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00B1 -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00B1
KR101947700B1 KR1020140169554A KR20140169554A KR101947700B1 KR 101947700 B1 KR101947700 B1 KR 101947700B1 KR 1020140169554 A KR1020140169554 A KR 1020140169554A KR 20140169554 A KR20140169554 A KR 20140169554A KR 101947700 B1 KR101947700 B1 KR 10194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network
centers
are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506A (ko
Inventor
김종원
나태흠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6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700B1/ko
Priority to US14/956,315 priority patent/US10212216B2/en
Publication of KR2016006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distributed management centres cooperatively managing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04L41/12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of virtualised topologies, e.g. software-defined networks [SDN] or network function virtualisation [NF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장칭는,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감지하는 노드상태감지부;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영역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공통되는 내부로 정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는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연결하는 구획선에 의해서 서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센터모듈; 상기 노드들의 연결상태를 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센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에 의해서 제공되는 선을 표시하는 UI표시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의 관계자에 대한 네트워크의 가시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Integrated network controlling system, networ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adable media contain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접속자가 네트워크 상태 및 그 운용 등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관리장치, 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지점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임대 환경(VTN: Virtual Tenant Network)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은, 크게 언데레이(Underlay)와 오버레이(Overlay)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는 물리적/가상적 환경을 포함하고, 주로 운용자에 의해 관리되고, 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마다 고유한 가상 임대 환경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멀티레이어(Multi-Layer)를 활용하고, 각 레이어에 속한 장비들의 종류도 다양하게 구분된다.
한편, 자원공유를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환경의 네트워크 상태는 시간에 대하여 종속적이기 때문에, 시간이 변함에 따라서 네트워크 환경이 크게 변한다. 이와 같이 변수가 많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가시성은, 네트워크의 원활한 운용과 시스템의 안정적 사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법(DevOps)의 방법론에서 컨피겨레이션(configuration)과 컨트롤(control)과 함께 그 중요성이 큰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방법이 제안된 바가 있다. 먼저, US2003/0103088: 'un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에는 사용자 메뉴를 원형으로 배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을 높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삼성전자가 출원한 US2011/0102381 A1: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object display dial'에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아이콘 들이 다이얼에 따라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문헌에 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이하, 줄여서 UI라고 표현한다)는 원형으로 아이콘 들이 배치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대한 가시성을 높이는 것이 제시되고, 그것만으로는 DevOps의 입장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만족할 만한 네트워크의 가시성을 얻어낼 수가 없다.
US2003/0103088 A1: un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의 도 11 및 도 15와 그 설명으로서 식별번호 157번의 설명 US20030103088 A1: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object display dial의 도 2와 식별번호 33과 34와 55의 설명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자원과,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운용자와 사용자가 포함되는 모든 관계자가 네트워크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장치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감지하는 노드상태감지부;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영역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공통되는 내부로 정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는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연결하는 구획선에 의해서 서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센터모듈; 상기 노드들의 연결상태를 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센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에 의해서 제공되는 선을 표시하는 UI표시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성이 향상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폐곡선은 바람직하게 원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가시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제 1 영역의 내부에는, 클라우드 센터가 놓이는 클라우딩 영역과 클라이드 센터를 표시하는 클라우드 센터모듈이 포함되어 클라우드 자원의 활용시에 그에 대한 가시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클라우드 센터에 노드를 구성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센터와 상기 폐곡선과의 사이에는 공백영역을 제공하여 다수의 클라우드 센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제 1 영역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적어도 한 개의 폐곡선을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 제공하여, 상기 센터를 네트워크의 레벨 별로 도메인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킹에서 중요한 기능들을 신속하게 인식하고, 문제가 발생할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상기 센터의 내부에서 상기 도메인을 구분하는 폐곡선은 