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164A -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9164A KR20160089164A KR1020150008764A KR20150008764A KR20160089164A KR 20160089164 A KR20160089164 A KR 20160089164A KR 1020150008764 A KR1020150008764 A KR 1020150008764A KR 20150008764 A KR20150008764 A KR 20150008764A KR 20160089164 A KR20160089164 A KR 201600891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
- flexible display
- electric signal
- deformed
- shape retai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1746 electroa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63 electro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95 Dielectr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SRUGXGCCGIOQO-UHFFFAOYSA-N Rhoden Chemical compound CNC(=O)OC1=CC=CC=C1OC(C)C ISRUGXGCCGIO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22 conducting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96 coordination complex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7 flexi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31 io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31 shape-memory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될 때 상기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접힘 가능한 하우징; 상기 변형 부분의 강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형상 유지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신호 인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한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Panel) 등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뜻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다. 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유리기판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용분야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고다닐 수 있는 의류용 패션, 의료용 진단 분야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될 때 상기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접힘 가능한 하우징; 상기 변형 부분의 강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형상 유지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신호 인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변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변형 부분은 하우징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전기 신호 인가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 기억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전기 신호 인가부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전기 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형상 유지부가 후면에 배치된 상기 변형 부분의 변형된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 또는 펼침 곡률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변형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전기 신호 인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한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될 때 상기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되는,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신호 인가부; 및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 또는 곡률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또는 곡률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인가할 상기 전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이 가능한 변형 부분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변형 부분의 강도를 제어하는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될 때 상기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 또는 펼침 곡률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변형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상기 전기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인가할 상기 전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세기의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과정에서 꺾여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지는 경우 형상유지 소자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편평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형상을 유지하는 부분을 달리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편평도를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구부러지거나 펴지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편평도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오차를 줄여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유저 인터페이스 조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접힘 동작에 따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와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지 않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형상 유지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설명한 형상 유지부를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소자의 성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접히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0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난다.
도 13은 도 1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4은 도 1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5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5의 형상 유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형상 유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형상 유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a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도 20의 형상 유지부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도 21의 형상 유지부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도 22의 형상 유지부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3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4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와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지 않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형상 유지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설명한 형상 유지부를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소자의 성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접히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0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난다.
도 13은 도 1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4은 도 1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5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상 유지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5의 형상 유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형상 유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형상 유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a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도 20의 형상 유지부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도 21의 형상 유지부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도 22의 형상 유지부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3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4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폴딩 동작(folding motion)”또는 “벤딩 동작(bending motion)”이란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거나 또는 휘어지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반대로,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언폴딩 동작(unfolding motion)”또는 “언벤딩 동작(unbending motion)”이란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특히,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변형(deforming)”이란 “폴딩(접힘)” 또는 “벤딩(휨)” 등과 같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외적 형태가 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변형(deforming)”의 용어는 “폴딩(접힘)”, “언폴딩(펼침)(unfolding)”, “벤딩(휨 또는 구부러짐)”, “언벤딩(펼침)(unbending)” 등의 용어로 대체되어 해석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들에 대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실시예들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내지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접힘 동작에 따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다양한 목적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디바이스, 전자북 디바이스,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채용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특정 각도(angle) 또는 특정 곡률(curvature)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특정 곡률로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원통형으로 말릴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deform)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종류로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벤더블 디바이스,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롤러블 디바이스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구부러진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완전히 접힌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완전히 펼쳐질 수 있고,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unfolding angle)는 “180도”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구조를 살펴보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 및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01), 제 2 하우징(102) 및 연결부(103)를 포함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제 1 하우징(101), 제 2 하우징(102)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제 1 부분(예를 들어, 도 2의 104a) 및 제 2 부분(예를 들어, 도 2의 104b)과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 사이에 위치하는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deformable part)(예를 들어, 도 2의 104c)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은 변형이 없는 고정 부분(fixed part)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접힘이 가능한 변형 부분으로서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은 연결부(103)에 의하여도 지지되지 않으며, 단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변형 부분의 후면에 위치한 형상 유지부(예를 들어, 도 2의 10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도 1b와 같이 접힐 수 있고, 이때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는 “0도”와 “180도” 사이의 각도로 예를 들어, “90도”가 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도 1c와 같이 완전히 접힐 수도 있고, 이때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는 “0도”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것은 하우징(10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접히는 것을 의미한다.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이 접힘 위치에 놓이고,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을 연결하는 연결부(103)가 연결을 유지한 채 변형됨으로써, 접힐 수 있다.
