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83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883B1
KR102636883B1 KR1020180096108A KR20180096108A KR102636883B1 KR 102636883 B1 KR102636883 B1 KR 102636883B1 KR 1020180096108 A KR1020180096108 A KR 1020180096108A KR 20180096108 A KR20180096108 A KR 20180096108A KR 102636883 B1 KR102636883 B1 KR 10263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display panel
pressure
disposed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026A (ko
Inventor
서문희
홍원기
박성국
박소희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83B1/ko
Priority to US16/414,712 priority patent/US11023064B2/en
Priority to CN201910719473.XA priority patent/CN110837311A/zh
Publication of KR2020002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26A/ko
Priority to US17/242,122 priority patent/US113539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상면과, 상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1 상면 곡면부와, 제1 상면 곡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 측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상면 곡면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방식의 편리함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키 패드(key pad) 등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터치 패널에서 더 나아가 압력 센서를 표시 장치에 장착하여 다양한 입력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상의 출력 영역을 표시장치의 측면 또는 하면까지 확장하고 압력 센서를 측면 또는 하면에 배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1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1 상면 곡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 측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상면 곡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상면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하면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 셀은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 전극과 감지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압력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방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미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범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상면의 제1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상기 상면의 제2 가장자리와, 상기 상면의 제2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2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2 상면 곡면부로부터 연장된 제2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하부에 제2 압력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상면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상면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으로 연장되는 제2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하면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상면의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상면의 제2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기 상면의 제3 가장자리와, 상기 상면의 제3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3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3 상면 곡면부로부터 연장된 제3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하부에 제3 압력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제3 상면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상면의 제3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제3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제3 하면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3 압력 센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1, 제3 압력 센서 각각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상면, 상기 제1 상면 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면 곡면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측면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압력 감지 셀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상면의 제1 가장자리에 아이콘 네비게이션을 표시하며, 상기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 네비게이션은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1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1 상면 곡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 측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상면 곡면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측면 또는 하면에서 영상이 출력되어,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되고, 압력 센서가 표시 장치의 측면 또는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음향 조절 버튼, 전원 버튼, 통화 버튼, 카메라 버튼, 인터넷 버튼, 및 스퀴징 감지 버튼 등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과 메인 회로 보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A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Ⅲ-Ⅲ'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들을 물리 버튼으로 활용하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c는 도 1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15c는 도 1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의 제1 압력 센서와 범프 및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Ⅰ-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Ⅱ-Ⅱ'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1 범프 및 제2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센서와 제1 범프 및 제2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압력 센서와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압력 센서와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하면에 나타난 압력 감지 셀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일 실시예의 압력 감지 셀의 위치와 이에 대한 아이콘 네비게이션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터치 회로 보드(210), 터치 구동부(220), 표시 패널(300), 표시 회로 보드(310),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압력 센서(510), 제2 압력 센서(520),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 미들 프레임(600), 메인 회로 보드(700), 및 하부 커버(9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윈도우(100)가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미들 프레임(600)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표시 패널(30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우"는 X축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양 장변(LS1, LS2)과 양 단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10) 또는 그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300) 등의 부재에서, 평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1 장변(LS1), 좌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2 장변(LS2), 위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1 단변(SS1),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2 단변(SS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0)의 장변(LS1, LS2)의 길이는 단변(SS1, SS2)의 길이의 1.5배 내지 2.5배의 범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인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R1)은 제1 평면에 놓인다.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과 연결되되, 그로부터 꺽이거나 휘어져 있다. 제2 영역(DR2)은 제1 평면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제2 평면에 놓이거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주변에 배치된다. 제3 영역(DR3)은 제2 영역(DR2)과 연결되되, 그로부터 꺽이거나 휘어져 있다. 제3 영역(DR3)은 제2 평면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제3 평면이며, 제3 평면은 제1 평면에 수직한 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영역(DR2)과 제3 영역(DR3)은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각각으로 연장된 곡면부일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은 제2 영역(DR2)의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여 표시 장치(10)의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각각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DR1)은 주된 표시면으로 사용되나,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도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DR1)이 상면인 평탄부이고, 제2 영역(DR2)이 곡면부이며, 제3 영역(DR3)이 측면인 수직부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 사이의 모서리부(CP)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모서리부(CP)는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 이격된 비표시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이 서로 연결된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 및 측면을 커버하도록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도 14와 같이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터치 감지 장치(2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910)는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ed adhesive film, 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ed resin, OCR)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100)는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에는 전면 카메라, 전면 스피커, 적외선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등을 노출하기 위한 다수의 홀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전면 카메라, 전면 스피커, 적외선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 패널(300)에 내장되는 경우 커버 윈도우(100)에는 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
커버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커버 윈도우(1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서도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 상에 외부 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 필름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 필름이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기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같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가 자기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만 포함하는 반면에,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감지 장치가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패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는 도 14와 같이 제2 접착 부재(92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920)는 투명 접착 필름(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다.
