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282A -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 - Google Patents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0282A KR20150070282A KR1020157012470A KR20157012470A KR20150070282A KR 20150070282 A KR20150070282 A KR 20150070282A KR 1020157012470 A KR1020157012470 A KR 1020157012470A KR 20157012470 A KR20157012470 A KR 20157012470A KR 20150070282 A KR20150070282 A KR 201500702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thumbnail
- display
- gesture
- view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055 memory stor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63 transport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관 모드는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콘텐츠가 썸네일로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콘텐츠를 더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 문서 맵이 또한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문서 맵은 콘텐츠의 내비게이트를 돕는 선택가능 요소를 포함한 콘텐츠의 개요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변경될 수 있다(예를 들면, 좁히기/늘리기 제스쳐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은 또한 (예를 들면, 드래그, 스와이프 등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상/하/좌/우로). 드릴다운 뷰는 드릴다운 명령어(예를 들면, 썸네일에서의 탭 및 홀드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썸네일에 대한 콘텐츠의 확장형 뷰를 디스플레이한다. 썸네일은 또한 원래의 뷰잉 모드로 되돌아가서 선택된 썸네일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예를 들면, 탭)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문서에서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사용자는 가끔 문서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문서를 스크롤한다. 문서가 대용량이면,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문서 부분으로 스크롤하는 데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작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서 그것은 더욱 더 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더 설명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간단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용]은 청구된 청구대상의 핵심적인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또한 청구된 청구 대상의 범위를 결정하는 용도로 의도되지 않는다.
개관 모드(overview mode)는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콘텐츠가 썸네일(thumbnail)로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콘텐츠를 더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 문서 맵이 또한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문서 맵은 콘텐츠의 내비게이트를 돕는 선택가능 요소를 포함한 콘텐츠의 개요(outline)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예를 들면, 좁히기(pinch)/늘리기(stretch) 제스쳐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은 또한 다른 썸네일을 표시하기 위한 제스쳐(예를 들면, 드래그, 스와이프 등)를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상/하/좌/우로). 드릴다운 뷰(drill down view)는 드릴다운 명령어(예를 들면, 썸네일에서의 탭(tap) 및 홀드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썸네일에 대한 콘텐츠의 확장형 뷰를 디스플레이한다. 썸네일은 또한 원래의 뷰잉 모드로 되돌아가서 선택된 썸네일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예를 들면, 탭)될 수 있다.
도 1은 개관 모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는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개관 모드에서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썸네일의 드릴다운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썸네일의 선택에 응답하여 단일 페이지 뷰를 나타내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문서 맵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개관 모드의 진입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개관 모드에 진입하고 개관 모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는 예시적인 처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다른 제스쳐의 처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개관 모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 및 관련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실시되는 각종 운영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개관 모드에서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썸네일의 드릴다운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썸네일의 선택에 응답하여 단일 페이지 뷰를 나타내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문서 맵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개관 모드의 진입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개관 모드에 진입하고 개관 모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는 예시적인 처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다른 제스쳐의 처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개관 모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 및 관련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실시되는 각종 운영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제, 동일한 요소들을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각종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개관 모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는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시스템(100)은 응용 프로그램(110), 뷰 매니저(26) 및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디스플레이(115)를 포함한다.
뷰 매니저(26)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재호출 방식(callback routine)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110)은 터치 감응 입력 장치(115) 및/또는 키보드 입력(예를 들면, 물리적 키보드 및/또는 SIP) 및/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예를 들면, 어떤 다른 입력 감지형)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업무 생산성 애플리케이션(business productivity application)이다. 예를 들면, 뷰 매니저(26)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제스쳐(즉 제스쳐(150)) 및 다른 터치 기반 제스쳐에 응답하여 응용 프로그램(11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스쳐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좁히기(pinch) 제스쳐, 늘리기(stretch) 제스쳐, 선택 제스쳐(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된 요소 상의 탭 동작), 선택 및 홀드 제스쳐(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된 요소에서 수신된 탭 및 홀드 제스쳐), 스와이핑 동작 및/또는 드래그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시스템(100)은 터치 입력(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터치 또는 근접 터치)이 수신된 때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디스플레이(115)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임의 유형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용량성 재료(capacitive material)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량성 재료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다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IR)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은 터치 표면과 접촉하거나 터치 표면 위에 있는 물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비록 용어 "위"가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지만,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방위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위"는 그러한 모든 방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이 수신된 곳의 위치(예를 들면, 시작점, 중간점 및 종료점)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표면과 물체 사이의 실제 접촉은 예를 들면 진동 센서 또는 터치 패널과 결합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압력 기반 메카니즘, 마이크로 머신 가속도계, 압전 소자, 용량 센서, 저항 센서, 유도 센서, 레이저 진동계, 및 LED 진동계 등이 있다.
뷰 매니저(26)는 복수의 콘텐츠 페이지를 나타내는 개관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뷰잉 모드를 개관 모드로 변경하게 하는 명령어(예를 들면, 제스쳐(150)로 표시한 바와 같은 좁히기 제스쳐)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뷰 매니저(26)는 개관 모드로 진입한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5)에서 문서의 페이지 1을 나타내는 뷰 모드에 있는 동안 좁히기 제스쳐를 수행한다. 개관 모드에 진입해야 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뷰 매니저(26)는 디스플레이(115')에 표시한 것처럼 썸네일들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한다. 개관 모드는 개관 모드에의 진입과 관련된 제스쳐를 수신한 때 즉시 진입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스쳐의 수신 외에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좁히기 제스쳐가 소정의 줌(zoom) 역치(예를 들면, 50%, 55%, 60%...) 이하의 줌 레벨로 움직이면, 개관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관 모드의 진입은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면, 문서의 줌 레벨이 55% 이하인 때 좁히기 제스쳐를 이용하여 진입한다). 유사하게, 뷰 매니저(26)는 다른 이벤트(예를 들면, 줌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는 것, 썸네일 선택, 드릴다운 뷰에서의 표제, 디스플레이된 문서 맵에서의 링크)에 응답하여 개관 모드를 빠져나갈 수 있다.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콘텐츠는 사용자가 더 쉽게 콘텐츠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썸네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예에서는 페이지 1에서의 좁히기 제스쳐 수신에 응답하여 개관 모드에 진입한 때 4개의 썸네일이 초기에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뷰가 개관 모드로 전환된 때, 개관 모드로 이동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는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된 다른 콘텐츠와 구별된다. 이 예에서, 페이지 1을 표시하는 썸네일은 (예를 들면, 강조(highlight)하는 것에 의해, 경계 폭 또는 썸네일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및/또는 어떤 다른 표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다른 썸네일과 구별된다. 이전 콘텐츠의 뷰와의 차별화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어떤 콘텐츠가 보였는지 사용자가 결정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수(예를 들면, 2, 4, 6, 8...)의 썸네일이 초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뷰 매니저(26)는 (예를 들면, 좁히기/늘리기 제스쳐를 수신하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은 또한 (예를 들면, 드래그, 스와이프 등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상/하/좌/우로) 조정될 수 있다. 드릴다운 뷰는 드릴다운 명령어(예를 들면, 썸네일에서의 탭 및 홀드 제스쳐(160))의 수신에 응답하여 썸네일에 대한 콘텐츠의 확장된 뷰(예를 들면, 164)를 디스플레이한다. 썸네일은 또한 원래의 뷰잉 모드로 되돌아가서 선택된 썸네일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예를 들면, 탭)될 수 있다. 문서 맵(도 6 및 도 7 참조)은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뷰 매니저(26)에 의해 또한 지시될 수 있다. 문서 맵은 콘텐츠의 내비게이트를 돕도록 선택가능한 레벨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개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개관 모드에 관한 더 구체적인 세부는 후술한다.
