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800B1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800B1
KR102519800B1 KR1020180082825A KR20180082825A KR102519800B1 KR 102519800 B1 KR102519800 B1 KR 102519800B1 KR 1020180082825 A KR1020180082825 A KR 1020180082825A KR 20180082825 A KR20180082825 A KR 20180082825A KR 102519800 B1 KR102519800 B1 KR 10251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sensing area
disposed
input signal
touc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164A (ko
Inventor
서문희
홍원기
박성국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800B1/ko
Priority to US16/401,245 priority patent/US11216177B2/en
Priority to CN201910643571.XA priority patent/CN110727369B/zh
Publication of KR2020000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부의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부의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1 입력신호가 제1 압력 센서 또는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2 입력신호가 제1 압력 센서 또는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터치 패널에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전자 장치의 표시부를 확장하여 휴대용이면서도 일정 크기 이상의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에지(edge)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품들이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UI/UX)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부의 에지(edge) 영역에 실장된 압력 센서(force sensor)를 활용하여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부의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부의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1 입력신호가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2 입력신호가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기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양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두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와 중첩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특정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아이템 각각은 상기 실행가능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감지 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표시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입력신호는 상기 에지부를 탭(tap), 스와이프(swipe) 또는 스퀴즈(squeeze)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전화, 이메일, 메시지, 음악 재생기, 동영상 재생기, 녹음기, 알람, 손전등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작 메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조작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클릭, 드래그 또는 스크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전면에 메인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상기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가 포트레이트 뷰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뷰 모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제1 입력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양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1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2 입력신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3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두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 및/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저장부, 양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제1 입력신호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입력신호의 감지 횟수와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제2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두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 및/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와 중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에지 표시부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실장된 압력 센서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압력 센서의 A영역을 레이어(layer)별로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 센서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통화 목록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긴급 전화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실행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통화 수신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도 13 이동 단말기의 음악 재생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도 16 이동 단말기의 녹음기 실행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는 이동 단말기로 가정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는 제어부(200), 저장부(310), GPS 칩(320), 통신부(330), 비디오 프로세서(340), 오디오 프로세서(350), 버튼(360), 마이크부(370), 촬상부(380), 스피커부(390), 센서부(400) 및 압력 센서(500)를 포함한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플렉서블 하지 않은 일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도, 이동 단말기(1)가 펜 입력 기능도 지원하는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의 손가락 이외에도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쳐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이 내부에 코일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일 경우, 이동 단말기(1)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제스쳐 뿐만 아니라 근접 제스쳐, 즉, 호버링(hovering)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310)는 이동 단말기(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310)에는 메인 영역 및 에지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 및 에지 영역 각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 에지 영역 및 그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그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버스(250)를 포함한다.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등은 버스(2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230)는 저장부(3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20)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30)는 ROM(22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RAM(210)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3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10)에 복사하고, RAM(210)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240)는 이동 단말기(1)의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영역 및 에지 영역 중에서 활성화된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24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으로 제공되어, 메인 영역 및 에지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GPS 칩(320)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0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3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30)는 와이파이칩(331), 블루투스 칩(332), 무선 통신 칩(333), NFC 칩(334)을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통신부(3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이나 블루투스 칩(3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3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33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35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340) 및 오디오 프로세서(35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메인 영역, 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390)는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버튼(360)은 이동 단말기(1)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 부(37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촬상부(38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위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촬상부(380) 및 마이크 부(37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380)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촬상부(38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가 지원되는 이동 단말기(1)에서는,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모션 인식 기술이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홈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듯한 모션을 취하거나,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어를 발음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400)는 이동 단말기(1)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이동 단말기(1)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400)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할 압력 센서부(500)는 이동 단말기(1)의 엣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미도시)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그 밖에,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기(1)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10)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에는 OS(610), 