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051A -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051A
KR20170058051A KR1020150161775A KR20150161775A KR20170058051A KR 20170058051 A KR20170058051 A KR 20170058051A KR 1020150161775 A KR1020150161775 A KR 1020150161775A KR 20150161775 A KR20150161775 A KR 20150161775A KR 20170058051 A KR20170058051 A KR 20170058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ouch gesture
custom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051A/ko
Priority to US15/350,475 priority patent/US10126939B2/en
Priority to EP16866652.7A priority patent/EP3335409B1/en
Priority to CN201680067263.1A priority patent/CN108353104B/zh
Priority to PCT/KR2016/013228 priority patent/WO2017086700A1/en
Publication of KR2017005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되는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하는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 중 일부는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되는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 및 저장된 설정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하는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아래 실시예들은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되는 터치 제스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하는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멀티 태스킹도 가능하다. 휴대 장치의 화면 크기가 대형화되고, 화면 해상도가 점차 고 해상도를 제공하고 있다.
휴대 장치의 화면은 평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곡면(bended) 디스플레이로 발전하고 있다. 일 측만 곡면인 화면을 적용한 휴대 장치뿐만 아니라 양 측 모두 곡면인 화면을 채용한 휴대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큰 화면을 가지는 휴대 장치를 파지한 오른손(또는 왼손)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 또는 다른 손가락)으로 화면을 이동(예를 들어, 스크롤)하는 경우, 손이 불편한 사용자 또는 손가락이 짧은 사용자에게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의 조작은 쉽지 않다. 이런 경우, 손이 불편한 사용자 또는 손가락이 짧은 사용자는 양 손을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곡면 화면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경우에도 유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에서 검출된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이동 거리와 다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사용자의 평균 터치 제스처 길이와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와의 비율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터치 스크린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의 길이 및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다를 수 있다.
큰 화면을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손이 불편한 사용자 및/또는 짧은 손가락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가 터치로 조작하기 쉬운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큰 화면을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손이 불편한 사용자 및/또는 짧은 손가락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가 터치로 조작하기 쉬운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큰 화면을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동일한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검출되는 경우, 화면의 이동 거리가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다른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큰 에지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손이 불편한 사용자 및/또는 짧은 손가락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가 터치로 조작하기 쉬운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큰 에지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손이 불편한 사용자 및/또는 짧은 손가락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가 터치로 조작하기 쉬운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큰 에지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동일한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검출되는 경우, 화면의 이동 거리가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다른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큰 화면을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손이 불편한 사용자 및/또는 짧은 손가락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가 터치로 조작하기 쉬운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o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된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곡면인 에지 터치 스크린(edge touch screen) 및 휘어지지 않는 평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컴퓨터용 OS(operating system), 임베디드 OS(embedded OS) 또는 모바일 OS 위에서 실행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사진 앨범 어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 시트, 연락처(contacts) 어플리케이션, 캘린더(calendar) 어플리케이션, 메모(memo) 어플리케이션, 알람(alarm) 어플리케이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 system), 또는 블로그 등) 어플리케이션, 게임 장터, 채팅(chatting) 어플리케이션, 지도(Map) 어플리케이션, 뮤직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장치 또는 휴대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다른 휴대 장치, 서버 등)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휴대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content)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뮤직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뮤직 파일, 사진 갤러리에서 표시되는 사진 파일,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웹 페이지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 또는 실행되는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라는 용어는 동영상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콘텐트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등)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구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하나의 콘텐트 또는 복수의 콘텐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widget)은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 또는 OS와의 상호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중 하나인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위젯, 계산기 위젯, 시계 위젯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를 한 손으로 파지한다. 사용자에 따라 손의 크기 및/또는 손 가락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의 사용자는 도 1b의 사용자와 비교하여 큰 손에 손 가락의 길이도 길다. 도 1a의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의 화면의 상단을 한 번에 조작(예를 들어, 터치)할 수 있다. 도 1b의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의 화면의 상단을 조작(예를 들어, 터치)하기 위해 휴대 장치를 다시 파지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 영역에 에지 터치 스크린(edge touch screen, 190)이 위치한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을 나타낼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에 대응되는 휘어진 터치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서 에지 터치 스크린이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 영역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을 나타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에 대응되는 평면 터치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얇고 유연한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형성되어 휘거나 구부려 질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 및 에지 터치 스크린(190b, 190c)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 메인 터치 스크린(190a) 및 양측의 에지 터치 스크린(190b, 190c)은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 및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190c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 메인 터치 스크린(190a) 및 일측에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190c 중 하나)은 일체형일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를 포함하고, 좌측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우측 에지 터치 스크린(190c)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홈 화면(191)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휴대 장치(100)의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서로 다른 복수의 홈 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홈 화면(191)에 터치(예를 들어, 호버링 포함)에 의해 선택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191a), 날씨 위젯(191b) 및 시계 위젯(191c)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홈 화면(19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 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19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의 홈 화면(191)은 상태 바(192)의 하단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태 바(192)는 표시되지 않고, 홈 화면(191)만 표시될 수도 있다.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 상부에는 제1 카메라(151), 스피커(163a), 근접 센서(171) 및 조도 센서(172)가 위치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후면(도시되지 아니함)에는 제2 카메라(152, 도 2 참조) 및 플래시(flash, 153, 도 2 참조)가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최근 실행 앱 버튼(161b), 및 돌아 가기 버튼(161c)이 위치할 수 있다. 버튼(161a 내지 161c)은 물리 버튼뿐만 아니라 터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버튼(161a 내지 161c)은 터치 스크린(190)내 텍스트 또는 다른 아이콘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측면에 전원/잠금 버튼(161d), 및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이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측면은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 및 후면(도시되지 아니함)을 연결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측면은 좌측면, 우측면, 상단 및 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하단에 마이크(162), 커넥터(165) 및/또는 스피커(163b)가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하단에는 버튼(도시되지 아니함)을 가지는 입력 펜(167, 도 2 참조)이 삽입 가능한 삽입구(도시되지 아니함)가 위치할 수 있다. 입력 펜(167, 도 2 참조)은 삽입구(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인입되어 휴대 장치(1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장치(100)에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는 이동 통신부(120), 서브 통신부(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 또는 서버 등)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장치,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전자 칠판, 모니터,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또는 에어컨 등),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고정 곡률(curvature)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TV, 고정 곡률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TV, 고정 곡률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bended) TV, 및/또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화면의 곡률을 변경가능한 곡률 가변형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휴대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가지고 통신부(120 또는 130)를 통해 데이터(또는 콘텐트)를 외부로 송신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입력 펜(167) 및 터치 스크린을 가지고 통신부(120 또는 130)를 통해 데이터(또는 콘텐트)를 외부로 송신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에서 입력되는 인터랙션(예를 들어, 터치 또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데이터(또는 콘텐트)를 외부로 송신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터치 패널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만 있는 실시예, 도시되지 아니함)를 가지고 통신부(120 또는 130)를 통해 데이터(또는 콘텐트)를 외부로 송신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 통신부(120), 서브 통신부(130), 멀티미디어부(140), 카메라(15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155), 입/출력부(160), 센서(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 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휴대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110 내지 195)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부(180)를 이용하여 내부 구성 요소(110 내지 195)에게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은 버스(bus)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 통신부(120), 서브 통신부(130), 멀티미디어부(140), 