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15B1 -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15B1
KR101682215B1 KR1020150073116A KR20150073116A KR101682215B1 KR 101682215 B1 KR101682215 B1 KR 101682215B1 KR 1020150073116 A KR1020150073116 A KR 1020150073116A KR 20150073116 A KR20150073116 A KR 20150073116A KR 101682215 B1 KR101682215 B1 KR 10168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image
virtual reality
webto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펀퍼니브라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펀퍼니브라더스 filed Critical (주)펀퍼니브라더스
Priority to KR102015007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재생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방법은 웹툰의 이야기 전개에 따른 영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입력받는 단계; 인디케이터와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인디케이터와 헤드 트래킹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제작자의 의도를 잘 반영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여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RTUAL REALITY VR WEBTOON}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를 3차원 뷰어를 통해 제공하는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재생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문화형식이 제공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인터넷과 만화(cartoon)가 결합된 새로운 형식인 웹툰(webtoon)이 온라인상에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웹툰은 인터넷을 뜻하는 웹(web)과 만화를 뜻하는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서 각종 멀티미디어 효과를 동원해 제작된 인터넷 만화를 의미한다.
웹툰과 관련하여, 이동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디지털 만화 컨텐츠 제공 서버가 스마트기기에서 디지털 파일로 변환한 디지털 만화 원고를 페이지별로 또는 컷(cut)별로 2D(Dimension) 디지털 만화로 감상할 수 있는 2D 디지털 만화 뷰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2D 디지털 만화 뷰어 기능은 페이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만화를 터치할 경우에 만화의 한 컷을 보여주고 컷과 컷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형식이며, 핀치(Pinch) 등을 통해 페이지나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면서 만화를 읽을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특허 문헌 제2014-0078083호(증강 현실이 구현된 만화책)는 저작자가 프로그래밍 지식을 보유하지 않아도 증강현실 콘텐츠를 쉽게 저작할 수 있도록 하고, 증강현실 기술의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증강 현실용 만화 콘텐츠 제작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은 만화 콘텐츠에 있는 기하학 모양의 마커를 인식하여 관련된 가상영상을 표현하고, 사용자의 몰입감 향상을 위해 마커를 기반으로 보여지는 다양한 가상영상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만화 컨텐츠에 있는 마커를 인식하고,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마커에 해당하는 3차원 가상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지속적인 3차원 이미지를 계속 재생할 수 없고, 제작자의 전개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의도를 전달할 수 없다. 또한 컨텐츠가 요구하는 사용자의 반응을 입력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8083호
본 발명은 컨텐츠의 내용에 따른 이야기 전개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이야기 전개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툰의 이야기 전개에 따른 영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입력받는 단계; 인디케이터와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인디케이터와 헤드 트래킹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은, 가상현실 VR 웹툰의 전체 이야기에 해당하는 영상을 미리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다운로드 받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은 인디케이터가 없는 영상에서는 이전 인디케이터의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은,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과 일치하는 헤드 트래킹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웹툰의 이야기 전개에 따른 영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입력받는 수신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와 수신부가 입력 받은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비교하고, 인디케이터와 헤드 트래킹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다음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장치는, 가상현실 VR 웹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가상현실 VR 웹툰의 전체 이야기에 해당하는 영상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모리부는 다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은 영상을 저장하여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장치는, 인디케이터가 없는 영상에서는 이전 인디케이터의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장치는,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과 일치하는 헤드 트래킹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제작자의 의도를 잘 반영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여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나타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와 헤드 트래킹의 일치여부에 스토리 재생의 처리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트래킹 움직임을 입체적 공간으로 구현 가능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및 3차원 이미지의 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1)이다.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1)는 단말기(10)와 서버(30)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01), 수신부(103), 제어부(105), 통신부(107) 및 메모리부(109)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01)는 웹툰의 이야기 전개에 따른 영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0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1)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웹툰을 재생시킬 수 있다. 