원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시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메인은 상기 레벨이 동일한 경우에 센터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속성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관계자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메인에는 상기 센터의 하드웨어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에 포함되는 어느 도메인의 자원이 클수록 상기 도메인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도메인의 외각선을 이루는 구획선이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가용자원모듈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관계자가 네트워크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센터의 내부에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도메인을 구분없이 일체로 표시할 수 있는 도메인모듈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관계자의 등급에 따라서 최적의 UI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노드 중에서 가상화된 노드는 가상화되지 않은 노드와는 다르게 표시하는 가상화모듈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이 가능한 노드는 최적의 환경으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네트워크의 접속하는 관계자의 권한에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가시화 범위를 서로 다르게 하는 가시화 결정부가 포함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연결선의 상태를 파악하여 연결선을 다르게 표시하는 상태판단부가 포함되어,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연결선의 색깔은 상기 연결선의 부하에 따라서 다르게 표시하여 관계자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장치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감시하는 노드상태감지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 공통되는 공통표시사항을 적어도 두 개의 동심원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으로 생성하는 공통UI생성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 개별적인 개별표시사항을 생성하는 개별UI생성부; 및 상기 공통UI생성부 및 상기 개별UI생성부의 결과를 함께 화면으로 디스플레로 제공하는 UI표시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상황을 쉽게 볼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공통UI생성부에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방사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치하고, 센터의 자원이 클수록 방사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환경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노드의 연결상태는 연결선으로 표시되고, 상기 동심원의 가장 내부에는 클라우드 시스템이 놓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다양한 자원을 더욱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통합 망 관리 시스템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연결하는 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방사방향으로 배치하여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 간의 연결상태는 연결선으로 표시하여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와 상기 노드와 상기 연결선이 포함되는 정보로서 UI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터로 상기 UI를 송신하고, 변경요청에 따라서 상기 UI를 변경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망의 상태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져서 보다 고효율로 네트워킹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센터는, 지역이 서로 다른 지역센터 또는 동일한 지역에 속하는 다른 컴퓨터로 제공될 수 있어서, 다양한 환경에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각 센터에는 권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어서, 관계자의 레벨에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요청에는, 상기 노드 중의 가상화된 노드의 이동을 포함할 수 있어서, 가상화된 노드에 의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방법에는,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정의하는 것; 적어도 두개의 센터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연결하는 구획선에 의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메핑하는 것;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하는 노드들을 상기 노드들이 위치하는 곳에 메핑하는 것; 및 상기 각 센터에서 동작하는 노드들의 연결상태를 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선을 메핑하는 것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성이 높고 편리하게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방법에서, 상기 두 개의 폐곡선의 공통 내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에 클라우드 시스템이 메핑되는 클라우딩 영역을 정의하는 것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현재 네트워크의 외부에 놓이는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이용상태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딩 영역과 상기 폐곡선의 사이 공간이 비워져서 공백영역으로 정의되는 것이 더 포함되도록 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관리방법에서,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는 선이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의 네트워크 레벨 별로 도메인을 정의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개선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의 관계자에 대한 네트워크의 가시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본 발명의 많은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더 정확하게 제시될 것이다.
도 1은 통합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제시되는 통합망 관리 시스템이 원거리에서 적용되는 구성도.
도 3은 도 1에 제시되는 통합망 관리 시스템이 근거리에서 적용되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네트워크 관리장치에 의해서 구현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노드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어떠한 기능블록으로서, 가상적인 노드로서 VM(Virtual Machine)과 컨테이너 등과, 물리적인 노드로서 각 엔티티(entity)와 컴퓨터와 메모리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엔티티에는 스위치,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는 네트워크로서, 지역망, 전용망, 및 인터넷을 포함하는 서로 구분될 수 있는 다양한 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통합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제시되는 통합망 관리 시스템이 원거리에서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1에 제시되는 통합망 관리 시스템이 근거리에서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합망 관리 시스템에는 적어도 두 개의 각 지역에 놓이는 센터를 연결하는 망(10)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 대한 연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1)가 포함된다.