도 2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도 2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여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내는 4개의 다른 디스플레이(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표준형/대화면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12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진 장치(예를 들면, 대략 2×3 인치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셀 폰, 대략 7-10 인치 디스플레이를 가진 슬레이트/태블릿,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크기(예를 들면, 4, 5, 6)를 가진 다른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또한 터치 스크린에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기 전의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표시한다. 콘텐츠는 다양한 콘텐츠일 수 있다(예를 들면, 워드 프로세스 문서, 슬라이드를 포함한 프리젠테이션, 하나 이상의 스프레드시트를 포함한 워크북, 웹페이지 등). 이 예에서, 사용자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좁히기 동작을 생성하도록 그들의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함께 당기는 좁히기 제스쳐(214)를 수행한다. 좁히기 제스쳐의 결과로서 개관 모드에 진입하고 더 많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썸네일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예에서는 디스플레이(220)로 도시한 것처럼 2개의 썸네일이 초기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더 많은 썸네일이 초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썸네일은 문서의 페이지(예를 들면, 워드 프로세스 문서의 페이지, 프리젠테이션으로부터의 슬라이드, 스프레드시트 워크북의 시트 등)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썸네일은 콘텐츠의 일부(예를 들면, 50%, 33%, 16% 등)를 표시한다. 썸네일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실제 콘텐츠를 변경하지 않은 줌아웃 뷰, 콘텐츠의 수정된 뷰의 줌아웃 뷰, 및/또는 콘텐츠의 표현(representation)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더 큰 썸네일이 있는 경우, 콘텐츠는 실제로 그 콘텐츠의 줌아웃 뷰일 수 있다. 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더 많은 썸네일이 있고 썸네일이 더 작아짐에 따라 썸네일의 디테일 레벨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막대 그래프가 제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략 절반을 차지하는 썸네일로 변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썸네일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변경이 없는 줌아웃 뷰이다. 썸네일의 크기가 더 작아짐에 따라(예를 들면, 화면의 25%) 콘텐츠의 일부가 제거(예를 들면, 인덱스 및 축 라벨이 제거)될 수 있다. 썸네일의 크기가 더욱 작아지면, 이 예에서 그래프인 실제 콘텐츠는 콘텐츠를 대신하는 그래픽 아이콘으로 교체된다.
디스플레이(230)는 디스플레이(220)에서 도시된 것처럼 또 한번의 좁히기 제스쳐(224)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더 많은 썸네일을 표시한다. 이 예에서 썸네일의 수는 6개의 썸네일로 증가된다.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는 다른 증분을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예를 들면, 2에서 4로, 2에서 8로, 2에서 3으로 등).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드래그 및 드롭 동작(또는 어떤 다른 입력)을 이용하여 개관 모드 내의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선택 및 이동할 수 있다. 썸네일의 이동은 문서 내의 콘텐츠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또한 페이지를 삭제(예를 들면, 삭제 제스쳐, 선택 동작의 수신에 응답하여 페이지를 삭제하는 옵션의 디스플레이)하고 및/또는 페이지를 숨김 수 있다(예를 들면, 주석(note) 페이지를 숨기는 것). 사용자는 또한 문서 내에 새로운 페이지를 삽입할 수 있다. 다른 동작을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콘텍스트 메뉴가 썸네일에서 수행가능한 다른 옵션들(예를 들면, 삭제, 앞/뒤에 삽입, 이동, 숨김, 잘라내기, 복사, 붙이기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썸네일의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디스플레이(230)에 도시된 것처럼 또 한번의 좁히기 제스쳐(234)의 수신에 응답하여 더 많은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인 것이다. 이 예에서, 썸네일의 수는 12개의 썸네일로 증가된다.
도 3은 개관 모드에서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도 3은 4개의 다른 디스플레이(310, 320, 330, 3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310)는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을 도시되어 있는 현재의 6개의 썸네일(페이지 1 ~ 페이지 6)로부터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와이프 제스쳐(314)를 수행하는 것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320)는 스와이프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들을 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다음의 이용가능한 6개의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예에서는 페이지 7-12의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330)는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을 도시되어 있는 현재의 6개의 썸네일로부터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스쳐(314)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스와이프 제스쳐(334)를 수행하는 것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340)는 스와이프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들을 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이전의 이용가능한 6개의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예에서는 페이지 1-6의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썸네일의 드릴다운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썸네일의 선택에 응답하여 단일 페이지 뷰를 표시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도 4는 3개의 다른 디스플레이(410, 420, 4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10)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썸네일(페이지 1-12)의 디스플레이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눌러진 썸네일에 대한 드릴다운 뷰의 디스플레이를 개시하도록 페이지 2 썸네일에서 탭 및 홀드한다.
디스플레이(420)는 탭 및 홀드 제스쳐(414)의 수신에 응답하여 썸네일(페이지 2)의 드릴다운 뷰(422)를 표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42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릴다운 뷰(422)는 페이지 2 썸네일과 연합된 콘텐츠의 확장형 뷰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 페이지 2의 썸네일은 탭 및 홀드 선택을 표시하기 위해 강조(highlight)된다. 개관 모드를 빠져나가야 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그 썸네일과 연합된 더 많은 콘텐츠를 일시적으로 보기 위해 단순히 드릴다운 제스쳐(예를 들면, 탭 및 홀드)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20)의 어떤 다른 위치에서 탭함으로써 드릴다운 뷰를 빠져나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는 또한 드릴다운 뷰를 빠져나가고 탭 부근의 콘텐츠의 전체 페이지 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드릴다운 뷰 내의 콘텐츠의 일부 위에서 탭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30)에 표시한 바와 같은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발생하는 드릴다운 뷰의 "섹션 2"에서 탭하였다.
도 5는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4개의 다른 디스플레이(510, 520, 530, 5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510)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12개의 썸네일(페이지 1-12)을 표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탭 제스쳐(514)를 수행함으로써 썸네일(페이지 2)을 선택한다.
디스플레이(520)는 페이지 2 썸네일의 선택에 응답하여 페이지 2의 콘텐츠를 표시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탭" 제스쳐가 수신된 때, 개관 모드를 빠져나가고 선택된 썸네일로부터의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로 교체된다. "탭"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한번의 "탭"에 의해 썸네일을 강조하고 강조된 썸네일에서의 또 한번의 "탭"에 의해 개관 모드를 빠져나가며, 디스플레이는 선택된 썸네일로부터의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로 교체된다.
