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812B1 -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812B1
KR102130812B1 KR1020130112853A KR20130112853A KR102130812B1 KR 102130812 B1 KR102130812 B1 KR 102130812B1 KR 1020130112853 A KR1020130112853 A KR 1020130112853A KR 20130112853 A KR20130112853 A KR 20130112853A KR 102130812 B1 KR102130812 B1 KR 10213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ntent
reference content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189A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812B1/ko
Priority to PCT/KR2014/008781 priority patent/WO2015041491A1/en
Priority to CN201480062069.5A priority patent/CN105723308B/zh
Priority to JP2016544293A priority patent/JP6196390B2/ja
Priority to EP14845923.3A priority patent/EP3039519B1/en
Priority to US14/493,731 priority patent/US10120551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디바이스의 화면에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된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분할 라인을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분할 라인에 기초하여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METHE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본 발명은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디바이스의 개발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거의 모든 컨텐트를 하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볼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그림, 사진, 동영상. 뉴스, 책, 논문, 및 문서 등과 같은 컨텐트를 하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디바이스의 화면 사이즈로 인하여 한 번에 볼 수 있는 컨텐트가 제한적이다. 특히, 동시에 보고 싶은 컨텐트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 한 화면을 통해 보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떨어져 있는 컨텐트를 한 화면을 통해 동시에 볼 수 있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은,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화면에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된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분할을 나타내는 분할 라인을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분할 라인에 기초하여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할 라인은 가상의 분할 라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할 라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로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 1 윈도우와 독립된 제 2 윈도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상기 제 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은 레이어로 설정하여 숨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상기 제 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하위 레이어로 설정하여 숨기면서 상기 제 2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상기 제 1 윈도우내, 상기 제 1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제 1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실행 명령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내에서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트 컨텐트에 관한 노트를 입력할 수 있는 제 3 윈도우를 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3 윈도우를 여는 단계는, 상기 제 3 윈도우를 상기 제 2 윈도우에 인접한 위치에 불투명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3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윈도우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3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윈도우를 닫으면서 상기 제 2 윈도우내, 상기 제 2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제 2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상기 제 3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는, 제 2 윈도우를 탑 레이어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해제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를 닫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윈도우내, 제 2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제 2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 중 하나에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를 나타내는 사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분할 라인 설정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 분할 라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분할 라인 삭제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 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또는 상기 명령은 터치 기반 제스처에 따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된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분할을 나타내는 분할 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분할 라인에 기초하여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술한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과 같이 수행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컨텐트와 레퍼런스 컨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와 컨텐트의 윈도우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따라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예이다.
도 5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에 대한 예이다.
도 6a 및 도 6b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의 예이다.
도 7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를 숨기는 동작에 따른 화면의 예이다.
도 9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레퍼런스 컨텐트가 설정된 후, 컨텐트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 11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노트 윈도우 열기 및 닫기 화면의 예이다.
도 13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라인 추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라인 삭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9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컨텐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기초한 디바이스의 동작 흐름도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내지 도 1c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컨텐트와 레퍼런스 컨텐트(reference conten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컨텐트는 그림(111), 텍스트(112), 및 동영상(113)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는 페이지 단위로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의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는 현재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로, 상기 현재 페이지 바로 이전에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된 컨텐트는 이전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 상기 현재 페이지 바로 다음에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될 컨텐트는 다음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로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는 화면 단위로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는 현재 화면에 포함된 컨텐트, 이전 화면에 포함된 컨텐트, 및 다음 화면에 포함된 컨텐트 등으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이전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 상기 현재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 및 상기 다음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는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될 컨텐트에 따라 일부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뉴스와 같이 페이지 구분이 없는 컨텐트를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 상기 이전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와 상기 현재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는 일부 중복될 수 있고, 상기 현재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와 상기 다음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는 일부 중복될 수 있다. 페이지 구분이 있는 컨텐트의 경우에도,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준이 페이지 단위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상하 스크롤(scroll), 좌우 스크롤, 또는 스와이프(swipe)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연속적으로 볼 수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는 일부 중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는 실제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책과 같이, 컨텐트에 대한 페이지 구분이 있고,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준이 두 페이지단위로 설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는 전자 책의 두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에 상응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컨텐트는 문서 파일, 전자 책, 인터넷 뉴스, 웹 포털(Web portal)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 또는 논문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컨텐트가 상술한 바와 같을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는 문서 파일의 일부, 전자 책의 일부, 인터넷 뉴스의 일부, 웹 포털(Web portal)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논문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량은 화면(110)의 사이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110)의 사이즈가 5인치일 때 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량은 화면(110)의 사이즈가 10인치일 때 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량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량은 화면(100)의 사이즈와 관계없이 동일하고, 컨텐트에 포함된 정보의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다를 수 있다.