하우징(100)이 접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 또한 접히게 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고정 부분인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은 변형되지 않고 변형 가능한 변형 부분(104c)이 접힐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각지게 꺾어지지 않으며 완만하게 곡면의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지지하는 하우징(100)은 변형되는 변형 부분(104c)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space)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 공간의 하우징(100)의 연결부(103)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의하여도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형성된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꺾어지지 않게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손상을 막기 위한 수용 공간이 있게 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지지되지 못하여 굴곡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을 터치하는 경우 변형 부분(104c)이 지지되지 않아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후면에 후술할 형상 유지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인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위치하여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의 강도 또는 편평도를 제어함으로써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근접하게 맞닿아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유지부(1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접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히는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지는 경우, 스스로 편평하게 펴짐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 또한 편평하게 펴지도록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스스로 단단한 강도를 유지함으로써 변형 부분(104c)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접히는 펼침 각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편평하게 펴짐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힐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일정 조건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 유지부(105)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전기 활성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신호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전기 활성 물질은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EAP)일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를 구현하기 위한 전기 활성 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형상 유지부(1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대응하여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후술할 전기 신호 인가부(예를 들어, 도 31의 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신호 인가부(330)가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형상 유지부(105)는 수축 또는 이완을 통하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신호 인가부(330)가 전기 신호를 차단하는 경우, 형상 유지부(105)는 정해진 형상 없이 유연한 상태가 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신호 인가부(3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지는 경우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전기 신호 인가부(3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 접히는 경우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차단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형상에 따라 형상 유지부(105)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전기 신호 인가부(3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라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 중 전기 신호를 인가할 영역의 영역 및 위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점점 펼쳐져 펼침 각도가 점점 커질수록,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 중 전기 신호를 인가할 영역이 더 넓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후술할 센싱부(예를 들어, 도 31의 320)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펼침 각도를 이용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 중 전기 신호를 인가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편평도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힐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도 2의 (a)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완전히 펼쳐져 펼침 각도가 “180도”가 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완전히 접혀 펼침 각도가 “0도”가 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포함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변형이 없는 고정 부분인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과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인 변형 부분(104c)을 포함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바이스의 몸체로서 디바이스의 외부 케이스 및 소자들을 지지하기 위한 내부 구조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하우징(100)은 제 1 부분(104a)을 지지하는 제 1 하우징(101), 제 2 부분(104b)을 지지하는 제 2 하우징(102) 및 제 1 하우징(101)과 제 2 하우징(102)을 연결하는 연결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내부 구성들에 해당되는 센싱부(320), 전기 신호 인가부(330), 제어부 등의 구성들을 제 1 하우징(101) 또는 제 2 하우징(102)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은 각각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예를 들면 접착 물질과 같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수단들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하우징(100)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변형 부분(104c)은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접착되지 않고 연결부(103)에도 접착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과의 연결에만 의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0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접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진 경우, 형상 유지부(10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센싱부(320)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판단할 수 있고, 펼침 각도에 따라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펼침 각도가 “180도”로 판단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에서 형상 유지부(105)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는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편평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의 (a)와 (b)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힘에 따라 하우징(10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접힐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이 접힘 위치에 놓이고,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을 연결하는 연결부(103)가 연결을 유지한 채 변형됨으로써, 접힐 수 있다. 연결부(103)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를 보면, 내부에 슬릿 구조를 포함하는 고무와 같은 유연성 있는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2의 (b)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0도”가 되는 경우에도, 연결부(103)가 슬릿 구조를 이용하여 곡면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변형 부분(104c)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원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b)의 측면도에서 나타난 수용 공간은 실제로 원기둥 형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변형 부분(104c)이 변형됨으로써 접힐 수 있다.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의해 각각 접착된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이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접히면, 변형 부분(104c)은 수용 공간 내에서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도 2의 (b)와 같이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경우, 형상 유지부(105)는 밀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히는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센싱부(320)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0도”로 판단할 수 있고,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전기 신호가 차단된 형상 유지부(105)는 유연한 상태로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원형의 수용 공간의 내부에 밀착됨으로써 더욱 곡면 형상을 잘 유지한 채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다른 일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1)가 완전히 펼쳐져 펼침 각도가 “180도”가 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1)가 완전히 접혀서 펼침 각도가 “0도”가 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1)에 있어서, 도 2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1)의 연결부(113)는 원통형의 축을 포함하는 힌지(113a) 및 이음부(113b)를 포함하여 힌지(113a)의 축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3의 (b)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0도”가 되는 경우에도, 연결부(113)가 힌지 구조를 이용하여 변형된 연결부(113)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변형 부분(104c)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b)의 측면도에서 나타난 수용 공간은 실제로 사각 기둥 형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이 접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변형 부분(104c)이 변형됨으로써 접힐 수 있다. 제 1 하우징(111) 및 제 2 하우징(112)에 의해 각각 접착된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이 사각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접히면, 변형 부분(104c)은 각지게 꺾이지 않고 수용 공간 내에서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와 형상 유지부(105)를 포함하지 않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사용자가 접힘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히는 부분을 터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히는 부분은 접힘이 가능한 변형 부분일 수 있어, 변형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하우징(100)은 변형 부분의 후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의 (b) 및 (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의 후면에 수용 공간을 갖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들을 나타낸다. 다만, 도 4의 (b)에서는 형상 유지부(105)를 포함하지 않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나타나며, (c)에서는 형상 유지부(10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형상 유지부(1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의 뒷면에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형상 유지부(105)가 없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은 하우징(100)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고 단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고정 부분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을 터치하면, 변형 부분은 눌리거나 휘어질 수 있고 정확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도 4의 (c)에서 형상 유지부(105)가 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은 형상 유지부(10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는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편평도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밀착된 변형 부분의 편평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형 부분을 터치하더라고 변형 부분은 눌리거나 휘어짐 없이 정확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형상 유지부(105)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형상 유지부(10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펼쳐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센싱부(320)를 통하여 펼침 각도를 판단하여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를 이용하여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는 수축 또는 이완하여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스스로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밀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을 지지하여 형상을 유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하우징(100)에 의한 지지 없이도 편평도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의 (b)는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센싱부(320)를 통하여 펼침 각도를 판단하여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를 이용하여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지 않은 형상 유지부(105)는 유연한 상태로, 밀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이 변형되는 형태에 따라 변형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나타난 것처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의 양쪽 말단 중 한쪽 말단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고정 부분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아래로 휘어져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에 따라 함께 변형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다시 펼쳐지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 및 형상 유지부(105)는 도 5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설명한 형상 유지부를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소자의 성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형상 유지부는 일정 조건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정 조건은 특정 온도, 특정 압력, 특정 전압 등의 조건으로서, 예를 들면 형상 유지부는 특정 온도에 따라 정해진 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 기업 합금과 같은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부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전기 활성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신호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전기 활성 물질은 전기 활성 고분자(EAP, Electro Active Polymer)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부를 구현하기 위한 전기 활성 고분자의 성질에 대하여 서술한다. 전기 활성 고분자 외의 물질들도 이와 유사한 성질을 이용하여 형상 유지부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 활성 고분자는 전기적인 자극에 의하여 변형을 할 수 있는 고분자 재료를 통칭하며, 전기 활성 고분자의 종류로는 고분자 젤(polymer gel), 전도성 고분자(conducting polymer),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체(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IPMC),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tube), 유전 탄성중합체(dielectric elastomer),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수지, 형상 기억 고분자(shape memory polymer), 전기 활성 세라믹(EAC, Electro Active Ceramics),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등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활성 고분자는 두 전극(601, 602)과 두 전극(601, 602) 사이에 삽입된 탄성 물질(603)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물질(603)은 탄성중합체(elastomer)와 같이,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형상이 복귀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이다.
