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543B1 -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543B1
KR102137543B1 KR1020150061773A KR20150061773A KR102137543B1 KR 102137543 B1 KR102137543 B1 KR 102137543B1 KR 1020150061773 A KR1020150061773 A KR 1020150061773A KR 20150061773 A KR20150061773 A KR 20150061773A KR 102137543 B1 KR102137543 B1 KR 10213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flexible display
bend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190A (ko
Inventor
김동철
박경완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TW10510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TWI619113B/zh
Priority to PCT/KR2016/000121 priority patent/WO2016111555A2/en
Priority to EP16735176.6A priority patent/EP3243125A4/en
Priority to CN202010962652.9A priority patent/CN112150984B/zh
Priority to US14/990,420 priority patent/US9941918B2/en
Priority to CN202010970055.0A priority patent/CN112150985B/zh
Priority to CN201680010331.0A priority patent/CN107223279B/zh
Publication of KR2016008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190A/ko
Priority to US15/909,512 priority patent/US10951253B2/en
Priority to KR1020200089467A priority patent/KR10227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제1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면, 제1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본 개시는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뜻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다. 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유리기판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용분야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고다닐 수 있는 의류용 패션, 의료용 진단 분야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거나 접히는 성질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싱 방식 또는 정보의 표시 방식들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가 정보를 보기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정보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시간 또는 이용 횟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 또는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시간은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시간, 날씨, 메시지 등의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사용자가 글림프스(glimpse)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보통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키를 누르거나 또는 파워 키를 눌러서 확인을 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된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이 없으면, 일정 시간 후 페이드 아웃(fade out)되어 자동적으로 사라질 때까지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터리를 소모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벤딩 가능한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간단한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 또는 장치에 따르면,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들이 개선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개시에 기술된 내용에 비추어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문제점들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 되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벤딩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일 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 감지부는 상기 벤딩부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외부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외부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상기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일 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일 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활성화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감지부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정보는, 메시지, 시간 정보, 날씨 정보, 뉴스 정보 및 부재 중 전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정보와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일 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일 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활성화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감지부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정보는, 메시지, 시간 정보, 날씨 정보, 뉴스 정보 및 부재 중 전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비휘발성 기록매체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벤딩하는 동작만으로, 정보들을 신속하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키 또는 파워 키를 누르는 번거로운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벤딩하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만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터리 소모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언벤딩하면, 표시된 정보가 자동으로 사라짐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터리 소모가 절약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개시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여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따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c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언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탭 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2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언벤딩 상태, 프리 벤딩 상태 및 스탭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뷰 화면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 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및 다중(multimodal)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버튼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장치에 가하는 모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회전시키거나, 장치를 기울이거나, 장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다중 입력”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방식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폰 북 어플리케이션, 방송 어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어플리케이션, 결제 어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일 수 있다.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아이콘, 인덱스 항목, 링크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UI 엘리먼트는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현되거나, 또는 상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드백이 가능한 일 영역이 있으면, 이 영역을 UI 엘리먼트라 할 수 있다. 또한, UI 엘리먼트, 예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된 상태”란 사용자 단말 장치가 휘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반대로,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언벤딩된 상태”란 사용자 단말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의는, 후술할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여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다양한 목적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디바이스, 전자북 디바이스, 디지털방송용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나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es), HMD(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채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특정 각도(angle) 또는 특정 곡률(curvature)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특정 곡률로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원통형으로 말릴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deform)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기존의 디스플레이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20) 내에서 처리된 정보 또는 처리될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배경 화면, 홈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입력 