도 1b는 레퍼런스 컨텐트가 선택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중 그림(111)이 레퍼런스 컨텐트로서 선택된 예이다.
레퍼런스 컨텐트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볼 때 참조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에 포함된 일부 정보일 수 있으나 상기 컨텐트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논문을 볼 때, 레퍼런스 컨텐트는 현재 보고 있는 논문에 포함된 일부 정보일 수 있으나, 현재 보고 있는 논문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일 수 있다. 즉, 레퍼런스 컨텐트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현재 보고 있는 논문이 아닌 다른 논문 또는 다른 문서 등에 포함된 일부 정보일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가 다른 논문 또는 다른 문서 등에 포함된 일부 정보인 경우에, 레퍼런스 컨텐트는 사전에 저장된 정보(레퍼런스 컨텐트용으로 저장된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리드된 정보일 수 있다. 사전에 저장된 레퍼런스 컨텐트는 디바이스(100)에 저장되거나 디바이스(100)와 접속 가능한 서버 또는 디바이스(100)와 접속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저장 기능을 갖는다.
레퍼런스 컨텐트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현재 보고 있는 논문에 포함된 정보이면, 레퍼런스 컨텐트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논문에 포함된 정보중 레퍼런스 컨텐트 이외의 정보를 볼 때, 참조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현재 보고 있는 논문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이면, 레퍼런스 컨텐트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논문에 포함된 정보를 볼 때, 참조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도 1c는 레퍼런스 컨텐트가 선택된 후, 다른 페이지의 화면의 예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가 변경되어도(또는 페이지가 전환되어도) 레퍼런스 컨텐트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을 통해 레퍼런스 컨텐트를 보면서 레퍼런스 컨텐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다른 페이지의 컨텐트 또는 레퍼런스 컨텐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컨텐트를 동시에 볼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을 통해 레퍼런스 컨텐트를 보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언급되는 레퍼런스 컨텐트는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의 윈도우와 독립된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와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의 윈도우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라 레퍼런스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컨텐트의 윈도우(220)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보다 높게 설정된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탑 레벨(top level)일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불투명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와 겹치는 컨텐트의 윈도우(220)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볼 수 없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와 겹치는 컨텐트의 윈도우(220)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보기 원할 때,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의 윈도우(220)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퍼런스 컨텐트 윈도우(210)에 의해 가려졌던 컨텐트의 윈도우(220)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볼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에 의해 가려진 컨텐트의 윈도우(22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정보를 보기 위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21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3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단계 S310에서, 도 4의 (410)과 같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 도 4의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401)을 수신하면(S320), 디바이스(100)는 화면(110)상에 분할 라인(402)을 디스플레이 한다(S330).
도 4의 (42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401)은 화면(110)의 최 하단의 양끝 모서리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은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의 사이즈에 따라 사용자의 양 손에 의해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한 손의 다른 손가락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될 경우에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401)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401)은 화면(100)의 최상단의 양끝 모서리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 화면(100)의 최좌단의 양끝 모서리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 및 화면(100)의 최우단의 양끝 모서리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은,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의 최좌측의 한 곳을 한 손가락으로 터치(501)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상기 한 손가락이 터치한 지점에 이웃한 지점부터 화면(110)의 최우측까지 수평방향으로 드래그(502)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의 최우측의 한 곳을 한 손가락으로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상기 한 손가락이 터치한 지점에 이웃한 지점부터 화면(110)의 최좌측까지 수평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의 최상측의 한 곳을 한 손가락으로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상기 한 손가락이 터치한 지점에 이웃한 지점부터 화면(110)의 최하측까지 수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의 최하측의 한 곳을 한 손가락으로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상기 한 손가락이 터치한 지점에 이웃한 지점부터 화면(110)의 최상측까지 수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 예들에서 사용되는 상기 한 손가락과 상기 다른 손가락은 동일한 손의 손가락일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손의 손가락일 수 있다.
