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744B1 -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744B1
KR101967744B1 KR1020170086579A KR20170086579A KR101967744B1 KR 101967744 B1 KR101967744 B1 KR 101967744B1 KR 1020170086579 A KR1020170086579 A KR 1020170086579A KR 20170086579 A KR20170086579 A KR 20170086579A KR 101967744 B1 KR101967744 B1 KR 10196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oxes
image
layer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632A (ko
Inventor
김종원
남택호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8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744B1/ko
Priority to PCT/KR2018/002945 priority patent/WO2019009497A1/ko
Priority to US16/629,299 priority patent/US11475234B2/en
Publication of KR2019000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06F16/287Visualization;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6Visual data mining; Browsing structu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G06F18/231Hierarchical techniques, i.e. dividing or merging pattern sets so as to obtain a dend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87Isolation or security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91Monitoring or debugg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95Network integration; Enabling network access in virtual machine in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는, 복수의 박스로 구성되는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3차원 모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걸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CLUSTER VISUA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박스들의 상태 정보를 3차원 모델로 나타내는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인프라는 사용자의 IT비용을 절감하고 자원 운영의 민첩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인프라의 인기와 함께, 다수의 박스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클러스터 단위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클러스터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다수의 논리적인 박스를 구성하여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다수의 박스가 포함된 클러스터를, 2차원 그래프, 2차원 트리, 원 등의 2차원 시각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다만 최근 다수의 박스로 구성되는 멀티 박스 클러스터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2차원 시각화 방식으로는 멀티 박스 클러스터를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네트워크의 오버레이 형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계층 단위로 시각화하는 방식을 주로 활용한다. 다만 최근 복잡한 구조의 클러스터가 증가하면서, 클러스터의 박스, 네트워크, 앱, 서비스 등은 특정 네트워크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계층에 관계하는 특징을 가질 수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계층 단위의 시각화 방식으로는 다수의 계층에 관계하는 특징에 대한 표현이 부족하거나 부정확하게 표현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최근 컨테이너(Container)와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상 머신(VM)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Container)까지 포함하는 논리적인 박스를 시각화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박스들의 상태 정보를 3차원 모델로 나타내는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는, 복수의 박스로 구성되는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3차원 모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걸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박스 각각이 관계하는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박스는, 물리적인 박스 및 논리적인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적인 박스는, 가상머신 및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차원 모델 이미지는, 원뿔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는, 3차원의 이미지이고, 상기 3차원의 이미지의 단면의 면적 또는 직경은, 상기 복수의 박스 각각의 리소스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박스의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3차원 모델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 중 제1 계층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상기 제1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나타내는 UI,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사용 용도,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 상기 제1 계층의 방화벽 및 상기 제1 계층의 연결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 중 제1 계층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상기 제1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의 보안 수준을 상기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에 등고선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의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상태 정보의 3차원 가시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상태 정보의 3차원 가시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스의 보안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박스(111, 112, 113, 121, 122, 131, 132, 133, 134)는 하나의 클러스터(10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박스(111, 112, 113, 121, 122, 131, 132, 133, 134)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박스(111, 112, 113) 및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박스(121, 122, 131, 132, 133,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박스(111, 112, 113)는 실제 장비, 즉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박스(111, 112, 113)는 클러스터(100)를 구성할 수 있다.