인터페이싱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벤딩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언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벤딩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을 본 개시에서는 퀵 뷰 화면(Qucik Viewiwng Window)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사용자가 언벤딩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파지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 및 벤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특정 각도 또는 특정 곡률로 벤딩시키는 구성 요소 및, 벤딩된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언벤딩 상태로 복원시키는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벤딩부(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벤딩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파지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비활성화 상태라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블랙 스크린인 상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오프된 상태 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에 어떠한 정보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은,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1)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앞으로 미는 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 축(12)을 기준으로 언벤딩된 상태에서 벤딩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제1 영역(20-1)과 제2 영역(2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20-1)은 일 축(12)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 영역이고, 반면, 제2 영역(20-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나머지 영역(예를 들어, 일 축(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이 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영역(20-1)은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표시 영역에 대략 40% 정도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이 활성화 상태가 된다는 것은,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이 블랙 스크린에서 밝기가 표시되는 스크린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정보는, 예로, 컨텐츠 또는 글림프스(glimpse)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간단한 정보는 주로 시간, 날씨, 메시지, 일정, 알람, 메모, 뉴스, 등과 같은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정보는, 예로,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날씨 위젯, 일정 위젯, 알림 위젯, 메모 위젯, 갤러리 위젯, 카메라 위젯, 시계 위젯, 피드(feed) 위젯 등)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정보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한 메뉴/버튼/아이콘 등과 같은 UI 엘리먼트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시각적 효과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예로, 페이드 인(Fade in) 효과와 함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1)을 이용하여 미는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 축(12)을 기준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20-1)에 정보가 표시 중이었다면, 표시 중인 정보는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시각적 효과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예로, 페이드 아웃(Fade out) 효과와 함께 정보가 제거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 벤딩 감지부(183)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18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한다. 즉, 벤딩 감지부(18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여부, 벤딩 속도, 벤딩 각도 및 벤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는 동안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이 활성화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구성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제1 영역(20-1)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에서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면, 제1 영역(20-1)에 표시 중인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영상 수신부(110), 영상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40), 메모리(150), 오디오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감지부(180) 및 제어부(또는, 프로세서)(19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은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컨텐츠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1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1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VO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1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2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또는 그래픽 처리부(1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에 적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앞서와 같이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크기에 따라 특정 화면 크기(예컨대,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액티브 매트릭스 화면(active matrix screen)을 가지며,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컨대,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적어도 하나의 면)까지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130)가 동작 가능한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예컨대, 곡률 반경 5cm, 1cm, 7.5mm, 5mm, 4mm 등) 이하로 접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측면에 체결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감지부(181)과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20)는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40)는 와이파이칩(141), 블루투스 칩(142), 무선 통신 칩(143), NFC 칩(144)을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와이파이 칩(141), 블루투스 칩(14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41)이나 블루투스 칩(1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4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4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메모리(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9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9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150)는 제어부(190) 내 롬(192), 램(191)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50)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4에 따르면, 메모리(150)에는 OS(410), 커널(420), 미들웨어(430), 어플리케이션(4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4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4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420)은 디스플레이부(13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2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미들웨어(430)는 X11 모듈(430-1), APP 매니저(430-2), 연결 매니저(430-3), 보안 모듈(430-4), 시스템 매니저(4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 메인 UI 프레임 워크(430-7), 윈도우 매니저(430-8), 서브 UI 프레임 워크(430-9)를 포함한다.
X11 모듈(430-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430-2)는 메모리(15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4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430-2)는 X11 모듈(4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4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2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4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430-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4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나 서브UI 프레임워크(4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는 각종 UI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UI 엘리먼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440-1~4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CPU(194)는 UI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을 