도 4의 (420)에 도시된 상기 분할 라인(402)은 컨텐트의 분할을 나타내는 라인이다. 분할 라인(402)은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 가능한 컨텐트의 단위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의 분할 라인(virtual division line) 또는 가이드 라인(guide line)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는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될 때,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이다. 단계 S310에서의 컨텐트 디스플레이는 디바이스(100)에 의한 컨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 리더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는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를 분석하여 분할 라인(402)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는 컨텐트 단위 또는 페이지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는 식별 항목 정보(예를 들어, 켄텐트 타입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그림, 동영상 등), 수학식, 타이틀 정보 등), 및 문단 식별 정보(예를 들어, 패러그래프 정보, 페이지 정보, 컬럼 정보 등), 컨텐트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페이지 정보, 컬럼 정보, 및 패러그래프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는 컨텐트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컨텐트의 메타 데이터는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를 상술한 컨텐트 단위 또는 페이지 단위로 참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4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라인(402)에 기초하여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S340), 도 4의 (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트(111)를 레퍼런스 컨텐트로서 설정한다(S350). 이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된 컨텐트를 디바이스(100)에 의해 관리하기 위해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한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트(예를 들어, 동영상과 텍스트)가 레퍼런스 컨텐트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상기 복수개의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를 각각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는 독립된다. 예를 들어, 1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일부가 제 1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되고, 5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일부가 제 2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 1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와 상기 제 2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는 독립된 윈도우이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가 복수개가 설정되는 경우에, 나중에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이전에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나중에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의해 이전에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려질 수 있다. 복수개의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사인)를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 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 주변에 또는 컨텐트의 윈도우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복수개의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에 복수의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의 레퍼런스 컨텐트를 하나의 페이지를 통해 동시에 볼 수 있다. 레퍼런스 커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선택된 컨텐트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가 복수개 설정될 경우에 각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대한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디바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 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컨텐트의 윈도우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중 하나에 레퍼런스 컨텐트를 나타내는 사인(예를 들어, 자물쇠 같은 특정 이미지, 마크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트 컨텐트를 나타내는 사인과 상기 복수개의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 설정을 나타내는 사인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의 (430)을 참조하면, 상기 선택 입력은 멀티 터치를 입력한 손가락중 하나의 손가락을 선택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있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431)를 포함하나 선택 입력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입력의 다른 예이다. 선택 입력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라인에 기초할 수 있다. 즉, 선택 입력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하고자 하는 컨텐트에 인접한(또는 주변의) 분할 라인을 터치(611)하고, 선택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쪽(예를 들어, 그림(111)을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 북서방향)으로 드래그(612)하는 터치 제스처에 기초할 수 있다.
터치 지점(611)을 기준으로 그림(111) 아래의 텍스트를 선택하고자 하면, 선택 입력은 터치 지점(611)으로부터 서남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에 기초할 수 있다. 그림(111)과 그림(111) 아래 텍스트를 모두 선택하고자 하면, 선택 입력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지점(611)으로부터 분할 라인을 따라 드래그(613)하는 터치 제스처에 기초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 S350에서 수행되는 선택된 컨텐트를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는 것은,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윈도우와 독립된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트의 윈도우와 독립된 윈도우에 선택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00)는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컨텐트를 복사(copy)하고, 레퍼런스 컨테트용 윈도우를 열고, 열려진 레퍼런스 컨텐트용 윈도우에 상기 복사한 컨텐트를 붙여넣는(past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용 윈도우는 클립 보드(clip board)와 유사하게 관리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레퍼런스 컨텐트 숨김 기능을 추가한 예이다.