커널(620), 미들웨어(630), 어플리케이션(6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6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6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620)은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6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630)는 이동 단말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에 따르면, 미들웨어(630)는 X11 모듈(630-1), APP 매니저(630-2), 연결 매니저(630-3), 보안 모듈(630-4), 시스템 매니저(6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630-6), UI 프레임워크(630-7), 윈도우 매니저(630-8), 필기 인식 모듈(6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630-1)은 이동 단말기(1)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630-2)는 저장부(31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6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630-2)는 X11 모듈(6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6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630-3)는 DNET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6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630-5)는 이동 단말기(1)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6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630-7)나 에지UI 프레임워크(6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630-6)는 이동 단말기(1)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6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630-7)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에지 UI 프레임워크(630-9)는 에지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630-7) 및 에지 UI 프레임워크(6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6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6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630-7) 또는 에지 UI 프레임워크(6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그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6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640-1 ~ 6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PU(230)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6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31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은, 이동 단말기(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의 제어부(20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이동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동 단말기(1) 본체에 구비된 버튼 또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일정 시각에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사전 설정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1 레이아웃 또는 제2 레이아웃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레이아웃은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에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의미하고, 제2 레이아웃은 상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이동 단말기(1)의 현재 상태가 제1 레이아웃 표시 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에지 영역에 제1 레이아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에지 영역의 전체에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에지 영역의 일부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영역 및 에지 영역 모두에서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일부가 에지 영역 상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실장된 압력 센서의 투시도이고,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압력 센서의 A영역을 레이어(layer)별로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 센서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 영역(100)과 이를 둘러싼 베젤(BZ)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BZ) 영역의 상단에 스피커부(390) 및 촬상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젤(BZ) 영역의 상단에는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등이 더 배치될 수 있고, 베젤(BZ) 영역의 하단에는 마이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베젤(BZ) 영역의 중단에는 후술할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에지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메인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홈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홈 버튼이나 전면 스피커 등이 배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한 영역을 메인 영역이라고 하고, 사이드 면이나 후면에 위치한 영역을 에지 영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또는, 메인 영역은 영역 내의 UI 엘리먼트를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에지 영역은 메인 영역의 UI 엘리먼트를 간접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에지 영역의 면적은 메인 영역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은 메인 영역과 상이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메인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었다면,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면(surface)들 중에서 우측면(right side surface), 좌측면(left side surface), 후면(back surface)과 같이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면은 둔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면은 각각 평면이 될 수도 있고,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에지 영역의 형태, 위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에지 영역은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90도에 가깝게 벤딩될 수 있다. 즉,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면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전체가 에지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영역이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에지 영역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뿐만 아니라 상측면 및 하측면까지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에지 영역은 메인 영역의 반대 방향 측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전면에 형성된 메인 영역, 측면에 형성된 제1 에지 영역, 후면에 형성된 제2 에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제2 에지 영역은 후면 전체를 덮지 않고, 후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면이 평면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평면과, 제2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은, 제1 에지 영역을 통해 접할 수 있고, 경계 영역은 라인 형상이 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령,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 표시 방법, 레이아웃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에지 영역(A, B)에는 11자 형태의 압력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5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압력 센서(500)는 별도의 패널로 이루어진 외장형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포함된 일체형일 수 있다.
압력 센서(500)는 상, 하 필름(500_1, 500_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에지 영역(A)에 배치된 상, 하 필름(500_1, 500_2)의 경우, 노치(Notch) 형상일 수 있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배면에는 패널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커텍터와 압력 센서(500) 간에 신호 간섭을 회피 위한 설계일 수 있다. 우측 에지 영역(B)에 배치된 상, 하 필름(500_1, 500_2)은 긴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 하 필름(500_1, 500_2)의 구성 물질은 PI, PET 등일 수 있다. 상 필름(500_2)은 압력 민감 물질(PS)일 수 있고, 하 필름(500_1)은 빗(comb) 형상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든 단위 전극의 제1 전극(Tx)은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Rx)은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전극(Tx, Rx)은 Ag, Cu 등의 물질일 수 있고, 압력 민감 물질은 Metal nanoparticle in polymer, Carb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에는, 압력 센서(500)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5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장변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장변의 약 50%에 해당되는 길이에 10개의 채널(또는 10 쌍의 세그먼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를 한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검지 또는 엄지 손가락이 놓이는 부분과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에 배치된 압력 센서(5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될 수 있다.
에지 영역(A, B)의 하단부에는, 압력 센서(500)가 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5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장변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장변의 약 50%에 해당되는 길이에 1개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를 한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그립(grip)되는 부분과 에지 영역(A, B)의 하단부에 배치된 압력 센서(5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 또는 우측 에지 영역(A, B)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부에는, 압력 센서(500)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5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좌측 및 우측 장변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장변의 약 50%에 해당되는 길이에 3개의 채널(또는 3 쌍의 세그먼트)을 형성할 수 있다.