이용하여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메모리(15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16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감지부(18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자세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감지부(18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지부(18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감지부(18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18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감지 목적에 따라, 터치 감지부(181), 움직임 감지부(182) 및 벤딩 감지부(183)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는, 물리적인 구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결합하여 감지부들(181,182,18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감지부(180)의 구성 또는 기능의 일부가 제어부(19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출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81)는 신호 값들로부터 터치 위치 또는 터치 좌표, 터치 개수, 터치 세기, 셀 ID, 터치 각도 또는 터치 면적 등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패널의 메모리(미도시)에 있는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종류가 결정되면,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8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근접 터치 위치(또는 호버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가 터치 감지부(181)의 기능의 일부를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센서로부터 획득한 신호 값 또는 신호 값으로부터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신된 신호 값 또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된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예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터치 입력의 종류로부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통화 버튼이 선택된 것을 검출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82)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틸팅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기준으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움직임 감지부(18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18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18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테이블의 표면과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를 가정할 시, 움직임 감지부(18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상기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움직임 감지부(182)는 좌표계에서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한다. 센서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벤딩 감지부(183)는 감지 센서로서, 택(Tack) 스위치, 움직임 감지 센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딩 감지부(183)는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 또는 측정된 값으로부터 도출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주기적으로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벤딩 감지부(183)는 측정된 값 또는 측정된 값이 특정 임계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거나, 이벤트 발생 시에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 두 개의 택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 두 개의 택 스위치 각각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각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택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되는 시간, 또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택 스위치 각각이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유지 시간이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두 개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움직임 감지 센서 중 하나는 벤딩 축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는, 예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자기장 센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각도 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각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변위 값의 발생 시간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유지 시간이 감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압력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압력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각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에 가해지는 크기의 변화 속도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에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유지 시간이 감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벤딩 감지부(183)는 터치 감지부(181)에서 획득된 터치 패널의 캐패시터(capacitor) 값 또는 저항(register) 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로, 터치 패널에서 벤딩되는 부분의 캐패시터(capacitor) 값 또는 저항(register) 값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각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 값 또는 저항값의 변화 속도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 값 또는 저항값의 변화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유지 시간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버스(196)를 포함한다. 이때,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등은 버스(1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94)는 ROM(1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RAM(1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91)에 복사하고, RAM(1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정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구성된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따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7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점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하로 벤딩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상태는 프리 벤딩(Pre-Bending) 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계속하여 벤딩되어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벤딩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벤딩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상태를 스탭 벤딩(Step-Bending) 또는 포스트 벤딩(Post-Bending) 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일정 각도는 약 10도에서 25도 사이의 값들 중 하나 또는 일정 범위 값들이 될 수 있다. 일정 각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탄성부의 탄성력 또는 마모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를 프리 벤딩 상태로 유지하는 압력은 대략 0.9kfg/㎠ 값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스탭 벤딩 상태로부터 프리 벤딩 상태 또는 언벤딩 상태로 복원시키는 압력은 대략 1.3kfg/㎠ 값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언벤딩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파지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에 터치 되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터치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이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가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이 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고, 제1 영역(20-1)에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활성화 상태가 되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터치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계속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가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 및 제2 영역(20-1)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는 메시지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제2 영역(20-2)에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 상에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키패드를 통한 메시지 입력을 수신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는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부(30)는 제1 체결부(501), 제2 체결부(502) 및 탄성부(503)(예로, 원통 스프링, 판 스프링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벤딩부(3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벤딩 감지부(183-1) 및 제2 벤딩 감지부(18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의 (a)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전 상태인 언벤딩 상태를 나타낸다. 