또는, 터치 감지 장치(200)는 표시 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은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는 터치 회로 보드(2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회로 보드(210)의 타 측에는 터치 접속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 접속부는 도 3과 같이 표시 회로 보드(310)의 터치 커넥터(312a)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터치 구동부(220)는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구동 전극들에 터치 구동 신호들을 인가하고,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감지 전극들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22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터치 회로 보드(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터치 감지 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서도 표시 패널(300)의 영상이 보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발광 소자층, 및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유연하게 구현되므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은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연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유연한 기판 대비 유연성이 적을 수 있다.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 (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기판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스캔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가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는 발광 소자층이 배치된다. 발광 소자층은 애노드 전극들, 발광층, 캐소드 전극, 및 뱅크들을 포함한다. 발광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주입층은 생략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발광 소자층은 화소들이 형성되는 화소 어레이층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 소자층이 형성된 영역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영역의 주변 영역은 비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 상에는 박막 봉지층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은 발광 소자층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는 표시 회로 보드(3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회로 보드(310)의 일 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는 표시 패널(300)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210) 역시 표시 패널(300)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측 끝단에 배치된 터치 접속부는 표시 회로 보드(310)의 터치 커넥터(312a)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회로 보드(31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한다. 표시 구동부(320)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패널(300)의 기판 상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는 도 14와 같이 패널 하부 부재(390)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는 제3 접착 부재(93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930)는 투명 접착 필름(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부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 표시 패널(3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 및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 즉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제4 압력 센서(514), 표시 회로 보드(310) 등이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광 흡수 부재는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 부재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쿠션층일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제1 방열층과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제2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는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는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의 압력 감지 셀에 대응하여 아이콘 네비게이션이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압력 감지 셀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는 표시 장치(10)의 제2 장변(LS2)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와 제2 압력 센서(512)는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압력 센서(513)는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SS1)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압력 센서(514)는 표시 장치(10)의 제2 단변(SS2)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압력 센서(513)와 제4 압력 센서(514)는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를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가 하나의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다른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들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는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를 구동하여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3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감지부(330)는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표시 구동부(320)에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는 표시 회로 보드(310)가 아닌 터치 회로 보드(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감지부(330)는 터치 회로 보드(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터치 구동부(220)에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부에는 미들 프레임(600)이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0)은 합성 수지, 금속, 또는 합성 수지와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수 부재(400)는 미들 프레임(60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 부재(400)는 미들 프레임(600)의 측면 끝단을 둘러 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에 각각 접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부재(400)가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미들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0)에는 카메라 장치(720)가 삽입되는 제1 카메라 홀(CMH1), 배터리의 발열을 위한 배터리 홀(BH), 및 표시 회로 보드(310)에 접속된 제2 연결 케이블(314)이 통과하는 케이블 홀(CAH)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홀(CAH)은 미들 프레임(600)의 우측 가장자리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51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 센서(511)는 도 2와 같이 케이블 홀(CAH)을 가리지 않고 노출하기 위해 일 측에서 노치(notch)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노치부(NTH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들 프레임(600)은 표시 패널(300)의 패널 하부 부재(390),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의 하부에 배치된다. 미들 프레임(600)은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는 인가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0)의 하부에는 메인 회로 보드(70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메인 프로세서(710), 카메라 장치(720), 및 메인 커넥터(7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와 메인 커넥터(730)는 하부 커버(900)와 마주보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720)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패널(300)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표시 회로 보드(310)의 표시 구동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터치 구동부(220)로부터 터치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판단한 후,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터치 구동부(220) 또는 압력 감지부(330)로부터 압력 감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압력 감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압력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압력 감지 데이터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를 진동하여 햅틱(haptic)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집적회로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시스템 칩(system chip)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720)는 카메라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메인 프로세서(710)로 출력한다.
미들 프레임(600)의 커넥터 홀(CAH)을 통과한 제2 연결 케이블(314)은 미들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간극을 통해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 회로 보드(700)는 표시 회로 보드(310)와 터치 회로 보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외, 메인 회로 보드(700)에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모듈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회로 보드(7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900)는 미들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미들 프레임(60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900)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의 제3 영역(DR3)의 끝단인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 커버(900)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의 제3 영역(DR3)의 측면 및 상면 일부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하부 커버(900)는 표시 장치(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 커버(90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0)에는 카메라 장치(720)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카메라 홀(CMH2)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720)의 위치와 카메라 장치(720)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홀들(CMH1, CMH2)의 위치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과 메인 회로 보드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표시 회로 보드(310)와 제3 회로 보드(550)의 연결과 제2 연결 케이블(314)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의 연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4는 평면도인 반면에 도 3과 도 5는 저면도이므로, 도 3과 도 5에서는 도 4에서의 표시 장치(10)의 좌우가 반대로 도시되어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표시 회로 보드(310)를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5에서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회로 보드(310)는 제1 회로 보드(311), 제2 회로 보드(312), 및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 측에 부착되며,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고정 부재들에 의해 도 4와 같이 미들 프레임(600)에 형성된 고정 홀(FH)들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커넥터(311a), 및 제2 커넥터(311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커넥터(311a), 및 제2 커넥터(311b)는 제1 회로 보드(3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는 제2 회로 보드(312)에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313)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보드(311)에 장착된 표시 구동부(320)와 압력 감지부(330)는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311b)는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에 연결된 제3 회로 보드(550)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는 압력 감지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312)는 터치 커넥터(312a), 제1 연결 커넥터(312b), 및 제2 연결 커넥터(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312b)와 제2 연결 커넥터(312c)는 제2 회로 보드(312)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커넥터(312a)는 제2 회로 