컨텐츠는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10)에서 재생될 수도 있고, 오프라인으로 구매하여 단말기(10)에서 직접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10)는 일반적으로 고글처럼 머리에 착용이 가능하고, 시각적으로 컨테츠를 재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디스플레이부(1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 탑재되어 시각적으로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수신부(103)는 사용자로부터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수신부(103)는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이게 되면 그 움직임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단말기(10)는 대형의 6인치 패널 1개를 좌우로 나누어 각 안구용으로 사용하며 가격이 비싼 복잡하고 정교한 렌즈 대신, 컴퓨터 측에서 두 눈의 시야에 맞추어 어안 렌더링을 한 후 합쳐서 패널로 출력한 뒤 좌/우 각각의 화면을 따로따로 각각의 볼록렌즈로 좌/우 안구에 적절한 상이 맺히도록 한다. 이는 크게 고화질이 필요치 않으면서 높은 현장감을 가지는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신호를 보내고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지속적으로 위치 신호를 보내오도록 하여 처리지연을 50ms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05)는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된 인디케이터(501)와 수신부(103)가 입력 받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을 비교하고,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다음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501)가 나타난 디스플레이부(101)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R 웹툰의 스토리 보드(50)의 방향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될 수 있고,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이나 작가가 의도하는 스토리 보드(50)의 전환점에서 인디케이터(501)를 표시할 수 있다. 1지점에서 6지점까지가 포인트가 될 수 있고, 인디케이터(501)가 표시되면서 이야기의 진행방향은 전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인디케이터(501) 방향대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디스플레이부(101)는 인디케이터(501)가 없는 영상에서는 이전 인디케이터(501)의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인디케이터(501)의 방향과 일치하는 헤드 트래킹(503)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표시된 인디케이터(501)의 방향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5)는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인디케이터(501)가 표시됐을 때,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인디케이터(501)의 방향과 다른 움직임이 감지된다면 이야기는 전개되지 않는다.
다만, 제어부(105)는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라면, 인디케이터(501)의 방향대로 이야기를 전개시킬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은, 컨텐츠 제작시에 작가의 의도와 소비자의 패턴을 고려하여 수초에서 수분까지의 시간을 말하며, 소정의 시간은 컨텐츠 제작시에 적절히 조절하여 프로그램 할 수 있다.
통신부(107)는 가상현실 VR 웹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구매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으나, 통신부(107)를 이용하여 서버(3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단말기(10)와 서버(30)의 통신방식은 인터넷을 이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부(109)는 통신부(107)를 통해 가상현실 VR 웹툰의 전체 이야기에 해당하는 영상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메모리부(109)에 미리 저장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다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통신부(107)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메모리부(109)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09)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1)에 탑재된 메모리 외에도, 외장 메모리와 연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메모리부(109)는 다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은 영상을 저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에 관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일치여부에 스토리 재생의 처리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에서 재생이 되면 스토리 보드(50)를 통해 이야기가 전개될 수 있다.(S1단계) 스토리 보드(50)의 전환점에서, 디스플레이부(101)에서는 웹툰의 이야기 전개에 따른 영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01)를 표시할 수 있다.(S2단계) 제어부(105)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을 입력받아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을 비교할 수 있다.(S3단계) 비교 결과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다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4단계)
만약 비교 결과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영상을 표시할 수 없고, 기존 영상에서 대기하게 된다.(S5단계)
제어부(105)는 기존 영상에서 대기하는 도중에도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105)는 기존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면, 인디케이터(501)의 방향대로 다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5)는 인디케이터(501)와 헤드 트래킹(503)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입력시간이 경과하게 된다면 인디케이터(501)의 방향대로 다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6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트래킹(503)의 움직임을 입체적 공간으로 구현 가능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헤드 트래킹(503)은 좌, 우, 상, 하로 움직이고, 장면 연출에 따라 반구 형태의 180ㅀ와 구 형태의 360ㅀ 뷰어를 지원해 독자가 공간 안에 있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헤드 트래킹(503)은 독자를 중심 축으로 하여 180°~ 360° 까지 돌아보는 뷰어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및 3차원 이미지의 모습이다.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장치는 작가의 오리지널 작품을 기준으로 Z depth를 제작하여 L/R 두 장의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으로 3차원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새로운 작품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작품도 입체적으로 컨버팅이 가능하다.