도 6의 (a)는 전기 활성 고분자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비활성 상태의 모습이고 (b)는 전압이 인가된 활성 상태의 모습이다. 전기 활성 고분자는 전압이 인가되면 두 전극 간의 전압차가 발생하게 되고 두 전극(601, 602)이 서로 만나기 위해 사이의 물질(603)을 압박하게 되어 (b)와 같이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전기 활성 고분자는 전기 활성 고분자의 구조 또는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형상을 다르게 변형시킬 수 있다.
전기 활성 고분자는 인가된 전압이 차단되면 탄성 중합체의 성질에 의하여 (a)와 같이 원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활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동력 전달 기구인 엑츄에이터(actuator)(701)가 나타난다.
도 7의 (a)는 엑츄에이터(70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비활성 상태의 모습이고 (b)는 전압이 인가된 활성 상태의 모습이다. 비활성 상태의 엑츄에이터(701)는 정해진 형상 없이 유연한 상태일 수 있다. 엑츄에이터(701)에 전압이 인가되면 도 6에서 설명된 전기 활성 고분자의 성질에 따라 엑츄에이터(701)의 형상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츄에이터(701)의 각 지점에 대하여 전기 활성 고분자의 구조, 전압의 인가 여부,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 등을 조절하여 엑츄에이터(701)의 형상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활성 고분자의 성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형상 유지부를 구현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부분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전기 활성 소자 등의 형상 유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유지 소자는 형상 유지부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는 형상 유지 소자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는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8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접히는 부분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채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고정 부분인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과 고정 부분 사이에 연결된 변형 부분(10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은 각각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변형 부분(104c)은 제 1 하우징(101) 또는 제 2 하우징(102)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고,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과 단지 연결되어 있다.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은 연결부(103)를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부(103)와 합쳐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몸체인 하나의 하우징(100)이 될 수 있다. 연결부(103)는 내부에 슬릿 구조를 포함하는 고무와 같은 유연성 있는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103)는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비하여 얇게 구현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과 연결부(103)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 부분(104c)과 연결부(103) 사이의 빈 공간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때에 변형 되는 변형 부분(104c)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06)이 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이 각지게 꺾이지 않고 곡면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여분의 공간이다. 수용 공간(106)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힐 때 형성될 수도 있고, 펼쳐져 있을 때부터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변형 부분(104c)과 연결부(103) 사이의 수용 공간(106)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형상 유지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앞서 설명한 형상 유지 소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부착되어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경우 하우징(10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접힐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이 접힘 위치에 놓이고,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을 연결하는 연결부(103)가 연결을 유지한 채 변형됨으로써, 접힐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변형 부분(104c)이 변형됨으로써 접힐 수 있다. 변형 부분(104c)은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도 9의 (a)를 보면, 하우징(100)이 접힘에 따라 수용 공간(106)은 변형 부분(104c)을 수용할 공간을 유지하면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변형 부분(104c)은 유지되는 수용 공간(106)으로 들어가면서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05)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여,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이 접히는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9의 (b)와 같이 하우징(100)이 완전히 접히면 수용 공간(106)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6)은 실제로 원기둥 형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원형의 수용 공간의 내부에 밀착됨으로써 더욱 곡면 형상을 잘 유지한 채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0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1)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1)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접히는 부분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1)에 있어서,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111) 및 제 2 하우징(112)은 연결부(113)를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부(113)와 합쳐져 플렉서블 디바이스(11)의 몸체인 하나의 하우징(110)이 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원통형의 축을 포함하는 힌지(113a) 및 이음부(113b)를 포함하여 힌지(113a)의 축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제 1 하우징(111) 및 제 2 하우징(112)에 비하여 얇게 구현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의 변형 부분(114c)과 연결부(113)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 부분(114c)과 연결부(113) 사이의 빈 공간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1)가 접히는 때에 변형 되는 변형 부분(114c)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16)이 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6)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바이스(11)는 변형 부분(114c)의 후면에 형상 유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b) 및 (c)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1)가 접히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0의 (b)를 보면, 하우징(110)이 접힘에 따라 수용 공간(116)은 변형 부분(114c)을 수용할 공간을 유지하면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변형 부분(114c)은 유지되는 수용 공간(116)으로 들어가면서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변형 부분(114c)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15)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여, 밀착된 변형 부분(114c)이 접히는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10의 (c)와 같이 하우징(110)이 완전히 접히면 수용 공간(116)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6)은 실제로 사각 기둥 형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1)는 도 10의 (c)에 나타난 연결부(113)의 가로 길이를 적당히 조절하여 구현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가 각지게 꺾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된 변형 부분(114c)의 곡면의 첨점이 연결부(113)의 중심축과 맞닿아, 변형 부분(114c)이 각지게 꺾이지 않고 더욱 곡면 형상을 잘 유지한 채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2)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1의 (a)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2)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접히는 부분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2)에 있어서,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은 연결부(123)를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부(123)와 합쳐져 플렉서블 디바이스(12)의 몸체인 하나의 하우징(120)이 될 수 있다. 연결부(123)는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 사이의 원통형의 축을 포함하는 힌지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2)가 접히는 때에 변형 되는 변형 부분(124c)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26)은, 제 1 하우징(121) 또는 제 2 하우징(122)의 내부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126)은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오목한 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6)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4)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바이스(12)는 변형 부분(124c)의 후면에 형상 유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2)가 접히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1에서, 하우징(120)이 접힘에 따라 수용 공간(126)은 변형되지 않고 공간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변형 부분(124c)은 수용 공간(126)으로 들어가면서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변형 부분(124c)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25)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여, 밀착된 변형 부분(124c)이 접히는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의 (b)와 같이 하우징(120)이 완전히 접히면 수용 공간(126)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6)은 실제로 사각 기둥 형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2)는 도 11의 (b)에 나타난 제 2 하우징(122)에 구비된 홈 형태의 수용 공간(126)의 가로 길이를 적당히 조절하여 구현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가 각지게 꺾이지 않고 더욱 곡면 형상을 잘 유지한 채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한 쪽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완전히 펼쳐진 경우의 펼침 각도는 “180도”가 되고, 완전히 접힌 경우의 펼침 각도는 “0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펼침 각도가 “180도”인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펼침 각도가 더 커지는 방향(반대 방향)으로 접힐 수 없다. 