카메라(150), GPS(155), 입/출력부(160), 센서부(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화면에서 검출된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사용자의 평균 터치 제스처 길이와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와의 비율에 따라 설정되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보다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를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검출을 상기 제1 터치의 최초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최후 위치에 도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상기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되고, 제어부(110)는 저장된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된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상기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평균 터치 제스처 길이와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와의 비율에 따라 설정되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보다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를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및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와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및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를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예를 들어, 다른 휴대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서버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다른 장치에서부터 데이터(또는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또는 콘텐트)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서브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무선랜 통신부(131) 및/또는 근거리 통신부(132)를 통해 다른 장치(예를 들어, 다른 휴대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서버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서브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다른 장치에서부터 데이터(또는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또는 콘텐트)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랜 통신부(131)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AP(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으로 AP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통신부(131)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통신부(131)는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AP없이 무선으로 휴대 장치(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기능 및/또는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부(120), 무선랜 통신부(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 중 하나, 또는 이동 통신부(120), 무선랜 통신부(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이동 통신부(120) 및 서브 통신부(130) 중 하나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의 액세서리(예를 들어, 무선 스피커, 무선 헤드셋 등)와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라는 용어는 이동 통신부(120) 및/또는 서브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방송, 오디오 및/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부(140)는 방송 수신부(141), 오디오 재생부(142) 및/또는 동영상 재생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41)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외부의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수신된 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를 에지 터치 스크린, 비디오 코덱(video code, 도시되지 아니함) 및 오디오 코덱(audio codec, 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휴대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를 포함하는 오디오 파일)를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재생부(142)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라 다른 화면으로 변경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부(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화면의 이동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소스의 출력 등)을 오디오 코덱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재생부(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소스의 출력 등)을 오디오 코덱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부(14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휴대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일)을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 설치가능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코덱 및/또는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또는 동영상 소스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에 설치가능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 코덱(도시되지 아니함)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덱(도시되지 아니함)을 이용하여 동영상 소스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부(143)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라 따른 화면의 이동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부(14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화면의 이동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소스의 출력 등)을 비디오 코덱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파일 확장자를 가지는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재생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 코덱 및 오디오 코덱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멀티미디어부(140)는 휴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방송 수신부(141)을 제외하고 오디오 재생부(142) 및 동영상 재생부(143)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부(140)의 오디오 재생부(142) 및 동영상 재생부(143) 중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코덱"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코덱"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휴대 장치(100) 전면(100a)의 제1 카메라(151) 및 후면의 제2 카메라(152) 중 하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153))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휴대 장치(100) 전면의 제1 카메라(151) 및 제1 카메라(151)에 인접하는 추가 카메라(예를 들어, 제3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형태(예를 들어, 제1 카메라와 제3 카메라가 하나의 유닛(unit)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포함)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와 제1 카메라(151)의 간격은 2 ㎜ 보다 크고 80 ㎜ 보다 작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3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가 더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151) 및 제3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후면의 제2 카메라(152) 및 제2 카메라(152)에 인접한 추가 카메라(예를 들어, 제4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하는 형태(예를 들어, 제1 카메라와 제3 카메라가 하나의 유닛(unit)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포함)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은 2 ㎜보다 크고 80 ㎜ 보다 작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4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가 더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 카메라(151) 및 제4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50, 152)는 별도의 어댑터(도시되지 아니함)에 착탈가능한 추가 렌즈(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광각, 망원 및 접사 촬영을 할 수 있다.
GPS(155)는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예를 들어, GPS 위성의 궤도 정보, 위성의 시간 정보 및 항법 메시지 등)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과 휴대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하고, 송/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삼각 측량을 통해 휴대 장치(100)의 위치, 시간 또는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궤도 보정 또는 시간 보정을 위해 추가의 GPS 위성이 필요할 수 있다.
실내의 경우, 휴대 장치(100)는 무선 AP(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휴대 장치(100)의 위치 또는 이동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는 무선 비컨(beacon, 도시되지 아니함)을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휴대 장치(100)의 위치 또는 이동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의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 휴대 장치(100)의 실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입/출력부(16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 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입력 펜(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버튼(161)은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 하부에 있는 홈 버튼(161a), 최근 실행 앱 버튼(161b), 및/또는 돌아가기 버튼(161c)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휴대 장치(100) 측면의 전원/잠금 버튼(161d)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버튼(161)은 홈 버튼(161a), 전원/잠금 버튼(161d) 및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만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물리 버튼뿐만 아니라 터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의 버튼(161)은 터치 스크린(190)상에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버튼(161)의 형태, 위치, 기능, 명칭 등은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에서부터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162)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코덱에서 변환되어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마이크(162)는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 측면 및/또는 후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의 측면에만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가 위치할 수도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코덱에 의해 디코딩 되는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오디오 소스,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 측면 및/또는 후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피커(163)가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에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피커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하나의 스피커가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전면(100a)에 하나의 스피커(163a) 및 후면에 복수의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이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측면에 복수의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가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측면에 추가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가 위치하는 휴대 장치(100)는 전면(100a) 및 후면에 스피커가 위치하는 다른 휴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구별되는 사운드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163)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화면 이동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리니어 진동 모터, 바 타입 진동 모터, 코인 타입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소자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휴대 장치(100)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64)는 휴대 장치(100) 전체를 진동시키거나 또는 휴대 장치(100)의 일 부분만을 국부적으로(locally) 진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동 모터(164)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화면 이동에 대응되는 촉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휴대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커넥터(165)는 휴대 장치(100)의 상단, 하단, 및 측면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또는 콘텐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을 입력 받거나 또는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는 커넥터(165)를 통해 액세서리(예를 들어,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 키보드 도크(keyboard dock, 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장치(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에지 터치 스크린(190)내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펜(167)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 장치(100)의 에지 터치 스크린(190) 또는 필기/그리기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들어, 메모 화면, 노트 패드 화면, 캘린더 화면, 등)에 표시되는(또는, 구성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아이콘)를 터치(또는, 선택)할 수 있다.