상술한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장치는 IPTV, App, Web 기반의 다양한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장치는 시각적으로 3차원 영상을 제공하고, 헤드 트래킹(503) 감지 기술을 통해 게임 및 체험형 VR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1) 및 방법은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들과 제휴를 통해 업체의 플랫폼에서 새로운 웹툰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10 : 단말기
30 : 서버 50 : 스토리 보드
101 : 디스플레이부 103 : 수신부
105 : 제어부 107 : 통신부
109 : 메모리부 501 : 인디케이터
503 : 헤드 트래킹

Claims (10)

  1.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VR 웹툰의 영상을 출력하는 스토리 보드의 방향 전환 지점에서 상기 가상현실 VR 웹툰의 이야기 전개에 따른 다음 영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상현실 VR 웹툰의 전체 이야기에 해당하는 영상을 미리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다운로드 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없는 영상에서는 이전 인디케이터의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과 일치하는 헤드 트래킹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대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방법.
  6. 가상현실 VR 웹툰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VR 웹툰의 영상을 출력하는 스토리 보드의 방향 전환 지점에서 상기 가상현실 VR 웹툰의 이야기 전개에 따른 다음 영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입력받는 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와 상기 수신부가 입력 받은 헤드 트래킹의 방향을 비교하고,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헤드 트래킹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다음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가상현실 VR 웹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가상현실 VR 웹툰의 전체 이야기에 해당하는 영상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다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은 영상을 저장하여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없는 영상에서는 이전 인디케이터의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과 일치하는 헤드 트래킹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방향대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KR1020150073116A 2015-05-26 2015-05-26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8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116A KR101682215B1 (ko) 2015-05-26 2015-05-26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116A KR101682215B1 (ko) 2015-05-26 2015-05-26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215B1 true KR101682215B1 (ko) 2016-12-02

Family

ID=5757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116A KR101682215B1 (ko) 2015-05-26 2015-05-26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953A (ko)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인스퀘어 착탈기반의 vr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vr 시스템
WO2020017860A1 (ko) * 2018-07-19 2020-01-23 (주)코믹스브이 파노라마 형식의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현실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813A (ko) * 2000-04-26 2001-11-08 이승현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KR20050048263A (ko) * 2003-11-19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정합 장치및 방법
KR101180119B1 (ko) * 2012-02-23 2012-09-05 (주)올라웍스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트래킹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제어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78083A (ko) 2012-12-17 2014-06-25 이재천 증강 현실이 구현된 만화책
KR20150053398A (ko) * 2013-11-08 2015-05-18 김효정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813A (ko) * 2000-04-26 2001-11-08 이승현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KR20050048263A (ko) * 2003-11-19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정합 장치및 방법
KR101180119B1 (ko) * 2012-02-23 2012-09-05 (주)올라웍스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트래킹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제어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78083A (ko) 2012-12-17 2014-06-25 이재천 증강 현실이 구현된 만화책
KR20150053398A (ko) * 2013-11-08 2015-05-18 김효정 모바일에서 스크롤 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953A (ko)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인스퀘어 착탈기반의 vr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vr 시스템
WO2020017860A1 (ko) * 2018-07-19 2020-01-23 (주)코믹스브이 파노라마 형식의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현실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741B2 (en) Methods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3D videos in a virtual, augmented, or mixed reality environment
US10078917B1 (en)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CA2943446C (en) Conversation detection
US201503026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entertainment experience
Speicher et al. Exploring visual guidance in 360-degree videos
US9471824B2 (en) Embedded barcodes for displaying context relevant information
US11128984B1 (en) Content presentation and layering across multiple devices
EP3646284A1 (en) Screen sharing for display in vr
KR101682215B1 (ko)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JP6022709B1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US11086587B2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to enhance realistic feeling of augmented or mixed reality space
JP2017121082A (ja) 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US20190058861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7097854A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KR20230014587A (ko) 가상현실 vr 웹툰의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56414A (ko) 혼합 현실 환경들에서 오디오-가능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US20200302761A1 (en) Indicator modes
KR101301958B1 (ko) 터치앤드래그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962743B2 (en) 3D display system and 3D display method
WO201600969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著作物提供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752039B (zh) 电子装置及虚拟现实影片的字幕嵌入方法
KR20230066986A (ko) 혼합 현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087411A1 (en) Audio and video stream rendering modification based on device rotation met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