만약,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외력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과하게 휘어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05)는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센싱부(320)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판단할 수 있고, 펼침 각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에서 형상 유지부(105)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는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스스로 편평도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밀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이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1)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1)의 손상을 방지하지 위하여, 연결부(113)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1)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힌지(113a)의 돌아가는 각도를 제한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의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15)는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1)는 완전히 펼쳐진 경우, 센싱부(320)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의 펼침 각도를 판단하여 형상 유지부(11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15)는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스스로 편평도 및 강도를 유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4)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은 도 1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2)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의 측면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2)의 손상을 방지하지 위하여, 연결부(123)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2)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123)는 힌지가 돌아가는 각도를 제한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2)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이 연결부(123) 이외의 지점에서 맞닿아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4)의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25)는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4)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2)는 완전히 펼쳐진 경우, 센싱부(320)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4)의 펼침 각도를 판단하여 형상 유지부(12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25)는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스스로 편평도 및 강도를 유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4)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형상 유지부(105)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가능한 부분인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형상 유지부(105)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고, 형상 유지 소자 및 형상 유지 소자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형상 유지부에 형상 유지 소자가 배치되는 형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형상 유지부 내에 짙게 표시한 영역이 형상 유지 소자가 부착된 영역을 나타낸다.
도 15는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107)가 배치되는 경우를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의 (a)는 형상 유지부(10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부분의 측면 단면도이고, (b)는 배면 단면도이다.
형상 유지 소자(107)가 전체 영역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으면 변형 부분(104c)의 전체 영역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6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형상 유지부(115)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형상 유지부(115)의 일부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117)가 배치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형상 유지 소자(117)는 복수개의 가로 방향의 막대가 배열된 형태로 형상 유지부(11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의 (a)는 형상 유지부(11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부의 측면 단면도이고, (b)는 배면 단면도이다.
형상 유지 소자(117)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르게 배열되어, 형상 유지부(115)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15)는 복수개의 막대 모양의 형상 유지 소자(117)마다 전기 신호 인가 여부가 다른 경우,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15)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히게 할 수 있다.
도 17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형상 유지부(125)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형상 유지부(125)의 일부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127)가 배치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형상 유지 소자(127)는 복수개의 세로 방향의 막대가 배열된 형태로 형상 유지부(12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의 (a)는 형상 유지부(12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부의 측면 단면도이고, (b)는 배면 단면도이다.
형상 유지 소자(127)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르게 배열되어, 형상 유지부(125)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25)는 복수개의 막대 모양의 형상 유지 소자(127)마다 전기 신호 인가 여부가 다른 경우,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25)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히게 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25)는 세로 방향의 막대 모양으로 배열된 형상 유지 소자(127)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펼치는 때에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더욱 잘 펴지도록 탄력을 줄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형상 유지부(135)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형상 유지부(135)의 일부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137)가 배치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형상 유지 소자(137)는 복수개의 사각형이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어레이 형태로 형상 유지부(13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의 (a)는 형상 유지부(13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부의 측면 단면도이고, (b)는 배면 단면도이다.
형상 유지 소자(137)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르게 배열되어, 형상 유지부(135)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35)는 복수개의 사각 모양의 형상 유지 소자(137)마다 전기 신호 인가 여부가 다른 경우,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35)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히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터치가 잦은 부분 또는 터치가 예상되는 부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 소자(13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형상 유지부(145)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형상 유지부(145)의 전체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147)가 배치되는 경우를 모습을 나타낸다.
다만, 형상 유지부(145)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연결부 및 수용 공간의 구현 방식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부분(104c)은 제 1 하우징 또는 제 2 하우징 중 일측으로 치우쳐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배치되는 형상 유지부(145) 또한 제 1 하우징 또는 제 2 하우징 중 일측으로 치우쳐져 있을 수 있다.
도 19의 (a)는 형상 유지부(14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부분의 측면 단면도이고, (b)는 배면 단면도이다.
형상 유지 소자(147)가 전체 영역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45)는 변형 부분(104c)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4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으면 변형 부분(104c)의 전체 영역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45)에는 도 16 내지 도 18에서와 같이 일부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형상 유지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형상 유지부 내에 짙게 표시한 영역이 형상 유지 소자가 부착된 영역을 나타낸다.
도 20은 도 15의 형상 유지부(105)의 상세도이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가능한 부분인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형상 유지부(105)를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 유지부(105)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는 성질을 갖는 형상 유지 소자 및 형상 유지 소자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포함된 회로를 통하여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107)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으면 변형 부분(104c)의 전체 영역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05)는 복수개의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형상 기억 소자(107)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 별로 다른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을 포괄적으로 제어하면서도, 다른 형상 또는 다른 강도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6의 형상 유지부(115)의 상세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형상 유지부(115)의 일부 영역에 복수개의 형상 유지 소자(117a, 117b)이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15)는 복수개의 형상 유지 소자(117a, 117b)를 이용하여 변형 부분(104c)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15)는 복수개의 형상 유지 소자(117a, 117b) 마다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남은 전력이 부족하여 절전이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형상 유지 소자(117a, 117b) 중 일부의 형상 유지 소자(117b)에만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복수개의 형상 유지 소자(117a, 117b) 마다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라 변형 부분(104c)이 곡면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접히거나 펴지도록 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15)는 도 20의 형상 유지부(105)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하는 경우, 더욱 명확하게 영역을 나누어 제어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22는 도 19의 형상 유지부(145)의 상세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형상 유지부(145)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형상 유지부(145)는 제 1 하우징 또는 제 2 하우징 중 일측으로 치우쳐 있을 수 있다.