입력 펜(167)은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또는 전자기 공명(electromagnetic resonance, EMR)의 터치 스크린(에지 터치 스크린도 포함)을 터치하거나 또는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펜(167)은 스타일러스 펜 또는 내장된 진동 소자(예를 들어, 액추에이터(actuator) 또는 진동 모터)가 진동하는 햅틱 펜(haptic pen, 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펜(167)은 휴대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뿐만 아니라 입력 펜(167)에 내장된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도시되지 아니함)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에 대응하여 진동 소자를 동작(예를 들어, 진동)시킬 수 있다.
입력 펜(167)은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정전 용량 방식 에지 터치 스크린도 포함) 또는 저항막 방식 터치 스크린(저항막 방식 에지 터치 스크린도 포함)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필기 또는 그리기가 입력될 수 있다.
센서부(170)는 휴대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휴대 장치(100)의 주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70)는 사용자의 휴대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171), 휴대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172), 또는, 휴대 장치(100)의 사용자 지문을 검출하는 지문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휴대 장치(100)에 가해지는 3축(예를 들어, x축, y축, z축)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또는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휴대 장치(10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휴대 장치(170)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센서부(170)는 중력 가속도만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70)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을 검출하는 심박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7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휴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170)에 포함되는 센서는 휴대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동 통신부(120), 서브 통신부(130), 멀티미디어부(140), 카메라(150), GPS(155), 입/출력부(160), 센서부(170), 및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5)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 정보, 웨어러블 장치 장치 정보 또는 서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의 메인 터치 스크린의 크기, 제1 에지 터치 스크린의 크기, 제2 에지 터치 스크린의 크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의 싱글 곡률 정보 또는 멀티 곡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휴대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110 내지 195)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면(100a)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190)과 후면(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코일(도시되지 아니함)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예를 들어, 자기 공명 방식, 전자기파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에지 터치 패널(도시되지 아니함)과 화면 표시를 위한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수신, 사진 촬영, 동영상 보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홈 화면(191) 또는 GUI를 통해 입력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입력 펜(167)을 통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양 측면이 휘어진 일체형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 및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은 평면(flat) 이거나 또는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예를 들어, 평면에 근접하는)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터치 스크린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에지 터치 스크린은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메인 터치 스크린 영역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에지 터치 스크린 영역은 각각의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1 에지 터치 스크린은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 중 하나의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에지 터치 스크린은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 중 제1 에지 터치 스크린 영역이 아닌 다른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지 터치 스크린이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2 에지 터치 스크린은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c)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반대로 제1 에지 터치 스크린이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c)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2 에지 터치 스크린은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은 가상의 라인(190b1, 190c1)을 기준으로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과 구분될 수 있다. 가상의 라인(190b1, 190c1)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의 곡률이 변경되기 시작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가상의 라인(190b1, 190c1)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의 곡률이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의 곡률로 변경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가상의 라인(190b1, 190c1)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190a)의 곡률이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의 싱글 곡률 및 멀티 곡률의 제1 곡률 중 하나로 변경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의 곡률은 13R 이상이고 5R 이하일 수 있다. 싱글 곡률을 가지는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190b, 190c)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의 양 측의 단면(도시되지 아니함)은 반원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곡률 값은 하나의 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싱글 곡률 값 및/또는 멀티 곡률 값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은 다수의 픽셀들(pixels)을 구비하고, 상기 픽셀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은 액정 표시 장치(LCD),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은 휴대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실행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과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 펜(167)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은 에지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 펜(167)과의 간격이 50 ㎜ 이하의 호버링(ho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비접촉 간격이 휴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공명 방식의 에지 터치 스크린은 전자기 공명 방식의 루프 코일에 공진하는 공진 회로를 가지는 입력 펜(도시되지 아니함)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전자기 공명 방식의 에지 터치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다른 화면으로 변경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다른 화면으로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콘텐트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또는 터치 스크린(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 입력되는 터치의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좌표와 Y좌표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입력된 터치에 대응하여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을 다른 단축 아이콘과 구분되게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전화)을 실행하여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하나의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또는 복수의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별개로 전자기 공명 방식의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수신되는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 공명 방식의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와 Y좌표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 공명 방식의 에지 터치 스크린의 경우, 전자기 공명 방식의 에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휴대 장치(100)는 하나의 에지 터치 스크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에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에지 터치 스크린은 각각의 하우징(도시되지 아니함)에 위치하며 각각의 하우징(도시되지 아니함)은 하나 또는 복수의 힌지(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하우징(도시되지 아니함)의 전면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에지 터치 스크린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에지 터치 스크린은 하나의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과 복수의 에지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에지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하나의 에지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에지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복수의 에지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휴대 장치(100)는 에지 터치 스크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 장치(100)는 에지 터치 스크린이 아니라 휘어지지 않는 평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휴대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휴대 장치(1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o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의 단계(S301)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custom touch gesture setting) 화면이 표시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이 표시된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을 제1 화면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1 화면(40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최초 부팅(booting)되는 휴대 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n 및 도 4o를 참조하면, 제1 화면(400)은 사용자의 터치(211, 212)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홈 화면(191)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터치 제스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알림바(notification bar, 20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바(201)의 환경 설정(setting, 191s)에 터치(211)를 한다. 제어부(110)는 터치(211)에 대응되는 환경 설정 화면(20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환경 설정 화면(202)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202a)에 터치(212)한다. 제어부(110)는 터치(212)에 대응되는 제1 화면(400, 도 4b)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부팅 및 최초 부팅 이후에 표시되는 제1 화면(400)을 통해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할 수 있다.