디스플레이(530)는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을 현재 표시된 12개의 썸네일(페이지 1-12)로부터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방으로 스와이프 제스쳐(534)를 수행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디스플레이(540)는 스와이프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및 썸네일의 선택에 응답하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12개의 이용가능한 썸네일은 페이지 1-12 대신에 페이지 5-16으로 변경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변경(예를 들면, 페이지 5-16으로부터 페이지 1-12로)하기 위해 하방의 스와이프 제스쳐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뉴(542)는 단일 탭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수행가능한 각종 옵션들(예를 들면, 삭제, 앞/뒤에 삽입, 이동, 숨김, 잘라내기, 복사, 붙이기 등)을 제공한다.
도 6은 썸네일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4개의 다른 디스플레이(610, 620, 630, 6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610)는 개관 모드에 진입하기 전의 프리젠테이션에서 슬라이드의 뷰를 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관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좁히기 제스쳐(614)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620)는 개관 모드의 진입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용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보인 것이다. 이 예에서는 2개의 슬라이드(슬라이드 1 및 슬라이드 2)에 대한 썸네일(622)이 문서 맵(624)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문서 맵은 콘텐츠의 내비게이트를 돕기 위해 선택가능 옵션을 포함한 콘텐츠의 개요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예에 있어서, 문서 맵(624)은 프리젠테이션 내의 슬라이드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는 2개의 썸네일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다. 썸네일의 크기도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들은 동일한 크기로 될 수 있고, 또는 상이한 크기의 썸네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제1 썸네일은 이용가능한 썸네일 공간의 50%를 차지하고, 제2 및 제3 썸네일은 이용가능한 썸네일 공간의 다른 50%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현재의 선택에 가까운 콘텐츠는 더 큰 크기의 썸네일을 이용하여 표시되고, 멀리 떨어져 있는 썸네일들은 더 작은 크기의 썸네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선택된 썸네일은 다른 썸네일보다 더 밝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예를 들면, 다른 썸네일들은 상기 선택된 썸네일보다 약간 어둡지만 명확히 식별되게 나타난다).
사용자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썸네일들을 내비게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와이프 제스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들을 변경하고 필요할 때 문서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서 맵의 디스플레이는 전체 콘텐츠에 대한 문서 맵이 문서 맵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맞지 않을 때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문서 맵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문서 맵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선택가능 콘텐츠에서 및/또는 썸네일에서 드릴다운 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탭 및 홀드"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0)는 문서 맵에 표시된 슬라이드 11에서 사용자가 탭 및 홀드 제스쳐(634)를 수행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탭 및 홀드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슬라이드 11에 대한 드릴다운 뷰(636)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640)는 문서 맵의 슬라이드 5에서 사용자가 탭 제스쳐(644)를 수행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문서 맵 내의 선택가능 요소에서의 탭은 문서 맵에서의 선택 부근에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도록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변경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탭 선택에 의해 개관 모드를 빠져나가고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문서 맵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개관 모드의 진입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4개의 다른 디스플레이(710, 720, 730, 7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710)는 문서 맵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개관 모드로의 진입 전의 문서의 뷰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관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좁히기 제스쳐(714)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720)는 문서에 대한 문서 맵(724)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썸네일(722)의 디스플레이를 보인 것이다. 이 예에서는 문서의 2개의 페이지에 대한 썸네일이 표시되어 있다. 이 문서 예에 있어서, 문서 맵(724)은 문서의 다른 부분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730)는 문서 맵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개관 모드로의 진입 전의 스프레드시트의 뷰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관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좁히기 제스쳐(734)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740)는 스프레드시트 및/또는 워크북에 대한 문서 맵(744)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썸네일(742)의 디스플레이를 보인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스프레드시트로부터의 다른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이 표시되어 있다. 썸네일은 또한 워크북 내의 다른 이용가능한 시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스프레드시트 예에 있어서, 문서 맵(744)은 워크북의 상이한 시트들을 포함한 스프레드시트의 다른 부분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8은 개관 모드에 진입하고 개관 모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는 예시적인 처리(800)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루틴의 설명을 읽을 때, 각종 실시형태의 논리적 동작들은 (1)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동하는 컴퓨터 구현 동작 또는 프로그램 모듈의 순서로서, 및/또는 (2) 컴퓨팅 시스템 내의 상호 접속된 기계 논리 회로 또는 회로 모듈로서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수행 필요조건에 따라 선택할 문제이다. 따라서, 도시된 논리적 동작 및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의 구성은 동작, 구조적 장치, 행위 또는 모듈로서 다양하게 인용된다. 이러한 동작, 구조적 장치, 행위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용도 디지털 로직,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작 동작 후에, 처리는 동작 810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상이한 유형의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는 스프레드시트, 문서, 프리젠테이션, 이미지, 파일 등일 수 있다.
동작 820으로 넘어가서, 개관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가 수신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페이지의 뷰를 포함하지 않는 뷰잉 모드로부터 개관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터치 입력 제스쳐가 수신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개관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좁히기 제스쳐를 수행한다. 전술한 것처럼, 개관 모드는 개관 모드와 연합된 제스쳐를 수신한 때 즉시 진입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스쳐의 수신 외에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좁히기 제스쳐가 소정의 줌 역치(예를 들면, 50%, 55%, 60%...) 이하로 움직일 때, 개관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관 모드의 진입은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면, 문서의 줌 레벨이 55% 이하인 때 좁히기 제스쳐를 이용하여 진입한다). 유사하게, 뷰 매니저(26)는 다른 이벤트(예를 들면, 줌 레벨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는 것, 썸네일 선택, 드릴다운 뷰에서의 표제, 디스플레이된 문서 맵에서의 링크)에 응답하여 개관 모드를 빠져나갈 수 있다.
동작 830으로 이동하여, 썸네일들이 개관 모드의 진입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콘텐츠는 사용자가 더 쉽게 콘텐츠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썸네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4개의 썸네일이 초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또는 어떤 다른 수(예를 들면, 2, 4, 6, 8...)의 썸네일이 초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문서 맵이 개관 모드의 진입에 응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문서 맵의 표시는 사전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문서 맵을 보이게 하는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문서 맵은 콘텐츠의 내비게이트를 돕기 위해 선택가능 레벨들을 포함한 콘텐츠 개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작 840으로 이동하여,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소정의 제스쳐가 수신된다. 제스쳐는 다른 썸네일로의 내비게이트, 썸네일로의 드릴다운, 및 썸네일의 선택을 위해 수신될 수 있다.
동작 850으로 넘어가서, 상기 제스쳐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가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는 변경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드릴다운 뷰를 변경할 수 있고, 개관 모드를 빠져나갈 수 있다 등(더 구체적인 것은 도 9를 참조한다).
결정 동작 860으로 이동하여, 추가의 제스쳐가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결정이 수행된다. 추가의 제스쳐가 있으면 처리는 동작 840으로 되돌아간다. 추가의 제스쳐가 없으면, 처리는 종료 동작으로 진행하고 다른 동작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9는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다른 제스쳐의 처리를 보인 도면이다.