보드(312)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커넥터(312a)는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단에 마련된 터치 접속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구동부(220)는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312b)는 제1 회로 보드(311)에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313)의 타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보드(311)에 장착된 표시 구동부(320)와 압력 감지부(330)는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커넥터(312c)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회로 보드(312)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314)의 타 단에는 커넥터 접속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커넥터 접속부(315)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통과하여 미들 프레임(60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내측에는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제1 노치부(NTH1)가 형성되므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은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미들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 사이의 간극이 있으므로, 케이블 홀(CAH)을 통과한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커넥터 접속부(315)는 미들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 사이의 간극으로 빠져나와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커넥터 접속부(315)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덮지 않도록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에는 노치(notch) 형태의 제1 노치부(NTH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된 제2 연결 케이블(314)이 케이블 홀(CAH)을 통해 미들 프레임(600)의 하부로 연장되어,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회로 보드(310)와 메인 회로 보드(700)는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표시 패널(300)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을 기준으로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영역일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은 제2 영역(DR2)으로부터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은 제1 영역(DR1)을 둘러 싸는 테두리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 각각의 장변의 길이가 제1 영역(DR1)의 각각 변의 길보다 짧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영역(DR1) 각각의 변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 각각의 장변은 길이는 제1 영역(DR1) 각각의 변의 길이와 동일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0)의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은 표시 장치(10)를 이루는 과정에서 제1 영역(DR1)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의 제1 영역(DR1)은 주된 표시 영역으로 평탄부에 해당되고,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으로부터 연장된 곡면부에 해당하며, 제3 영역(DR3)은 제2 영역(DR2)의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인 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진 평탄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3 영역(DR3)은 제2 영역(DR2)으로부터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연장된 곡면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300)이 제1 영역(DR1)에서 연장된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을 더 구비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상면과 더불어 4 개의 측면까지도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센서(511)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장변(LS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장변(L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3 압력 센서(513)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단변(SS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4 압력 센서(514)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단변(S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와 제2 압력 센서(512)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압력 센서(513)와 제4 압력 센서(514)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중 일부는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되고, 나머지는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표시 장치(10)를 이루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300)에 대응하여 구부러지며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는 표시 장치(10)의 상면의 4개의 가장자리 및 4개의 측면에서도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1)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1 압력 센서(511)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는 복수의 압력 감지셀(CE1~CE8)을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제1 압력 센서(511)가 8 개의 압력 감지셀(CE1~CE8)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압력 감지 셀(CE1~CE8)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8) 각각은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8)이 1열로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8)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은 도 7과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8)은 용도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은 표시 장치(10)의 일 측 가장자리 및 측면에 배치된 볼륨 제어 버튼(VB+, VB-) 또는 전원 버튼(PB)과 같이 물리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사용자의 스퀴징(squeezing)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버튼(SQB)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제1 압력 센서(5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CE7)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물리 버튼으로 사용되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CE7)이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CE7)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CE7) 중 일부 압력 감지 셀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압력 감지 셀들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나, 일부 압력 감지 셀들 각각의 면적과 나머지 압력 감지 셀 각각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의 범프(BP)는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CE1~CE8)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범프(BP)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CE1~CE8)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CE1~CE8)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복수의 범프(BP)에 의해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범프(BP) 각각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CE1~CE8) 각각에 비해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범프(BP) 각각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의 압력 감지층(도 12의 'PSL')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범프(BP)의 면적은 압력 감지 셀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8 압력 감지 셀(CE8)의 면적이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 각각의 면적에 비해 넓은 경우, 제8 압력 감지 셀(CE8)에 중첩되는 범프(BP)의 면적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에 중첩되는 각 범프(BP)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압력 센서(511)에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제1 노치부(NTH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12) 및 범프(BP)는 제2 압력 센서(512)가 제1 노치부(NTH1)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서 도 7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511) 및 범프(BP)와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8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12)와 범프(BP)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압력 센서와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압력 센서(513)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과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3 압력 센서(513)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3 압력 센서(513)는 복수의 압력 감지셀(CE1~CE6)을 포함한다. 도 9에서는 제3 압력 센서(513)가 6 개의 압력 감지셀(CE1~CE6)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압력 감지 셀(CE1~CE6)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6) 각각은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6)이 1열로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6)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CE1~CE6) 각각은 도 9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CE6)은 용도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들(CE1~CE6)은 표시 장치(10)의 일 측 가장자리 및 측면에 배치된 통화 버튼(CB), 카메라 버튼(CMB), 인터넷 버튼(IB)과 같이 물리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물리 버튼으로 사용되는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6)이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6)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6) 중 일부 압력 감지 셀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압력 감지 셀들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나, 일부 압력 감지 셀들 각각의 면적과 나머지 압력 감지 셀 각각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의 범프(BP)는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들(CE1~CE6)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6)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범프(BP)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6)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제4 압력 센서(514) 및 범프(BP)는 제3 압력 센서(513) 및 범프(BP)와 동일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제4 압력 센서(514)와 범프(BP)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도 8의 A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Ⅲ-Ⅲ'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압력 센서(512)는 제1 기판(SUB1), 제2 기판(SUB2), 구동 라인(TL), 제1 내지 제8 감지 라인들(RL1~RL8), 구동 패드(TP), 제1 내지 제8 감지 패드들(RP1~RP8), 및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을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4 압력 감지 셀(CE4), 제5 압력 감지 셀(CE5), 및 패드 영역(PAD) 영역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기판(SUB2)을 생략하였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각각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이미드(poly 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oly 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8)이 배치된다. 제2 기판(SUB2)과 마주보는 제1 기판(SUB1)의 일면 상에는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8), 구동 패드(TP), 감지 패드들(RP1~RP8)이 배치된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8)이 배치된다.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감지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 셀들(CE1~CE8)은 하나의 구동 라인(TL)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데 비해, 감지 라인들(RL1~RL8)에는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제4 압력 감지 셀(CE4)은 구동 라인(TL)과 제4 감지 라인(RL4)에 접속되고, 제5 압력 감지 셀(CE5)은 구동 라인(TL)과 제5 감지 라인(RL5)에 접속될 수 있다.