최초 부팅되는 휴대 장치(100)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항목(예를 들어, 언어(200), 와이 파이(Wi-Fi)설정(도시되지 아니함), 지문 설정(도시되지 아니함),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400, 도 4c 참조), 또는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설정(도시되지 아니함)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상술된 설정 항목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초 부팅되는 휴대 장치(100)에서 설정가능한 항목은 휴대 장치(100)의 제조사, OS, 및/또는 기능에 대응하여 변경,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사용자의 다양한 손의 크기 및/또는 다양한 손가락의 길이를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customized)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제스처는 드래그(drag), 플릭(flick), 스와이프(swipe), 핀치(pinch) 또는 스프레드(spread)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스처는 싱글 터치 제스처 및 멀티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드래그, 플릭, 스와이프, 핀치 또는 스프레드에 의한 화면의 이동(scroll), 화면의 확대(scale-up), 또는 화면의 축소(scale-dow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드래그, 플릭, 스와이프, 핀치 또는 스프레드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예를 들어, 통화, 메신저 실행,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예를 들어, 알람 종료, 통화 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통해 휴대 장치(100)의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서 사용자 맞춤형 터치 제스처를 설정할 수 있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통해 휴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맞춤형 터치 제스처에 따라 화면의 이동, 화면의 확대 또는 화면의 축소를 할 수 있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통해 휴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화면의 이동, 화면의 확대 또는 화면의 축소를 할 수 있다.
도 3a의 단계(S302)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가 설정된다.
도 4b 내지 도 4f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의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커스텀 터치 제스처가 설정된다.
도 4b는 커스텀 세로 방향 터치 제스처의 설정일 수 있다. 또한, 도 4d는 커스텀 가로 방향 터치 제스처의 설정일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검출하는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은 복수의 검출 영역(예를 들어, 401a 내지 401g)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된 복수의 검출 영역의 개수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휴대 장치(100)의 에지 터치스크린(190)의 크기, 또는, 해상도에 따라 변경(예를 들어, 검출 영역의 개수가 1, 2, 3, 4, 5, 6, 8, 또는 그 이상)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에서 터치 제스처의 입력 횟수를 나타내는 카운터(4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의 횟수는 4(예를 들어, 카운터(402a 내지 402e)에 체크마크가 있는 경우)이다. 입력 가능한 터치 제스처의 횟수는 5(설정에 의해 횟수 변경가능)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에서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최초 터치(501a)에서부터 최후 터치(501c)까지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를 한다.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1a)에서부터 최후 위치(501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 검출되는 제1 터치 제스처(gesture)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1a)에서부터 최후 위치(501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부터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190c 중 하나)까지 검출되는 제1 터치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1a)에서부터 최후 위치(501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 제1 터치(501)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1a)에서부터 최후 위치(501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부터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190c 중 하나)까지 제1 터치(501)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방향은 위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 방향, 또한, 측면 방향일 수 있다. 상술된 제1 터치 제스처의 궤적(trajectory)는 직선 형태로 설명되었으나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 형태 또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최후 위치(501c)에서 메인 터치 스크린(190a)과의 접촉이 해제(touch release)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포함되는 터치의 개수는 복수이며, 상술된 세 개의 터치 위치(501a 내지 501c)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포함되는 터치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에서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플릭(flick) 또는 스와이프(swi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에서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싱글 터치 제스처 및 멀티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에 5 회의 터치 제스처를 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각 입력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예를 들어, l1)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산출된 터치 제스처의 평균 길이를 이용하여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에서 검출가능한 터치 제스처의 최대 길이(예를 들어, l2) 사이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제스처의 최대 길이에 대한 산출된 터치 제스처의 평균 길이의 비율이 0.5 인 경우, 제어부(110)는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 0.5 에 가중치(예를 들어, 2)를 곱할 수 있다.
산출된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이 0.5인 사용자의 경우, 제어부(110)는 검출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가중치(예를 들어, 2)를 곱할 수 있다. 산출된 평균 길이보다 짧은 터치 제스처인 경우, 제어부(110)는 검출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가중치(예를 들어, 2)를 곱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평균 길이보다 긴 터치 제스처인 경우, 제어부(110)는 검출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최대 길이(예를 들어, l2)에 대응할 수 있다.
가중치에 의해 제어부(110)는 입력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대신하여 최대 길이로 입력된 터치 제스처(도시되지 아니함)처럼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중치에 의해 제어부(110)는 입력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대신하여 최대 길이로 입력된 터치 제스처(도시되지 아니함)처럼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산출된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 및 가중치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커스텀 세로 터치 제스처 설정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커스텀 세로 터치 제스처 설정 정보는 이력 관리를 위한 터치 제스처 식별자(ID), 터치 제스처 횟수, 각 터치 제스처 길이,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 터치 제스처의 평균 길이, 가중치, 또는 각 터치 제스처 입력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커스텀 가로 방향 터치 제스처의 설정일 수 있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검출하는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3)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1)은 복수의 검출 영역(예를 들어, 403a 내지 403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된 복수의 검출 영역의 개수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휴대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의 크기, 또는, 해상도에 따라 변경(예를 들어, 검출 영역의 개수가 1, 2, 3, 4, 또는 그 이상)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에서 터치 제스처의 입력 횟수를 나타내는 카운터(4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의 횟수는 4(예를 들어, 카운터(404a 내지 404e)에 체크마크가 있는 경우)이다. 입력 가능한 터치 제스처의 횟수는 5(설정에 의해 횟수 변경가능)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3)에서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최초 터치(502a)에서부터 최후 터치(502c)까지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를 한다.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2a)에서부터 최후 위치(502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 검출되는 제2 터치 제스처(gesture)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2a)에서부터 최후 위치(502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부터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190c 중 하나)까지 검출되는 제2 터치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2a)에서부터 최후 위치(502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 제2 터치(501)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02a)에서부터 최후 위치(502c)까지 이동)은 메인 터치 스크린(190a)에서부터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190c 중 하나)까지 제2 터치(502)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방향은 왼 방향뿐만 아니라 오른 방향, 위 방향, 또한, 아래 방향일 수 있다. 상술된 제2 터치 제스처의 궤적(trajectory)는 직선 형태로 설명되었으나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 형태 또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최후 위치(502c)에서 메인 터치 스크린(190a)과의 접촉이 해제(touch release)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포함되는 터치의 개수는 복수이며, 상술된 세 개의 터치 위치(502a 내지 502c)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포함되는 터치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2)에서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플릭(flick) 또는 스와이프(swi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2)에서 제2 터치(502)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싱글 터치 제스처 및 멀티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2)에 5 회의 터치 제스처를 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각 입력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예를 들어, l3)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산출된 평균 길이를 이용하여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02)에서 검출가능한 터치 제스처의 최대 길이(예를 들어, l4) 사이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길이에 대한 산출된 평균 길이의 비율이 0.4 인 경우, 제어부(110)는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 0.4 에 가중치(예를 들어, 2.5)를 곱할 수 있다.