도 7의 단계 S710 내지 단계 S750은 도 3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 단계와 유사하게 동작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760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레퍼런스 컨텐트 숨김 요청에 따라 레퍼런스 컨텐트를 숨긴다. 레퍼런스 컨텐트를 숨기는 것은 상기 도 2b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은 레이어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레퍼런스 컨텐트를 숨기는 것은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를 숨기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를 숨기는 동작에 따른 화면 예이다. 즉, 도 8의 (810)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가 설정된 페이지에서 레퍼런스 컨텐트 숨김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821)이 수신되면, 디바이스(100)는 레퍼런트 컨텐트의 윈도우를 도 8의 (820)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긴다. 레퍼런스 컨텐트 숨김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은 레퍼런트 컨텐트를 나타내는 사인을 롱 터치하는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sign)(831)(예를 들어, 특정한 이미지, 특정한 심볼 등)을 도 8의 (8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의 윈도우내, 컨텐트의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컨텐트의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가 숨겨진 페이지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인은 디바이스(100)에 디폴트로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레퍼런스 컨텐트 실행 기능을 추가한 예이다.
도 9의 단계 S910 내지 단계 S950은 도 3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 단계와 유사하게 동작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960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레퍼런스 컨텐트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서 레퍼런스 컨텐트를 실행한다.
도 10은 도 5와 같은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에 따라 레퍼런스 컨텐트가 설정된 후, 화면의 예이다. 도 5의 경우에, 동영상 컨텐트가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된다.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실행 요청 입력(1010)이 수신되면, 디바이스(100)는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상에서 동영상을 실행시키면서, 컨텐트의 윈도우상에서 상하 스크롤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1011)에 따라 컨텐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기능을 추가한 예이다.
도 11의 단계 S1110 내지 단계 S1150은 도 3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 단계와 유사하게 동작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160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요청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 S1070에서, 디바이스(100)는 노트 윈도우를 연다. 노트 윈도우는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코맨트를 입력할 수 있는 윈도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퍼런트 컨텐트와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에 기초한 사용자의 코맨트를 노트 윈도우에 기록하고, 나중에 노트 윈도우를 통해 사용자의 코맨트를 볼 수 있다. 노트 윈도우에 기록된 사용자의 코맨트는 상응하는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와 매핑되어 디바이스(100)에 저장될 수 있다. 노트 윈도우는 상응하는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가 열린 경우에,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트 윈도우 열기 및 닫기 화면의 예이다.
도 12a의 (1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경계 라인을 터치하고 노트 윈도우 생성을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노트 요청 입력)이 수신되면, (1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노트 윈도우(1221)가 열린다.
도 12a의 (1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 윈도우(1221)는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인접한 위치에 불투명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노트 윈도우가 열린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사용자의 코맨트)는 노트 윈도우에 기록될 수 있다. 노트 윈도우(1221)에 기록된 데이터는 노트 윈도우용 데이터로 디바이스(100)에 저장될 수 있다.
노트 윈도우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경계 라인을 터치한 후 아래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노트 요청 입력)(1251)에 따라 노트 윈도우(1252)가 열릴 수 있다.
노트 윈도우 숨김 요청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도 12의 (1230)과 같이 노트 윈도우(1221)를 숨길 수 있다. 노트 윈도우 숨김은 노트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게 설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노트 윈도우 숨김 요청 입력에 따라 노트 윈도우를 숨길 때, 도 12의 (12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트 컨텐트의 윈도우 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노트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 특정 심볼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는 컨텐트의 위도우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레퍼런스 컨텐트의 설정 해제 기능을 추가한 예이다.
도 13의 단계 S1310 내지 단계 S1350은 도 3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 단계와 유사하게 동작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단계 S1360에서,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해제 요청 입력이 수신되면, 디바이스(100)는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를 닫는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를 닫을 때, 디바이스(100)는 레퍼런스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분할 라인에 대한 편집 기능을 추가한 예이다.
도 14의 단계 S1410 내지 단계 S1430, 단계 S1460 및 단계 S1470은 도 3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 단계와 유사하게 동작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의 단계 S1440에서, 분할 라인 편집 입력이 수신되면, 디바이스(100)는 분할 라인 편집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분할 라인을 편집한다. 분할 라인 편집은 분할 라인 추가 기능과 분할 라인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5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라인 추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분할 라인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된 후, 도 15의 (1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라인 설정 입력(1511)(또는 분할 라인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디바이스(100)는 도 15의 (1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분할 라인을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한다. 분할 라인 설정 입력은 원하는 디스플레이 위치에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라인 삭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분할 라인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된 후, 도 16의 (1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분할 라인에 대한 삭제 입력(1611)이 수신되면, 해당되는 분할 라인이 삭제된다. 이에 따라 동영상 컨텐트와 동영상 컨텐트의 하단의 텍스트는 하나의 컨텐트로 분류될 수 있다.