구동 라인(TL)은 구동 패드(TP)에 접속되고, 감지 라인들(RL1~RL8)은 감지 패드들(RP1~RP8)에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감지 라인(RL1)은 제1 감지 패드(RP1)에 접속되고, 제2 감지 라인(RL2)은 제2 감지 패드(RP2)에 접속되며, 제3 감지 라인(RL3)은 제3 감지 패드(RP3)에 접속되고, 제4 감지 라인(RL4)은 제4 감지 패드(RP4)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감지 라인(RL5)은 제5 감지 패드(RP5)에 접속되고, 제6 감지 라인(RL6)은 제6 감지 패드(RP6)에 접속되며, 제7 감지 라인(RL7)은 제7 감지 패드(RP7)에 접속되고, 제8 감지 라인(RL8)은 제8 감지 패드(RP8)에 접속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은 제1 기판(SUB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의 일 측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장변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패드 영역(PAD)이 제1 기판(SUB1)의 장변의 중앙에서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기판(SUB1)의 장변의 일 단 또는 타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에는 구동 패드(TP)와 감지 패드들(RP1~RP8)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패드(TP)와 감지 패드들(RP1~RP8)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제3 회로 보드(550)의 구동 리드 라인(TL_F)과 감지 리드 라인들(RL1_F~RL8_F)에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패드(TP)는 구동 리드 라인(TL_F)에 접속되고, 제1 감지 패드(RP1)는 제1 감지 리드 라인(RL1_F)에 접속되며, 제2 감지 패드(RP2)는 제2 감지 리드 라인(RL2_F)에 접속되고, 제3 감지 패드(RP3)는 제3 감지 리드 라인(RL3_F)에 접속되며, 제4 감지 패드(RP4)는 제4 감지 리드 라인(RL4_F)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5 감지 패드(RP5)는 제5 감지 리드 라인(RL5_F)에 접속되며, 제6 감지 패드(RP6)는 제6 감지 리드 라인(RL6_F)에 접속되고, 제7 감지 패드(RP7)는 제7 감지 리드 라인(RL7_F)에 접속되며, 제8 감지 패드(RP8)는 제8 감지 리드 라인(RL8_F)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제3 회로 보드(550)는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되므로, 표시 회로 보드(310)에 장착된 압력 감지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제3 회로 보드(550)의 구동 리드 라인(TL_F)과 제2 압력 센서(512)의 구동 패드(TP)를 통해 구동 라인(TL)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제1 압력 센서(512)의 감지 패드들(RP1~RP8)에 접속된 감지 리드 라인들(RL1_F~RL8_F)을 통해 감지 라인들(RL1~RL8)로부터 전류 값들 또는 전압 값들을 감지함으로써, 압력 감지 셀들(CE1~CE8)들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는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층(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층(CK)은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층(CK)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층(CK)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가장자리를 완전히 둘러싸 제2 압력 센서(512)의 내부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층(CK)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결합층(CK)이 패드 영역(PAD)에 형성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p), 압력 감지 셀들(CE1~CEp), 구동 패드(TP), 및 감지 패드들(RP1~RPp)과 중첩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합층(CK)은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p), 압력 감지 셀들(CE1~CEp), 구동 패드(TP), 및 감지 패드들(RP1~RPp)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결합층(CK)은 제1 기판(SUB1)의 일면 또는 제2 기판(SUB2)의 일면에 먼저 부착된 후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합착 과정에서 다른 기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판(SUB1)의 일면과 제2 기판(SUB2)의 일면에 각각 결합층(CK)이 마련되고,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합착 과정에서 제1 기판(SUB1)의 결합층(CK)과 제2 기판(SUB2)의 결합층(CK)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은 도 12와 같이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구동 전극(TE1)들, 감지 전극(RE1)들, 및 압력 감지층(PSL)을 포함한다.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구동 전극(TE1)들, 및 감지 전극(RE1)들은 제2 기판(SUB2)과 마주보는 제1 기판(SUB1) 상에 배치된다.
구동 연결 전극(TCE)은 구동 라인(TL)과 구동 전극(TE1)들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 끝단에서 구동 라인(TL)에 연결된다. 구동 전극(T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감지 연결 전극(RCE)은 감지 라인들(RL1~RL8) 중 어느 하나와 감지 전극(RE1)들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감지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 끝단에서 감지 라인들(RL1~RL8)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감지 전극(RE1)들은 감지 연결 전극(R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은(Ag), 구리(Cu)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제1 기판(SUB1) 상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인접하여 배치되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있다. 즉,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 전극(TE1), 감지 전극(RE1), 구동 전극(TE1), 감지 전극(RE1)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층(PSL)은 제1 기판(SUB1)과 마주보는 제2 기판(SUB2)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압력 감지층(PSL)은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층(PSL)은 압력 민감 물질 및 압력 민감 물질이 배치되는 고분자 수지(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주석, 구리 등의 금속 미세 입자들(또는 금속 나노 입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층(PSL)은 QTC(Quantum Tunneling Composite)일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도 12와 같이 압력 감지층(PSL)과 구동 전극(TE1)들 사이와 압력 감지층(PSL)과 감지 전극(RE1)들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즉,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압력 감지층(PSL)은 구동 전극(TE1)들 및 감지 전극(RE1)들과 이격되어 있다.
제2 압력 센서(512)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는 경우, 압력 감지층(PSL)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전극(TE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감지 전극(RE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력 감지층(PSL)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력 감지층(PSL)은 전기적인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압력 센서(512)의 압력 감지 셀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압력 감지층(PSL)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감지 전극(RE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라인의 저항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제2 압력 센서(512)의 압력 감지 셀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질수록 감지 라인의 저항 값은 낮아질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감지 라인들(RL1~RL8)로부터 전류 값 또는 전압 값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압력 센서(512)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제1 압력 센서(511),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 4 압력 센서(51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압력 센서(511),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 4 압력 센서(514)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들을 물리 버튼으로 활용하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13에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511)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CE1~CE8)과 제1 단변(SS1)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512)의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6)이 나타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와 제3 압력 센서(513)는 표시 장치(10)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제1 압력 센서(511)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CE1~CE8)과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SS1)에 형성된 제3 압력 센서(513)의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CE1~CE8)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제1 압력 센서(511)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중에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음향을 높이기 위해 누르는 음향 상향 버튼(VB+)으로 활용되고,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음향을 낮추기 위해 누르는 음향 하향 버튼(VB-)으로 활용되며, 제5 압력 감지 셀(CE5), 제6 압력 감지 셀(CE6),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은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해 누르는 전원 버튼(PWB)으로 활용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스피커의 음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스피커의 음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제5 압력 감지 셀(CE5), 제6 압력 감지 셀(CE6),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화면을 끄거나, 표시 장치(10)의 전원 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스퀴징 감지 버튼(S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에 가해지는 스퀴징 압력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해 더 큰 압력일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좌측 곡면부와 우측 곡면부 각각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로부터 스퀴징 압력이 감지되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로부터 스퀴징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를 슬립 모드에서 온(on)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SS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들(CE1~CE6) 중에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은 사용자가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통화 버튼(CB)으로 활용되고,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은 사용자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카메라 버튼(CMB)으로 활용되며, 제5 압력 감지 셀(CE5)과 제6 압력 감지 셀(CE6)은 사용자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인터넷 버튼(I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SS1)에 형성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SS1)에 형성된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SS1)에 형성된 제5 압력 감지 셀(CE5)과 제6 압력 감지 셀(CE6)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서(511)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과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SS1)에 위치한 제3 압력 센서(513)의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들(CE1~CE6)에 압력 인가에 따라, 상기 기능들을 포함하거나 제외한 다양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장변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서(512)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과, 