산출된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이 0.4인 사용자의 경우, 제어부(110)는 가중치(예를 들어, 2.5)를 곱할 수 있다. 산출된 평균 길이보다 짧은 터치 제스처인 경우, 제어부(110)는 검출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가중치(예를 들어, 2.5)를 곱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평균 길이보다 긴 터치 제스처인 경우, 제어부(110)는 검출된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최대 길이(예를 들어, l4)에 대응할 수 있다.
가중치에 의해 제어부(110)는 최대 길이로 입력된 터치 제스처(도시되지 아니함)처럼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중치에 의해 제어부(110)는 최대 길이로 입력된 터치 제스처(도시되지 아니함)처럼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산출된 산출된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 및 가중치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정보는 이력 관리를 위한 터치 제스처 식별자(ID), 터치 제스처 횟수, 각 터치 제스처 길이,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 터치 제스처의 평균 길이, 가중치, 또는 각 터치 제스처 입력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최초 부팅되는 휴대 장치(100)의 다양한 항목에 대한 설정이 완료(201)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에서 사용자에 의해 커스텀 세로 방향 터치 제스처의 설정이 완료되고, 도 4d 및 도 4e에서 사용자에 의해 커스텀 가로 방향 터치 제스처의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도 3a의 단계(S303)에서, 화면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도 4g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축 아이콘(191a, 도 1a를 참조) 중 하나(예를 들어, 사진 갤러리)에 터치(도시되지 아니함)를 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진 갤러리)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제11 화면(4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1 화면(410)은 복수의 사진(4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화면(410)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의 화면일 수 있다. 제11 화면(410)은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메신저 프로그램(도시되지 아니함)에서 제공되는 친구 목록(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타임 라인(도시되지 아니함)이 에지 터치 스크린(190)의 길이-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보다 긴 경우, 친구 목록(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타임 라인(도시되지 아니함)은 복수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1 화면(410)은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워드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도시되지 아니함) 및/또는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도시되지 아니함)에서 제공되는 페이지(도시되지 아니함)가 에지 터치스크린(190)의 길이-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보다 긴 경우, 페이지(도시되지 아니함)는 복수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어플리케이션에서 타임 라인(도시되지 아니함)이 에지 터치스크린(190)의 길이-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보다 긴 경우, 타임 라인(도시되지 아니함)은 복수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화면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술된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사진 갤러리에서 표시가능한 사진의 개수가 100 개이고,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개수가 10 개인 경우, 제어부(110)에 의해 사진 갤러리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총 개수는 10 개일 수 있다. 전체 사진의 개수가 500 개이고,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개수가 20 개인 경우, 사진 갤러리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총 개수는 25 개일 수 있다.
도 3a의 단계(S304)에서, 터치 제스처가 검출된다.
도 4h 내지 도 4j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1 화면(410)에서 제11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최초 위치(511a)에서부터 최후 위치(511c)까지)를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11 터치(51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11 터치(51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a의 단계(S305)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대응되게 화면이 이동된다.
도 4i 및 도 4j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제11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제11 화면(410)을 이동할 수 있다.
제1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11a에서부터 511b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을 제11 터치 제스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11a에서부터 511b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을 저장된 커스텀 세로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저장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의 2/5 인)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을 저장된 커스텀 세로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2/5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제1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11a에서부터 511b까지, 저장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의 반(1/2)정도)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을 저장된 커스텀 세로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1/2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의 상방 이동에 대응하여 제11 화면(4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사진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의 상방 이동에 대응하여 제11 화면(410)에 연속되는 제12 화면(411)을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의 상방 이동에 대응하여 제11 화면(410)에 연속되는 제12 화면(411)을 상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서 제11 터치 제스처의 접촉이 해제(touch-release)될 때까지, 제어부(110)는 제11 화면(410)에 연속되는 제12 화면(411)을 상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검출된 제1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를 제11 화면(410)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제11 화면(410)의 이동 거리를 검출된 제1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제1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제11 화면(410)의 이동 거리를 검출된 제1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j를 참조하면, 평균 이동 거리만큼 제1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최초 위치(511a)에서부터 최후 위치(511c)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2 화면(411)을 표시할 수 있다. 평균 이동 거리만큼 제1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최초 위치(511a)에서부터 최후 위치(511c)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2 화면(411)을 표시할 수 있다. 평균 길이만큼 제1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제11 터치 제스처의 접촉이 해제(touch-release))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2 화면(411)을 제11 화면(410)보다 더 많이 표시(예를 들어, 표시되는 제12 화면의 면적이 제11 화면의 면적보다 넓은)할 수 있다.
