 하도록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인풋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인풋은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인풋은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영역에 기 설정된 횟수만큼 터치를 수행하거나, 별도의 버튼을 누르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인풋에 대응하여 가상의 인터페이스(1320)를 디스플레이한 일 실시예이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인터페이스(1320)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텍스처 정보에 따라 원래 아이템의 이미지에서 색상, 패턴, 텍스쳐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 이미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처 정보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텍스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인터페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환경 설정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설정 환경은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위치,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종류 및 상기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텍스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가상의 인터페이스(1410)를 이용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상의 인터페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이미지(1420) 및 환경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 박스(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환경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 박스(1430)를 통해,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삭제하더라도,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복사본이므로 본래의 아이템에는 영향이 없다.
한편,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실시간으로 바뀔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 및 아이템의 위치도 바뀔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컷 인터페이스(1510)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1511)과 오버랩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오버랩 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이 쇼트컷 인터페이스(1510)에 대한 터치인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1511)에 대한 터치인지 인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면, 택타일 피드백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time interval)으로 제공함으로써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인풋과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인풋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time period)을 t1,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시간(time period)을 t2라고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면 t1의 상태와 t2의 상태를 번갈아가면서 반복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때(t1) 사용자로부터 터치 인풋을 수신하면 쇼트컷 인터페이스(1510)에 대한 터치 인풋으로 인식하여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때(t2) 사용자로부터 터치 인풋을 수신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1511)에 대한 터치 인풋으로 인식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1511)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같은 영역에 대한 터치 인풋이더라도, 사용자의 터치 인풋의 종류에 따라 쇼트컷 인터페이스(1510)에 대한 터치 인풋과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1511)에 대한 터치 인풋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의 1520a 방향의 슬라이딩 인풋을 수신하면 쇼트컷 인터페이스(1510)에 대한 터치 인풋으로 인식하고, 방향성 없이 단순하게 누르거나 두드리는 터치 인풋을 수신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1511)에 대한 터치 인풋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도 15c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인풋을 구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도 15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1510)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1511)과 오버랩 되는 경우,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1510)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정함으로써 오버랩 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디바이스가 갑자기 자동으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1511)과 오버랩 되지 않도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의 일부 영역만 오버랩 되는 범위 내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위치된 영역을 최소한으로 공유하는 범위 내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아이템을 구분하여 터치 인풋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에서는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를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다. 다만,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 인터페이스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아이템과 오버랩 될 수 있으며, 그때의 처리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600). 아이템은 하이퍼텍스트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 1 터치 인풋을 수신할 수 있다(S1610). 제 1 터치 인풋은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인풋이고,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S1620). 가상의 이미지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주변의 그래픽 이미지와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로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여 설정될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인디케이팅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이미지는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아이템에 하이라이트 표시가 된 이미지, 아이템에 명암 표시가 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제 2 터치 인풋을 수신할 수 있다(S1630).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터치 인풋은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터치 인풋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터치 인풋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선택하는 터치 인풋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영역에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S1640).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쇼트컷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인풋의 압력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설정된 텍스처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제 4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여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 및 비주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오버랩 될 수 있다. 도 15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한 터치 인풋이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의 슬라이딩 인풋인 경우에만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4 터치 인풋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도 15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4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택타일 피드백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time interval)으로 제공하여 오버랩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또는, 도 15d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쇼트컷 인터페이스와 오버랩 된 아이템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5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여,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여 쇼트컷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10 내지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2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복수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도 12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된 페이지로 쇼트컷을 제공하고, 복수의 아이템을 대표하는 하나의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도 12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하고,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200 모바일 디바이스
210 디스플레이 유닛 220 센서 유닛
230 택타일 피드백 유닛 240 스토리지 유닛
250 컨트롤러

Claims (17)

  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 1 터치 인풋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 인풋은 쇼트컷 인터페이스(shortcut interface)를 설정하기 위한 인풋이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함;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의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주변의 그래픽 이미지와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임,
    상기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제 2 터치 인풋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4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는 단계; 및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제 4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time interval)으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여 제 3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하이퍼텍스트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여 설정될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인디케이팅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제 4 터치 인풋은,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의 슬라이딩 인풋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하여 비주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 1 터치 인풋을 수신하되, 상기 제 1 터치 인풋은 쇼트컷 인터페이스(shortcut interface)를 설정하기 위한 인풋이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쇼트컷을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 제공하되, 상기 가상의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주변의 그래픽 이미지와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이고,
    상기 가상의 이미지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제 2 터치 인풋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쇼트컷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4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고,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제 4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time interval)으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되,
    상기 쇼트컷 인터페이스는 인비저블(invisible)하여 제 2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20103782A 2012-09-19 2012-09-19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8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82A KR102058990B1 (ko) 2012-09-19 2012-09-19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3/742,100 US9015584B2 (en) 2012-09-19 2013-01-15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07394 WO2014046385A1 (en) 2012-09-19 2013-08-16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82A KR102058990B1 (ko) 2012-09-19 2012-09-19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24A KR20140037524A (ko) 2014-03-27
KR102058990B1 true KR102058990B1 (ko) 2019-12-24