도 22에서 형상 형상 유지 소자(147)는 형상 유지부(145)의 전체 영역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다만, 도 21과 같이 형상 유지부(145)의 일부 영역에 형상 유지 소자가(147)가 배치될 수도 있다.
형상 유지 소자(147)가 전체 영역에 배치된 경우, 형상 유지부(145)는 변형 부분(104c)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4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으면 변형 부분(104c)의 전체 영역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45)는 복수개의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형상 기억 소자(147)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 별로 다른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형상 유지부(145)는 변형 부분(104c)을 포괄적으로 제어하면서도, 다른 형상 또는 다른 강도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을 펼침 각도(2301)를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내장된 접힘 센서들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2301)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4a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하나의 접힘 축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센싱부의 접힘 센서(24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접힘 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접히는 라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대칭적으로 접힐 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가운데 라인일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비대칭적으로 접힐 때는 접힘 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가운데 라인이 아닐 수 있다.
도 24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도 24a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접힘 축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도 24b의 센싱부의 한 쌍의 접힘 센서들(2402)은 도 23a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이 아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양 끝 각각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의 한 쌍의 접힘 센서들(2402)은 서로가 떨어진 거리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접힘 센서들(2402)은 거리 측정을 위한 적외선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5a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복수의(2개의) 접힘 축들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센싱부의 2개의 접힘 센서들(2501) 각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2개의 접힘 축들 각각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5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도 25a와 마찬가지로, 복수의(2개의) 접힘 축들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도 25b의 센싱부의 두 쌍의 접힘 센서들(2502 및 2503)은 도 25a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각각의 접힘 축들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양 끝 각각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의 한 쌍의 접힘 센서들(2502) 및 한 쌍의 접힘 센서들(2503)은 서로가 떨어진 거리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접힘 센서들(2502)은 거리 측정을 위한 적외선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센싱부는 접힘 센서(2601)가 위치한 센서 포인트의 수치 변화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6의 (a)를 참고하면, 접힘 센서(2601)는 센서 포인트에서의 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힘 센서(2601)는 +180도에서 -180도까지의 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b)를 참고하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힘 센서들(2602, 2603 및 2604)은, 각각의 센서 포인트들에서의 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도 20의 형상 유지부(105)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유지 소자(107)가 전체 영역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05)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밀착하여 위치하는 형상 유지부(10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 중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영역은 활성화 영역이 되고, 전기 신호를 인가 받지 못한 영역은 비활성화 영역이 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의 활성화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활성화 영역에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05)의 비활성화 영역은 유연한 상태로서 비활성화 영역에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를 통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형상 유지부(105)에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이 편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라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이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 및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7b 및 도 27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른 형상 유지부(105)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짐에 따라 형상 유지부(105)의 더 넓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하여, 펼침 각도에 따라 형상 유지부(105)의 활성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결정하여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커질수록 형상 유지부(105)의 더 넓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45도” 미만이면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에 전기 신호를 차단하고, 펼침 각도가 “45도” 이상이 되면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도 27b의 (a)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45”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고정 부분에 근접한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은 활성 영역이 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 영역이 되며, 활성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일 수 있다.
(b)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9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더 넓은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활성 영역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또한, (c)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135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더 넓은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활성 영역은 더 넓어질 수 있다.
(d)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완전히 펼쳐져 펼침 각도가 “18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이 활성 영역이 될 수 있다. 활성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밀접한 변형 부분의 편평도 및 강도가 유지되도록 변형 부분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7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45도” 이상이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에 근접한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은 활성 영역이 되고, 활성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도 27c의 (b) 및 (c)와 같이 펼침 각도가 “90도”, “135도”로 커짐에 따라 더 넓은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d)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완전히 펼쳐져 펼침 각도가 “18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이 활성 영역이 될 수 있다. 활성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밀접한 변형 부분의 편평도 및 강도가 유지되도록 변형 부분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라 형상 유지부(105)의 활성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결정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도 21의 형상 유지부(115)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막대 모양의 형상 유지 소자(117)가 일부 영역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밀착하여 위치하는 형상 유지부(11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 유지부(115)의 전체 영역 중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하는 영역은 활성화 영역이 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 영역이 될 수 있다. 비활성화 영역은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 및 전기 신호가 차단된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15)의 활성화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활성화 영역에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115)의 비활성화 영역은 유연한 상태로서 비활성화 영역에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를 통하여 형상 유지부(11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형상 유지부(115)에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이 편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라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이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8b 및 도 28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른 형상 유지부(115)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짐에 따라 형상 유지부(115)의 더 넓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하여 펼침 각도에 따라 복수개의 막대 모양의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하는 영역 중 개개의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하는 영역 마다 전기 신호 인가 여부를 다르게 결정하여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커질수록 더 넓은 영역의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45도” 미만이면 형상 유지부(115)의 전체 영역에 전기 신호를 차단하고, 펼침 각도가 “45도” 이상이 되면 형상 유지부(15)의 일부의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도 28b의 (a)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45”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고정 부분에 근접한 일부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한 영역은 활성 영역이 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 영역이 되며, 활성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일 수 있다.
(b)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9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15)의 더 많은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활성 영역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또한, (c)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135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더 많은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활성 영역은 더 넓어질 수 있다.