언벤딩 상태에서, 제1 체결부(501)의 제1 락킹(locking) 부분(501-1)과 제2 체결부(502)의 제2 락킹 부분(502-1)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벤딩 감지부(183-1)의 감지 센서 및 제2 벤딩 감지부(183-2)의 감지 센서가 눌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택 스위치들인 경우, 상기 감지 센서들은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압력(504)이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하로 벤딩되면, 도 5a의 (b)와 같이, 제1 체결부(501)의 제1 슬라이딩 부분(501-2)과 제2 체결부(501)의 제2 슬라이딩 부분(501-2)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제1 체결부(501) 및 제2 체결부(502)가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압력(504)이 제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원래의 상태인 언벤딩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탄성부(503)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슬라이딩 부분(501-2)과 슬라이딩 부분(501-2)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제1 체결부(501) 및 제2 체결부(502)가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501) 및 제2 체결부(502)는 다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언벤딩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5a의 (b)의 상황에서, 제1 벤딩 감지부(183-1)의 감지 센서는 제2 체결부(502)의 눌림 또는 접촉을 감지하여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벤딩 감지부(183-1)는 제어부(190)로 제2 체결부(502)의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가 제2 체결부(502)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상태가 프리 벤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압력(504)이 계속해서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벤딩되면, 도 5a의 (c)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부분(501-2)과 제2 슬라이딩 부분(501-2)이 맞닿은 상태에서 미끄러져서 제1 락킹 부분(501-1)과 제2 락킹 부분(502-1)이 서로 맞닿도록 제1 체결부(501) 및 제2 체결부(502)가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벤딩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락킹 부분(501-1)과 제2 락킹 부분(502-1) 간에 체결된 힘이 탄성부(503)의 복원력보다 강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벤딩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도 5a의 (c)의 상황에서, 제1 벤딩 감지부(183-1)의 감지 센서는 제1 체결부(501)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벤딩 감지부(183-2)의 감지 센서는 제2 체결부(502)의 접촉을 감지하여 모두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벤딩 감지부(183-1) 및 제2 벤딩 감지부(183-1)는 각각 제어부(190)로 제1 체결부(501) 및 제2 체결부(502)의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가 제1 체결부(501) 및 제2 체결부(502)의 감지 신호를 일정 시간(예로, 0.2 초 내지 1초) 이내에 모두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상태가 스탭 벤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다른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전술한 도 5a의 벤딩 감지부(183)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단계 S601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벤딩 감지부 및 제2 벤딩 감지부로부터 벤딩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02 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벤딩 감지부의 감지 센서가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벤딩 감지부의 감지 센서가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S602-OFF), 단계 S603와 같이,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언벤딩 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벤딩 감지부의 감지 센서가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S602-ON), 단계 S604에서, 제어부(190)는 제2 벤딩 감지부의 감지 센서가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벤딩 감지부의 감지 센서가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S604-OFF), 단계 S605와 같이,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프리 벤딩 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벤딩 감지부의 감지 센서가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S604-ON),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S606과 같이, 스탭 벤딩 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b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는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5b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부(30)는 벤딩 축(511) 및 로드(5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벤딩부(3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벤딩 감지부(183-3) 및 제2 벤딩 감지부(18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드(512)는, 예로, 탄성 재질을 가진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5b의 (a)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전 상태인 언벤딩 상태를 나타낸다. 언벤딩 상태에서, 벤딩 축(511)은 제1 락킹 영역(512-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벤딩 감지부(183-3)의 감지 센서 및 제2 벤딩 감지부(183-4)의 감지 센서가 눌림 또는 접촉을 택 스위치들인 경우, 상기 감지 센서들은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압력(514)이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하로 벤딩되면, 도 5b의 (b)와 같이, 벤딩 축(511)은 제1 락킹 영역(512-1)으로부터 슬라이드 구간(512-2)을 따라 제2 락킹 영역(512-3)을 향하여 미끄러질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원래의 상태인 언벤딩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로드(512)의 복원력에 의하여, 벤딩 축(511)은 슬라이딩 구간(512-2)을 따라 다시 제1 락킹 영역(512-1)을 향하여 미끄러질 수 있다.
도 5b의 (b)의 상황에서, 제1 벤딩 감지부(183-3)의 감지 센서는 벤딩 축(511)의 눌림 또는 접촉을 감지하여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벤딩 감지부(183-3)는 제어부(190)로 벤딩 축(511)의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가 벤딩 축(511)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상태가 프리 벤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압력(514)이 계속해서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벤딩되면, 도 5b의 (c)와 같이, 벤딩 축(511)은 슬라이드 부분(512-2)을 계속 지나서 제2 락킹 영역(512-3)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벤딩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락킹 영역(512-3)에 튀어나온 턱(515-1,515-2)으로 인하여 벤딩 축(511)이 제2 락킹 영역(512-3)에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벤딩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도 5b의 (c)의 상황에서, 제2 벤딩 감지부(183-4)의 감지 센서는 벤딩 축(511)의 눌림 또는 접촉을 감지하여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벤딩 감지부(183-4)는 제어부(190)로 벤딩 축(511)의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가 벤딩 축(511)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상태가 스탭 벤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다른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전술한 도 5a 내지 도 6의 개념이 적용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부(30)는 벤딩 축(511), 로드(5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벤딩부(3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벤딩 감지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감지부(183)의 감지 센서는 압력 센서(예로, strain guage)로서 도 7에서 빗금친 구성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저항값, 또는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구분되는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신된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인지, 프리 벤딩된 상태인지 또는 스탭 벤딩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서, 벤딩부(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언벤딩 상태로 복원시키는 힘을 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탄성부의 일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는 탄성부가 판 스프링(801)인 것을 나타낸다. 판 스프링(80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8a의 (a)는 판 스프링(801)이 장착된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전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다. 도 8a의 (b)는 판 스프링(801)이 장착된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판 스프링(801)은 복원력이 강하기 때문에 벤딩 축(511)의 락킹을 강화하기 위한 특수한 구조가 요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c)와 같이 로드(512)에서 벤딩 축(511)이 이동하는 영역의 주변(802)의 재질을 메탈 구조로 구현하여 벤딩 축(511)이 락킹되는 힘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로드(512)에서 벤딩 축(511)이 락킹되는 부분의 주변에 보강물(803)을 장착하여 벤딩 축(511)이 락킹되는 힘을 강화할 수 있다.