제2 단변에 위치한 제4 압력 센서의 제1 내지 제6 압력 감지 셀들(CE1~CE6) 각각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6의 제1 압력 센서와 범프 및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14c 및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미들 프레임(600) 및 하부 커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미들 프레임(600)은 제1 영역(DR1)에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영역(DR2)에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에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미들 프레임(600)은 제1 영역(DR1)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영역(DR3)에서 제 3 방향(Z축 방향)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영역(DR2)에서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3)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즉,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미들 프레임(600) 각각은 제1 영역(DR1)에서 상면인 평탄부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제2 영역(DR2)에서 상면 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에서 측면인 수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14a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4b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4c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제3 영역(DR3)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제3 영역(DR3)이 너비가 작은 경우,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되거나,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제2 영역(DR2)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영역(DR3)의 너비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제 3영역(DR2)에만 배치될 수 도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중 하나는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압력 센서(510) 제1 압력 센서(511) 각각의 상부에는 범프(BP)가 각각 배치되며, 범프(BP) 각각은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6 접착 부재(960)를 통해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상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 제5 접착 부재(950), 및 제6 접착 부재(96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와 제5 접착 부재(95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의 일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미들 프레임(60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수 부재(400)는 도 16과 같이 베이스 필름(411)과 베이스 필름(411)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점착막(412), 및 베이스 필름(411)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점착막(4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41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와 쿠션층,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 점착막(412)과 제2 점착막(413)은 압력 민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제1 점착막(412)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점착되고, 제2 점착막(413)은 미들 프레임(600)의 측면에 점착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0)의 측면은 제3 영역(DR3)에서 제 3 방향(Z축 방향)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진 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각각의 측면은 하부 커버(9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각각의 측면은 접착 물질을 통하여 하부 커버(900) 상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연결 부재에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 각각에서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서 압력 센서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수 부재(400)가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미들 프레임(600)의 측면을 부착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미들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a 내지 15c는 제3 압력센서 및 제4 압력 센서가 배치된다는 점 외에는 도 14a 내지 14c와 동일하므로, 도 15a 내지 15c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8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의 형상 및 위치가 다른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므로, 도 6의 실시예와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압력 센서(511_1, 512_1)는 제1 압력 센서(511_1)와 제2 압력 센서(512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_1)는 제1 센서부(511a), 제2 센서부(511b) 및 연결부(5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511a)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장변(LS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511b)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단변(SS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511c)는 제1 센서부(511a)와 제2 센서부(511b)를 연결한다. 연결부(511c)는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센서부(511a) 및 제2 센서부(511a)보다 얇은 폭을 가지며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서부(511a)와 제2 센서부(511b)를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압력 센서(512_1)는 제1 센서부(512a), 제2 센서부(512b) 및 연결부(5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512a)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장변(L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512b)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단변(S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512c)는 제1 센서부(512a)와 제2 센서부(512b)를 연결한다. 연결부(512c)는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센서부(512a) 및 제2 센서부(512a)보다 얇은 폭을 가지며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 사이의 모서리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서부(512a)와 제2 센서부(512b)를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511_1)의 제1 센서부(511a)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장변(LS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제2 센서부(511b)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단변(S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511c)는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_1)의 제1 센서부(512a)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장변(L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제2 센서부(512b)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단변(S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512c)는 제1 단변(SS2)과 제2 장변(LS2)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압력 센서(511_2, 512_2)는 제1 압력 센서(511_2)와 제2 압력 센서(512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_2)는 제1 센서부(511a), 제2 센서부(511b), 제3 센서부(511c) 제1 연결부(511d), 제2 연결부(51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511a)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장변(LS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511b)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1 단변(SS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센서부(511c)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단변(S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511d)는 제1 센서부(511a)와 제2 센서부(511b)를 연결하며, 제2 연결부(511e)는 제1 센서부(511a)와 제3 센서부(511c)를 연결한다.
제1 연결부(511d)는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센서부(511a) 및 제2 센서부(511a)보다 얇은 폭을 가지며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511e)는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센서부(511a) 및 제3 센서부(511c)보다 얇은 폭을 가지며 제2 단변(SSs)과 제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_2)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장변(L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512b)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서 제2 단변(SS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중 3개의 변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1개의 변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만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의 Ⅰ-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의 Ⅱ-Ⅱ'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제4 영역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점에서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므로,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와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미들 프레임(600) 및 하부 커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_1)는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인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과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R1)은 제1 평면에 놓인다.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과 연결되되, 그로부터 꺽이거나 휘어져 있다. 제2 영역(DR2)은 제1 평면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제2 평면에 놓이거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_1)의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주변에 배치된다. 제3 영역(DR3)은 제2 영역(DR2)과 연결되되, 그로부터 꺽이거나 휘어져 있다. 제3 영역(DR3)은 제2 평면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제3 평면이며, 제3 평면은 제1 평면에 수직한 면일 수 있다. 제4 영역(DR4) 제3 영역(DR3)과 연결되되, 그로부터 꺽이거나 휘어져 있다. 제4 영역(DR4)은 제3 평면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제4 평면에 놓이거나 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4 영역(DR4) 표시 장치(10_1)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영역(DR4)이 표시 장치(10_1)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하면에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어, 표시 장치(10_1)의 크기 증가 없이도 표시 영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제4 영역(DR4)은 제3 영역(DR3)에서 하면으로 연장되는 평면 및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영역(DR4)은 제 3 영역(DR3)에서 하면으로 연장되는 곡면과 곡면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평면이 포함될 수 있다. 