제11 터치 제스처의 이동은 제1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되는 피드백(feedback)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피드백은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들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 피드백은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예를 들어, 별도의 이미지 또는 별도의 이미지에 적용된 나타내기(fade)와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을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을 메인 터치 스크린(190a), 제1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제2 에지 터치 스크린(190c)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을 메인 터치 스크린(190a), 제1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및 제2 에지 터치 스크린(190c)의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청각 피드백은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청각 피드백을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청각 피드백을 제1 스피커(163a) 및 제2 스피커(163b) 중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청각 피드백을 스피커(163a) 및 스피커(163b)의 조합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촉각 피드백은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되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촉각 피드백을 진동 모터(16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터가 복수인 경우, 제어부는 촉각 피드백을 복수의 진동 모터 중 하나의 진동 모터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환경 설정(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 제공 시간(예를 들어, 500 ㎳)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달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도 3a의 단계(S305)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대응되게 화면이 이동되는 경우,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k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에서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05:30 AM)에 알람(alarm)이 전면의 스피커(163a) 및 하단 측면의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에서 출력되고 있다. 알람(alarm)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서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의 제13 화면(412)에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서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3 화면(412)에 제12 터치 제스처(512)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12 터치(512)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12 터치(512)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12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12a에서부터 512b 방향으로)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2 터치 제스처의 알람 해제에 대응되는 알람 해제 영역(412a) 통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알람 해제 영역(412a)은 내부 원(412a1)을 기준으로 반경 2 ㎝ 인 영역일 수 있다. 알람 해제 영역(412a)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예를 들어, 평균 길이보다 0.05 내지 1 ㎝ 짧은). 또한, 알람 해제 영역(412a)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알람 해제 영역(412a)의 반경은 사용자의 손의 크기 및/또는 손가락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를 수 있다.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이 저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알람 해제에 대응되는 알람 해제 영역(412a)의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제12 터치 제스처가 알람 해제 영역(412a) 통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출력되는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제12 터치 제스처의 이동은 제12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검출된 제12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알람 해제를 검출된 제12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제12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제12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예를 들어, 알람 해제 영역(412a)를 통과 여부)에 대응되게 알람을 해제하거나, 또는, 알람을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2 터치(512)의 알람 해제 영역(412a) 통과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피드백은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들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2 터치(512)의 알람 해제 영역(412a) 통과에 대응되는 피드백은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되는 피드백과 실질적으로 유사(예를 들어, 터치 제스처의 차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l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에서 인커밍 콜(incoming call)이 수신된다. 또한, 휴대 장치(100)에서 인커밍 콜에 대응되는 착신음 및/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인커밍 콜 및 아웃고잉 콜(outgoing call)은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일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서 인커밍 콜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의 제14 화면(413)에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또는 통화 거부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서 인커밍 콜이 수신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4 화면(413)에 제13 터치 제스처(513)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13 터치(513)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13 터치(513)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13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13a에서부터 513b 방향으로)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3 터치 제스처의 통화 거부에 대응되는 통화 거부 영역(413a) 통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화 거부 영역(413a)은 내부 원(예를 들어, 통화 거부에 대응되는 아이콘, 413a1)을 기준으로 반경 2 ㎝ 인 영역일 수 있다. 통화 거부 영역(413a)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예를 들어, 평균 길이보다 0.05 내지 1 ㎝ 짧은). 또한, 통화 거부 영역(413a)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통화 거부 영역(413a)의 반경은 사용자의 손의 크기 및/또는 손가락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를 수 있다.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이 저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통화 거부에 대응되는 통화 거부 영역(413a)의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검출된 제13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통화를 검출된 제13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제13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제13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예를 들어, 통화 거부 영역(413a)를 통과 여부)에 대응되게 통화를 하거나, 또는, 통화 거부 할 수 있다.
제13 터치 제스처가 통화 거부 영역(413a)을 통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출력되는 착신음 및/또는 진동을 해제할 수 있다. 제13 터치 제스처의 이동은 제13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상술된 제13 터치 제스처의 통화 거부 영역(413a)의 통과뿐만 아니라 제13 터치 제스처의 통화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의 통과로 구현될 수 있다. 통화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은 내부 원(예를 들어, 통화에 대응되는 아이콘, 413a2)을 기준으로 반경 2 ㎝ 인 영역일 수 있다. 통화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예를 들어, 평균 길이보다 0.05 내지 1 ㎝ 짧은). 또한, 통화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3 터치(513)의 통화 거부 영역(413a) 통과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피드백은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들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3 터치(513)의 통화 거부 영역(413a) 통과에 대응되는 피드백은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되는 피드백과 실질적으로 유사(예를 들어, 터치 제스처의 차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m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에서 인커밍 콜 및/또는 아웃고잉 콜의 목록이 표시된다.
휴대 장치(100)에서 목록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의 제15 화면(414)에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통화 및 메시지(예를 들어, SMS, MMS 등) 전송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서 목록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5 화면(414)에 제14 터치 제스처(514)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14 터치(514)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14 터치(514)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14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14a에서부터 514b 방향으로)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4 터치 제스처의 통화(예를 들어, 상대방 Scott Bora에 대한)에 대응되는 통화 영역(414a) 통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화 영역(414a)은 최초 위치(514a)를 기준으로 반경 2 ㎝ 인 영역일 수 있다. 통화 영역(414a)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예를 들어, 평균 길이보다 0.05 내지 1 ㎝ 짧은). 또한, 통화 영역(414a)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통화 영역(414a)의 반경은 사용자의 손의 크기 및/또는 손가락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를 수 있다.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이 저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통화에 대응되는 통화 영역(414a)의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제14 터치 제스처가 통화 영역(414a)을 통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대방(Scott Bora)에게 아웃고잉 콜을 할 수 있다. 제14 터치 제스처의 이동은 제14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상술된 제14 터치 제스처의 통화 영역(414a)의 통과뿐만 아니라 제14 터치 제스처의 메시지 전송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의 통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은 내부 원(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에 대응되는 아이콘, 도시되지 아니함)을 기준으로 반경 2 ㎝ 인 영역일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예를 들어, 평균 길이보다 0.05 내지 1 ㎝ 짧은). 또한, 메시지 전송 영역(도시되지 아니함)의 반경은 저장된 가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검출된 제14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통화 및 메시지(예를 들어, SMS, MMS 등) 전송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통화를 검출된 제14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제14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제14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예를 들어, 통화 영역(414a)를 통과, 또는, 제스처 전송 영역(도시되지 아니함)를 통과 여부)에 대응되게 통화를 하거나, 또는, 메시지를 전송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4 터치(514)의 통화 영역(414a) 통과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피드백은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들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4 터치(514)의 통화 영역(414a) 통과에 대응되는 피드백은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되는 피드백과 실질적으로 유사(예를 들어, 터치 제스처의 차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a의 단계(S305)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대응되게 화면이 이동되는 경우,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의 단계(S351)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custom touch gesture setting) 화면이 표시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에지 터치 스크린(190)에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50)이 표시된다.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50)을 제2 화면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2 화면(4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최초 부팅(booting)되는 휴대 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제1 화면(400)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 화면(400)에 이어서 제2 화면(4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n 및 도 4o처럼, 제2 화면(450)은 사용자의 터치(211, 212)에 의해 표시되는 제1 화면(400)에 이어서 표시될 수 있다.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사용자의 다양한 손의 크기 및/또는 다양한 손가락의 길이를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customized)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제스처는 드래그(drag), 플릭(flick), 스와이프(swipe), 핀치(pinch) 또는 스프레드(spread)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제스처는 제1 에지 터치 스크린(예를 들어, 190b 및 190c 중 하나)에서 검출되는 싱글 터치 제스처 및 제1 및 제2 에지 터치 스크린((예를 들어, 190b 및 190c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검출되는 멀티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은 드래그, 플릭, 스와이프, 핀치 또는 스프레드에 의한 화면의 이동(scroll), 화면의 확대(scale-up), 또는 화면의 축소(scale-dow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은 드래그, 플릭, 스와이프, 핀치 또는 스프레드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예를 들어, 통화, 메신저 실행,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예를 들어, 알람 종료, 통화 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의 단계(S351)에서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50)의 표시는 도 3a의 단계(S301)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00)의 표시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3b의 단계(S352)에서,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가 설정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의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50)에서 사용자에 의해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가 설정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50)에서 사용자의 에지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검출하는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5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51)은 복수의 검출 영역(예를 들어, 451a 내지 451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된 복수의 검출 영역의 개수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휴대 장치(100)의 에지 터치 스크린(190)의 크기, 또는, 해상도에 따라 변경(예를 들어, 검출 영역의 개수가 1, 2, 3, 4, 5, 또는 그 이상)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화면(450)에서 터치 제스처의 입력 횟수를 나타내는 카운터(4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의 횟수는 4(예를 들어, 카운터(452)에 체크마크가 있는 경우)이다. 입력 가능한 에지 터치 제스처의 횟수는 5(설정에 의해 횟수 변경가능)일 수 있다.