또는, 도 8b와 같이, 로드(512)의 일부(512-5,512-6)가 탄성부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벤딩 축(511)이 로드(512)의 슬라이드 구간(805)에 위치하는 경우, 벤딩 축(511)은 탄성부(512-5,51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락킹 영역(512-1)으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도 8c와 같이, 탄성부는 슬라이드 구간(512-2) 및 제1 락킹 영역(512-1) 주변에 장착된 핀(pin) 스프링(805)일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축(511)이 로드(512)의 슬라이드 구간(512-2)에 위치하는 경우, 벤딩 축(511)은 핀 스프링(805)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락킹 영역(512-1)으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핀 스프링(805)을 이용하는 경우, 스프링의 두께에 따라 복원력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a)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언벤딩 상태를 나타낸다. 언벤딩 상태에서, 벤딩 축(511)은 로드(512)의 제1 락킹 영역(512-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벤딩 감지부(18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언벤딩 상태를 감지하고, 언벤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외부 압력이 가해져서,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하로 벤딩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프리 벤딩 상태를 나타낸다. 프리 벤딩 상태에서, 벤딩 축(511)은 슬라이드 구간(512-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로부터 언벤딩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벤딩 축(511)은 다시 제1 락킹 영역(512-1)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7의 (b)의 상황에서, 벤딩 감지부(18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프리 벤딩 상태를 감지하고, 프리 벤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의 (c)는 외부 압력이 계속하여 가해져서,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벤딩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스탭 벤딩 상태를 나타낸다. 스탭 벤딩 상태에서, 벤딩 축(511)은 로드의 제2 락킹 영역(512-3)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계속하여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의 (c)의 상황에서, 벤딩 감지부(183)는 스탭 벤딩 상태를 감지하고, 스탭 벤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c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일 수 있다. 언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은,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9)을 이용하여 앞으로 미는 힘이 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9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고, 활성화된 제1 영역(20-1)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 정보는 예로, 시간 정보 또는 날씨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9)을 이용하여 미는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도 9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언벤딩 상태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표시 중인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영역(20-1)이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제1 영역(20-1)의 표시 중이던 정보는 자동으로 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0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은,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거치대(901)에 거치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면을 손가락(f10)을 이용하여 앞으로 미는 힘이 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0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b)에서, 정보는 예로, 시간 정보 또는 날씨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치대(901)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면을 손가락(f10)을 이용하여 미는 힘이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1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일 수 있다. 언벤딩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상측 영역)에 메시지의 아이콘(1001) 또는 메시지의 일부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1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메시지(1102)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메시지(1102)는 도 11의 (a)에서 표시되는 메시지의 일부보다 더 많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수신된 메시지 내용 전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도 11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언벤딩 상태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표시 중인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 아이콘(1001) 또는 메시지의 일부 역시 표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2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재생 중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음악을 청취하면서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12)을 이용하여 앞으로 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2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예로, 재생 중인 음악의 가수 명, 재생 중인 음악의 가사, 재생 중인 음악의 앨범 등)(1201)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재생 중인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예로, 일시 정지, 시작, 반복, 모드 변경 등)(1202)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재생 중인 음악이 잠시 정지될 수도 있고 혹은 계속하여 재생을 유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도 12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언벤딩 상태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표시 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 또는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3a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에서 다운로드할 컨텐츠(1301)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손가락(f13)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가 시작되면, 도 13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계속하여 서버(1302)로부터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12)을 이용하여 앞으로 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3b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다운로드 중인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이들의 다운로드 상태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도 13b의 (d)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표시 중인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이들의 다운로드 상태가 표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계속해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퀵 뷰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다양한 퀵 뷰 화면들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도 14a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시계 알람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14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달력 또는 스케줄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14b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부재 중 전화 표시 화면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14b의 (d)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건강 정보 표시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정보는 사용자의 걸음 수, 심박수, 혈압, 혈당, 추천 건강 정보, 수면 정보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14c의 (e)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14c의 (f)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에서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홈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1301)가 선택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4c의 (g)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 내지 도 14c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오프된 상태에서, 간단한 동작으로 퀵 뷰 화면을 통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번거롭게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일측의 버튼을 누르거나 잠금 화면을 해제할 필요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빠르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 상에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스탭 벤딩 상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탭 벤딩 상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벤딩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스탭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501)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의 (a)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501)은, 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촬영 전의 프리뷰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은,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면의 상부를 손가락(f15)을 이용하여 앞으로 미는 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스탭 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퀵 뷰 화면으로서, 제2 어플리케이션(1502)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의 (b)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1502)의 실행 화면은, 예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15)을 이용하여 미는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도 15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스탭 벤딩 상태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다시 제1 어플리케이션(1501)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5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동안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간단한 동작으로 퀵 뷰 화면을 통한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프리 벤딩으로 전환하는 동작만으로 빠르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6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스탭 벤딩 상태일 수 있다. 