제4 영역(DR4)의 곡면과 제2 영역(DR2)의 곡면은 서로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역(DR2) 및 제 4 영역(DR4)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제4 영역(DR4)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영역(DR2)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제4 영역(DR4)은 제3 영역(DR1)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_1)의 제1 영역(DR1)은 주된 표시면으로 사용되나,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도 표시 장치(10_1)의 표시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_1)의 제1 영역(DR1)이 상면인 평탄부이고, 제2 영역(DR2)이 상면 곡면부이며, 제3 영역(DR3)이 측면인 수직부이고, 제4 영역(DR4)은 하면 곡면부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_1)의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미들 프레임(600) 각각은 제1 영역(DR1)에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영역(DR2)에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에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4 영역(DR4)에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미들 프레임(600) 각각은 제1 영역(DR1)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영역(DR3)에서 제 3 방향(Z축 방향)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영역(DR2)에서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3)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4 영역(DR4)에서 제3 영역(DR3)에서 하면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미들 프레임(600) 각각은 제1 영역(DR1)에서 상면인 평탄부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제2 영역(DR2)에서 상면 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에서 측면인 수직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4 영역(DR4)에서 하면 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미들 프레임(600) 각각은 제4 영역(DR4)에서 곡면 및 곡면에서 연장된 평면을 일부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영역(DR1) 및 제2 영역(DR2)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는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511)는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압력 센서(512)는,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510) 제1 압력 센서(511) 각각의 상부에는 제1 범프(BP1)와 제2 범프(BP2)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510) 제1 압력 센서(511) 각각의 상부에는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상면에 걸쳐 제1 범프(BP1)가 배치되고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제2 범프(BP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범프(BP1)와 제2 범프(BP2)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압력 센서(510) 제1 압력 센서(511) 각각의 상부에는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배치되는 3개 이상의 범프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 각각은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6 접착 부재(960)를 통해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상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은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 제5 접착 부재(950), 및 제6 접착 부재(96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와 제5 접착 부재(95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의 일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의 일 측면과 하부 커버(900)의 측면 사이에 방수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들 프레임(600) 및 하부 커버(900)의 형상에 따라 방수 부재(40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방수 부재(400)의 일면은 패널 하부 부재(390)에 부착되고, 방수 부재(400)의 타면은 미들 프레임(600)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각각의 측면은 하부 커버(9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각각의 측면은 접착 물질을 통하여 하부 커버(900) 측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연결 부재에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 각각에서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서 압력 센서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수 부재(400)가 제1 압력 센서(511) 및 제2 압력 센서(512)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와 미들 프레임(600)을 부착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미들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은 제3 압력센서 및 제4 압력 센서가 배치된다는 점 외에는 도 19와 동일하므로, 도 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1은 표시 패널이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압력 센서가 제4 영역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표시 패널(300)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을 기준으로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영역일 수 있으며, 제3 영역(DR3)은 제2 영역(DR2)으로부터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영역일 수 있고, 제4 영역(DR4)은 제2 영역(DR2)으로부터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은 제1 영역(DR1)을 둘러 싸는 테두리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1에는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 각각의 장변의 길이가 제1 영역(DR1)의 각각 변의 길보다 짧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영역(DR1) 각각의 변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 각각의 장변은 길이는 제1 영역(DR1) 각각의 변의 길이와 동일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0)의 제4 영역은 표시 장치(10_1)를 이루는 과정에서 제3 영역(DR3)에서 표시 장치의 하면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_1)는 상면 및 4개의 측면과 더불어 하면의 4개의 가장자리에서도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 각각은 표시 장치(10_1)를 이루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300)에 대응하여 구부러지며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압력 센서(511), 제2 압력 센서(512), 제3 압력 센서(513) 및 제4 압력 센서(514)는 표시 장치(10_1)의 상면의 4개의 가장자리, 4개의 측면 및 하면의 4개의 가장자리에서도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1 범프 및 제2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센서와 제1 범프 및 제2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1)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1 압력 센서(511)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압력 센서(511)는 복수의 열로 배열된 압력 감지 셀(CE1a~CE8a, CE1b~CE8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드 영역(PAD)에 인접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과,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 감지 셀은 3 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도 있으며, 압력 감지 셀은 비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 및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각각이 8 개의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압력 감지 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과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의 수는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 및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각각이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범프(BP1)는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상면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범프(BP2)는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압력 센서(511)에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제1 노치부(NTH1) 및 제2 노치부(NTH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들 프레임(600)의 형상에 따라 노치부(NTH1, NTH1)가 형성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 및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각각은 독립적인 압력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이 배치된 압력 센서와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이 배치된 압력 센서 각각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제 1 압력 센서(511)가 배치될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12)와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는 제2 압력 센서(512)가 제1 노치부(NTH1) 및 제2 노치부(NTH2)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서 도 22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511),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와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23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12)와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압력 센서와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압력 센서와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3 압력 센서(513)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과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3 압력 센서(513)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3 압력 센서(513)의 길이는 제1 압력 센서(51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압력 센서(513)의 길이와 제1 압력 센서(511)의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3 압력 센서(513)의 길이가 제1 압력 센서(511)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3 압력 센서(513)는 복수의 열로 배열된 압력 감지 셀(CE1a~CE6a, CE1b~CE6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드 영역(PAD)에 인접하여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6a)과,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6a)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 감지 셀은 3 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도 있으며, 압력 감지 셀은 비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6a) 및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6b) 각각이 6 개의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압력 감지 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6a)과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6b)의 수는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6a) 및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6b) 각각이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범프(BP1)는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6a)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6a)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상면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범프(BP2)는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6b)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6b)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 및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각각은 독립적인 