동작 910은 어떤 제스쳐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스쳐는 주밍(zooming), 패닝(panning), 드릴링 다운 및 선택하기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밍 제스쳐는 좁히기/늘리기 제스쳐일 수 있다. 패닝 제스쳐는 스와이프/흔들기(flick) 제스쳐일 수 있다. 드릴다운 제스쳐는 탭 및 홀드 제스쳐일 수 있고, 선택 제스쳐는 태핑 제스쳐일 수 있다. 다른 제스쳐가 상기 동작 및/또는 다른 동작(예를 들면, 삭제하기, 삽입하기, 숨기기 등)과 연합될 수 있다.
제스쳐가 줌 제스쳐(920)인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는 변경될 수 있고 개관 모드를 빠져나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좁히기 제스쳐는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증가시키고 늘리기 제스쳐는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감소시킨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개관 모드는 줌 레벨이 소정 레벨에 도달한 때 진입/빠져나가기 될 수 있다.
제스쳐가 패닝 제스쳐(930)인 경우,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는 업데이트된 집합을 보이도록 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패닝 제스쳐는 썸네일들을 상방으로, 하방으로, 측방으로 및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스쳐가 드릴다운 제스쳐(940)인 경우, 선택된 요소(썸네일 또는 문서 맵 내의 요소)와 연합된 확장형 뷰가 표시된다.
제스쳐가 선택 제스쳐(950)인 경우, 개관 모드를 빠져나가고 선택된 콘텐츠가 표시된다.
도 10은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기 위해 개관 모드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시스템(1000)은 서비스(1010), 데이터 기억부(1045),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디스플레이(1050)(예를 들면, 슬레이트) 및 스마트폰(1030)을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서비스(1010)는 생산성 서비스(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및/또는 기업 기반 서비스 또는 콘텐츠 및 문서(예를 들면, 스프레드시트, 문서, 프리젠테이션, 차트, 메시지 등)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떤 다른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또는 온라인 서비스)이다. 서비스는 다른 유형의 입력/출력을 이용하여 상호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 하드웨어 기반 입력, 음성 입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는 미리 녹음된 음성과 합성 음성을 결합한 음성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1010)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시스템(1000)이 생산성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서비스를 표시하지만, 다른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것처럼, 서비스(1010)는 임의 수의 테넌트(tenant)(예를 들면, 테넌트 1-N)에게 자원(1015)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테넌트 서비스이다. 멀티테넌트 서비스(1010)는 서비스에 가입된 테넌트에게 자원/서비스(1015)를 제공하고 각 테넌트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며 다른 테넌트 데이터로부터 보호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이다.
도시된 시스템(1000)은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디스플레이(1050)(예를 들면, 슬레이트/태블릿 장치), 및 터치 입력(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터치 또는 근접 터치)이 수신된 때를 검출하는 스마트폰(1030)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임의 유형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용량성 재료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량성 재료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다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IR)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은 터치 표면과 접촉하거나 터치 표면 위에 있는 물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비록 용어 "위"가 이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터치 패널 시스템의 방위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위"는 그러한 모든 방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이 수신된 곳의 위치(예를 들면, 시작점, 중간점 및 종료점)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가능 표면과 물체 사이의 실제 접촉은 예를 들면 진동 센서 또는 터치 패널과 결합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압력 기반 메카니즘, 마이크로 머신 가속도계, 압전 소자, 용량 센서, 저항 센서, 유도 센서, 레이저 진동계, 및 LED 진동계 등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1030)과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디스플레이(1050)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디스플레이(1050)와 스마트폰(1030)은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기 위해 개관 모드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표시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1052/1032)를 표시한다. 데이터는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1030), 슬레이트(1050))에 및/또는 어떤 다른 위치(예를 들면, 네트워크 데이터 기억부(1045))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기반 애플리케이션, 서버 기반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일 수 있다.
뷰 매니저(26)는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기 위해 개관 모드를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비록 뷰 매니저(26)가 서비스(1010)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뷰 매니저의 기능은 다른 위치(예를 들면, 스마트폰(1030) 및/또는 슬레이트 장치(10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기능은 유선 및 무선 컴퓨팅 시스템,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기, 태블릿 또는 슬레이트형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을 포함한 복수의 컴퓨팅 시스템을 통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기능은 분산형 시스템을 통하여 동작할 수 있고, 이때 애플리케이션 기능, 메모리,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및 각종 처리 기능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분산형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원격에서 동작할 수 있다. 각종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정보는 온보드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와 연합된 원격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정보는 각종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정보가 투영되는 벽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벽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를 실시할 수 있는 복수의 컴퓨팅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은 키스트로크 입력, 터치 스크린 입력, 음성 또는 다른 오디오 입력, 제스쳐 입력을 포함하고, 이때 연합된 컴퓨팅 시스템은 컴퓨팅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제스쳐를 포착 및 해석하는 검출(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 등이 설비된다.
도 11 내지 도 13 및 관련 설명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가 실시되는 각종 운영 환경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는 장치 및 시스템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를 실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가 실시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1100)의 예시적인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컴퓨팅 장치 컴포넌트들은 위에서 설명한 각종 컴퓨팅 장치에 적당한 것일 수 있다. 기본 구성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1100)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1102)과 시스템 메모리(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의 구성 및 유형에 따라서, 시스템 메모리(1104)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읽기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4)는 운영체제(1105),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모듈(1106), 및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영체제(1105)는 컴퓨팅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그래밍 모듈(1106)은 컴퓨팅 장치(1100)에 설치된, 전술한 바와 같은 뷰 매니저(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그래픽 라이브러리, 다른 운영체제, 또는 임의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실시될 수 있고, 임의의 특수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본 구성은 대시 선(1108) 내의 컴포넌트에 의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장치(1100)는 추가의 특징 또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1100)는 예컨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추가의 데이터 기억 장치(분리형 및/또는 비분리형)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기억 장치는 분리형 기억장치(1109) 및 비분리형 기억장치(1110)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영체제(1105)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 파일이 시스템 메모리(1104)에 저장될 수 있다. 처리 유닛(1102)에서 실행하는 동안, 매니저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1106)은 예를 들면 전술한 방법(900)에 관한 동작들을 포함한 각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처리는 일 예이고, 처리 유닛(1102)은 다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자 메일 및 컨택트 애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스 애플리케이션,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그리기(drawing) 및 컴퓨터 지원 응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양립하게,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는, 또는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할 수 있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및 다른 유형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형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등과 같은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과 함께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또한 실시될 수 있고, 이때 각종 태스크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 있어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메모리 기억 장치 및 원격 메모리 기억 장치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이산 전자 요소를 포함한 전기 회로, 논리 게이트를 포함한 패키지형 또는 집적 전자 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는 회로, 또는 전자 요소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일 칩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시스템 온 칩(SOC)을 통해 실시될 수 있고, 이때 도 11에 도시된 각각의 또는 많은 컴포넌트는 단일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다. 그러한 SOC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그래픽 유닛, 통신 유닛, 시스템 가상화 유닛 및 각종의 응용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단일 집적 회로로서 칩 기판에 집적(또는 "굽기"(burned))될 수 있다. SOC를 통해 동작할 때, 뷰 매니저(26)와 관련하여 여기에서 설명한 기능은 단일 집적 회로(칩)에서 컴퓨팅 장치/시스템(1100)의 다른 컴포넌트와 함께 집적되는 특수 용도 로직을 통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계적, 광학적, 유체적 및 양자(quantum) 기술을 포함한 AND, OR 및 NOT와 같은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범용 컴퓨터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회로 또는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스(방법), 컴퓨팅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제조 물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기억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기억을 위해 임의의 방법 또는 기법으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4), 분리형 기억장치(1109), 및 비분리형 기억장치(1110)는 모두 컴퓨터 기억 매체의 예(즉, 메모리 기억장치)이다. 