상기 센터는 도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근거리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지역센터로서 각 방의 컴퓨터(51)(52)(53)을 예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로는 국가별로 예시가능하고, 원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는 지역센터로서, 제 1 지역센터(41), 제 2 지역센터(43), 및 제 3 지역센터(4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저장/프로세싱의 자원이 제공되는 클라우드 센터(105)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각 지역센터에는 동일한 지역내에서 또 다른 망(9)으로 연결되는 다른 컴퓨터 또는 지역센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1)는 운용자가 위치하는 센터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센터에 제공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센터에 위치하여 상호 연동되거나, 사용자가 위치하는 센터에만 제공될 수도 있고, 센터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1)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 2 망(10)으로 연결되는 제 1 센터와 제 2 센터와 제 2 센터와 클라우드 센터(105)가 도시되고, 각 센터에는 제 1, 2, 3, 및 4 접속자(101)(102)(103)(10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속자(101)는 운용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외의 접속자는 사용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으로 네트워크 관리장치가 센터와는 무관하게 별도로 제 2 망(10)에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관리장치(1)에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센터와, 관계자, 권한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8)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 접속되는 접속자(101)(102)(103)(104)에 의해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감지하는 노드상태감지부(7)와, UI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 공통되는 공통표시사항을 적어도 두 개의 동심원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생성하는 공통UI생성부(2)와, 상기 UI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 개별적인 개별표시사항을 생성하는 개별UI생성부(3)와, 상기 공통UI생성부(2) 및 상기 개별UI생성부(3)에서 생성되는 결과를 함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UI표시부(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I표시부(6)는 UI의 표시상태를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편리와 조건에 맞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공통UI생성부(2)에서는, 상기 UI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센터의 자원이 클수록 방사각을 넓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및 운용자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센터의 연산자원이 큰 경우에는 그 영역을 넓게 표시함으로써 많은 가상머신(VM: Virtual Machine)이 운용될 수 있음을 사용자 및 운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상기 공통UI생성부(2)는 각 센터 단위의 정보를 참조하여 공통UI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노드의 연결상태는 연결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터의 제 2 접속자(102)가 클라우드 센터(105)에 가상머신을 생성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때에는 제 2 접속자(102)가 제 1 센터에서의 네트워크 장비와 클라우드 센터(105)의 가상머신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도시함으로써, 어떠한 방식-특히, 접속구조-으로 제 2 접속자가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동심원의 가장 내부에는 클라우드 센터(105)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센터(105)는 일반 상용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센터(105)는 대용량의 자원을 구축하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접속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동심원의 가장 내부에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공통UI생성부(2)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공통UI생성부(2)에는 센터모듈(21)이 제공된다. 상기 센터모듈(21)에서는 상기 노드상태감지부(7)로부터의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각 센터를 파악하여,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기본구성을 UI로 구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공통되는 내부영역으로서 제 1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사이 공간으로 제 2 영역을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각 센터는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서로 연결하는 구획선에 의해서 서로 구획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의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각 센터의 포함현황, 접속현황, 자원 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폐곡선은 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센터모듈(24)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센터가 놓이는 것을 UI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내부에 제공되는 클라우드 센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클라우드 센터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는 클라우드 센터모듈(24)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센터와 상기 제 2 영역의 사이에는 공백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클라우드 센터를 나타낼 때 사용자의 가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모듈(22)에서는,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 상기 제 1 영역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적어도 한 개의 폐곡선을 정의하여, 상기 센터를 네트워크의 레벨 별로 도메인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폐곡선은 네트워크의 계층으로서 레이어 1에서 레이어 7까지를 서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사용성이 적은 레이어 1은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이어는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각 레이어는 그 색상, 투명도, 또는 삼차원 높이 등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어느 접속자의 앱이 원활하게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에 네트워크의 어느 계층에서 문제-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의 특정 장비의 용량초과-가 있는 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어느 경우이든지 사용자가 그 네트워크의 영역을 볼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부분에 대한 가시화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해당되는 영역이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그 접속자는 현재 상태를 그대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는 운용자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개 이상의 폐곡선은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영역을 가지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개 이상의 폐곡선은 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가 다르더라도 네트워크 상의 상기 도메인이 같은 경우에는 같은 속성, 예를 들어, 같은 색상, 투명도, 또는 삼차원 높이로 표시함으로써 도메인-네트워크의 레별에 따른 구분-의 구별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용자원모듈(23)에서는, 상기 센터에 포함되는 어느 도메인의 자원이 클수록 상기 도메인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도메인의 외각선을 이루는 구획선이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확대도메인(75)은 상기 가용자원모듈(23)에 의해서 하드웨어자원(65)이 큰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됨으로써, 어느 센터의 하드웨어자원(65)이 커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많은 가상머신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을 더 편리하게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공통결합모듈(25)에서는, 상기 각 모듈(21)(22)(23)(24)로부터의 정보를 결합하여 제공한다.