에지 영역(A, B)의 하단부에 배치된 압력 센서(500)의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극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 하 필름(500_1, 500_2) 외곽부에는 압력 민감 물질(PS)의 개스킷(Gask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분리되지 않고 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5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과 브라켓(BR)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는 상술한 메인 영역에 해당하는 전면(FS)과 상술한 에지 영역에 해당하는 측면(SW) 및 엣지 영역(ED)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5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과 브라켓(BR) 사이에 테이프(TP) 등과 같은 접착층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압력 센서(500)는 하 필름(500_1)의 일면에 압력 집중 구조물(PC)이 배치되고 타면에 제1, 제2 전극(Tx, Rx)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 필름(500_2)의 일면에 압력 민감 물질(PS)이 배치될 수 있다. 상 필름(500_2)의 압력 민감 물질(PS)이 배치된 면과 하 필름(500_1)의 제1, 제2 전극(Tx, Rx)이 배치된 면이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하 필름(500_1, 500_2) 사이에 지지 구조물(500_3)이 배치되어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 집중 구조물(PC)의 재료는 Ag, Ti/Al/Ti, Ti/Cu 또는 고 경도 인슐레이터(Insulator)일 수 있다. 또한 압력 집중 구조물(PC)의 크기는 센서 노드(node)의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집중 구조물(PC)의 크기는 약 5X5mm일 수 있고, 압력 집중 구조물(PC)의 높이는 약 5um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에지 영역(A, B)에 복수의 아이템(10, 20)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의 우측에 전원 키(10_1) 및 통화 키(10_2)를 바(bar)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의 좌측에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를 바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10_1, 10_2, 10_3, 10_4)은 상술한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에 배치된 세그먼트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아이템은 상술한 5개의 세그먼트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상기 바 형상의 아이템은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2개씩 배치될 수 있고, 아이템 하나의 길이는 세그먼트 5개의 길이의 합과 일치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10_1, 10_2, 10_3, 10_4)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에지 영역(A, B)에 사용자가 기 설정한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의 우측에 전원 키(30_1), 통화 키(30_2), 메시지(30_3) 및 이메일(30_4) 등의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정사각형 형상의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의 좌측에 인터넷(30_5), 사진 앨범(30_6), 음악 재생기(30_7) 및 SNS(30_8) 등의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정사각형 형상의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아이템은 상술한 2개의 세그먼트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사각형 형상의 아이콘은 에지 영역(A, B)의 상단부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4개씩 배치될 수 있고, 아이콘 하나의 길이는 세그먼트 2개의 길이의 합과 일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에지 영역(A, B)의 하단부의 우측에 스퀴징 바(20_1)를 바(bar)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에지 영역(A, B)의 하단부의 좌측에 메뉴 감춤 키(20_3)를 포함하는 스퀴징 바(20_2)를 바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메뉴 감춤 키(20_3)에 입력 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아이템(20_1, 20_2)은 상술한 에지 영역(A, B)의 하단부에 배치된 통으로 형성된 1 쌍의 압력 센서(50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아이템(10, 20)의 종류, 형상, 크기, 개수, 햅틱 효과 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복수의 아이템(10, 20)의 종류, 형상, 크기, 개수, 햅틱 효과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용 윈도우를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에지 영역(A, B)에 표시하려는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종류, 형상, 크기, 개수, 햅틱 효과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수에 비례하여, 사용자가 한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한 영역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전자장치를 파지한다고 가정하면, 제어부는 엄지 손가락 또는 검지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에지 영역(A, B)에 아이템을 우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에지 영역(A, B)에 표시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개수를 인식한 후, 센서의 세그먼트 개수에 비례하여 아이템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지 영역(A)의 상단에 표시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수가 10개인 경우, 에지 영역(A)의 상단에 배치된 세그먼트도 10개인 경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템 하나의 크기를 세그먼트 하나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각각의 아이템을 세그먼트와 일대일로 중첩되도록 에지 영역(A)의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의 동작 상태는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인 시스템 오프(off)모드, 절전 상태인 슬립(sleep) 모드(락 스크린 상태 포함), 일정 시간 입력이 없는 상태인 대기(idle) 모드 및 입력에 해당하는 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인 활성화(active)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오프 모드 및 슬립 모드는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이며, 상기 시스템 오프 상태는 APP 매니저(630_2) 및 디스플레이가 모두 꺼진 상태이고, 저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동안 압력 센서(500)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동안 압력 센서(5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투명도를 낮춰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투명도는 10에서 90의 레벨을 가질 수 있고, 90의 레벨에 가까워질수록 투명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이동 단말기(1)가 어웨이크(awake) 상태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 등의 구성요소가 턴 오프된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압력 센서(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동안 또는 이동 단말기(1) 가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터치 센서(92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50 레벨의 투명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동안 지정된 조건이 달성되면 압력 센서(500)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상술한 조건이 달성되는 경우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후 지정된 시간 이후부터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압력 센서(50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후 지정된 시간 이후부터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자이로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이 감지되면 압력 센서(500)를 활성화할 수 있고, 이 때,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지정된 시간 구간 동안, 온도가 지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동 단말기(1)가 다른 외부 장치와 근접한 경우, 또는 이동 단말기(1) 내에 탑재된 스타일러스가 이동 단말기(1)로부터 꺼내진 경우 압력 센서(500)를 활성화할 수도 있고, 이 때,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대기 상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음악 재생기)이 실행되는 동안 압력 센서(500))를 활성화할 수도 있고, 이 때,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동안 지정된 조건 달성되면 압력 센서(500)의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가 주머니에 놓인 경우, 가방 안에 들어간 경우, 또는 뒤집힌 경우 압력 센서(5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이동 단말기(1)가 외부 장치와 연결된 경우(예를 들어, 데스크 탑과 연결된 경우) 압력 센서(5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템(10, 20)을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동안 압력 센서(500) 중 지정된 영역만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템(10, 20)의 일부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대기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압력 센서(500)중 지정된 일부 영역(예를 들어, 에지 영역의 하단에 배치된 압력 센서)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활성화된 압력 센서(500)와 중첩되게 표시되는 스퀴징 바(20_1, 20_2)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500)를 활성화하거나 인에이블함으로써, 제어부(200)는 이동 단말기(1)가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압력 센서(500)를 이용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동안 압력 센서(500)로부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대한 외부 물체에 의한 압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의 제어부(200)는 압력 센서(500)를 통해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00).