(d)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완전히 펼쳐져 펼침 각도가 “18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15)에 포함된 모든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한 모든 영역이 활성 영역이 될 수 있다. 활성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밀접한 변형 부분의 편평도 및 강도가 유지되도록 변형 부분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8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45도” 이상이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에 근접한 일부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한 영역은 활성 영역이 되고, 활성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도 28c의 (b) 및 (c)와 같이 펼침 각도가 “90도”, “135도”로 커짐에 따라 더 넓은 영역의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d)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완전히 펼쳐져 펼침 각도가 “18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15)에 포함된 모든 형상 유지 소자(117)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한 모든 영역이 활성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때, 형상 유지 소자(117)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은 비활성화 영역이 될 수 있다. 활성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밀접한 변형 부분의 편평도 및 강도가 유지되도록 변형 부분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영역의 사이사이에 유연성을 갖는 비활성 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는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힐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도 22의 형상 유지부(145)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인 위치에 형상 유지부(145)를 구비한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밀착하여 위치하는 형상 유지부(145)는 제 1 하우징 또는 제 2 하우징 중 일측으로 치우쳐 있을 수 있다. 형상 유지부(145)는 전체 영역에 연결되어 배치된 형상 유지 소자(1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b 및 도 29c는 플렉서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에 따른 형상 유지부(145)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짐에 따라 형상 유지부(145)의 더 넓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를 측정하여, 펼침 각도에 따라 형상 유지부(145)의 활성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결정하여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도 29b의 (a)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45”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접힘 축에 근접한 형상 유지부(14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45)의 일부 영역은 활성 영역이 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 영역이 될 수 있다.
(b)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9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더 넓은 형상 유지부(14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활성 영역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또한, (c)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135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더 넓은 형상 유지부(145)의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활성 영역은 더 넓어질 수 있다.
(d)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완전히 펼쳐져 펼침 각도가 “180도”가 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45)의 전체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 유지부(145)의 전체 영역이 활성 영역이 될 수 있다. 활성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여, 밀접한 변형 부분의 편평도 및 강도가 유지되도록 변형 부분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45)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진 경우에도, 형상 유지부(145)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형상을 제어하여 편평도 및 강도를 유지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형상을 제어하여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 형상 유지부(105)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몸체에 해당하는 하우징은 제 1 하우징(101), 제 2 하우징(102) 및 연결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1)은 디바이스의 외부 케이스(101a) 및 내부 소자들 및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01b)을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하우징(102)은 외부 케이스(102a) 및 지지판(10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내부 구성들에 해당되는 센싱부(320), 전기 신호 인가부(330), 제어부 등의 구성들을 제 1 하우징(101) 또는 제 2 하우징(102)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1)과 제 2 하우징(102)을 연결하는 연결부(103)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통형의 축을 포함하는 힌지를 이용하여 축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은 각각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예를 들면 접착 물질과 같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인 변형 부분(104c)은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변형 부분(104)은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에 접착되지 않고 연결부(103)에도 접착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제 1 부분(104a) 및 제 2 부분(104b)과의 연결에만 의지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은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배치된 형상 유지부(10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형상 유지부(105)는 변형 부분(104c)의 후면에 접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지 않은 형상 유지부(105)는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펼쳐진 경우, 형상 유지부(105)는 전기 신호 인가부(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1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1 및 도 30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 센싱부(320), 전기 신호 인가부(330)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3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내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하드웨어 구성이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들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더블 디스플레이, 벤더블 디스플레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변형이 없는 고정 부분인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과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인 변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각각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변형 부분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접히는 경우 변형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변형 부분은 각지게 꺾이지 않고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 부분은 변형되는 때에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곡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변형 부분은 도 30에 도시된 형상 유지부(10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제어부(340)를 통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고, 형상 유지부(105)에 밀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변형 부분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320)는 센서들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접힘 가능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변형(deform) 정도를 감지한다. 센싱부(32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변형되는 동안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변형 범위를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와 동일한(conform) 형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정도는 결국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변형 정도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센싱부(32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형태 전환을 감지하고, 이때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펼침 각도 또는 펼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싱부(32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펼침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싱부(32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의 형태 전환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센싱부(32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접힘 동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펼침 각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나, 센싱부(320)에 의해 펼침 곡률이 감지된 경우에도, 펼침 각도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벤더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센싱부(320)는 벤더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진 정도를 나타내는 휨(bending)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러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센싱부(32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말린(rolling)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싱부(3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종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종류에 대응되는 다양한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전기 신호 인가부(330)는 도 30에 도시된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만드는 구성이다.
전기 신호 인가부(330)는 제어부(340)에서 결정된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은 활성화 영역이 되고, 형상 유지부(105)의 활성화 영역은 미리 결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40)는 센싱부(32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펼침 각도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수신된 펼침 각도를 기초로 펼침 각도에 대응되는, 형상 유지부(105)의 전기 신호를 인가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펼침 각도가 소정의 기준 각도 이상인지 판단하여, 펼침 각도가 소정의 기준 각도보다 작은 경우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차단하고 펼침 각도가 소정의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펼침 각도가 클수록 형상 유지부(105)의 더 넓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펼침 각도에 대응되는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결정된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전기 신호 인가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벤더블 디스플레이이거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제어부(340)는 휨 곡률 또는 말린 정도 각각에 대응되는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2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입력부(3210), 출력부(3220), 통신부(3230), 센싱부(3240), 메모리(3250), 제어부(3260) 및 전기 신호 인가부(32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10)는 터치 인식 모듈(3211), 모션 인식 모듈(3212), 키 인식 모듈(3213) 및 음성 인식 모듈(3214)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3220)는 디스플레이부(3221), 음향 출력 모듈(3222) 및 알람부(3223)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3230)는 근거리 통신 모듈(3231), 무선 인터넷 모듈(3232), 이동 통신 모듈(3233) 및 유선 인터넷 모듈(3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종류에 따라, 도 32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도 32에 도시된 일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생략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10)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2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211)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26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211)은,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211)에서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또는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모듈(3211)은,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 없이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 앤드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211)은, 디스플레이부(3221)와 복수의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앞서 도 31에서 설명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터치 인식 모듈(3211)과 디스플레이부(3221)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하드웨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321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260)로 전달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321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이 아닌,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3차원적인 이동 또는 회전 등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모션 인식 모듈(321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인식 모듈(3212)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3212)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모션 입력에는 X 축, Y 축, Z 축 방향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이동되는 3차원 모션 입력, 3차원 공간 상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회전되는 회전 모션 입력,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흔들리는 쉐이킹 모션 입력,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울임 모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
키 인식 모듈(3213)은, 하드웨어 키(예컨대, 방향 키, 글자 키, 마우스 등)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3214)은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제어부(3260)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322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3221)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처리될 정보 등의 각종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인터페이싱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3221)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31에서 설명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디스플레이부(3221)의 기능을 갖는다. 한편, 도 3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터치 인식 모듈(3211)과 디스플레이부(3221)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하드웨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222)은, 통신부(3230)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3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2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2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3223)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3230)는, 외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구성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3231)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23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이동 통신 모듈(3233)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유선 인터넷 모듈(3234)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센싱부(324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변형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변형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26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324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사용을 위해 오픈된 이후에 발생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32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변형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 동작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접힘(폴딩) 동작, 벤딩 동작, 펼침(언폴딩) 동작, 언벤딩 동작, 롤링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3240)는 도 31의 센싱부(320)에 대응된다.