상기 개별UI생성부(3)는 어느 하나의 지역센터에 특징적으로 표시되거나 각 지역센터 간의 상호작용을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먼저, 상기 개별UI생성부(3)에는 도메인모듈(31)이 포함된다. 상기 도메인모듈(31)에서는 상기 도메인을 구분없이 일체로 표시할 수 있는 도메인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도메인모듈(31)에 의해서 도메인의 구분이 통합되는 경우에는 UI의 복잡성을 줄여서 사용자가 더욱 쉽게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는 등의 가시화 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복잡한 네트워크 장치를 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각 도메인을 단일의 영역으로 통합시킬 수 있고, 운용자의 입장에서는 도메인을 가능한 한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네트워크 운용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더욱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권한이 부여되는 정도에 따라서 가시화되는 범위를 달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상화모듈(32)에서는, 상기 노드 중에서 가상화된 노드는 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화된 노드로서 가상머신(VM)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더 쉽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위치에서 가상머신과 같은 가상화 노드가 잘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드래그&드랍(drga&drop)을 적용하여, UI상에서 손쉽게 이동시켜서 가상머신이 동작되는 영역을 이동(migration)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상머신은 어느 사용자에게는 보이고 어느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모듈(33)에서는, 상기 노드들의 연결상태를 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센터의 제 2 접속자(102)가 클라우드 센터(105)에 가상머신을 생성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때에는 제 2 접속자(102)가, 제 1 센터에서의 네트워크 장비와, 클라우드 센터(105)의 가상머신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도시한다. 상기 연결선에 의한 가시화를 통하여, 상기 제 2 사용자(102)가, 어떠한 네트워크 경로를 통하여, 어느 곳의 자원을 활용하여, 어느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는 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개별결합모듈(34)에서는, 상기 각 모듈(31)(12)(33)로부터의 정보를 결합하여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1)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먼저, 가시화 결정부(4)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시화 결정부(4)에서는, 상기 접속자의 권한에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보여주는 범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운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많은 정보가 보여지도록 하고,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적은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효율적인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은 최상위 운용자의 입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모듈(22) 등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의 각 도메인을 이루는 폐곡선을 지면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도메인을 삼차원으로 표시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레벨 별로 상기 도메인의 높이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운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정확하게 네트워크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상태판단부(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태판단부(5)에서는, 상기 연결선의 상태를 파악하여 부하가 걸리는 정도에 따라서 연결선을 다르게 표시하여, 어느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연결상태의 품질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선의 색깔은 상기 연결선의 부하가 높으면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네트워크 상의 연결을 사용하는 노드가 많은 것으로서, 자신은 해당하는 노드를 우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로 연결선의 성능(용량)이 좋은 링크인 경우에는 굵은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UI를 예시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1)의 작용 및 동작은 이하에 제시되는 예시적인 UI에 의해서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의 작용을 상기 통합망 관리 시스템의 간단한 작용으로 설명한다.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1)에서는 UI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방사방향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동작, 사용자에 의해서 동작되는 노드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노드 간의 연결상태는 연결선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와 상기 노드와 상기 연결선이 포함되는 정보로서 UI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로 상기 UI를 송신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되는 동작에 의한 UI는 관계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다양한 변경요청, 예를 들어 가상머신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 네트워크 스위치를 변경시키는 것, 네트워크의 연결을 다른 지역센터로 바꾸는 것 등과 같은 다양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노드상태감지부(7)가 이를 파악하여 상기 UI를 변경하여 상기 센터로 변경된 UI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네트워크 관리장치에 의해서 구현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다양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시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UI(60)에는, 상기 센터모듈(21)에 의해서 제 1 폐곡선(61)과 제 2 폐곡선(62)에 의해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정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비모듈(22)에 의해서 제 2 영역은 다수의 폐곡선에 의해서 네트워크의 레별 별로 도메인이 구분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때, 상기 도메인은 네트워크의 레벨이 같은 경우에는 센터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속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은 내부로부터 바깥을 향하여 L7(72), L6(71), L5(70), L4(69), L3(68), L2-운용자(67), L2-사용자(66)으로 구분되고, 가장 바깥쪽에는 하드웨어 자원(65)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메인은 상기 도메인모듈(31)에 의해서 일체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모듈(22)에 의해서 상기 도메인은 다양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33)에서는 노드를 이어주는 연결선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용자원모듈(23)에 의해서, 상기 구획선(74)을 이용하여 각 센터가 자원별로 차지하는 영역이 차이가 나는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이 구획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폐곡선은 원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어느 센터에 있어서 특정한 도메인의 자원량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그 도메인에 해당하는 구획선(74)만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도메인의 자원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자원량이 큰 도메인으로서 확대도메인(75)이 구획선(74)에 의해서 다른 도메인에 비하여 넓게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센터모듈(24)에 의해서, 상기 제 1 영역의 내부에는 클라우딩 영역(73)이 제공되고, 그 내부에는 클라우드 시스템이 메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딩 영역(73)과 상기 제 2 영역의 사이에는 공백영역(63)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UI표시부(6)에 의해서 제공되는 UI에서는, 상기 노드가 연결되는 연결선(64)이 특정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만약 상기 노드가 가상화 노드인 경우에는 상기 가상화모듈(32)에 의해서 해당되는 연결선(도 5의 64참조)은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시화 결정부(4)에 의해서 반투명영역(80)이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상기 반투명영역(80)은 그 특정 UI를 보는 접속자가 그 내부를 볼 수는 있지만 제어는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다르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L5(70) 레이어의 내부는 볼 수는 있지만, 제어는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다른 예의 UI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노드(76)(77)가 L2 네트워크장비(L2 entity)를 이용하여 다른 센터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가상화모듈(32)에 의해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가상화 노드(76)와, 그와 달리 실제 하드웨어 장비로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물리적 노드(77)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보인다. 