물리적인 박스(111, 112, 113)는 사용 용도에 따라 L2 기반의 네트워크 또는 L3 기반의 네트워크 혹은 기타 다양한 통신 수단으로 다른 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물리적인 박스(111, 112, 113) 각각의 보안 수준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물리적인 박스는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박스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박스(111, 112, 113)에 의해 지원되는 논리적인 박스(121, 122, 131, 132, 133, 134) 들을 도시하였다.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박스 (121, 122, 131, 132, 133, 134)는 가상 머신(VM)과 컨테이너(Contain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 L2 기반의 네트워크 또는 L3 기반의 네트워크 혹은 기타 다양한 통신 수단으로 다른 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논리적인 박스 (121, 122, 131, 132, 133, 134) 각각의 보안 수준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b는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피지컬 네트워크(PHYSICAL NETWORK) 및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지컬 네트워크(160)는 실제 물리적인 시스템 간의 연결로 형성되는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계층의 제1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피지컬 네트워크(160) 위에 성립되는 가상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1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170)만을 도시하였으나,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복수 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네트워크 환경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오버레이 네트워크 각각은,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레이가 3단계 진행된 경우, 피지컬 네트워크(160)는 제1 계층, 제1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제2계층, 제2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제3계층, 제3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제4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200)는, 상태 감지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감지부는(210)는 클러스터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감지부(210)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박스들의 타입, 리소스 크기, 용도, 네트워킹 연결 상태, 보안 상태, 보안 수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감지부(210)는, 클러스터에 적용되는 방화벽, 방화벽 규칙에 따라 허용되는 연결 지점, 모니터링 지점, 외부 컴포넌트와 클러스터 사이의 연결 관계, 네트워크 계층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고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3차원의 형태로 가시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3차원 모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를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걸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상태 정보의 3차원 가시화 이미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230)는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로 구성되는 3차원 모델 이미지(3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는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311)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제1 계층, 즉 피지컬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레이어(312)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제2 계층, 즉 첫번째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5 레이어(325)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제 15계층, 즉 열네번째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개수는 네트워크 환경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레이어는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자는 3차원 모델 이미지(310)의 높낮이에 따라서 피지컬 네트워크의 오버레이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의 개수가 15개인 경우, 사용자는 피지컬 네트워크가 14 단계의 오버레이까지 진행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네트워크 계층과 레이어가 1:1 대응 관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이 복수개의 레이어로 표현되거나 복수개의 네트워크 계층이 하나의 레이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가 적층됨으로써 3차원 모델 이미지(3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차원 모델 이미지(310)의 높낮이 만으로도 오버레이의 진행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계층의 3차원 모델 이미지(310)는 원뿔대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각각의 단면은 원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각각의 단면의 중심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하위의 피지컬 박스로부터 상위의 앱(Apps)까지 표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이어의 단면적은 상위 레이어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위 레이어로 갈수록 피지컬 리소스와 연관하고, 상위 레이어로 갈수록 하드웨어 의존성이 약해지면서 가상 리소스와 연관하기 때문에, 복수의 레이어의 단면적은 상위 레이어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의 3차원 모델 이미지가 원뿔대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차원 모델 이미지는 원기둥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다각 기둥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레이어 들의 단면이 동일할 필요도 없다. 즉 네트워크 계층의 3차원 모델 이미지는 가로, 세로, 높이 성분을 가진 3차원의 이미지이면 족하다.
한편 제어부(230)는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를 3차원 모델 이미지(310)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321)를 3차원 모델 이미지(31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321)는 클러스터(10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박스(111, 112, 113)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논리적인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31, 332, 333, 334)를 3차원 모델 이미지(31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논리적인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31, 332, 333, 334)는 논리적인 박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331)는 클러스터(100)를 구성하는 제1 컨테이너를, 제2 이미지(332)는 클러스터(100)를 구성하는 제1 가상 머신을, 제3 이미지(333)는 클러스터(100)를 구성하는 제2 가상 머신을, 제4 이미지(334)는 클러스터(100)를 구성하는 제3 가상 머신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는 3차원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면 상에서, 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321)는 3차원 모델 이미지(3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논리적인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331, 332, 333, 334)는, 단면 상에서, 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321)가 디스플레이 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의 단면의 면적은 복수의 박스 각각의 리소스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테이너의 리소스가 제1 가상 머신의 리소스보다 큰 경우, 제1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331)의 단면의 면적은 제1 가상 머신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332)의 단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가상 머신의 리소스가 제3 가상 머신의 리소스보다 큰 경우, 제2 가상 머신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333)의 단면의 면적은 제3 가상 머신에 대응하는 제4 이미지(334)의 단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가 3차원의 이미지인 경우,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는 원기둥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는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원기둥의 높이 방향은, 복수의 레이어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가 원기둥인 경우, 한편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원기둥의 직경은 복수의 박스 각각의 리소스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박스의 리소스가 제1 컨테이너의 리소스보다 크기 때문에, 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321)의 직경은 제1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33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가 원기둥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는 다각 기둥일 수도 있으며, 단면이 일정하지 않은 3차원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복수의 박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가 원기둥인 경우 원기둥의 높이 방향은 복수의 레이어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방향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원기둥, 다각 기둥 또는 단면이 일정하지 않은 3차원의 이미지가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통과하는 것으로 족하다.