센싱부(3240)는 변형 동작과 관련하여, 변형 위치(좌표 값, 변형 라인), 변형 방향, 변형 각도, 변형 곡률, 변형 세기, 변형 속도, 변형 횟수, 변형 동작 발생 시점, 변형 동작 유지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3240)는 로드 셀(load cell), 벤딩 센서(bending sensor),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전자기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3240)는 도 24a 내지 도 25b에서 설명된 과정을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접힘 동작 및 접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325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처리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HDD(hard-disk drive), SDD(solid state drive),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26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들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CPU, 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31의 제어부(340)는 제어부(3260)에 해당될 수 있다.
전기 신호 인가부(3270)는 도 30에 도시된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만듦으로써 형상 유지부(105)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3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3 및 도 30을 참조하면, 3301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센싱부를 통하여 감지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3302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부분(104c)의 강도를 제어하는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인가할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형상 유지부(105)의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완전히 접히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에 전기 신호를 차단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형상이 변형 부분(104c)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05)의 전체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형상 유지부(105)의 형상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형상 유지부(105)의 형상을 통하여 형상 유지부(105)에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 및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펼침 각도에 따라,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형상 유지부(105)의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달리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가 부드럽게 구부러지거나 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4은 도 30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4 및 도 30을 참조하면, 3401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센싱부를 통하여 감지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3402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소정의 기준 각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3403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소정의 기준 각도보다 작은 경우 형상 유지부(105)에 전기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형상 유지부(105)는 유연한 상태로,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3404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4)의 펼침 각도가 소정의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펼침 각도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인가할 형상 유지부(105)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펼침 각도에 대응되는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펼침 각도가 클수록 형상 유지부(105)의 더 넓은 영역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도록 형상 유지부(105)의 일부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3405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결정된 형상 유지부(105)의 영역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은 형상 유지부(105)의 활성 영역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밀착된 변형 부분(104c)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될 때 상기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접힘 가능한 하우징;
상기 변형 부분의 강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형상 유지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신호 인가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변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변형 부분은 하우징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전기 신호 인가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 기억 소자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전기 신호 인가부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전기 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형상 유지부가 후면에 배치된 상기 변형 부분의 변형된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 또는 펼침 곡률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신호 인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접힘 가능한 변형 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될 때 상기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되는,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신호 인가부; 및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 또는 곡률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또는 곡률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을 결정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인가할 상기 전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이 가능한 변형 부분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변형 부분의 강도를 제어하는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될 때 상기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변형 부분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인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 또는 펼침 곡률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것인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상기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것인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형상 유지부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할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상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변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인가할 상기 전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세기의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형상 유지부의 영역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8764A KR20160089164A (ko) | 2015-01-19 | 2015-01-19 |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
US15/542,589 US20180267574A1 (en) | 2015-01-19 | 2015-10-29 | Flexi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hape of display of flexible device |
PCT/KR2015/011476 WO2016117804A1 (en) | 2015-01-19 | 2015-10-29 | Flexi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hape of display of flexi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8764A KR20160089164A (ko) | 2015-01-19 | 2015-01-19 |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9164A true KR20160089164A (ko) | 2016-07-27 |
Family
ID=5641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8764A KR20160089164A (ko) | 2015-01-19 | 2015-01-19 |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267574A1 (ko) |
KR (1) | KR20160089164A (ko) |
WO (1) | WO2016117804A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5174A (ko) * | 2019-01-04 | 2020-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11627328A (zh) * | 2020-05-07 | 2020-09-0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装置及其柔性显示面板组件 |
KR20200135594A (ko) * | 2019-05-22 | 2020-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모듈 제조방법 |
US11074835B2 (en) | 2018-02-09 | 2021-07-27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WO2022037286A1 (zh) * | 2020-08-17 | 2022-02-2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支撑装置以及可折叠装置 |
WO2022041114A1 (zh) * | 2020-08-28 | 2022-03-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可调节边框和可折叠显示装置 |
CN115695607A (zh) * | 2019-12-27 | 2023-02-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屏和可折叠设备 |
US11703916B2 (en) | 2020-10-31 | 2023-07-1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
US11706886B2 (en) | 2020-09-30 | 2023-07-1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Fol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US11846998B2 (en) | 2020-07-01 | 2023-12-1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Folding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246382S (en) * | 1975-11-10 | 1977-11-15 | Parker Iii John Castlereagh | Bedpan |