분할 라인 삭제 기능은 모든 분할 라인을 삭제하기 위한 입력과 부분 분할 라인 삭제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메뉴 항목에 따라 부분 분할 라인 삭제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분할 라인을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든 분할 라인 삭제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한번에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던 모든 분할 라인이 삭제될 수 있다. 모든 분할 라인이 삭제되면, 디바이스(100)의 화면(110)은 분할 라인을 디스플레이 하기 이전의 디스플레이 상태로 리턴된다.
분할 라인 추가 기능 및 분할 라인 삭제 기능은 메뉴 항목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라인 편집 요청 입력이 수신되면, 디바이스(100)는 분할 라인 추가 기능 및 분할 라인 삭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창을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창을 통해 분할 라인 추가 기능이 선택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라인을 추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화면(110)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창을 통해 분할 라인 삭제 기능이 선택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분할 라인을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분할 라인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레퍼런스 컨텐트를 좀더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7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1710), 디스플레이부(1720), 제어기(1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7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720), 음향 출력부(1821)와 진동 모터(1822)을 더 포함하는 출력 모듈(1820), 센싱 모듈(1830), 통신 모듈(1850), A/V 입력 모듈(1860), 및 메모리(1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1710)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710)는, 디스플레이부(1720)에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720)에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될 때, 분할 라인에 기초한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710)는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실행 명령,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요청 입력,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숨김 입력,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해제 입력, 및 분할 라인 편집 입력(분할 라인 설정 입력(분할 라인 추가 입력), 및 분할 라인 삭제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 모듈(18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 모듈(1820)은 디스플레이부(1721)와 음향 출력부(1821), 진동 모터(1822)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720)는 디바이스(10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0)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된 화면(110)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0)는 상술한 컨텐트, 레퍼런스 컨텐트, 분할 라인, 레퍼런스 컨텐트의 노트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0)는 터치 입력에 따른 메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7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72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72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821)는 통신 모듈(18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8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821)는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821)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822)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822)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822)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기(173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730)는, 메모리(18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710), 출력 모듈(1820), 센싱 모듈(1830), 통신 모듈(1850), A/V 입력 모듈(1860), 메모리(187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730)는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다.
제어기(1730)는, 디스플레이부(1720)에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된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분할을 나타내는 분할 라인을 디스플레이부(17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기(1730)는 도 3의 단계 S3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된 페이지의 컨텐트의 레이아웃을 분석하여 분할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0)에 디스플레이 되는 분할 라인은 컨텐트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의 분할 라인이다.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해 분할 라인에 기초하여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기(1730)는 선택된 컨텐트를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기(1730)는, 상기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트의 윈도우와 독립된 윈도우에 레퍼런스 컨텐트로서 선택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기(1730)는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이 수신되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컨텐트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보다 낮게 설정하여 숨길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를 숨길 때, 제어기(1730)는 레퍼런스 컨텐트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컨텐트의 윈도우내, 컨텐트의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컨텐트의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기(1730)는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한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실행 명령 수신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내에서 레퍼런스 컨텐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기(1730)는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한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레퍼런트 컨텐트에 관한 노트를 입력할 수 있는 노트 윈도우를 열 수 있다. 제어기(1730)는 노트 윈도우를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에 인접한 위치에 불투명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기(1730)는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해 노트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이 수신되면, 노트 윈도우를 닫을 수 있다. 노트 윈도우를 닫을 때, 제어기(1730)는 레퍼런트 컨텐트의 윈도우 내,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상기 노트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노트 윈도우를 닫을 때, 제어기(1730)는 노트 윈도우에 관련된 레퍼런스 컨텐트에 관한 정보와 노트 윈도우내의 사용자의 코맨트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코맨트는 텍스트, 및 심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기(1730)는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해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해제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72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레퍼런스 컨텐트의 윈도우를 닫을 수 있다.
제어기(1730)는 디스플레이부(1720)에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해 분할 라인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추가 분할 라인을 디스플레이부(17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기(1730)는 디스플레이부(1720)에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사용자 입력부(1710)를 통해 분할 라인 삭제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72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분할 라인을 삭제할 수 있다. 분할 라인 삭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분할 라인을 삭제하거나 부분적으로 분할 라인을 삭제할 수 있다.