압력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이 배치된 압력 센서와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이 배치된 압력 센서 각각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제 3 압력 센서(513)가 배치될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제4 압력 센서(514),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는 제3 압력 센서(513),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와 동일하므로, 도 25에 도시된 제4 압력 센서(514)와 제1 범프(BP1) 및 제2 범프(BP2)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하면에 나타난 압력 감지 셀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CE1b~CE6b)은 제4 영역(DR4)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10_1)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_1)의 하면의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각각의 모서리에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CE1b~CE6b)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_1)의 하면의 제1 장변(LS1)의 가장자리에 제1 압력 센서(511)의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장변(LS2)의 가장자리에 제2 압력 센서(512)의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단변(SS1)의 가장자리에 제3 압력 센서(513)의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6)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단변(SS1)의 가장자리에 제4 압력 센서(514)의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6)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6에는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511, 512, 513, 514)가 표시 장치(10_1)의 하면의 모서리 영역에서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511, 512, 513, 514)가 표시 장치(10_1)의 하면의 가장자리를 둘러 싸는 테두리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511, 512, 513, 514)의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CE1b~CE6b)은 표시 장치(10_1)의 하면의 가장자리를 둘러 싸는 테두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28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29는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과 압력 센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압력 센서의 형상 및 위치가 다른 점에서 도 21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므로, 도 21의 실시예와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511, 512, 513, 514) 각각은 독립적인 제1 센서부(511a, 512b, 513c, 514d)와 제2 센서부(511a, 512b, 513c, 514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511, 512, 513, 514) 각각은 제1 열의 압력 감지 셀(CE1a~CE8a, CE1a~CE6a)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511a, 512b, 513c, 514d)와 제1 센서부(511a, 512b, 513c, 514d)와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제2 열의 압력 감지 셀(CE1b~CE8b, CE1a~CE6a)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511a, 512b, 513c, 514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센서(511)는 제1 장변(LS1)에 위치하고,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상면에 걸쳐 배치되는 제1 센서부(511a)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2 센서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하고,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상면에 걸쳐 배치되는 제1 센서부(512a)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2 센서부(5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압력 센서(513)는 제1 단변(SS1)에 위치하고,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상면에 걸쳐 배치되는 제1 센서부(513a)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2 센서부(5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압력 센서(514)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하고,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상면에 걸쳐 배치되는 제1 센서부(514a)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2 센서부(51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압력 센서(511_1, 512_1)는 제1 압력 센서(511_1)와 제2 압력 센서(512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_1)는 제1 센서부(511a), 제2 센서부(511b) 및 연결부(5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2_1)는 제1 센서부(512a), 제2 센서부(512b) 및 연결부(51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의 실시예는 도 27 과 달리 제1 센서부(511a, 512a)와 제2 센서부(511b, 512b)가 연결부(511c, 512c)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점과, 제1 센서부(511a, 512a)와 제2 센서부(511b, 512b) 각각이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되어, 표시 장치(10_1)의 상면 가장지리부터 하면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각각 배치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압력 센서(511_2, 512_2)는 제1 압력 센서(511_2)와 제2 압력 센서(512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1_2)는 제1 센서부(511a), 제2 센서부(511b), 제3 센서부(511c) 제1 연결부(511d), 제2 연결부(511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센서부(511a), 제2 센서부(511b), 제3 센서부(511c) 및 제2 압력 센서(512_2) 각각은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되어, 표시 장치(10_1)의 상면 가장지리부터 하면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각각 배치된다. 제1 압력 센서(511_2)와 제2 압력 센서(512_2)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단변(SS1, SS2) 및 제1, 제2 장변(LS1, LS2) 중 3개의 변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1개의 변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만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일 실시예의 압력 감지 셀의 위치와 이에 대한 아이콘 네비게이션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_1)는 제 1 내지 제 5 압력 감지 셀(CE1, CE2, CE3, CE4, CE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DR2)에 배치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3 영역(DR2)에 배치된 제2 압력 감지 셀(CE2)과, 제3 영역(DR3) 및 제4 영역(DR4)에 걸쳐 배치된 제3 압력 감지 셀(CE1)과, 제4 영역(DR4)에 배치된 제4 압력 감지 셀(CE1)과, 제1 영역(DR1), 제2 영역(DR2) 및 제3 영역(DR3)에 걸쳐 배치된 제5 압력 감지 셀(CE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_1)는 제 1 내지 제 5 압력 감지 셀(CE1, CE2, CE3, CE4, CE5) 각각에 대응하여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압력 감지 셀(CE1, CE2, CE3, CE4)은 표시 장치(10_1) 의 상면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 장치(10_1)의 전면에서 제1 내지 제4 압력 감지 셀(CE1, CE2, CE3, CE4)의 위치를 안내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 내지 제4 압력 감지 셀(CE1, CE2, CE3, CE4) 각각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10_1)의 상면 가장자리에 아이콘 네비게이션(IN1, IN2, IN3, IN4)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력 감지 셀(CE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는 제1 아이콘 네비게이션(IN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압력 감지 셀(CE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는 제2 아이콘 네비게이션 (IN2)이 배치될 수 있고, 제 3 압력 감지 셀(CE3)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는 제3 아이콘 네비게이션(IN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압력 감지 셀(CE4)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는 제4 아이콘 네비게이션(IN4)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내지 제 4 아이콘 네비게이션(IN1, IN2, IN3, IN4)에 의하여 측면 및 하면의 제1 내지 제4 압력 감지 셀(CE1, CE2, CE3, CE4) 각각의 위치 또는 제1 내지 제4 압력 감지 셀(CE1, CE2, CE3, CE4)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1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의 위치를 설명하면,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_1)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인 가능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은 표시 장치(10_1)의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 및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제1 영역(DR1)과 인접한 제2 영역(DR2)의 끝단에 배치되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b), 제1 영역(DR1) 및 제2 영역(DR2)에 걸쳐 배치되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c), 제1 영역(DR1)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d)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a)은 제1 감지 영역(CA1)에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제1 감지 영역(CA1)의 압력 감지 셀 또는 압력 감지 셀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제1 영역(DR1)과 인접한 제2 영역(DR2)의 끝단에 배치되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b)은 제2 감지 영역(CA2)에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제2 감지 영역(CA2)의 압력 감지 셀 또는 압력 감지 셀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제1 영역(DR1)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d)은 제3 감지 영역(CA3)에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제3 감지 영역(CA3)의 압력 감지 셀 또는 압력 감지 셀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은 이에 대응되는 감지 영역(CA1, CA2, CA3, CA4)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은 이에 대응되는 감지 영역(CA1, CA2, CA3, CA4)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배치될 수도 있고,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의 폭이 이에 대응되는 감지 영역(CA1, CA2, CA3, CA4)의 폭보다 클 수도 있다. 도 31에는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이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이며, 사용자가 압력 감지 셀의 위치를 시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_1)의 영상의 몰입도를 위하여 아이콘 네비게이션(INa, INb, INc, INd)은 표시 장치(10_1)의 제1 영역(DR1)의 가장자리에 대한 제1 터치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고, 제2 터치에 의하여 사라질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커버 윈도우
200: 터치 감지 장치
300: 표시 패널
390: 패널 하부 부재
600: 미들 프레임
511: 제1 압력 센서
512: 제2 압력 센서
513: 제3 압력 센서
514: 제4 압력 센서
400: 방수 부재
900: 하부 커버

Claims (25)