컴퓨터 기억 매체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RAM, ROM, 전기적 소거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기억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기억장치 또는 다른 자기 기억장치, 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100)에 의해 접근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컴퓨터 기억 매체는 장치(11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100)는 또한 키보드, 마우스, 펜, 음향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장치(1112)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장치(111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장치들은 단순히 예이고, 다른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기록하고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가 행한 모션 및/또는 제스쳐를 포착하기 위해 카메라 및/또는 어떤 다른 감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감지 장치는 또한 마이크로폰에 의한 것과 같이 발성어를 포착하도록, 및/또는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도시 생략됨)에 의한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다른 입력을 포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움직임 검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한 마이크로소프트 키넥트(MICROSOFT KINEC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통신 매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반송파 또는 다른 운송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피변조 데이터 신호의 다른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피변조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의 정보를 인코드하는 방식으로 설정 또는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진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고주파수(RF), 적외선 등의 무선 매체, 및 기타의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를 실시할 수 있는 적당한 모바일 컴퓨팅 환경, 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을 보인 것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 구성에 있어서,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입력 요소 및 출력 요소를 둘 다 구비한 핸드헬드 컴퓨터이다. 입력 요소는 사용자가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5) 및 입력 버튼(1215)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또한 추가의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사항인 측면 입력 요소(1215)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사항인 측면 입력 요소(1215)는 로터리 스위치, 버튼,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수동 입력 요소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입력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05)는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스크린이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디스플레이(1205) 및 입력 버튼(1215)을 구비한 셀룰러 폰과 같은 휴대용 폰 시스템이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선택사항인 키패드(1235)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사항인 키패드(1235)는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되는 "소프트" 키패드일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205)와 같은 출력 요소를 구비한다. 다른 출력 요소는 스피커(1225) 및 LED 광(1220)을 포함한다. 추가로,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소정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도시 생략됨)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헤드폰 잭(도시 생략됨)을 구비할 수 있다.
비록 여기에서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임의 수의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면, 데스크톱 환경, 랩톱 또는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형 또는 프로그램가능한 가전제품, 네트워크 PC, 미니 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 등과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는 또한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고, 이때 태스크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의 통신망을 통하여 링크된 원격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프로그램은 로컬 메모리 기억 장치 및 원격 메모리 기억 장치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복수의 환경 센서, 사용자에게 통지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 요소 및 복수의 통지 이벤트 유형을 구비한 임의의 컴퓨터 시스템이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2b는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한 컴퓨팅 장치의 각종 컴포넌트들을 보인 블록도이다. 즉, 모바일 컴퓨팅 장치(1200)는 일부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1202)은 예컨대 브라우저, 이메일, 스케줄링, 인스턴트 메시징, 및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데스크톱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것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1202)은 통합형 개인 정보 단말기(PDA) 및 무선 음소(phoneme)와 같은 컴퓨팅 장치로서 통합된다.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1266)이 메모리(1262)에 로드되어 운영체제(1264)에서 또는 운영체제(1264)와 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의 예로는 음소 다이얼러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PIM(개인 정보 관리) 프로그램,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인터넷 브라우저 프로그램, 메시징 프로그램 등이 있다. 시스템(1202)은 또한 메모리(1262) 내에 비휘발성 기억장치(1268)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기억장치(1268)는 시스템(1202)의 전원을 끄더라도 손실되지 않아야 할 영속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66)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사용되는 이메일 또는 다른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고 그 정보를 비휘발성 기억장치(1268)에 저장할 수 있다. 동기화 애플리케이션(도시 생략됨)이 또한 시스템(1202)에 상주할 수 있고 호스트 컴퓨터에 상주하는 대응하는 동기화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여 비휘발성 기억장치(1268)에 저장된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에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와 동기화된 채로 유지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인식하는 바와 같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메모리(1262)에 로드되고, 전술한 뷰 매니저(26)를 포함한 장치(1200)에서 동작할 수 있다.
시스템(1202)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는 전원 장치(1270)를 구비한다. 전원 장치(1270)는 배터리를 보충하거나 충전하는 AC 어댑터 또는 전원 거치대(powered docking cradle)와 같은 외부 전원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202)은 또한 무선 주파수 통신을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라디오(1272)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1272)는 통신 캐리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시스템(1202)과 "외부 세계" 간의 무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라디오(1272)로/로부터의 송신은 OS(1264)의 제어하에 실행된다. 다시 말해서, 라디오(1272)에 의해 수신된 통신은 OS(1264)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1266)으로 및 그 반대로 전파될 수 있다.
라디오(1272)는 시스템(1202)이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라디오(1272)는 통신 매체의 일 예이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반송파 또는 다른 운송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피변조 데이터 신호의 다른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피변조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의 정보를 인코드하는 방식으로 설정 또는 변경된 하나 이상의 그 특성을 가진 신호를 의미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RF, 적외선 등의 무선 매체, 및 기타의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기억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둘 다 포함한다.
시스템(1202)에 대한 이 실시형태는 2가지 유형의 통지 출력 장치, 즉 시각적 통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LED(1220) 및 오디오 통지를 제공하는 스피커(1225)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오디오 인터페이스(1274)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들은 전원(1270)에 직접 결합되어, 활성화된 때, 비록 프로세서 및 다른 컴포넌트들이 배터리 절전을 위해 전원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출력 장치들이 통지 메카니즘에 의해 구술되는 지속기간 동안 온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LED(1220)는 사용자가 장치를 끌 때까지 장치가 켜져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1274)는 가청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가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1274)는 스피커(1225)에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가청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1220)에도 또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이크로폰(1220)은 뒤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통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센서로서 또한 소용될 수 있다. 시스템(1202)은 온보드 카메라(1230)가 정지 화상, 비디오 스트림 등을 기록하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비디오 인터페이스(127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202)을 구현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추가의 특징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추가의 데이터 기억 장치(분리형 및/또는 비분리형)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기억 장치는 도 12b에서 기억 장치(1268)로서 표시되어 있다. 컴퓨터 기억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200)에 의해 생성 또는 포착되고 시스템(1202)을 통해 저장되는 데이터/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200)에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데이터는 라디오(1272)를 통해, 또는 장치(1200)와 연합된 별도의 컴퓨팅 장치, 예를 들면 인터넷과 같이 분산형 컴퓨팅 네트워크 내의 서버 컴퓨터와 장치(1200) 간의 유선 접속을 통해 장치가 접근할 수 있는 임의 수의 기억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인식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데이터/정보는 라디오(1272) 또는 분산형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120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유사하게, 그러한 데이터/정보는 전자 메일 및 협력적인 데이터/정보 공유 시스템을 비롯하여 공지의 데이터/정보 전송 및 저장 수단에 따라 저장 및 사용을 위해 컴퓨팅 장치들 간에 쉽게 전송될 수 있다.