센싱 모듈(1830)은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기(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 모듈(1830)은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 모듈(1850)은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100)와 서버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1850)는, 근거리 통신기(1851), 이동 통신기(1852), 방송 수신기(18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기(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or)(18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기(18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기(18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기(18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 모듈(18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861)와 마이크로폰(18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86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기(17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 도시됨)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86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870)에 저장되거나 통신 모듈(18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86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8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8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8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870)는, 제어기(17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레퍼런스 컨텐트, 레퍼런스 컨텐트의 노트, 및 레퍼런스 컨텐트와 노트간의 매핑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870)는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는 페이지 단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8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8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8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871), 터치 스크린 모듈(1872), 알람 모듈(1873), 애플리케이션 모듈(1874), 컨텐트 디스플레이 모듈(1875)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컨텐트 디스플레이 모듈(1875)은 애플리케이션 모듈(1874)에 포함될 수 있다. 컨텐트 디스플레이 모듈(1875)은 컨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UI 모듈(18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8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기(17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 모듈(1872)은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또는 숨김, 해제를 나타내는 터치 제스처들을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8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알림 모듈(1873)은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알림 모듈(1873)은 디스플레이부(172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821)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822)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9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에 의해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1921)를 서버(1910), 디바이스(100)의 액세서리(1920), 휴대 단말(1930)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910)로 전송된 레퍼런스 컨텐트는 컨텐트 별로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100)는 레퍼런스 컨텐트를 전송할 때, 관련된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전송되는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해 식별 정보를 할당하여 서버(191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910)는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레퍼런스 컨텐트의 리스트는 사용자가 레퍼런스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정보와 서버(191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레퍼런스 컨텐트를 찾을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버(1910)에 접속하여 서버(191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레퍼런트 컨텐트를 볼 수 있다. 즉, 서버(1910)에 의해 상술한 레퍼런스 컨텐트의 리스트가 관리될 경우에, 사용자는 디바이스(100)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퍼런스 컨텐트의 리스트를 다운 받아 원하는 레퍼런스 컨텐트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서버(1910)에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를 볼 수도 있어 다른 사용자와의 레퍼런스 컨텐트의 공유도 가능하다. 상기 다른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사용자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에 관한 정보도 서버(19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910)는 상술한 레퍼런스 컨텐트와 같이 노트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하나의 레퍼런스 컨텐트에 복수개의 노트가 할당되는 경우에, 서버(1910)는 복수개의 노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레퍼런스 컨텐트에 복수개의 노트가 매핑 된 것을 알 수 있고, 복수개의 노트중 원하는 노트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서버(1910)은 클라우드 서버 또는 컨텐트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1920) 및 휴대 단말(1930)는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 의해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1921)를 액세서리(1920) 또는 휴대 단말(1930)로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는 액세서리(1920) 또는 휴대 단말(1930)를 통해 레퍼런스 컨텐트(1921)를 보면서 디바이스(100)를 통해 컨텐트를 볼 수 있다. 액세서리(192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 시계, 전자 팔지 등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또는 전자 장신구)가 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액세서리(1920) 및 휴대 단말(1930)는 서버(1910)로부터 레퍼런스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 단말(1930)는 디바이스(100)와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으나, 다른 규격을 갖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태블릿이고, 휴대 단말(1930)은 스마트 폰 일 수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컨텐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바이스(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외부 디바이스로 레퍼런스 컨텐트를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한 예이다.
