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398A -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398A
KR20150053398A KR1020130135273A KR20130135273A KR20150053398A KR 20150053398 A KR20150053398 A KR 20150053398A KR 1020130135273 A KR1020130135273 A KR 1020130135273A KR 20130135273 A KR20130135273 A KR 20130135273A KR 20150053398 A KR20150053398 A KR 2015005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movement
moving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레
김효정
Original Assignee
김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정 filed Critical 김효정
Priority to KR102013013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398A/ko
Publication of KR2015005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Abstract

사용자가 간단한 드래그 방식으로 이동거리를 지정하면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스크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 스크롤 기능을 지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스크롤 기능이 지정되면, 터치 패널의 드래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드래그 정보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을 출력하는 스크롤 자동 제어부;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크롤 이동 값에 따라 웹툰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롤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Controlling apparatus for scroll moving in mobi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Mobile)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단한 드래그 방식으로 이동거리를 지정하면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스크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는 그 기능이 단순히 전화기에 국한되지 않고 무선인터넷 단말기로 확장되어, 날씨정보, 주식정보 혹은 교통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만화콘텐츠나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여 이를 재생하는 단말기로 이용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만화 콘텐츠는 기존에 책자로만 제작되었으나, 근래에는 웹툰(webtoon)으로 제작되어, 인터넷 등이 가능한 모바일이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각광받고 있다. 여기서 웹툰은 인터넷을 뜻하는 '웹(web)'과 만화를 뜻하는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서 각종 멀티미디어 효과를 동원해 제작된 인터넷 만화를 말한다.
모바일에서 웹툰을 보기 위해서는 웹툰 서비스 사이트에 들어가 해당 웹툰을 선택하고, 실행 신호(웹툰 이미지 등을 터치하는 것으로 실행명령 입력)를 입력하면, 해당 웹툰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웹툰을 보기 위해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특정 위치를 탭하고, 손가락을 위로 올리거나 내리는 드래그 동작, 또는 손가락으로 특정 위치를 탭하고 손가락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화면을 스크롤하게 된다. 여기서 웹툰이 세로형이나 가로형이냐에 따라서 드래그 동작이 달라진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주 드래그 동작을 해야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고자 하여 종래에 제안된 스크롤 기술이, 웹툰을 보는 도중에 임의 위치를 일정 시간 누르고 있으면, 이를 인식하여 자동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자동 스크롤 기능 수행시에는 미리 프로그램적으로 저장된 자동 스크롤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웹툰 화면을 위로 또는 좌측으로 자동 스크롤을 하게 된다.
한편, 모바일을 이용하여 웹툰을 실행시키고 이를 스크롤하는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2003-0083249호(2003.10.30. 공개)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만화의 각 컷을 가로가 세로보다 더 긴 풍경화형의 이미지로 만든 다음, 각 컷의 이미지를 그 좌하단 꼭지점 혹은 우상단 꼭지점이 좌상단 꼭지점이 되도록 90°회전에 의한 좌표변환을 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콘텐츠 제공자의 서버 시스템에 저장해둔다.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서버 시스템이 만화의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만화콘텐츠, 이미지 파일의 스크롤 재생시 적용될 스크롤 단위 및/또는 스크롤 주기, 그리고 만화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프로그램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한다. 재생프로그램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실행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만화가 한 컷씩 차례로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로써 무선인터넷 기반에서 만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하여 풍경화형의 만화이미지를 스크롤하면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2003-0083249호(2003.10.30. 공개)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바일에서 웹툰 화면을 스크롤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웹툰을 보는 사용자가 드래그하는 거리만큼만 화면이 이동하기 때문에, 웹툰을 보는 데 계속해서 드래그를 반복해야 하는 등의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 스크롤 기능이나 만화이미지를 스크롤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종래기술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서만 자동 스크롤 기능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해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사용자마다 웹툰을 보는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툰의 이미지와 내용 그리고 글씨를 천천히 보면서 웹툰을 즐기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으며, 전체적인 이미지만을 보면서 웹툰을 즐기는 사용자가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웹툰을 즐기는 사용자의 성향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는 데, 종래기술은 스크롤 동작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성향을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웹툰 