또한, 가상화 노드(76)의 경우에는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연결선(64)도 점선으로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시화 결정부(4)에 의해서 붙투명영역(78)이 제공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불투명영역(78)으로 보이는 영역은, 특정의 UI를 보는 사용자 또는, 일분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불투명영역(78)의 센터를 모든 관계자가 보지도 못하고, 제어도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다르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종류의 UI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경우는 가장 등급이 낮은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UI로서, 자신이 속하는 센터(END A)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센터(END B)만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 외의 영역은 모두 가시화 결정부(4)에 의해서 불투명영역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종류의 UI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node 1과 node 2를 연결하는 연결선(64)은 굵은 점선으로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태판단부(5)에 의해서 링크의 용량이 큰 경우로서 더 많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색상으로 이를 구분할 수도 있는데, 적색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다른 연결에 비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은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물론, 네트워크의 트래픽에 따라서 녹색에서 적색으로 변하는 것등과 같은 다양한 경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의 다양한 연결선은 연결선에 의해서 연결되는 노드가 어느 센터의 자원을 활용하여 네트워킹 또는 자원활용을 하고 있는 지는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네트워크 관리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관리장치의 설명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네트워크 관리방법의 이해를 위하여 네트워크 관리장치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이용하여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정의한다(S1).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메핑함에 있어서, 서로 겹치지 않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연결하는 구획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을 메핑하고(S21), 상기 두 개의 폐곡선의 공통 내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에 클라우드 시스템이 메핑되는 클라우드 영역을 정의하고, 그 내부에 클라우드 시스템을 메핑한다(S22).
이후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하는 노드들을 상기 노드들이 위치하는 곳에 메핑한다(S3). 상기 노드에는 가상머신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센터에서 동작하는 노드들의 실제 연결상태를 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선을 메핑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S4). 이 때에는 다양한 노드를 표시할 수 있고, 가상 노드의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클라우딩 영역과 상기 폐곡선의 사이 공간을 비워서 공백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는 선이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의 네트워크 레벨 별로 도메인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시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에 제공되는 다수의 부분으로서의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공되지 않는 상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당연히 예측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접속상태를 일견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운용자 및 사용자는 편리하게 다른 센터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1: 네트워크 관리장치
25: 센터모듈

Claims (27)

  1.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감지하는 노드상태감지부;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영역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공통되는 내부로 정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되며 다수의 폐곡선에 의해서 네트워크 레벨 별로 도메인을 구분하는 제 2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는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연결하여 각 센터가 자원별로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구획선에 의해서 서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센터모듈;
    상기 노드들의 연결상태를 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센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에 의해서 제공되는 선을 표시하는 UI표시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은 원으로 제공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내부에는, 클라우드 센터가 놓이는 클라우딩 영역과 클라이드 센터를 표시하는 클라우드 센터모듈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센터에는 상기 노드가 제공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센터와 상기 폐곡선과의 사이에는 공백영역이 있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센터의 내부에서 상기 도메인을 구분하는 폐곡선은 원으로 제공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은 상기 레벨이 동일한 경우에 센터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속성으로 표시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에는 상기 센터의 하드웨어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에 포함되는 어느 도메인의 자원이 클수록 상기 도메인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도메인의 외각선을 이루는 구획선이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가용자원모듈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센터의 내부에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도메인을 구분없이 일체로 표시할 수 있는 도메인모듈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중에서 가상화된 노드는 가상화되지 않은 노드와는 다르게 표시하는 가상화모듈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접속하는 관계자의 권한에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가시화 범위를 서로 다르게 하는 가시화 결정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상태를 파악하여 연결선을 다르게 표시하는 상태판단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색깔은 상기 연결선의 부하에 따라서 다르게 표시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는, 지역이 서로 다른 지역센터 또는 동일한 지역에 속하는 다른 컴퓨터인
    네트워크 관리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각 센터에는 권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22. 삭제
  23. 서로 겹치지 않고 적어도 공통되는 내부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정의하는 것;
    적어도 두개의 센터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되며, 다수의 폐곡선에 의해서 네트워크 레벨 별로 도메인을 구분하는 제 2 영역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폐곡선을 연결하여 각 센터가 자원별로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구획선에 의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를 메핑하는 것;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에서 동작하는 노드들을 상기 노드들이 위치하는 곳에 메핑하는 것; 및
    상기 각 센터에서 동작하는 노드들의 연결상태를 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선을 메핑하는 것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폐곡선의 공통 내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에 클라우드 시스템이 메핑되는 클라우딩 영역을 정의하는 것이 더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딩 영역과 상기 폐곡선의 사이 공간이 비워져서 공백영역으로 정의되는 것이 더 포함되는 네트워크 관리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내부에는 선이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터의 네트워크 레벨 별로 도메인을 정의하는 네트워크 관리방법.