또한, 앞서 3차원의 이미지의 단면의 면적(또는 원기둥의 직경)이 박스의 리소스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차원의 이미지의 부피가 박스의 리소스의 크기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가 3차원의 이미지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는 복수의 레이어(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통과하는 직사각형, 또는 선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박스는 복수의 서비스 또는 복수의 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비스 또는 하나의 앱은 복수의 박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박스는 복수의 서비스 또는 복수의 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또는 앱은 다수의 네트워크 계층과 관계하여, 다수의 네트워크 계층에 걸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박스 역시 다수의 계층과 관계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는, 복수의 박스 각각이 관계하는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테이너가 제1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제1 서비스가 제8 계층 내지 제 15계층에 관계하는 경우, 제1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331)은 제8 레이어(318) 내지 제15 레이어(325)를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가상 머신이 제2 서비스 및 제3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제2 서비스가 16계층 내지 18계층에 관계하고 제3 서비스가 17계층 내지 20계층에 관계하는 경우, 제1 가상머신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332)는 제 16 레이어(316) 내지 제 20레이어(320)를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피지컬 박스는 모든 계층에 관련되기 때문에, 피지컬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321)는 제1 레이어(311) 내지 제15 레이어(325)를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3차원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박스와 계층 간의 관계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네트워크 계층이 다수 오버레이된 클러스터 환경에서, 다수의 계층에 관계하여 동작하는 박스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는, 박스의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 즉 박스가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제어부(230)는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를 복수의 박스 각각의 사용 용도에 대응하는 색채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스가 제1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박스와 제3 박스가 제1 앱을 제공하는 경우, 제1 박스는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제2 박스 및 제3 박스는 노란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제어부(230)는 복수의 박스 각각의 사용 용도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321, 331, 332, 333, 334)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단면상에서, 사용용도가 동일한 박스들은 서로 가까운 거리에, 사용용도가 다른 박스들은 서로 먼 거리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네트워크 계층이 다수 오버레이된 클러스터 환경에서, 다수의 계층에 관계하여 제공되는 앱이나 서비스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앱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의 리소스의 크기가 3차원 시각화 모델 상에서 표현됨에 따라, 특정 앱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의 크기까지 표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 컨테이너의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컨테이너까지 가시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상태 정보의 3차원 가시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러스터 상태 정보의 3차원 가시화 이미지는 이동 또는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230)는 클러스터 상태정보의 3차원 가시화 이미지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좌우, 상하 또는 대각선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는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의 3차원 가시화 이미지(400)가 회전함에 따라, 위에서 바라보게 된 3차원 가시화 이미지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클러스터는 8개의 네트워크 계층으로 구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8개의 네트워크 계층에 각각 대응하는 8개의 레이어(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7)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8개의 레이어가 원뿔대 형태를 구성하는 경우, 3차원 가시화 이미지(400)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레이어가 동심원을 이루게 된다.
또한 피지컬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421)는 원기둥 이고, 3차원 가시화 이미지 상에서 원기둥은 8개의 레이어(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7)에 수직으로 박혀있다. 따라서 3차원 가시화 이미지(400)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에는, 피지컬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421)가 원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피지컬 박스(421) 만을 도시하였으나, 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 역시 표시될 수 있다.
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 역시 원기둥이고, 3차원 가시화 이미지 상에서 원기둥은 8개의 레이어(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7)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수직으로 박혀있다. 따라서 3차원 가시화 이미지(400)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에는, 논리적인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원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는, 레이어 상에서 넓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가시화 이미지(400)를 이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레이어 상에서 넓기 분포된 박스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가시화 이미지(400)를 위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박스, 클러스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앱, 그리고 리소스의 크기까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복수의 레이어 중 특정 레이어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차원 가시화 이미지(4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특정 레이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특정 레이어의 단면도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복수의 레이어(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7) 중 제7 레이어(417)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제7 레이어(417)의 단면도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특정 레이어의 단면도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특정 레이어가 제3 레이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레이어는 네트워크 상의 제3 계층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제3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나타내는 UI,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사용 용도,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타입,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리소스의 크기,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네트워킹 연결 정보, 제3 계층의 방화벽 및 제3 계층의 연결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는, 도 3에서 설명한 3차원 가시화 이미지(300)의 복수의 레이어 중, 제3 레이어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 상에, 제3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나타내는 UI(601, 611, 612, 613, 614, 615, 621, 622)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는, 박스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3차원 가시화 이미지(300)에서 자신과 관계하는 레이어에 걸쳐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제3 레이어의 단면도에는, 3차원 가시화 이미지(300)에서 제3 레이어를 통과하는 3차원 이미지의 단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제3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나타내는 UI들은, 3차원 가시화 이미지(300)에서 제3 레이어를 통과하는 3차원 이미지의 단면일 수 있다.