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사이드 영역(A, B)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통화 키(10_2),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두 개의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움켜쥠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 이하인 경우, 압력 센서(500)를 통해 새로운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S13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햅틱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상의 아이템을 누를 때, 실제 물리 버튼을 눌렀을 때와 유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아이템을 눌렀을 때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아이템을 눌렀을 때에 서로 다른 패턴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후 압력 센서(500)를 통해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40).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사이드 영역(A, B)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통화 키(10_2),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두 개의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움켜쥠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60). 제1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또는 실행하기 위한 클릭, 드래그 또는 스크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S131).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별도의 입력이 없이도 동시에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41).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또는 실행하기 위한 클릭, 드래그 또는 스크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통화 목록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템(10_1, 10_2, 10_3, 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입력되고, 제1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기설정된 시간 임계치 이하이며, 제2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입력되고, 제2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통화 키(10_2)를 누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통화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화 목록은 최근 송수신한 상대방의 연락처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즐겨 찾기 목록일 수도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스퀴징 바(20_1, 20_2)가 표시된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을 움켜쥘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가해진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통화 목록을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입력 신호의 횟수가 짝수 또는 홀수인지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증감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긴급 전화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절전 상태인 슬립(sleep) 모드에서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입력되고,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 및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상태에서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을 움켜쥘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상태에서 복수의 아이템(10, 20)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템(10, 20)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항상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긴급 통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200)는 별도의 입력이 없이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긴급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긴급 통화의 상대방 전화 번호를 저장부(31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GPS 칩(320) 및/또는 통신부(330)을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실행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절전 상태인 슬립(sleep) 모드에서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입력되고,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 이하인 경우이며, 제2 입력 신호 역시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입력되고, 제2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상태에서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을 움켜쥘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이 턴 오프된 상태에서 복수의 아이템(10, 20)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복수의 아이템(10, 20)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항상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카메라 프리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표시된 스퀴징 바(20_1, 20_2)를 한번 더 움켜쥘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 프리뷰 화면을 캡쳐(capture)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입력 시간이 짧은 경우, 카메라 프리뷰 화면의 정지영상을 캡쳐할 수 있고,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입력 시간이 긴 경우, 카메라 프리뷰 화면의 동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통화 수신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수신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입력되고,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 초과한 경우 및 임계치 이하인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수신 전화 화면이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표시된 스퀴징 바(20_1, 20_2)를 움켜쥘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통화 화면을 표시하고, 수신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라고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통화 거절 화면을 표시하고, 수신 전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거절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의 제어부(200)는 압력 센서(500)를 통해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200).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사이드 영역(A, B)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통화 키(10_2),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 이하인 경우, 압력 센서(500)를 통해 새로운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입력 신호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가 유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입력 신호를 압력 센서(50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S230). 