도 20의 단계 S2010 내지 단계 S2050은 도 3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과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060에서,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레퍼런스 컨텐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도 19에 도시된 서버(1910), 액세서리(1920), 휴대 단말(193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910)로 전송할 경우에,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하여 레퍼런스 컨텐트를 서버(19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정보는 레퍼런스 컨텐트, 레퍼런스 컨텐트에 관련된 컨텐트, 레퍼런스 컨텐트의 위치 정보, 레퍼런스 컨텐트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액세서리(1920)와 휴대 단말(1930)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경우에,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기(1851)에서 언급된 통신 방식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레퍼런스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서리(1920)와 휴대 단말(1930)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레퍼런스 컨텐트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보기 원하는 컨텐트와 한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트를 보면서 참조하기 원하는 컨텐트를 찾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원하는 컨텐트를 동시에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레퍼런스 컨텐트를 서버(1910)를 통해 관리하여 컨텐트를 볼 때마다 손쉽게 레퍼런스 컨텐트를 볼 수 있고, 그에 관련된 사용자의 코맨트(노트 정보)를 볼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 레퍼런스 컨텐트 및 사용자의 코맨트를 공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 의해 레퍼런스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경우에, 서버(1910)를 거치지 않고,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디바이스(100)를 접속시켜 레퍼런스 컨텐트와 그와 관련된 사용자 코맨트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연계되는 외부 디바이스로 레퍼런스 컨텐트를 전송하므로써,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퍼런스 컨텐트와 컨텐트를 동시에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35)

  1.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화면에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된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분할을 나타내는 분할 라인을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분할 라인에 기초하여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로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 1 윈도우와 독립된 제 2 윈도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상기 제 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은 레이어로 설정하여 숨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상기 제 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은 레이어로 설정하여 숨기면서
    상기 제 2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상기 제 1 윈도우내, 상기 제 1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제 1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실행 명령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내에서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관한 노트를 입력할 수 있는 제 3 윈도우를 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윈도우를 여는 단계는,
    상기 제 3 윈도우를 상기 제 2 윈도우에 인접한 위치에 불투명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3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윈도우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3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윈도우를 닫으면서
    상기 제 2 윈도우내, 상기 제 2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제 2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상기 제 3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윈도우를 탑 레이어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해제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분할 라인 설정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 분할 라인을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분할 라인 삭제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분할 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7. 삭제
  1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3 항, 제 15 항 및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디바이스에 있어서,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입력이 수신된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의 분할을 나타내는 분할 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분할 라인에 기초하여 분할된 컨텐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레퍼런스 컨텐트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컨텐트의 레이아웃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 라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 1 윈도우와 독립된 제 2 윈도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상기 제 2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상기 제 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은 레이어로 설정하여 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상기 제 2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상기 제 1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은 레이어로 설정하여 숨기면서
    상기 제 2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상기 제 1 윈도우내, 상기 제 1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제 1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실행 명령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내에서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대한 노트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컨텐트에 관한 노트를 입력할 수 있는 제 3 윈도우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3 윈도우를 상기 제 2 윈도우에 인접한 위치에 불투명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상기 제 3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윈도우를 닫는 디바이스.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상기 제 3 윈도우에 대한 숨김 요청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윈도우를 닫으면서
    상기 제 2 윈도우내, 상기 제 2 윈도우의 경계 라인, 및 상기 제 2 윈도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위치중 하나에 상기 제 3 윈도우의 숨김 상태를 나타내는 사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윈도우를 탑 레이어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레퍼런스 컨텐트 설정 해제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윈도우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2. 삭제
  3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분할 라인 설정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 분할 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분할 라인이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분할 라인 삭제 입력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분할 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5. 삭제
KR1020130112853A 2013-09-23 2013-09-23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13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53A KR102130812B1 (ko) 2013-09-23 2013-09-23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PCT/KR2014/008781 WO2015041491A1 (en) 2013-09-23 2014-09-22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CN201480062069.5A CN105723308B (zh) 2013-09-23 2014-09-22 用于显示内容的方法和设备
JP2016544293A JP6196390B2 (ja) 2013-09-23 2014-09-22 コンテンツディスプレイ方法及びそのためのデバイス