일례로써, 30개의 박스가 클러스터를 구성하며, 30개의 박스 중 제3 레이어와 관계하여 동작하는 박스가 15개인 경우, 제3 레이어의 단면도에는 15개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15개의 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네트워크 계층에 걸쳐 동작하는 박스가 무엇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는 원일 수 있으며, 피지컬 박스에 대응하는 UI(601)는 원일 수 있다. 또한 피지컬 박스에 대응하는 UI(601)의 중심과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의 중심은 동일할 수 있으며, 피지컬 박스에 대응하는 UI(601)의 직경은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제3 레이어와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의 사용 용도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용도는, 박스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또는 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용도는, Web Server, API Server, Visibility Ce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편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는 동심원(681)에 의하여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동심원(681)의 외부 영역은 동심원(681)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의하여 복수의 영역(610, 620, 630, 640, 6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역(610, 620, 630, 640, 650)은, 제3 계층에 관계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또는 앱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 또는 앱들 중에서, 제3 계층과 관계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또는 앱이 제1 서비스 내지 제5 서비스인 경우, 동심원(681)의 외부 영역은 5개의 영역(610, 620, 630, 640, 6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610)은 제1 서비스, 제2 영역(620)은 제2 서비스, 제3 영역(630)은 제3 서비스, 제4 영역(640)은 제4 서비스, 제5 영역(650)는 제5 서비스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3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나타내는 UI(601, 611, 612, 613, 614, 615, 621, 622)는 박스의 사용 용도에 따라 표시 위치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계층과 관계하는 박스들 중 제1 박스, 제2 박스, 제3 박스, 제4 박스 및 제5 박스의 사용 용도가 제1 서비스인 경우, 제1 박스에 대응하는 UI(611), 제2 박스에 대응하는 UI(612), 제3 박스에 대응하는 UI(613), 제4 박스에 대응하는 UI(614) 및 제5 박스에 대응하는 UI(615)는 제1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영역(6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3 계층과 관계하는 박스들 중 제6 박스 및 제7 박스의 사용 용도가 제2 서비스인 경우, 제6 박스에 대응하는 UI(621) 및 제7 박스에 대응하는 UI(622)는 제2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계층과 관계하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또는 앱이 무엇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어떠한 박스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30)는 제3 계층에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박스의 타입은, 베어메탈(Baremetal), 가상 머신(VM), 컨테이너(Container)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어부(630)는 제3 계층에 관계하는 박스를 나타내는 UI를 박스의 타입에 따라 다른 색채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스에 대응하는 제1 UI(611), 제3 박스에 대응하는 제3 UI(613), 제4 박스에 대응하는 제4 UI(614), 제5 박스에 대응하는 제5 UI(615)가 제1 타입(가상 머신)이고, 제2 박스에 대응하는 제2 UI(612)가 제2 타입(컨테이너)인 경우, 제어부(230)는 제1 UI(611), 제3 UI(613), 제4 UI(614) 및 제5 UI(615)를 제1 색채로 디스플레이 하고, 제2 UI(612)를 제2 색채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제1 UI(611), 제3 UI(613), 제4 UI(614) 및 제5 UI(615)에는 제1 타입(가상 머신)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제2 UI(612)에는 제2 타입(컨테이너)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박스의 타입이 색채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박스를 나타내는 UI는 원으로, 제2 타입의 박스를 나타내는 UI는 사각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박스의 타입은 UI의 형태로써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박스의 온, 오프 상태 역시 색채로써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612)는 제2 박스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색채로, 제2 박스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제3 색채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UI(611)는 제1 박스가 온 상태인 경우 제1 색채로, 제1 박스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3 색채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제3 계층에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의 리소스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계층에 관계하는 박스를 나타내는 UI(611, 612, 613, 614, 615, 621, 622)의 직경은, 각각의 박스가 제3 계층에서 제공하는 리소스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스가 제3 계층에서 제공하는 리소스가 제2 박스가 제3 계층에서 제공하는 리소스보다 더 큰 경우, 제1 박스를 나타내는 UI(611)의 직경은 제2 박스를 나타내는 UI(612)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박스가 제3 계층에서 제공하는 리소스가 제2 박스가 제3 계층에서 제공하는 리소스보다 더 큰 경우, 제1 박스를 나타내는 UI(611)의 단면적은 제2 박스를 나타내는 UI(612)의 단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계층과 관계하여 동작하는 박스의 타입 및 리소스의 크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박스에서 제공하는 리소스의 크기뿐만 아니라, 특정 계층에서 서비스 또는 앱에 제공되는 리소스의 크기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610, 620, 630, 640, 650)의 크기는, 대응하는 서비스나 앱에 지원되는 리소스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제3 계층에서의 하나 이상의 박스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계층과 관계하는 박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박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UI(661, 662)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UI(661, 662)를 연결하는 연결선(671, 672, 673)을 표시함으로써, 박스들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선(671, 672, 673)은, 네트워크의 종류 및 퍼포먼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L2 기반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연결선의 경우 제1색, L3 기반의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연결선의 