사용자는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51)에서 에지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최초 터치(551a)에서부터 최후 터치(551c)까지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를 한다. 최후 터치(551c)의 위치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b) 또는 메인 터치 스크린(190a)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51a)에서부터 최후 위치(551c)까지 이동)은 제1 에지 터치 스크린(190c)에서 검출되는 제21 터치 제스처(gesture)를 의미할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51a)에서부터 최후 위치(551c)까지 이동)은 제1 에지 터치 스크린(190c)에서부터 메인 터치 스크린(190a)까지 검출되는 제21 터치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51a)에서부터 최후 위치(551c)까지 이동)은 제1 에지 터치 스크린(190c)에서 제21 터치(551)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최초 위치(551a)에서부터 최후 위치(551c)까지 이동)은 제1 에지 터치 스크린(190c)에서부터 메인 터치 스크린(190a)까지 제21 터치(551)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최후 위치(551c)에서 제1 에지 터치 스크린(190c)과의 접촉이 해제(touch release)될 수 있다.
상술된 제21 터치 제스처의 궤적(trajectory)는 직선 형태로 설명되었으나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 형태 또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포함되는 터치의 개수는 복수이며, 상술된 두 개의 터치 위치(551a 및 551c)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포함되는 터치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51)에서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플릭(flick) 또는 스와이프(swi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지 터치 제스처는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51)에서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싱글 터치 제스처 및 멀티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51)에 5 회의 터치 제스처를 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각 입력된 에지 터치 제스처의 길이(예를 들어, l11)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산출된 에지 터치 제스처의 평균 길이를 이용하여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검출 영역(451)에서 검출가능한 에지 터치 제스처의 최대 길이(예를 들어, l12) 사이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터치 제스처의 최대 길이에 대한 산출된 에지 터치 제스처 평균 길이의 비율이 0.65 인 경우, 제어부(110)는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 0.65 에 가중치(예를 들어, 1.54)를 곱할 수 있다.
산출된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이 0.65인 사용자의 경우, 제어부(110)는 입력된 에지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가중치(예를 들어, 1.54)를 곱할 수 있다.
가중치에 의해 제어부(110)는 입력된 에지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대신하여 최대 길이로 입력된 터치 제스처(도시되지 아니함)처럼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 가중치에 의해 제어부(110)는 입력된 에지 터치 제스처의 길이를 대신하여 최대 길이로 입력된 터치 제스처(도시되지 아니함)처럼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산출된 평균 길이와 최대 길이 사이의 비율 및 가중치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커스텀 세로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커스텀 세로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 정보는 이력 관리를 위한 터치 제스처 식별자(ID), 에지 터치 제스처 횟수, 각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최대 에지 터치 제스처 길이, 에지 터치 제스처의 평균 길이, 가중치, 또는 각 에지 터치 제스처 입력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길이와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의 차이(또는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의 차이)에 의해 화면의 이동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길이와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최대 길이(l2, l12)의 차이에 의해 화면의 이동 거리는 다를 수 있다. 또한, 제21 터치(551)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길이와 제1 터치(501)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평균 터치 길이에 대응되는 가중치의 차이에 의해 화면의 이동 거리는 다를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최초 부팅되는 휴대 장치(100)의 다양한 항목에 대한 설정이 완료(201)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사용자에 의해 커스텀 세로 방향 터치 제스처의 설정이 완료된다.
도 3b의 단계(S535)에서, 화면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축 아이콘(191a, 도 1a를 참조) 중 하나(예를 들어, 사진 갤러리)에 터치(도시되지 아니함)를 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진 갤러리)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제21 화면(460)을 표시할 수 있다. 제21 화면(460)은 복수의 사진(46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도 4g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3b의 단계(S354)에서, 터치 제스처가 검출된다.
도 5d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1 화면(460)에서 제31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최초 위치(561a)에서부터 최후 위치(561c)까지)를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제어부(110)는 에지 터치 스크린(190) 및 에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이용하여 제31 터치(561)의 연속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연속적인 터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X와 Y좌표)을 검출(또는 산출)할 수 있다. 제31 터치(511)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b의 단계(S355)에서,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대응되게 화면이 이동된다.
도 5e 및 도 5f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제31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제21 화면(460)을 이동할 수 있다.
제3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61a에서부터 561b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을 제31 터치 제스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61a에서부터 561b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을 저장된 커스텀 세로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저장된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의 2/5 인)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을 저장된 커스텀 세로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2/5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제3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561a에서부터 561b까지, 저장된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에서 평균 길이의 반(1/2)정도)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을 저장된 커스텀 세로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1/2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의 상방 이동에 대응하여 제21 화면(460)의 상단에 위치하는 사진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의 상방 이동에 대응하여 제21 화면(460)에 연속되는 제22 화면(461)을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의 상방 이동에 대응하여 제21 화면(460)에 연속되는 제22 화면(461)을 상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에서 제31 터치 제스처의 접촉이 해제(touch-release)될 때까지, 제어부(110)는 제21 화면(460)에 연속되는 제22 화면(461)을 상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검출된 제3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를 제21 화면(460)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제21 화면(460)의 이동 거리를 검출된 제3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제3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제21 화면(460)의 이동 거리를 검출된 제3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f를 참조하면, 평균 이동 거리만큼 제3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최초 위치(561a)에서부터 최후 위치(561c)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2 화면(461)을 표시할 수 있다. 평균 이동 거리만큼 제3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최초 위치(561a)에서부터 최후 위치(561c)까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2 화면(461)을 표시할 수 있다.