스탭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601)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의 (a)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601)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은,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면의 상부를 손가락(f16)을 이용하여 앞으로 미는 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스탭 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감지부(180)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화면(1602)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의 (b)에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화면(1602)은, 예로, 촬영 제어 선택 모드(예로, 조리개 우선 모드, 셔터 우선 모드, 포커스 자동/수동 모드, 감도 조절 우선 모드 등) 및 촬영 종류 선택 모드(파노라마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정지 영상 촬영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도 16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스탭 벤딩 상태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다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601)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퀵 뷰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스탭 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다양한 퀵 뷰 화면들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도 17a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시계 알람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7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달력 또는 스케줄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7b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부재 중 전화 표시 화면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7b의 (d)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건강 정보 표시 화면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정보는 사용자의 걸음 수, 심박수, 혈압, 혈당, 추천 건강 정보, 수면 정보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2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 프리 벤딩 상태 및 스탭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 상에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일 수 있다. 언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8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제1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a의 (b)에서, 제1 정보는, 예로, 부재 중 수신된 전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에 힘이 더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은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후면의 상부를 손가락(f18)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정 각도 또는 일정 곡률 이상으로 구부러지도록 계속하여 앞으로 미는 힘이 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지면, 도 18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스탭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탭 벤딩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스탭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제1 정보와 관련된 제2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도 18b의 (c-1)과 같이 제2 정보는 부재 중 수신된 번호로 전화를 발신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또는, 도 18b의 (c-2)와 같이 제2 정보는 부재 중 수신된 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9a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일 수 있다. 언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상측 영역)에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1901)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알림 정보(1901)는 메시지 아이콘 및 메시지 내용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에 알림 정보(1901)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9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메시지 내용(1902)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에 힘이 더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지면, 도 19b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스탭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탭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는 메시지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제2 영역(20-2)에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탭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기존의 가해지던 외부 압력의 반대 방향으로 외부 압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의 외부 압력은,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전면의 상부를 손가락(f19)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일정 각도 또는 일정 곡률 이상으로 구부러지도록 앞으로 미는 힘이 될 수 있다.
반대 방향의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19b의 (d)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다시 프리 벤딩 상태 또는 언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스탭 벤딩 상태에서 메시지 입력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0a의 (a)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 상태일 수 있다. 언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20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시간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프리 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에 힘이 더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지면, 도 20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스탭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b의 (c-1)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20b의 (c-2)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제2 영역(20-2)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1a의 (a)에서, 언벤딩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도 21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언벤딩된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정지 영상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을 선택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들(2101,2102)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UI 엘리먼트(2101)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에 힘이 더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1b의 (c-1)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스탭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2 영역(20-2)에는 정지 영상 촬영을 조작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도 21a의 (b)에서, 동영상 촬영을 위한 UI 엘리먼트(2102)가 선택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에 힘이 더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1b의 (c-2)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프리 벤딩 상태에서 스탭 벤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1 영역(20-1)에 정지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2 영역(20-2)에는 동영상 촬영을 조작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1a의 (b)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 제1 영역(20-1)에 정지 영상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의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외부 압력을 추가로 가하되, 소정 시간 이내에 가하는 경우에는 정지 영상 촬영 모드로 진입하고, 외부 압력을 소정 시간을 경과하여 가하는 경우는 동영상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알리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시간 이내에서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지는 경우, 도 21b의 (c-1)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소정 시간을 경과하여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지는 경우, 도 21b의 (c-2)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뷰 화면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 또는 언벤딩되는 경우 퀵 뷰 화면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위젯, 컨텐츠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2a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예로, 위젯 또는 컨텐츠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2201)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감지부(180)는, 예로, 손가락(f22)으로 위젯(2201-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1a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위젯(2201-1)이 이동될 화면을 결정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동될 화면은, 예로, 홈 화면(2102) 또는 퀵 뷰 화면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감지부(180)는, 선택된 위젯(2201-1)이 퀵 뷰 화면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위젯(2201-1)을 퀵 뷰 화면을 대표하는 아이콘(2203)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2b의 (c)와 같이, 선택된 위젯(2201-1)이 퀵 뷰 화면에 표시되도록 결정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퀵 뷰 화면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도 22b의 (d)와 같이, 외부 압력이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에서 프리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퀵 뷰 화면에 결정된 위젯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압력이 가해져서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 상태에서 언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퀵 뷰 화면에 결정된 위젯이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 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의 단계 S2301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302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벤딩된 상태이면(S2302-Y), 단계 S2303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20-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기준이 되는 일 축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될 수 있다.