Family

ID=5027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782A KR102058990B1 (ko) 2012-09-19 2012-09-19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5584B2 (ko)
KR (1) KR102058990B1 (ko)
WO (1) WO2014046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7064B2 (en) * 2013-02-21 2019-02-26 Apple Inc. Intelligent home screen for mobile and desktop operating systems
US20140245195A1 (en) * 2013-02-25 2014-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plicating graphical widgets
KR20140111495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02941A (ko) * 2013-04-26 2016-01-08 임머숀 코퍼레이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수동 강성 및 능동 변형 햅틱 출력 장치
KR20140138424A (ko) * 2013-05-23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10210841B1 (en) * 2013-07-19 2019-02-19 Yelp Inc. Pull-to-view image user interface feature
USD734777S1 (en) * 2013-08-01 2015-07-21 Sears Brand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39158B2 (en) * 2013-11-26 2017-05-0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friction and vibrotactile effects
US9547468B2 (en) * 2014-03-31 2017-0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ient-side personal voice web navigation
USD757070S1 (en) * 2014-04-04 2016-05-24 Adp,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50135980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02329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0147421B2 (en) 2014-12-16 2018-12-04 Microc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assistant voice input integration
US9928656B2 (en) * 2015-09-11 2018-03-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Markerless multi-user, multi-object augmented reality on mobile devices
KR102462941B1 (ko) 2016-01-26 2022-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613170B2 (ja) * 2016-02-23 2019-11-27 京セラ株式会社 車両用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US10528241B2 (en) 2016-03-21 2020-01-07 Roku, Inc. Controlling display device settings from a mobile device touch interface
KR102505562B1 (ko) * 2016-05-20 202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01962B2 (en) 2016-06-21 2019-09-0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 enabled overlay for a pressure sensitive surface
CN108509121B (zh) * 2018-03-13 2020-10-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1770229B (zh) * 2020-06-02 2022-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连接方式设置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4178A (en) * 1993-03-03 1998-05-1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feedback during manipulation of data on a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US6181344B1 (en) * 1998-03-20 2001-01-30 Nuvomedia, Inc. Drag-and-release method for configuring user-definable function key of hand-held computing device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US20010039552A1 (en) * 2000-02-04 2001-11-08 Killi Tom E. Method of reducing the size of a file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7730401B2 (en)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7913185B1 (en) * 2001-10-25 2011-03-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Graphical insertion of JavaScript pop-up menus
US20040001073A1 (en) * 2002-06-27 2004-01-01 Jan Chipchase Device having a display
FI116641B (fi) 2003-10-24 2006-01-13 Nokia Corp Menetelmä elektronisessa laitteessa olevan pikavalinnan muuttamiseksi, laitteen näyttöyksikkö sekä elektroninen laite
US7434153B2 (en) * 2004-01-21 2008-10-07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ng a media presentation
WO2006032721A1 (en) * 2004-09-24 2006-03-30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receiving inputs from user of electronic device
US20060090164A1 (en) 2004-10-05 2006-04-27 Microsoft Corporation Object cloning for demand events
US20060089843A1 (en) * 2004-10-26 2006-04-27 David Flather Programmable, interactive task oriented hotspot, image map, or layer hyperlinks within a multimedia program and interactive product, purchase or information page within a media player, with capabilities to purchase products right out of media programs and/ or media players
US20060253794A1 (en) * 2005-05-03 2006-11-09 Wilson David R Internet-Based Affinity Marketing Method Including a Desktop Customizable Toolbar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20090140992A1 (en) * 2007-06-16 2009-06-04 Sunrise Telecom Incorporated Display system
US20090122018A1 (en) * 2007-11-12 2009-05-14 Leonid Vymenets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KR100900295B1 (ko) *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AU2009249272B2 (en) * 2008-05-18 2014-11-20 Google Llc Secured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US20100053087A1 (en) 2008-08-26 2010-03-04 Motorola, Inc. Touch sensors with tactile feedback
KR20100029611A (ko) * 2008-09-08 201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US9250797B2 (en) * 2008-09-30 2016-02-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ouch gesture inte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20100092930A1 (en) * 2008-10-15 2010-04-15 Martin Fletcher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storytelling game
US20100107125A1 (en) * 2008-10-24 2010-04-29 Microsoft Corporation Light Box for Organizing Digital Images
US8269773B2 (en) * 2009-03-12 2012-09-18 Sas Institute Inc. System and method for drag-and-drop graph building with live feedback
KR101593598B1 (ko) * 2009-04-03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US8224392B2 (en) 2009-04-29 2012-07-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fingernail tou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US20110047461A1 (en) * 2009-08-21 2011-02-24 Bargmann Jeffrey M System and Method for Desktop Management
KR101403320B1 (ko) * 2009-12-11 2014-06-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57027A1 (en) 2009-12-30 2011-06-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n a User Interface Object
US20120311710A1 (en) * 2011-06-03 2012-12-06 Voodoosoft Holdings, Llc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execution of viruses and malware
US20130024819A1 (en) * 2011-07-18 2013-01-24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creation of interactive hotspots in a real world environment
DE102012108826A1 (de) * 2011-09-20 2013-03-21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passen ihres berührungssteuerungsbereichs
US9395800B2 (en) * 2011-09-30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instant handwritten input on mobile compu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2489A1 (en) 2014-03-20
WO2014046385A1 (en) 2014-03-27
US9015584B2 (en) 2015-04-21
KR20140037524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9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907013B2 (en) Continuity of applications across devices
US20230376268A1 (en)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0024682B2 (en) Navigation user interface
US20180329586A1 (en) Display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KR102090269B1 (ko) 정보 검색 방법,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US10637986B2 (en)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EP2487555B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768578B2 (en) User interfaces for tracking and finding items
EP27412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40002355A1 (en)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20200236212A1 (en) User interfaces for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and facilitating application functions
US11823558B2 (en) Generating tactile output sequences associated with an object
KR20150037026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0812B1 (ko)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AU2015100490B4 (en) Continuity
US11960699B2 (en) User interfaces for tracking and finding items
US11966556B2 (en) User interfaces for tracking and finding items
KR1011363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KR20120113834A (ko) 이북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