도 13은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기 위해 개관 모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보인 도면이다.
뷰 매니저(26)를 통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들은 다른 통신 채널 또는 다른 기억 유형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들은, 이 컴포넌트들이 발생한 정보와 함께, 디렉토리 서비스(1322), 웹 포털(1324), 메일박스 서비스(1326), 인스턴트 메시징 기억부(1328) 및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1330)를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시스템/애플리케이션(26, 1320)은 컴포넌트의 관리 및 컴포넌트의 기억부(1316)에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형의 임의의 시스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332)는 다른 플랫폼에 걸쳐서 공유 코드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 통신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332)는 웹에 대한 서비스 및 콘텐츠를 네트워크(1308)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332)를 활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예로는 임의의 범용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1302), 태블릿 컴퓨팅 장치(1304), 및/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1306) 등이 있다. 임의의 이러한 장치들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관리 통신 및 콘텐츠를 상기 기억부(1316)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블록도 및/또는 작용 설명과 관련해서 설명하였다.각 블록에 표시된 기능/작용은 임의의 흐름도로 나타낸 것과는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이 사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고, 또는 블록들이 관련 기능/작용에 따라서 가끔은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명세서, 예 및 데이터는 본 발명 구성의 제작 및 사용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발명의 많은 실시형태가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뒤에 첨부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Claims (10)
- 문서를 내비게이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의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뷰를 개관 모드(overview mode)로 변경하기 위한 개관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콘텐츠의 뷰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썸네일 중의 하나와의 수신된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썸네일 외에 추가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및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수신된 제스쳐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의 수를 변경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언제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 문서 내비게이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썸네일 뷰의 디스플레이 부근에 문서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문서 내비게이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관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는 좁히기 제스쳐(pinch gesture)를 수신하는 단계와,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좁히기 제스쳐와 늘리기 제스쳐(stretch gesture) 중의 하나인 상기 수신된 제스쳐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 및 디스플레이되는 디테일(detail)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테일 레벨이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썸네일 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의 줌아웃 뷰, 수정된 상기 콘텐츠의 줌아웃 뷰 및 상기 콘텐츠의 표현(representation)을 포함한 상이한 뷰들 사이에서 변경되는 것인 문서 내비게이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중의 하나와의 상기 수신된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썸네일 외에 추가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중의 한 썸네일의 적어도 일부의 드릴다운(drill down)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문서 내비게이트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썸네일 뷰의 디스플레이 부근에 문서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선택되었을 때 상기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하는, 상기 콘텐츠의 상이한 부분들을 나타내는 선택가능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문서 내비게이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워드 프로세스 문서, 슬라이드를 포함한 프리젠테이션, 및 스프레드시트 중의 하나로부터의 것인 문서 내비게이트 방법.
-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콘텐츠의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들과;
상기 콘텐츠의 뷰를 개관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개관 터치 제스쳐를 수신하는 명령어들과;
상기 콘텐츠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콘텐츠의 뷰를 변경하는 명령어들과;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썸네일 뷰의 디스플레이 부근에 문서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썸네일 중의 하나와의 수신된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썸네일 외에 추가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및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수신된 제스쳐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의 수를 변경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언제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명령어들
을 포함한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좁히기 제스쳐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증가시키는 명령어들과, 늘리기 제스쳐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수를 감소시키는 명령어들과, 상기 콘텐츠의 줌아웃 뷰, 수정된 상기 콘텐츠의 줌아웃 뷰 및 상기 콘텐츠의 표현을 포함한 상이한 뷰들 사이에서 디테일 레벨을 변경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운영 환경과;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콘텐츠의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콘텐츠의 뷰를 개관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개관 터치 제스쳐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콘텐츠의 페이지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콘텐츠의 뷰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썸네일 중의 하나와의 수신된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썸네일 외에 추가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및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수신된 제스쳐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의 수를 변경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언제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뷰 매니저를 포함한 콘텐츠 선택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관 모드에 있는 동안, 선택되었을 때 상기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하는, 상기 콘텐츠의 상이한 부분들을 나타내는 선택가능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상기 썸네일 뷰의 디스플레이 부근에 문서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 콘텐츠 선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653,076 | 2012-10-16 | ||
US13/653,076 US20140109012A1 (en) | 2012-10-16 | 2012-10-16 | Thumbnail and document map based navigation in a document |
PCT/US2013/065157 WO2014062750A1 (en) | 2012-10-16 | 2013-10-16 | Thumbnail and document map based navigation in a docu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0282A true KR20150070282A (ko) | 2015-06-24 |
Family
ID=4951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2470A KR20150070282A (ko) | 2012-10-16 | 2013-10-16 |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109012A1 (ko) |
EP (1) | EP2909706A1 (ko) |
JP (1) | JP2015531530A (ko) |
KR (1) | KR20150070282A (ko) |
CN (1) | CN104737112B (ko) |
WO (1) | WO201406275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7349A (ko) * | 2016-12-28 | 2018-07-09 | 주식회사 파수닷컴 | 페이지 정보를 이용한 전자책 제공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20058A1 (en) | 2020-05-01 | 2021-11-04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collaborative workflow and network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
WO2021161104A1 (en) * | 2020-02-12 | 2021-08-19 | Monday.Com | Enhanced display features in collaborative network systems, methods, and devices |
WO2021144656A1 (en) | 2020-01-15 | 2021-07-22 | Monday.Com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dynamic table gauge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
US11410129B2 (en) | 2010-05-01 | 2022-08-09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two-way syncing with third party application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
US8875060B2 (en) * | 2012-06-04 | 2014-10-28 | Sap Ag | Contextual gestures manager |
KR101911253B1 (ko) * | 2012-11-21 | 2018-10-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태그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
US9158766B2 (en) * | 2012-11-29 | 2015-10-13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Multi-touch interface for visual analytics |
US9448719B2 (en) * | 2012-12-14 | 2016-09-20 |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 Touch sensitive device with pinch-based expand/collapse function |
JP6115256B2 (ja) * | 2013-03-29 | 2017-04-1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
US9507781B2 (en) * | 2013-04-30 | 2016-11-29 | Jpmorgan Chase Bank, N.A.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resentation processing |