상기 제2 입력은 예를 들어, 상기 제2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두 개의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움켜쥠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제1 입력 신호가 유지되는 시간은 도 8에서 상술한 제1 입력 신호의 시간 임계치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제1, 제2 입력 신호는 거의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제2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40). 제어부(200)는 제2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 이하인 경우, 압력 센서(500)를 통해 새로운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S25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1, 제2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햅틱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상의 아이템을 누를 때, 실제 물리 버튼을 눌렀을 때와 유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압력 센서(500)를 통해 제3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260). 상기 제3 입력은 사용자가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사이드 영역(A, B)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통화 키(10_2),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스와이프 입력 신호는 기 일정한 압력을 갖는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제3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70).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80). 제1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또는 실행하기 위한 클릭, 드래그 또는 스크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 이동 단말기의 음악 재생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템(10_1, 10_2, 10_3, 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입력되고, 동시에, 제2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입력될 수 있다. 제1, 제2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 제3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템(10, 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 신호 또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일 수 있고, 제3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볼륨업 키(10_3)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누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입력 신호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된다고 판단한 경우,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입력이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A)의 상단에 배치된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에 대하여 스와이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의 상단에 가해진 스와이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볼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500)는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각각에 5개 채널씩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대응하여 총 10 단계로 음량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및 통화 키(10_2)에 대하여 스와이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의 상단에 가해진 스와이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의 구간을 포워드(forward)하거나 리와인드(rewind)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500)는 전원 키(10_1) 및 통화 키(10_2) 각각에 5개 채널씩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대응하여 총 10 단계로 구간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움켜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하여 가해진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재생 중인 음악의 다음 곡 또는 이전 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입력 신호 길이의 장단에 따라 곡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템(10_1, 10_2, 10_3, 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입력되고, 동시에, 제2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입력될 수 있다. 제1, 제2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 제3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에 배치된 복수의 아이템(10, 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 신호일 수 있고, 제3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움직임 감지부(400)를 통해 이동 단말기(1)가 포트레이트(portrait) 뷰 모드에서 랜드 스케이프(landscape) 뷰 모드로 전환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포트레이트 뷰 모드는 이동 단말기(1)를 세로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이고, 랜드 스케이프 뷰 모드는 이동 단말기(1)를 가로로 뉘어서 사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이동 단말기(1)의 뷰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동일한 입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어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14에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볼륨업 키(10_3)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누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입력 신호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된다고 판단한 경우,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입력이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볼륨업 키(10_3)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한 입력에 대하여, 포트레이트 뷰 모드에서는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랜드 스케이프 뷰 모드에서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를 사용하는 습관이 반영되어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A)의 상단에 배치된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에 대하여 스와이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의 상단에 가해진 스와이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볼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500)는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각각에 5개 채널씩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대응하여 총 10 단계로 음량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및 통화 키(10_2)에 대하여 스와이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의 상단에 가해진 스와이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의 구간을 포워드(forward)하거나 리와인드(rewind)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500)는 전원 키(10_1) 및 통화 키(10_2) 각각에 5개 채널씩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대응하여 총 10 단계로 구간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의 제어부(200)는 압력 센서(500)를 통해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300).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사이드 영역(A, B)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통화 키(10_2),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두 개의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움켜쥠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은 탭(tap), 스퀴징(squeezing) 또는 스와이프(swipe) 등일 수 있고,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 이하인 경우, 압력 센서(500)를 통해 새로운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감지 횟수 별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또한,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햅틱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패턴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상의 아이템을 누를 때, 실제 물리 버튼을 눌렀을 때와 유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아이템을 눌렀을 때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아이템을 눌렀을 때에 서로 다른 패턴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감지 횟수 별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감지 횟수 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S330). 