경우 제 2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대역폭에 따라 연결선의 굵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계층에서의 박스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 네트워크의 종류 및 퍼포먼스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제3 계층에서의 방화벽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 는 제3 계층에서의 방화벽에 대응하는 UI(68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3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600)는 동심원(681)에 의하여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방화벽에 대응하는 UI(680)는 내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방화벽에 대응하는 UI(680)는 원 또는 고리형일 수 있으며, 피지컬 박스에 대응하는 UI(621)를 둘러싸도록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연결 지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연결 지점에 대응하는 UI(681)를 방화벽에 대응하는 UI(68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지점이란, 방화벽을 통과하여 출입이 허용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모니터링 지점을 나타내는 UI(682) 및 기타 보안을 나타내는 UI(683)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계층에서의 보안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외부 컴포넌트와 클러스터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UI(69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계층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클러스터 전체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계층에 관계된 상태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서 설명한 3레이어의 단면도 상에서 2차원으로 표시된 정보는, 도 3에서 설명한 3차원 가시화 이미지(300)에서 3차원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영역(610)이 2차원의 이미지로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 경우 제1 서비스는, 3차원 가시화 이미지(300) 상에서, 제1 영역(610)을 단면으로 가지는 기둥 형태의 3차원 이미지로써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 형태의 3차원 이미지는 제1 서비스와 관련된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박스의 이미지들은 상기 기둥 형태의 3차원 이미지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스의 보안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현재 제7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700)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고, 제7 레이어는 제7 계층을 나타내는 레이어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 7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710, 730, 740)에 적용된 보안 수준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Anti-virus Software, IPS/IDS, Firewalls 등의 적용 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박스(710, 730, 740) 각각의 보안 수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하나 이상의 박스(710, 730, 740) 각각의 보안 수준을 제7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700) 상에 등고선(720, 740, 760)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박스(730)의 보안 수준이 가장 낮고, 제3 박스(750)의 보안 수준이 중간이고, 제1 박스(710)의 보안 수준이 가장 높은 경우, 제2 박스(730)의 보안 수준을 나타내는 등고선(740)은 2단계의 높이로, 제3 박스(750)의 보안 수준을 나타내는 등고선(760)은 4단계의 높이로, 제1 박스(710)의 보안 수준을 나타내는 등고선(720)은 6단계의 높이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하나의 등고선 내에서의 각 단계에 대응하는 UI는 서로 다른 색채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박스(750)의 보안 수준을 나타내는 등고선(760)에서, 1단계 등고선(764)은 녹색, 2단계 등고선(763)은 연두색, 3단계 등고선(762)은 노랑색, 4단계 등고선(761)은 주황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낮이를 표현할 수 있는 등고선을 도입함으로써, 2차원 평면에서도 입체적인 방법으로 각 박스별 상이한 보안 수준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박스로 구성되는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3차원 모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걸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복수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10: 상태 감지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제어부

Claims (8)

  1. 복수의 박스로 구성되는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3차원 모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걸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박스 각각이 관계하는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통과하고,
    상기 복수의 박스는,
    물리적인 박스 및 논리적인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적인 박스는,
    가상머신 및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 이미지는,
    원뿔대인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는, 3차원의 이미지이고,
    상기 3차원의 이미지의 단면의 면적 또는 직경은,
    상기 복수의 박스 각각의 리소스의 크기에 대응하는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박스의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3차원 모델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 중 제1 계층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상기 제1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나타내는 UI,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사용 용도,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 상기 제1 계층의 방화벽 및 상기 제1 계층의 연결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 중 제1 계층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상기 제1 계층과 관계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의 보안 수준을 상기 제1 레이어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에 등고선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KR1020170086579A 2017-07-07 2017-07-07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KR10196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79A KR101967744B1 (ko) 2017-07-07 2017-07-07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PCT/KR2018/002945 WO2019009497A1 (ko) 2017-07-07 2018-03-13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US16/629,299 US11475234B2 (en) 2017-07-07 2018-03-13 Cluster visualiz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79A KR101967744B1 (ko) 2017-07-07 2017-07-07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32A KR20190005632A (ko) 2019-01-16