평균 길이만큼 제31 터치 제스처가 이동(예를 들어, 제31 터치 제스처의 접촉이 해제(touch-release))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2 화면(461)을 제21 화면(460)보다 더 많이 표시(예를 들어, 표시되는 제22 화면의 면적이 제21 화면의 면적보다 넓은)할 수 있다.
제31 터치 제스처의 이동은 제3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31 터치(561)의 최후 위치(561c) 도착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피드백은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들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b의 단계(S355)에서 제31 터치(561)의 최후 위치(561c) 도착에 대응되는 피드백은 도 3a의 단계(S305)에서 제11 터치(511)의 최후 위치(511c) 도착에 대응되는 피드백과 실질적으로 유사(예를 들어, 터치 제스처의 차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b의 단계(S355)에서, 커스텀 에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대응되게 화면이 이동되는 경우,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술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 장치 110: 제어부
130: 통신부 175: 저장부
190: 에지 터치 스크린 190a: 메인 터치 스크린
190a, 190b: 에지 터치 스크린

Claims (14)

  1.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에서 검출된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이동 거리와 다르도록 제어하는 휴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사용자의 평균 터치 제스처 길이와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와의 비율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보다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를 더 크도록 제어하는 휴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검출을 상기 제1 터치의 최초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최후 위치에 도착으로 검출하는 휴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드래그, 플릭 및 스와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메인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메인 터치 스크린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터치 스크린의 일측 및 상기 메인 터치 스크린의 양측 중 하나에 위치하는 에지 터치 스크린과 일체형인 휴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은 상기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된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상기 에지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평균 터치 제스처 길이와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와의 비율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보다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를 크도록 제어하는 휴대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및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와 상기 제2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 및 상기 제1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를 다르도록 제어하는 휴대 장치.
  11. 터치 스크린에서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의 길이 및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의 이동 거리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제스처의 이동 거리가 다른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사용자의 평균 터치 제스처 길이와 최대 터치 제스처 길이와의 비율에 따라 설정되는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터치 제스처 설정은 커스텀 가로 터치 제스처 설정 및 커스텀 세로 터치 제스처 설정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을 이동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의 이동에 대응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피드백은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1020150161775A 2015-11-18 2015-11-18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20170058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75A KR20170058051A (ko) 2015-11-18 2015-11-18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15/350,475 US10126939B2 (en) 2015-11-18 2016-11-14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EP16866652.7A EP3335409B1 (en) 2015-11-18 2016-11-16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CN201680067263.1A CN108353104B (zh) 2015-11-18 2016-11-16 便携式装置和用于控制其屏幕的方法
PCT/KR2016/013228 WO2017086700A1 (en) 2015-11-18 2016-11-16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75A KR20170058051A (ko) 2015-11-18 2015-11-18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51A true KR20170058051A (ko) 2017-05-26

Family

ID=5869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75A KR20170058051A (ko) 2015-11-18 2015-11-18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6939B2 (ko)
EP (1) EP3335409B1 (ko)
KR (1) KR20170058051A (ko)
CN (1) CN108353104B (ko)
WO (1) WO2017086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3468A1 (en) * 2012-09-24 2015-04-23 Richard Lawrence Clark System and method of inputting time 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KR102130797B1 (ko) * 2013-09-17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952814B2 (en) * 2015-12-11 2018-04-24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D846560S1 (en) * 2016-10-19 2019-04-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8993S1 (en) * 2017-06-01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845287S1 (en) * 2017-06-0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CN107273123B (zh) * 2017-06-12 2019-06-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在分屏显示状态下显示应用界面的方法和移动终端
USD876446S1 (en) * 2017-10-23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629413B1 (ko) * 2018-03-22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643112B1 (ko) * 2018-03-30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8897373B (zh) * 2018-06-08 2021-03-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滑动组件的控制方法和装置
CN109002215B (zh) * 2018-07-27 2021-03-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触摸屏的终端确定触摸起始位置的方法及终端
CN109885235B (zh) * 2019-02-21 2021-08-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虚拟标签卡片的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703952B (zh) * 2019-10-11 2021-07-27 吉林大学 一种基于双马达装置的法向虚拟按键渲染方法
US20220398008A1 (en) * 2020-01-24 2022-12-15 Ming Li Volume Adjusting Gesture and Mistouch Prevention on Rolling Devices
US11977696B2 (en) * 2020-02-14 2024-05-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Rolling gesture and mistouch prevention on rolling devices
USD946018S1 (en) 2020-06-18 2022-03-1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7066A1 (en) 2008-10-27 2010-04-29 Nokia Corporation scrolling for a touch 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00269038A1 (en) * 2009-04-17 2010-10-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ariable Rate Scrolling
US8681106B2 (en) 2009-06-07 2014-03-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US20110126094A1 (en) 2009-11-24 2011-05-26 Horodezky Samuel J Method of modifying commands on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JP5782810B2 (ja) * 2011-04-22 2015-09-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49784B1 (ko) 2012-08-31 2020-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91302A (ko) 2013-01-11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18381B1 (ko) 2013-03-06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49716A (ko)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객체의 표시 배율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3398A (ko) 2013-11-08 2015-05-18 김효정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3699289B (zh) * 2013-12-13 2017-01-11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滑动操作响应方法及装置
KR20150121411A (ko) 2014-04-21 2015-10-29 지현조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CN104461255B (zh) * 2014-12-29 2018-0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页面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4503681A (zh) * 2014-12-30 2015-04-08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界面图标移动控制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5409B1 (en) 2020-09-23
EP3335409A1 (en) 2018-06-20
EP3335409A4 (en) 2018-09-12
US10126939B2 (en) 2018-11-13
WO2017086700A1 (en) 2017-05-26
US20170139585A1 (en) 2017-05-18
CN108353104B (zh) 2021-11-30
CN108353104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3104B (zh) 便携式装置和用于控制其屏幕的方法
KR102342267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KR102481878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102378570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JP636336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画面表示制御装置及び画面表示制御方法
US10120469B2 (en) Vibra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ategorizing portable device context and modifying device operation
KR102524190B1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97452B1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5484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EP2801900A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object in the same
JP6297836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プレイリストの表示方法
KR1021842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휴대장치 및 그 화면 표시방법
KR20150057863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밝기 제어방법
KR20140098384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EP2827238A1 (en) Actionable user input on displayed items
KR102463080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트 표시방법
WO2018068364A1 (zh) 用于页面显示的方法、装置、图形用户界面及移动终端
KR2012005022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