감지 횟수 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후 압력 센서(500)를 통해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340).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의 사이드 영역(A, B)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상단에 배치된 전원 키(10_1), 통화 키(10_2), 볼륨업 키(10_3) 및 볼륨다운 키(10_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압력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입력은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두 개의 스퀴징 바(20_1, 20_2)를 동시에 움켜쥠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60). 제1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또는 실행하기 위한 클릭, 드래그 또는 스크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7은 도 16 이동 단말기의 녹음기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해 2회 입력되고,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며,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감지 횟수 별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전화 키(10_2)에 입력될 수 있고, 제2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를 2회 연속으로 누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감지 횟수 별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녹음기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3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입력 신호 횟수와 이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가 입력된 횟수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통화 키(10_2)를 누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통화 키(10_2)에 대하여 가해진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녹음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통화 키(10_2)에 대해 2회 입력되고,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며,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감지 횟수 별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입력 신호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입력될 수 있고, 제2 입력 신호의 압력 세기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B)의 상단에 배치된 통화 키(10_2)를 2회 연속으로 탭(tap)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입력 신호의 압력 감지 횟수 별로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3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입력 신호 횟수와 이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가 입력된 횟수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를 움켜쥘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이드 영역(A, B)의 하단에 배치된 스퀴징 바(20_1, 20_2)에 대하여 가해진 압력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된 인터넷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0)는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입력 신호의 횟수가 짝수 또는 홀수인지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스퀴징 바(20_1, 20_2)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증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이동 단말기 10: 복수의 아이템
20: 스퀴징 바 100: 에지 터치 디스플레이
500: 압력 센서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부의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부의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1 입력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 이하이면 제1 어플리케이션에 관계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2 어플리케이션에 관계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입력신호가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양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두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특정한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템 각각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감지 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표시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입력신호는 상기 에지부를 탭(tap), 스와이프(swipe) 또는 스퀴즈(squeeze)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전화, 이메일, 메시지, 음악 재생기, 동영상 재생기, 녹음기, 알람, 손전등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작 메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조작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클릭, 드래그 또는 스크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전면에 메인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상기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가 포트레이트 뷰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뷰 모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제1 입력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양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1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입력신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3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두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 및/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7. 저장부;
    양 측면에 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양 측면 에지부의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1 입력신호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입력신호의 감지 횟수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 설정된 압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두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의 세그먼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는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 및/또는 상기 제2 감지 영역에 배치된 세그먼트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180082825A 2018-07-17 2018-07-17 전자 장치 KR10251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25A KR102519800B1 (ko) 2018-07-17 2018-07-17 전자 장치
US16/401,245 US11216177B2 (en) 2018-07-17 2019-05-02 Electronic device
CN201910643571.XA CN110727369B (zh) 2018-07-17 2019-07-17 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25A KR102519800B1 (ko) 2018-07-17 2018-07-17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164A KR20200009164A (ko) 2020-01-30
KR102519800B1 true KR102519800B1 (ko) 2023-04-10

Family

ID=6916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825A KR102519800B1 (ko) 2018-07-17 2018-07-17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16177B2 (ko)
KR (1) KR102519800B1 (ko)
CN (1) CN1107273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27B1 (ko) * 2018-05-17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35004B1 (ko) * 2018-07-27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36883B1 (ko) 2018-08-17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2018-08-20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02163A (ko) * 2019-06-26 2021-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531920B (zh) * 2019-08-29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侧边工具栏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10082970A (ko) * 2019-12-26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638810B (zh) * 2020-05-26 2024-04-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494031B2 (en) * 2020-08-23 2022-11-08 Sentons Inc. Touch input calibration