화면을 스크롤하는 일반적인 방법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간단한 드래그 방식으로 이동거리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스크롤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드래그 방식으로 지정하는 이동거리에 따라 스크롤되는 화면의 방향 및 속도를 자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는 자동 스크롤 기능을 지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스크롤 기능이 지정되면, 터치 패널의 드래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드래그 정보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을 출력하는 스크롤 자동 제어부;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크롤 이동 값에 따라 웹툰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롤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롤 자동 제어부는 터치 패널의 탭 위치를 인식하는 탭 위치 인식부; 상기 탭 위치 인식부에서 인식한 탭 위치부터 드래그 되는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이동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롤 자동 제어부는 상기 탭 위치와 이동 거리의 위치 값을 연산하여 스크롤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이동방향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동방향 결정부는 상기 이동 거리의 위치 값에서 상기 탭 위치 값을 감산하고, 그 결과치가 양수인지 아니면 음수인지를 기초로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롤 자동 제어부는 상기 이동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이동 거리를 기초로 스크롤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속도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롤 자동 제어부는 드래그 후 손을 떼기 전까지, 드래그가 일어날 때 마다 반복적으로 연산되며, 손을 떼고나면 스크롤 이동을 멈추고 모든 값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방법은 (a) 웹툰 콘텐츠를 실행하여 웹툰을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스크롤 뷰 기능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에 따라 스크롤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된 경우, 탭 위치를 인식하고 드래그 정보를 검출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산출한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값을 기초로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으로 스크롤을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d1)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의 위치 값에서 초기 탭 위치 값을 감산하고, 그 감산 결과치가 양수인지 아니면 음수인지를 기초로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d2)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를 이동속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단한 드래그 방식으로 이동거리를 지정하면 이를 인식하여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스크롤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거리에 따라 스크롤의 이동 속도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성향을 반영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본 발명에서 터치 패널의 좌표계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탭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동 거리 산출을 위한 설명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서 스크롤 이동방향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크롤 이동 방향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이동속도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키 입력부(10), 터치 패널(20), 스크롤 자동 제어부(30) 및 스크롤 이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키 입력부(10)는 자동 스크롤 뷰 기능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키를 구비하고, 자동 스크롤 뷰 기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키 입력부(10)를 통해 설정된 스크롤 뷰 기능의 해저도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20)은 웹툰이 디스플레이되며, 자동 스크롤 뷰 기능을 위한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결정을 위한 드래그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30)는 상기 키 입력부(10)에 의해 스크롤 기능이 지정되면, 터치 패널(20)의 드래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드래그 정보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크롤 자동 제어부(30)는 웹툰 콘텐츠를 실행하는 콘텐츠 실행부(31), 터치 패널(20)의 탭 위치를 인식하는 탭 위치 인식부(32), 상기 탭 위치 인식부(32)에서 인식한 탭 위치부터 드래그 되는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이동 거리 산출부(33), 상기 탭 위치와 이동 거리의 위치 값을 연산하여 스크롤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이동방향 결정부(34), 상기 이동거리 산출부(33)에서 산출한 이동 거리를 기초로 스크롤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속도 산출부(35),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스크롤 이동 값 결정부(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콘텐츠 실행부(31)는 부가적으로 스크롤 뷰 기능 해제키 입력시 스크롤 뷰 기능을 해제하는 제어 역할도 한다.
상기 스크롤 이동부(40)는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스크롤 이동 값에 따라 웹툰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을 이용하여 특정 사이트를 방문하여 웹툰을 실행하면, 콘텐츠 실행부(31)가 동작하여 웹툰 화면을 터치 패널(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 패널(20)을 통해 드래그하는 제스처에 따라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 방식을 통해 웹툰을 보는 사용자가 자동 스크롤 뷰 기능을 수행하여 편리하게 웹툰을 보고자 한다면, 키 입력부(10)에 구비된 기능키를 조작하여 자동 스크롤 뷰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키 입력부(10)의 기능키는 터치 패널과 무관한 위치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웹툰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태에서 특정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표시해줄 수도 있다.