KR20140144320A (ko) * | 2013-06-10 | 2014-1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US20140380244A1 (en) * | 2013-06-21 | 2014-12-25 | Barnesandnoble.Com Llc | Visual table of contents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B2516472B (en) * | 2013-07-24 | 2020-07-29 | Wsou Invest Llc |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ing to the Display of User Interfaces |
US10620796B2 (en) * | 2013-12-19 | 2020-04-14 |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 Visual thumbnail scrubber for digital content |
JP2015156187A (ja) * | 2014-02-21 | 2015-08-27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9891794B2 (en) * | 2014-04-25 | 2018-02-13 | Dropbox, Inc. | Browsing and selecting content items based on user gestures |
US10089346B2 (en) | 2014-04-25 | 2018-10-02 | Dropbox, Inc. | Techniques for collapsing views of content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JP6559403B2 (ja) * | 2014-05-19 | 2019-08-14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2284134B1 (ko) | 2014-05-28 | 2021-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US10156967B2 (en) | 2014-05-31 | 2018-12-1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bbed and private browsing |
CN105224191A (zh) * | 2014-06-18 | 2016-01-06 |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 一种幻灯片创建方法及装置 |
CN105183334A (zh) * | 2014-06-18 | 2015-12-23 |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 一种幻灯片删除方法及装置 |
EP3158426B1 (en) * | 2014-06-18 | 2019-09-11 | Google LLC |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playback of video using a touchscreen |
CN105320416A (zh) * | 2014-06-18 | 2016-02-10 |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 一种幻灯片副本创建方法及装置 |
US9921721B2 (en) * | 2014-08-08 | 2018-03-20 | Google Llc | Navigation interfaces for ebooks |
US10347027B2 (en) | 2014-09-08 | 2019-07-09 | Tableau Software, Inc. | Animated transition between data visualization versions at different levels of detail |
US10635262B2 (en) | 2014-09-08 | 2020-04-28 | Tableau Software, Inc. |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user interface with gesture-based data field selection |
US11017569B2 (en) * | 2014-09-08 | 2021-05-25 | Tableau Software,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ing data mark information |
US10380770B2 (en) | 2014-09-08 | 2019-08-13 | Tableau Software, Inc. |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user interface with multiple interaction profiles |
US10347018B2 (en) | 2014-09-08 | 2019-07-09 | Tableau Software, Inc. |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user interface with hierarchical filtering based on gesture location on a chart |
US10229655B2 (en) * | 2015-02-28 | 2019-03-1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ontextual zoom |
JP6462519B2 (ja) * | 2015-07-23 | 2019-01-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
JP6601042B2 (ja) * | 2015-07-29 | 2019-11-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
US10896532B2 (en) | 2015-09-08 | 2021-01-19 | Tableau Software, Inc. |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user interface with multiple interaction profiles |
JP6696758B2 (ja) * | 2015-11-12 | 2020-05-20 | エヌエイチエヌ コーポレーション |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CN106933465B (zh) | 2015-12-31 | 2021-01-15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一种基于智能桌面的内容显示方法和智能桌面终端 |
US10397632B2 (en) | 2016-02-16 | 2019-08-27 | Google Llc | Touch gesture control of video playback |
GB2565934B (en) | 2016-04-27 | 2022-08-10 | Coda Project Inc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unified document surface workspace |
JP6758921B2 (ja) * | 2016-06-01 | 2020-09-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
US10146746B2 (en) * | 2016-11-29 | 2018-12-04 | Kukudocs Inc. |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a document |
US11669236B2 (en) | 2017-02-23 | 2023-06-0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ontent as navigation |
KR102316024B1 (ko) * | 2017-03-02 | 2021-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CN109002336B (zh) * | 2017-06-06 | 2021-10-22 | 许继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充电桩远程监控导航视窗的生成方法和装置 |
US11093100B2 (en) * | 2018-03-08 | 2021-08-1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Virtual reality device with varying interactive modes for document viewing and editing |
US11698890B2 (en) | 2018-07-04 | 2023-07-11 | Monday.com Ltd.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lumn-oriented data structure repository for columns of single data types |
US11436359B2 (en) | 2018-07-04 | 2022-09-06 | Monday.com Ltd.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rmissions of users for a single data type column-oriented data structure |
CN109522523A (zh) * | 2018-09-14 | 2019-03-26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显示大纲信息的方法及终端设备 |
CN109710146B (zh) * | 2018-12-07 | 2022-03-1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文档显示方法及装置 |
CN109828706B (zh) * | 2019-01-31 | 2021-02-0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 |
JP6720387B2 (ja) * | 2019-05-20 | 2020-07-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1361156B2 (en) | 2019-11-18 | 2022-06-14 | Monday.Com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status aggregation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
EP4062313A1 (en) | 2019-11-18 | 2022-09-28 | Monday.com Ltd. | Collaborative network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
US11157679B2 (en) | 2020-01-27 | 2021-10-26 | Capital One Services, Llc | Semantic navigation of content documents |
CN112784524B (zh) * | 2020-04-08 | 2024-08-27 | 北京金山办公软件股份有限公司 | 一种文档转换方法及装置 |
US20240184989A1 (en) | 2020-05-01 | 2024-06-06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file-based electronic white board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systems |
US11277361B2 (en) | 2020-05-03 | 2022-03-15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hang-time for social layer message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
CN111797603B (zh) * | 2020-07-02 | 2022-02-01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文档内表格浏览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1857512A (zh) * | 2020-07-17 | 2020-10-3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图像编辑方法、装置和电子设备 |
CN111857479A (zh) * | 2020-07-23 | 2020-10-3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信息显示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
JP7084646B2 (ja) * | 2020-09-09 | 2022-06-15 | 株式会社Suntac | 情報表示装置 |
US11928315B2 (en) | 2021-01-14 | 2024-03-12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tagging extraction engine for generating new document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
EP4275141A4 (en) | 2021-02-23 | 2024-12-18 | Coda Project, Inc.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cation and external interfacing for a unified document surface |
US12056664B2 (en) | 2021-08-17 | 2024-08-06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external events trigger automatic text-based document alteration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
US12105948B2 (en) | 2021-10-29 | 2024-10-01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navigation mini maps |
US20230152116A1 (en) * | 2021-11-12 | 2023-05-18 | Rockwell Collins, Inc. | System and method for chart thumbnail image generation |
CN115016879A (zh) * | 2022-05-31 | 2022-09-06 | 粤港澳大湾区数字经济研究院(福田) | 一种电子文献视图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存储介质 |
CN115730092A (zh) * | 2022-10-28 | 2023-03-03 |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 用于内容呈现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US11741071B1 (en) | 2022-12-28 | 2023-08-29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nd viewing displayed content |
US11886683B1 (en) | 2022-12-30 | 2024-01-30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board graphics |
US11893381B1 (en) | 2023-02-21 | 2024-02-06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file bundle sizes |