KR101967744B1 true KR101967744B1 (ko) 2019-04-10

Family

ID=6495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579A KR101967744B1 (ko) 2017-07-07 2017-07-07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75234B2 (ko)
KR (1) KR101967744B1 (ko)
WO (1) WO2019009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704B1 (ko) * 2022-11-23 2023-06-28 에스지에이솔루션즈 주식회사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도커 컨테이너의 보안 위협 분석 시각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7667A1 (en) 2016-11-14 2018-05-1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Graph Visualization Tools With Summary Visualization For Very Large Labeled Graphs
US11120082B2 (en) 2018-04-18 2021-09-1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Efficient, in-memory, relational representation for heterogeneous graphs
US11238012B1 (en) 2018-05-15 2022-02-01 Splunk Inc. Log data extraction from data chunks of an isolated execution environment
US11537627B1 (en) 2018-09-28 2022-12-27 Splunk Inc.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ed cloud service monitoring
US10929415B1 (en) * 2018-10-01 2021-02-23 Splunk Inc. Isolated execution environment system monitoring
US11941421B1 (en) 2021-07-09 2024-03-26 Splunk Inc. Evaluating and scaling a collection of isolated execution environments at a particular geographic lo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1114A1 (en) * 2013-06-11 2014-12-18 Cyan Inc. Network visu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070594A1 (en) 2015-09-08 2017-03-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isualization for Network Virtualization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9985D0 (en) * 2008-10-31 2008-12-10 Intergence Systems Ltd Network visualistion systems
KR20120057066A (ko) * 2010-11-26 2012-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보안관제 시스템 및 방법, 네트워크 보안관제를 위한 보안 이벤트 처리 장치 및 시각화 처리 장치
KR101737914B1 (ko) * 2014-06-03 2017-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보안 상황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47700B1 (ko) * 2014-12-01 2019-02-13 광주과학기술원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EP3437256A4 (en) * 2016-03-25 2019-10-30 Nebbiolo Technologies, Inc. FLEXIBLE PLANT ASSISTED BY COMPUTER FO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1114A1 (en) * 2013-06-11 2014-12-18 Cyan Inc. Network visu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070594A1 (en) 2015-09-08 2017-03-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isualization for Network Virtualization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704B1 (ko) * 2022-11-23 2023-06-28 에스지에이솔루션즈 주식회사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도커 컨테이너의 보안 위협 분석 시각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32A (ko) 2019-01-16
WO2019009497A1 (ko) 2019-01-10
US20200134359A1 (en) 2020-04-30
US11475234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744B1 (ko) 클러스터 시각화 장치
US10454794B2 (en) 3D wireless network monitoring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WO2020113981A1 (zh) 网络空间地图模型创建方法及装置
US10911336B2 (en) Scalable visualization of health data for network devices
KR101666417B1 (ko) 컴퓨터 시스템 보안 대시보드
US20130321458A1 (en) Contextual visualization via configurable ip-space maps
KR101380768B1 (ko)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황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5830170B2 (ja) 画面表示装置、システムおよび画面生成方法
EP2132712A2 (en) Visualizing object relationships
JP2015537315A (ja) ヒートマップを用いて情報技術の状況を表示
US9602357B2 (en) Network visu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9331911B2 (en) Resizing resource allocation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93611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virtual system components
US20120042284A1 (en) 3d tag clouds for visualizing federated cross-system tags
US11190411B1 (en) Three-dimensional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 service provider network
EP36912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with 3d parallax effect
US11093101B2 (en) Multiple monitor mouse movement assistant
US10212216B2 (en) Integrated network controlling system, networ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adable medium containing the method
WO2017142736A1 (en) Cloud based active commissioning system for video analytics
US2011012213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objects and events with vector-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N107111712B (zh) 用于高熵信息安全威胁的3d抽象对象建模的系统和方法
US20120023432A1 (en) Icons with subparts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a system
US9172616B2 (en) Compressing topological information pertaining to managed resources to enhance visualization
US10180779B2 (en) Method for dynamically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of a monitored system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5967159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