기능키를 통해 자동 스크롤 뷰 기능이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 패널(20)의 임의 위치를 탭하고, 이후 스크린 이동 방향으로 드래그를 한다. 그리고 드래그를 완료한 시점에서 터치 패널(2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스크롤 자동 제어부(30)에서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스크롤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웹툰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널(20)의 화면 좌표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을 x, 세로 방향을 y라 하고, 이 화면에서 사용자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 위치를 탭 하게 되면, 탭 위치 인식부(32)에서 해당 탭 위치의 탭 좌표(Xα, Yα)를 인식한다. 여기서 좌표 인식은 일반적인 터치 패널의 좌표 인식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탭 좌표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이동 거리 산출부(3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탭 좌표(Xα, Yα)로부터 사용자가 드래그한 이동거리 위치 값(Xβ, Yβ)을 산출한다. 즉, 사용자가 임의 위치를 탭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면, 탭 위치부터 드래그된 위치까지를 이동거리 위치 값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후, 이동거리 위치 값에서 상기 탭 위치 값을 축 별로 감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즉, (Xβ - Xα),(Yβ - Yα)와 같이 축 별로 감산하여, 축 별 이동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X축 이동 거리는 XΩ(Xβ - Xα)라 하고, Y축 이동 거리는 YΩ(Yβ - Yα)라 한다.
이렇게 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게 되면, 이동방향 결정부(34)는 상기 이동 거리 산출부(33)에서 산출한 이동 거리 값을 기초로 스크롤 이동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XΩ의 값이 양수라면 좌표계의 큰 갓에서 작은 값으로 이동한 것이 되므로 좌측 드래그, 음수라면 반대인 우측 드래그가 된다. 마찬가지로, YΩ의 값이 양수라면 좌표계의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이동한 것이 되므로 상위 드래그, 음수라면 하위 드래그가 된다.
도 5a는 좌측 드래그 및 우측 드래그의 설명이며, 도 5b는 상위 드래그 및 하위 드래그의 설명이고, 도 5c는 대각선 드래그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동 거리 값의 양수 또는 음수에 따라 스크롤 되는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도 6은 드래그 방향에 따라 스크롤 이동 방향의 예시이며, 스크롤 이동 방향에 따른 스크린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한 경우, 스크롤 이동 방향은 드래그 이동 방향과 동일하며, 스크린은 스크롤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동 속도 산출부(35)는 상기 이동거리 산출부(33)에서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반으로 이동 속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각 좌표 축에 대한 속도 값을 Xv, Yv라 하자. v는 각각
Figure pat00001
으로 결정된다. 단, | |는 임의의 값에 대한 절대치이다.
따라서 Xv =
Figure pat00002
, Yv =
Figure pat00003
이 된다.
즉,
Figure pat00004
의 값이 크면 클수록 좌측 또는 우측 스크롤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Figure pat00005
의 값이 크면 상위 또는 하위 스크롤 이동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여기서 미리 각각의 드래그에 대한 속도 값을 테이블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상기 드래그한 길이(이동 거리)에 따라 속도 값을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이동 거리에 따른 속도 값 변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에서 두 개의 경우 즉, <case1>과 <case2>가 있을 때, 각각의 속력을 v1, v2라고 한다면, v2 > v1이므로, <case2>가 더 빠르게 스크롤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스크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산출하게 되면, 이를 기반으로 스크롤 이동 값 결정부(36)는 스크롤 이동 값(이동 방향 및 속도)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을 스크롤 이동부(40)에 전달하게 되고, 이를 입력받은 스크롤 이동부(40)는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에 따라 스크롤을 자동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웹툰을 보게 되며, 웹툰을 시청하는 도중에 키 입력부(10)를 통해 스크롤 뷰 기능 해제키를 누르면, 스크롤 자동 제어부(30)에서 이를 인식하고, 스크롤 뷰 자동 기능을 해제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써, (a) 웹툰 콘텐츠를 실행하여 웹툰을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스크롤 뷰 기능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 ~ S12); (b)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에 따라 스크롤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13); (c)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된 경우, 탭 위치를 인식하고 드래그 정보를 검출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S14 ~ S15); (d)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단계(S16 ~ S17); (e) 상기 산출한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값을 기초로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으로 스크롤을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S18 ~ S19); (f) 스크롤 뷰 기능 해제 키가 입력된 경우, 스크롤 뷰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S20 ~ S2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방법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1에서 웹툰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단계 S12에서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이동하여 기존의 스크롤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단계 S12의 확인 결과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된 경우, 단계 S14에서 터치 패널의 손가락 접촉을 인식하여 탭 위치를 인식하고, 단계 S15에서 상기 인식한 탭 위치로부터 드래그되는 드래그 정보를 검출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계 S16에서는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결정한다. 여기서 스크롤 이동 방향은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의 위치 값에서 초기 탭 위치값을 감산하고, 그 감산 결과치가 양수인지 아니면 음수인지를 기초로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 S17에서는 상기 이동 거리를 기초로 이동속도를 산출한다. 즉, 이동 거리가 길면 이동속도가 빠르고 이동 거리가 짧으면 상대적으로 이동속도가 느리게 된다.