  27.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방법이 처리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169554A 2014-12-01 2014-12-01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KR10194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54A KR101947700B1 (ko) 2014-12-01 2014-12-01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US14/956,315 US10212216B2 (en) 2014-12-01 2015-12-01 Integrated network controlling system, networ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adable medium contain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54A KR101947700B1 (ko) 2014-12-01 2014-12-01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06A KR20160065506A (ko) 2016-06-09
KR101947700B1 true KR101947700B1 (ko) 2019-02-13

Family

ID=5607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554A KR101947700B1 (ko) 2014-12-01 2014-12-01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12216B2 (ko)
KR (1) KR101947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2911B2 (ja) * 2014-07-01 2019-03-1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機器制御方法および電気機器
JP6685508B2 (ja) * 2016-07-19 2020-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装置
KR101967744B1 (ko) * 2017-07-07 2019-04-10 광주과학기술원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US11310121B2 (en) * 2017-08-22 2022-04-19 Moovil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 flow rendering and visualization corr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521B1 (en) * 2012-05-16 2016-08-02 Veritas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to visually represent the status of a data cen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930B2 (en)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7327376B2 (en) * 2000-08-29 2008-02-0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ulti-user collabora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US20060041461A1 (en) * 2004-08-20 2006-02-23 Mark Vucina Projec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JP4758408B2 (ja) * 2007-10-18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選択候補表示方法、選択候補表示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
US8332782B1 (en) * 2008-02-22 2012-12-11 Adobe Systems Incorporated Network visualization and navigation
US8468466B2 (en) * 2009-03-27 2013-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dial menu selection with gestures
KR101608799B1 (ko) 2009-11-04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JP2013129352A (ja) * 2011-12-22 2013-07-04 Panasonic Corp 車載用表示システム
KR102043810B1 (ko) * 2012-08-20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66061B2 (en) * 2014-03-17 2019-01-0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Teleoperated surgical system equipment with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521B1 (en) * 2012-05-16 2016-08-02 Veritas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to visually represent the status of a data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56508A1 (en) 2016-06-02
KR20160065506A (ko) 2016-06-09
US10212216B2 (en)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746B2 (en) Organizing messages in a hierarchical chat room framework based on topics
KR101947700B1 (ko)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US11055311B2 (en) Exploration and navigation of a content collection
US9104438B2 (en) Mapping computer desktop objects to cloud services with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88806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managing virtual grids
US10834022B2 (en) Resource configuration using topology diagram
US20230362064A1 (en) Network mapping system
US20220014441A1 (en) Automated generation of a visualization of a system topology
US10929491B2 (en) Social sharing path user interface insights
US10628465B2 (en) Generating a ranked list of best fitting place names
WO2013185166A1 (en) System management tool
CN106502760B (zh) 一种虚拟机亲和性策略可视化的方法及装置
CN103532736B (zh) 可视化网络管理的方法和用户终端
CN107632769A (zh) 地图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0956649B2 (en) Semiconductor package metal shadowing checks
CN106775729A (zh) 一种基于数据描述的移动客户端业务呈现方法及系统
US11194948B2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cabling plan for a computing system
JP2021503650A (ja) 階層型ストレージ・データ移動に基づいて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いてクラウド資源を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042867B2 (en) Generating storage plans in storage management systems
CN107704104A (zh) 表单输入项联想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10169473B2 (en) Packaged searching system and method
US20230079041A1 (en) Combining a virtual reality interface with a smart contact lens user interface
US2018029345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images
US9542616B1 (en) Determining user preferences for data visualizations
US8941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ed overview in visualization of large enterprise it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