KR20220030383A (ko)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495996B1 (ko) 2021-10-21 2023-02-09 주식회사 에스디텍 홀 센서를 이용한 스위칭 소자
US20230214045A1 (en) * 2022-01-06 2023-07-06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3305A1 (en) * 2013-03-11 2014-09-11 Amazon Technologies, Inc. Force sensing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7538760B2 (en) 2006-03-30 2009-05-26 Apple Inc. Force imaging input device and system
US9335868B2 (en) * 2008-07-31 2016-05-10 Apple Inc. Capacitive sensor behind black mask
EP3654141A1 (en) * 2008-10-06 202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US9213450B2 (en) * 2008-11-17 2015-12-15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sensor
US8368658B2 (en) * 2008-12-02 2013-02-05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soft key adaptation with left-right hand edge sensing
US8686952B2 (en) 2008-12-23 2014-04-01 Apple Inc.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US8654524B2 (en) 2009-08-17 2014-02-18 Apple Inc. Housing as an I/O device
KR101768540B1 (ko) 2009-10-30 2017-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ui 제공방법
JP2011108186A (ja) * 2009-11-20 2011-06-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33916B2 (en)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JP5882232B2 (ja) * 2010-02-10 2016-03-09 マイクロチップ テクノロジー ジャーマニー ゲーエムベーハー 手動入力動作と相関する信号の発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692790B2 (en) * 2011-02-25 2014-04-08 Taiwan Green Point Enterprises Co., Ltd. Capacitive touch sensitiv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787006B2 (en) 2011-01-31 2014-07-22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1853856B1 (ko) * 2011-10-04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375335B1 (ko) *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5486B1 (ko) 2012-06-26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886116B2 (en) 2012-07-26 2018-02-06 Apple Inc.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US20140085213A1 (en) 2012-09-21 2014-03-27 Apple Inc. Force Sensing Using Bottom-Side Force Map
US9178509B2 (en) 2012-09-28 2015-11-03 Apple Inc. Ultra low travel keyboard
GB201300031D0 (en) * 2013-01-02 2013-02-13 Canonical Ltd Ubuntu UX innovations
KR102118381B1 (ko) * 2013-03-06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019170B2 (en) * 2013-03-14 2015-04-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13663B2 (en) 2013-04-02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itive display
US9141240B2 (en) * 2013-05-21 2015-09-22 Nokia Technologies Oy Capacitive touch sensor
EP2916195B1 (en) * 2014-03-03 2019-09-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107476A (ko) * 2014-03-14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7107253A (ja) * 2014-04-14 2017-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5215800A (ja) * 2014-05-12 2015-12-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携帯型電子装置
FR3021485A1 (fr) * 2014-05-26 2015-11-27 Lg Electronics Inc Dispositif mobile et methode de controle associee
KR20150135837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운용 전자장치 및 방법
US9766743B2 (en) * 2014-05-30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80761B2 (en) * 2014-06-27 2019-01-15 Sharp Kabushiki Kaisha Touch-panel-equipped display device including side surface electrodes
WO2016056516A1 (ja) * 2014-10-10 2016-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298972B1 (ko) * 2014-10-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엣지에서 수행되는 제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동작 수행
KR102239861B1 (ko) *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08645B1 (ko) *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067666B2 (en) * 2015-01-08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32664B2 (en) *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KR101679561B1 (ko) 2015-06-11 2016-11-28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압력 센서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381051B1 (ko) * 2015-07-01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70111827A (ko) * 2016-03-29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8789B1 (ko) 2016-09-0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318034B1 (en) * 2016-09-23 2019-06-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via proximity-based and contact-based inputs
KR102645631B1 (ko) * 2016-11-22 2024-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디드 표시 장치
US10477277B2 (en) * 2017-01-06 2019-11-12 Google Llc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with expanding cells for video preview
KR20180090635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객체 표시 방법
US10254871B2 (en) * 2017-04-10 2019-04-09 Google Llc Using pressure sensor input to selectively route user inputs
KR102364420B1 (ko) * 2017-04-26 2022-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330999B1 (ko) * 2017-08-01 2021-1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126258B2 (en) * 2017-10-14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nd mapping multi-sided touch
KR102550324B1 (ko) * 2018-08-01 2023-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3305A1 (en) * 2013-03-11 2014-09-11 Amazon Technologies, Inc. Force sensing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27369B (zh) 2024-04-12
US11216177B2 (en) 2022-01-04
CN110727369A (zh) 2020-01-24
KR20200009164A (ko) 2020-01-30
US20200026422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800B1 (ko) 전자 장치
KR10242382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335001B (zh) 具有弯曲显示器的电子设备以及用于控制其的方法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58030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WO2021143805A1 (zh) 一种微件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157885B2 (ja) 携帯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1559091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56772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088694A1 (zh) 手势校准方法、装置及手势输入处理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084469A1 (zh) 触摸控制方法、用户设备、输入处理方法和移动终端
WO2023093661A1 (zh) 界面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4056519A (ja) 携帯端末装置、誤操作判定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4008534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ipulating scale or rotation of graphic 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