US12197560B1 (en) | 2023-11-28 | 2025-01-14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workflows |
US12118401B1 (en) | 2023-11-28 | 2024-10-15 | Monday.com Ltd. |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s in conjunction with a serverless environment |
Family Cites Families (4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62732B1 (en) * | 1993-10-25 | 2001-07-17 | Scansoft,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navigating within stacks of document pages |
JP4183311B2 (ja) * | 1997-12-22 | 2008-11-19 | 株式会社リコー | 文書の注釈方法、注釈装置および記録媒体 |
US7009626B2 (en) * | 2000-04-14 | 2006-03-07 | Picsel Technologies Limited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graphical data and digital document processing |
JP4325075B2 (ja) * | 2000-04-21 | 2009-09-02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 |
US6816174B2 (en) * | 2000-12-18 | 2004-11-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density scroll area |
US7139982B2 (en) * | 2000-12-21 | 2006-11-21 | Xerox Corporation | Navig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virtual three-dimensional books |
US20030122863A1 (en) * | 2001-12-28 | 2003-07-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Navigation tool for slide presentations |
US20040205633A1 (en) * | 2002-01-11 | 2004-10-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eviewing file or document content |
US20040001106A1 (en) * | 2002-06-26 | 2004-01-01 | John Deutscher | System and process for creating an interactive presentation employing multi-media components |
JP4192729B2 (ja) * | 2002-09-16 | 2008-12-1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自由形式注釈を強調するための方法、注釈強調表示装置、及び自由形式注釈を強調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
JP2004252665A (ja) * | 2003-02-19 | 2004-09-09 | Canon Inc | 文書処理方法 |
US7159188B2 (en) * | 2003-10-23 | 2007-01-02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content in an item |
US7596760B2 (en) * | 2005-04-07 | 2009-09-29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tab within a tabbed browser |
JP4533791B2 (ja) * | 2005-04-19 | 2010-09-0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情報閲覧装置 |
US8117548B1 (en) * | 2005-05-03 | 2012-02-14 | Apple Inc. | Image preview |
US7552398B2 (en) * | 2005-05-24 | 2009-06-23 |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ally zooming information |
JP4910320B2 (ja) * | 2005-07-13 | 2012-04-0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
US7739622B2 (en) * | 2006-10-27 | 2010-06-15 | Microsoft Corporation | Dynamic thumbnails for document navigation |
US8151204B2 (en) * | 2006-11-29 | 2012-04-03 |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 Document viewing and management system |
JP4899842B2 (ja) * | 2006-12-06 | 2012-03-21 | ソニー株式会社 | ウィンドウの表示方法およびその表示装置 |
US8943410B2 (en) * | 2006-12-22 | 2015-01-27 | Apple Inc. | Modified media presentation during scrubbing |
US7956847B2 (en) * | 2007-01-05 | 2011-06-07 | Apple Inc. |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
DE202007014957U1 (de) * | 2007-01-05 | 2007-12-27 | Apple Inc., Cupertino | Multimedia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Berührungsbildschirm, der auf Gesten zur Steuerung, Manipulierung und Editierung von Mediendateien reagiert |
US20080180391A1 (en) * | 2007-01-11 | 2008-07-31 | Joseph Auciello | Configurable electronic interface |
US8219374B1 (en) * | 2007-02-21 | 2012-07-10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Symbolic switch/linear circuit simulator systems and methods |
US8739073B2 (en) * | 2007-05-15 | 2014-05-27 | Microsoft Corporation | User interface for document table of contents |
US8261205B2 (en) * | 2007-05-30 | 2012-09-04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a list of thumbnail items associated with media items |
US8578273B2 (en) * | 2007-10-30 | 2013-11-05 | Microsoft Corporation | Slideshow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splay |
US20090193356A1 (en) * | 2008-01-28 | 2009-07-30 | Immersion Digital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zoomable user interface |
US20090313574A1 (en) * | 2008-06-16 | 2009-12-17 | Microsoft Corporation | Mobile document viewer |
US8108777B2 (en) * | 2008-08-11 | 2012-01-31 | Microsoft Corporation | Sections of a presentation having user-definable properties |
JP2010072842A (ja) * | 2008-09-17 | 2010-04-02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US20100169832A1 (en) * | 2008-12-15 | 2010-07-01 | Fred Faching Chang | Floating Hierarchical Menu of Navigation History |
US8669945B2 (en) * | 2009-05-07 | 2014-03-11 | Microsoft Corporation | Changing of list views on mobile device |
US8533622B2 (en) * | 2009-06-17 | 2013-09-10 | Microsoft Corporation | Integrating digital book and zoom interface displays |
US8698762B2 (en) * | 2010-01-06 | 2014-04-1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
US20110167381A1 (en) * | 2010-01-07 | 2011-07-07 | Rocky Kahn | Contextual Document Map |
US20110197156A1 (en) * | 2010-02-09 | 2011-08-11 | Dynavox Systems, Llc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ve zoom frame interface |
US8957920B2 (en) * | 2010-06-25 | 2015-02-17 | Microsoft Corporation | Alternative semantics for zoom operations in a zoomable scene |
US8826191B1 (en) * | 2011-01-05 | 2014-09-02 | Google Inc. | Zooming while page turning in document |
US9442516B2 (en) * | 2011-01-24 | 2016-09-13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
TWI441051B (zh) * | 2011-01-25 | 2014-06-11 | Compal Electronics Inc | 電子裝置及其資訊呈現方法 |
US20120198384A1 (en) * | 2011-01-28 | 2012-08-02 |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 Graphical user interface presenting a unified view of a main document image and thumbnail images |
US9063637B2 (en) * | 2011-09-23 | 2015-06-23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ltering a view of a document on a display of a computing device |
US20130088511A1 (en) * | 2011-10-10 | 2013-04-11 | Sanjit K. Mitra | E-book reader with overlays |
US8977978B2 (en) * | 2011-12-12 | 2015-03-10 | Inkling Systems, Inc. | Outline view |
US9552147B2 (en) * | 2012-02-01 | 2017-01-24 | Facebook, Inc. | Hierarchical user interface |
US20140282143A1 (en) * | 2013-03-14 | 2014-09-18 | Michael Matas | Modifying Content of Components in a User Interface |
-
2012
- 2012-10-16 US US13/653,076 patent/US2014010901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
- 2013-10-16 JP JP2015537024A patent/JP2015531530A/ja active Pending
- 2013-10-16 KR KR1020157012470A patent/KR201500702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0-16 WO PCT/US2013/065157 patent/WO201406275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0-16 EP EP13786031.8A patent/EP290970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10-16 CN CN201380054097.8A patent/CN10473711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7349A (ko) * | 2016-12-28 | 2018-07-09 | 주식회사 파수닷컴 | 페이지 정보를 이용한 전자책 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531530A (ja) | 2015-11-02 |
EP2909706A1 (en) | 2015-08-26 |
CN104737112A (zh) | 2015-06-24 |
CN104737112B (zh) | 2018-01-05 |
WO2014062750A1 (en) | 2014-04-24 |
US20140109012A1 (en) | 2014-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70282A (ko) |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 | |
EP2972742B1 (en) | Semantic zoom-based navigation of displayed content | |
KR102223698B1 (ko) | 변경을 커밋하기 전에 문서에서 제안된 변경의 효과 보기 | |
US10235018B2 (en) | Browsing electronic messages displayed as titles | |
US9355086B2 (en) | User interface elements for content selection and extended content selection | |
US20140129910A1 (en) | Dynamic layout of content in a grid based application | |
US20140113268A1 (en) | Interactive visual assessment after a rehearsal of a presentation | |
US20140152693A1 (en) | Controlling display of command space using multi-state element | |
US20140372933A1 (en) | Automatically displaying suggestions for entry | |
WO2014200719A2 (en) | Creating recurring appointments | |
US11481102B2 (en) | Navigating long distances on navigable surfaces | |
US10459612B2 (en) | Select and move h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