이후, 단계 S18에서 상기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단계 S19에서 상기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으로 스크롤을 자동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부터는 터치패널에서 손을 떼기 전까지 자동으로 스크롤 기능이 이루어진다. 손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지점으로 또 다시 드래그를 한다면, 단계 S15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크롤을 이동하는 상태에서 단계 S2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롤 뷰 기능 해제 키를 누르면, 단계 S21에서 스크롤 뷰 기능을 해제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에서 스크롤 기능을 제어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웹툰 등을 볼 때 자동으로 스크롤 기능을 제어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키 입력부
20: 터치 패널
30: 스크롤 자동 제어부
31: 콘텐츠 실행부
32: 탭 위치 인식부
33: 이동거리 산출부
34: 이동방향 결정부
35: 이동속도 산출부
36: 스크롤 이동 값 결정부
40: 스크롤 이동부

Claims (7)

  1. 자동 스크롤 기능을 지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스크롤 기능이 지정되면, 터치 패널의 드래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드래그 정보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을 출력하는 스크롤 자동 제어부;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크롤 이동 값에 따라 웹툰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롤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는 터치 패널의 탭 위치를 인식하는 탭 위치 인식부; 상기 탭 위치 인식부에서 인식한 탭 위치부터 드래그 되는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이동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는 상기 탭 위치와 이동 거리의 위치 값을 연산하여 스크롤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이동방향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는 상기 이동 거리의 위치 값에서 상기 탭 위치 값을 감산하고, 그 결과치가 양수인지 아니면 음수인지를 기초로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자동 제어부는 상기 이동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이동 거리를 기초로 스크롤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속도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6. (a) 웹툰 콘텐츠를 실행하여 웹툰을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스크롤 뷰 기능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에 따라 스크롤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스크롤 뷰 기능이 선택된 경우, 탭 위치를 인식하고 드래그 정보를 검출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산출한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값을 기초로 스크롤 이동 값을 결정하고, 결정한 스크롤 이동 값으로 스크롤을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의 위치 값에서 초기 탭 위치값을 감산하고, 그 감산 결과치가 양수인지 아니면 음수인지를 기초로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d2) 상기 산출한 이동 거리를 이동속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방법.
KR1020130135273A 2013-11-08 2013-11-08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3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273A KR20150053398A (ko) 2013-11-08 2013-11-08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273A KR20150053398A (ko) 2013-11-08 2013-11-08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98A true KR20150053398A (ko) 2015-05-18

Family

ID=5338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273A KR20150053398A (ko) 2013-11-08 2013-11-08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33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215B1 (ko) * 2015-05-26 2016-12-02 (주)펀퍼니브라더스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7086700A1 (en) * 2015-11-18 2017-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215B1 (ko) * 2015-05-26 2016-12-02 (주)펀퍼니브라더스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7086700A1 (en) * 2015-11-18 2017-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10126939B2 (en) 2015-11-18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80640B1 (en) Devices and methods of measur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US11392283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window manipulation and management
EP4138368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91426B1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US10304163B2 (en) Landscape springboard
US20110231796A1 (en) Methods for navigating a touch screen device in conjunction with gestures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US20120096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in mobile terminal responsive to multi-touch inputs
US201600341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KR20150070282A (ko)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
KR2015009554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AU20132669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56772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EP27284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US101205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parated content on a single screen
WO2016141597A1 (zh) 一种触控方法、装置、终端及终端上的图形用户界面
KR20070009661A (ko)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전자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산물
KR20150053398A (ko)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102157621B1 (ko)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EP3521990A1 (en) Method for interacting with one or more of software applications u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KR101941463B1 (ko)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출력 방법 및 장치
CN117055796A (zh) 控件显示方法和装置
KR101928837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150098960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