  1.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를 향해 꺾이거나 휘어져 연장된 제1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1 상면 곡면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제1 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패널은 외측면 및 그에 대향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부의 상기 외측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1 상면 곡면부의 상기 외측면은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상면 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상기 외측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탄부의 상기 내측면 하부로 연장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1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하면 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 셀은,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 전극과 감지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방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미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범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상기 평탄부의 제2 가장자리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2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를 향해 꺾이거나 휘어져 연장된 제2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2 상면 곡면부로부터 연장된 제2 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상면 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탄부의 상기 내측면 하부로 연장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2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하면 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기 평탄부의 제3 가장자리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3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를 향해 꺾이거나 휘어져 연장된 연장된 제3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3 상면 곡면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제3 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제3 상면 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평탄부의 제3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제3 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측면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탄부의 상기 내측면 하부로 연장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3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압력 센서는 상기 제3 하면 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3 압력 센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1, 제3 압력 센서 각각의 폭보다 좁은 표시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평탄부, 상기 제1 상면 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탄부의 상기 내측면 하부로 연장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1 하면 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면 곡면부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측면부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압력 감지 셀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가장자리에 아이콘 네비게이션을 표시하며, 상기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 네비게이션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4.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를 향해 꺾이거나 휘어져 연장된 제1 상면 곡면부와, 상기 제1 상면 곡면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제1 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패널은 외측면 및 그에 대향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부의 상기 외측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1 상면 곡면부의 상기 외측면은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상면 곡면부의 상기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180096108A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KR10263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08A KR102636883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US16/414,712 US11023064B2 (en) 2018-08-17 2019-05-16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CN201910719473.XA CN110837311A (zh) 2018-08-17 2019-08-06 显示装置
US17/242,122 US11353981B2 (en) 2018-08-17 2021-04-27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on a side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08A KR102636883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26A KR20200021026A (ko) 2020-02-27
KR102636883B1 true KR102636883B1 (ko) 2024-02-15

Family

ID=6952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08A KR102636883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23064B2 (ko)
KR (1) KR102636883B1 (ko)
CN (1) CN1108373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1660B2 (en) 2018-05-03 2021-08-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KR102473627B1 (ko) * 2018-05-17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 2018-08-20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494241B (zh) * 2018-10-08 2020-1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534189B1 (ko) * 2018-12-17 2023-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방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210030544A (ko) 2019-09-09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053624A4 (en) * 2019-11-01 2022-11-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CN113391712A (zh) * 2020-03-11 2021-09-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压感触摸屏及显示装置
CN113821115A (zh) * 2020-06-18 2021-12-21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防漏光的触控显示设备
KR102509707B1 (ko) * 2020-12-23 2023-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13066366B (zh) * 2021-03-15 2022-05-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556193B1 (en) * 2021-07-01 2023-01-17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1485A1 (en) * 2016-09-21 2018-03-22 Apple Inc. Gasket with embedded capacitiv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8760B2 (en) 2006-03-30 2009-05-26 Apple Inc. Force imaging input device and system
US8638311B2 (en) * 2008-12-08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686952B2 (en) 2008-12-23 2014-04-01 Apple Inc.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KR101065575B1 (ko) * 2008-12-25 2011-09-20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압압검출기능을 가진 터치 패널 및 당해 터치 패널용 감압센서
US8654524B2 (en) 2009-08-17 2014-02-18 Apple Inc. Housing as an I/O device
US8633916B2 (en)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US8787006B2 (en) 2011-01-31 2014-07-22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8816972B2 (en) * 2011-04-28 2014-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curved area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9886116B2 (en) 2012-07-26 2018-02-06 Apple Inc.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KR102016119B1 (ko) *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85213A1 (en) 2012-09-21 2014-03-27 Apple Inc. Force Sensing Using Bottom-Side Force Map
US9178509B2 (en) 2012-09-28 2015-11-03 Apple Inc. Ultra low travel keyboard
KR102058699B1 (ko) * 2013-01-24 2019-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및 휨 감지 기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513663B2 (en) 2013-04-02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itive display
US9591295B2 (en) * 2013-09-24 2017-03-07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9430180B2 (en) *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2279707B1 (ko) * 2013-12-18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5215800A (ja) * 2014-05-12 2015-12-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携帯型電子装置
FR3021134B1 (fr) *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US20150379915A1 (en) * 2014-06-27 2015-12-31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CN108027683A (zh) * 2015-07-15 2018-05-11 互联电子公司 力传感边框触摸界面
KR102491287B1 (ko) * 2016-01-14 202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70140976A (ko) * 2016-06-14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524906B1 (ko) * 2016-09-19 2023-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3364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481728B2 (en) * 2016-11-02 2019-11-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touch sensor
KR102645631B1 (ko) * 2016-11-22 2024-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디드 표시 장치
US20190302949A1 (en) * 2018-04-02 2019-10-03 Maxline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d force-touch based gesture solutions
KR102473627B1 (ko) 2018-05-17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9800B1 (ko) * 2018-07-17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81974B1 (ko) * 2018-07-31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50324B1 (ko) * 2018-08-01 2023-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1485A1 (en) * 2016-09-21 2018-03-22 Apple Inc. Gasket with embedded capacitiv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53981B2 (en) 2022-06-07
KR20200021026A (ko) 2020-02-27
CN110837311A (zh) 2020-02-25
US20200057545A1 (en) 2020-02-20
US11023064B2 (en) 2021-06-01
US20210271366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883B1 (ko) 표시 장치
KR102654691B1 (ko) 표시 장치
KR102589782B1 (ko)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표시 장치
KR102582263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102589832B1 (ko) 표시 장치
KR102644091B1 (ko) 표시 장치
KR102555824B1 (ko) 표시 장치
KR20200014951A (ko) 표시 장치
KR102636887B1 (ko) 표시 장치
KR20200057867A (ko) 압력 센서와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CN111694460A (zh) 显示装置
KR102650629B1 (ko) 압력 센서와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20200115793A (ko) 표시 패널
KR20210042196A (ko) 압력 센서와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20210033112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