KR101776262B1 (ko) | 2014-06-27 | 2017-09-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철식 기기 |
US9791892B2 (en) | 2014-06-27 | 2017-10-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device |
KR102568386B1 (ko) * | 2016-09-30 | 2023-08-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WO2016203321A2 (en) * | 2016-10-18 | 2016-12-22 | Almuhairbi, Eida | Motorized foldable flexible display |
USD864953S1 (en) * | 2017-07-04 | 2019-10-2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JP2019109289A (ja) * | 2017-12-15 | 2019-07-04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USD890552S1 (en) * | 2017-12-20 | 2020-07-21 | Target Brands, Inc. | Display unit |
CN108322567B (zh) * | 2018-02-01 | 2019-11-08 |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
CN110719347A (zh) | 2018-07-13 | 2020-01-2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
CN108712538B (zh) * | 2018-07-27 | 2021-06-04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
JP2020046541A (ja) * | 2018-09-19 | 2020-03-26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携帯用情報機器 |
JP6917973B2 (ja) | 2018-12-28 | 2021-08-11 | Nissha株式会社 | 折り畳み式表示装置 |
JP2020140007A (ja) * | 2019-02-27 | 2020-09-03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
CN109857200B (zh) * | 2019-02-28 | 2024-07-0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电子设备 |
CN110060573B (zh) * | 2019-04-22 | 2020-12-29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柔性模组结构及显示装置 |
CN110206969A (zh) * | 2019-05-27 | 2019-09-06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支撑片及具有支撑片的柔性显示装置 |
CN112447098A (zh) | 2019-09-03 | 2021-03-05 |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 滚动条式显示设备以及滚动条式显示设备的调变方法 |
US20210124389A1 (en) * | 2019-09-24 | 2021-04-29 | Yoshiro Nakamats | Super smartphone |
JP2021052397A (ja) * | 2019-09-24 | 2021-04-01 | 中松 義郎 | スーパースマートフォン及びスマートフォンシステム |
KR20210037408A (ko) * | 2019-09-27 | 2021-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가변형 엑츄에이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1187630A1 (ko) * | 2020-03-17 | 2021-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US11353933B2 (en) * | 2020-05-27 | 2022-06-07 | Apple Inc. | Self-actuating hinge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
CN111833749B (zh) * | 2020-07-13 | 2022-11-1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
KR20220092664A (ko) * | 2020-12-24 | 2022-07-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23833B2 (en) * | 2007-06-05 | 2017-11-21 | Immersio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
US8787016B2 (en) * | 2011-07-06 | 2014-07-22 | Apple Inc. | Flexible display devices |
EP2546721B1 (en) * | 2011-07-11 | 2020-12-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
KR102031803B1 (ko) * | 2012-07-13 | 2019-1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굽힘 상태 감지 및 처리 장치와 방법 |
KR102043810B1 (ko) * | 2012-08-20 | 2019-1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165442B1 (ko) * | 2013-02-01 | 2020-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9348362B2 (en) * | 2013-02-08 | 2016-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lexible portable terminal |
KR102048922B1 (ko) * | 2013-02-13 | 2020-01-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EP2989525B1 (en) * | 2013-04-26 | 2019-09-25 | Immersion Corporation | Simulation of tangible user interface interactions and gestures using array of haptic cells |
KR102073379B1 (ko) * | 2013-11-26 | 2020-02-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
EP3100130B1 (en) * | 2014-01-29 | 2020-08-0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
US9547339B2 (en) * | 2014-03-27 | 2017-01-17 | Intel Corporation | Smart flexible display |
-
2015
- 2015-01-19 KR KR1020150008764A patent/KR201600891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10-29 WO PCT/KR2015/011476 patent/WO201611780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0-29 US US15/542,589 patent/US20180267574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74835B2 (en) | 2018-02-09 | 2021-07-27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200085174A (ko) * | 2019-01-04 | 2020-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200135594A (ko) * | 2019-05-22 | 2020-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모듈 제조방법 |
CN115695607B (zh) * | 2019-12-27 | 2023-05-0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屏和可折叠设备 |
CN115695607A (zh) * | 2019-12-27 | 2023-02-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屏和可折叠设备 |
CN111627328B (zh) * | 2020-05-07 | 2022-10-2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装置及其柔性显示面板组件 |
CN111627328A (zh) * | 2020-05-07 | 2020-09-0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装置及其柔性显示面板组件 |
US11846998B2 (en) | 2020-07-01 | 2023-12-1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Folding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
WO2022037286A1 (zh) * | 2020-08-17 | 2022-02-2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支撑装置以及可折叠装置 |
US12085992B2 (en) | 2020-08-17 | 2024-09-10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Support device and foldable device |
WO2022041114A1 (zh) * | 2020-08-28 | 2022-03-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可调节边框和可折叠显示装置 |
US12066865B2 (en) | 2020-08-28 | 2024-08-20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Adjustable fram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
US11706886B2 (en) | 2020-09-30 | 2023-07-1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Fol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US11703916B2 (en) | 2020-10-31 | 2023-07-1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17804A1 (en) | 2016-07-28 |
US20180267574A1 (en) | 2018-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89164A (ko) |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 |
US10063677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inged housing,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 |
US10387030B2 (en) | Bend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AU2016100399B4 (en) |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 |
KR102527064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05765338B (zh) | 柔性设备形变测量 | |
KR102358110B1 (ko) | 표시 장치 | |
KR102485231B1 (ko) |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US10528088B2 (en) | Opening state detection of a foldable device using self-capacitance | |
EP3680750B1 (en) |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 |
US9560189B2 (en) | Mobile terminal with a display that can be bent or flexed | |
EP3379390B1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101916416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137533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869959B1 (ko) |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 |
TW201543665A (zh) | 可撓顯示器最適安裝技術 | |
TW201913607A (zh) | 折疊式電子元件及其控制方法 | |
US20160378249A1 (en) |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 |
US20230009765A1 (en) | Electronic Device | |
EP3356920B1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6470424B2 (ja) | 電子デバイス | |
KR20140103584A (ko)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
KR20140094958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 |
KR20180123644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
JP6830130B2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