EP14845923.3A EP3039519B1 (en) 2013-09-23 2014-09-22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US14/493,731 US10120551B2 (en) 2013-09-23 2014-09-23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parated content on a singl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53A KR102130812B1 (ko) 2013-09-23 2013-09-23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89A KR20150033189A (ko) 2015-04-01
KR102130812B1 true KR102130812B1 (ko) 2020-08-05

Family

ID=5268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853A KR102130812B1 (ko) 2013-09-23 2013-09-23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20551B2 (ko)
EP (1) EP3039519B1 (ko)
JP (1) JP6196390B2 (ko)
KR (1) KR102130812B1 (ko)
CN (1) CN105723308B (ko)
WO (1) WO2015041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886B2 (en) 2018-05-31 2020-12-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drawing objects
US10915778B2 (en) * 2018-08-27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multi-selection and operation of non-consecutive segmented information
US10949671B2 (en) * 2019-08-03 2021-03-16 VIRNECT inc. Augmented reality system capable of manipulating an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an augmented reality method using the same
WO2022041162A1 (en) * 2020-08-29 2022-03-03 Citrix Systems, Inc. Mask including moveable window for viewing content
CN112486611B (zh) * 2020-11-25 2022-12-23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页面切换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41B2 (ja) * 1991-11-13 1995-05-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ウインドウ表示制御方法
JPH06274090A (ja) * 1993-03-19 1994-09-30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マルチウィンドウcaiシステム
US6760048B1 (en) * 1999-06-15 2004-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occluded display elements on a computer display
JP2001209523A (ja) * 2000-01-26 2001-08-03 Fujitsu Ltd 画像表示方法、画像処理装置、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JP2001325054A (ja) * 2000-05-16 2001-11-22 Fujitsu Ten Ltd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法、及びウィンドウ管理方法
JP2002116903A (ja) * 2000-10-06 2002-04-19 Hitachi Ltd 複数画面表示方法
US7853553B2 (en) * 2001-03-26 2010-12-14 Siebel Systems, Inc. Engine for converting data from a source format to a destination format using user defined mappings
US7773075B2 (en) * 2006-03-22 2010-08-10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JP4700539B2 (ja) * 2006-03-22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US7966558B2 (en) 2006-06-15 2011-06-21 Microsoft Corporation Snipping tool
KR20090013943A (ko) * 2007-08-03 2009-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US8862986B2 (en) * 2007-10-01 2014-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rranging graphic objects on a page with relative position based control
CN101515227B (zh) * 2008-02-20 2011-05-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窗口管理方法和计算机
KR20090118179A (ko) * 2008-05-13 2009-11-1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의 일부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방법
KR20100038688A (ko) * 2008-10-06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101330264B1 (ko) * 2009-01-30 2013-11-15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출력 제어장치
US8621387B2 (en) * 2009-06-08 2013-12-3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KR101602730B1 (ko) 2009-06-09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브로드캐스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8677284B2 (en) * 2009-11-04 2014-03-18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contents in a user interface
KR101648509B1 (ko) * 2009-12-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230684B2 (ja) 2010-05-13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37385B2 (ja) 2010-07-20 2012-05-23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領域の配置方法
KR101767504B1 (ko) * 2010-12-01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2722476A (zh) * 2011-03-30 2012-10-10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电子文档进行标注的方法及装置
US20130103727A1 (en) 2011-04-18 2013-04-25 Robert G. Marcotte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JP2012243116A (ja) * 2011-05-20 2012-12-10 Kyocera Corp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03236A1 (en) 2011-09-03 2013-04-25 Behrang Mehrgan Use of smartphones, pocket size computers, tablets or other mobile personal computers as the main computer of computerized vehicles
JP5832257B2 (ja) * 2011-11-30 2015-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18672B2 (ja) * 2011-12-21 2015-11-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161446A (ja) * 2012-02-08 2013-08-19 Funai Electric Co Ltd 情報端末装置
CN102867039B (zh) * 2012-08-31 2015-04-0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多媒体注释的添加、读取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4485A (ja) 2016-11-04
JP6196390B2 (ja) 2017-09-13
CN105723308A (zh) 2016-06-29
CN105723308B (zh) 2021-09-17
WO2015041491A1 (en) 2015-03-26
US20150089414A1 (en) 2015-03-26
EP3039519B1 (en) 2021-04-07
KR20150033189A (ko) 2015-04-01
US10120551B2 (en) 2018-11-06
EP3039519A1 (en) 2016-07-06
EP3039519A4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157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tasking using an extended region to display related content
EP32061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US9928028B2 (en) Mobile terminal with voice recognition mode for multitas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0269B1 (ko) 정보 검색 방법,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KR10220388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89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69132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00333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10824291B2 (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by using work group
KR2014003167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64454B1 (ko)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40089245A (ko)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2130812B1 (ko) 컨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EP321151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U20132669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1875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83445B1 (ko)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117048B1 (ko)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4000324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7111429B (zh) 在设备上显示对象的方法及其设备
KR10165113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일 메시지 송신 방법
KR2013008220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TWI681320B (zh) 提供裝置的內容的方法與所述裝置
KR102361028B1 (ko)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6879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