단계 S2304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305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이면(S2305-Y), 단계 S2306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 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의 단계 S2401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402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언벤딩 상태이면(S2402-Y), 단계 S2403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계 S2404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405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이면(S2405-Y), 단계 S2406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 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의 단계 S2501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502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이면(S2502-Y), 단계 S2503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제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알림 정보(예로, 메시지, 부재 중 전화 정보,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알람 정보 등) 및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는, 제1 정보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단계 S2504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505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이면(S2505-Y), 단계 S2506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제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정보는 제1 정보와 다른 정보일 수 있다. 예로, 제2 정보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 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의 단계 S2601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602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프리 벤딩 상태이면(S2602-Y), 단계 S2603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2604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벤딩 상태를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605에서, 감지된 벤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스탭 벤딩 상태이면(S2606-Y), 단계 S2606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제1 영역(20-1) 및 제2 영역(20-2)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20-1)에는 메시지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제2 영역(20-2)에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벤딩되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벤딩 감지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제1 벤딩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영역 상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벤딩 상태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져 상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가 제2 벤딩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일 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 감지부는 상기 벤딩부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외부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벤딩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벤딩 상태에서 상기 언벤딩된 상태로 변경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외부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벤딩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외부 압력이 제거되어도 상기 제1 벤딩 상태를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일 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일 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제1 벤딩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영역 상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벤딩 상태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져 상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가 제2 벤딩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일 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일 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언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제1 벤딩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상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벤딩 상태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외부 압력이 추가로 가해져 상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가 제2 벤딩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50061773A 2015-01-07 2015-04-30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3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00211A TWI619113B (zh) 2015-01-07 2016-01-06 可彎曲的使用者終端裝置及其顯示方法
EP16735176.6A EP3243125A4 (en) 2015-01-07 2016-01-07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CN202010962652.9A CN112150984B (zh) 2015-01-07 2016-01-07 可弯曲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US14/990,420 US9941918B2 (en) 2015-01-07 2016-01-07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PCT/KR2016/000121 WO2016111555A2 (en) 2015-01-07 2016-01-07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CN202010970055.0A CN112150985B (zh) 2015-01-07 2016-01-07 可弯曲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CN201680010331.0A CN107223279B (zh) 2015-01-07 2016-01-07 可弯曲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US15/909,512 US10951253B2 (en) 2015-01-07 2018-03-01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20200089467A KR102270681B1 (ko) 2015-01-07 2020-07-20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00614P 2015-01-07 2015-01-07
US62/100,614 2015-01-07
US201562102232P 2015-01-12 2015-01-12
US62/102,232 2015-0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467A Division KR102270681B1 (ko) 2015-01-07 2020-07-20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90A KR20160085190A (ko) 2016-07-15
KR102137543B1 true KR102137543B1 (ko) 2020-08-13

Family

ID=5650607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773A KR102137543B1 (ko) 2015-01-07 2015-04-30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86424A KR20160085192A (ko) 2015-01-07 2015-06-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60001623A KR102589849B1 (ko) 2015-01-07 2016-01-0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00089467A KR102270681B1 (ko) 2015-01-07 2020-07-20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424A KR20160085192A (ko) 2015-01-07 2015-06-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60001623A KR102589849B1 (ko) 2015-01-07 2016-01-0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00089467A KR102270681B1 (ko) 2015-01-07 2020-07-20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243125A4 (ko)
KR (4) KR102137543B1 (ko)
CN (4) CN112965600B (ko)
ES (1) ES2821892T3 (ko)
TW (1) TWI619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254B1 (ko) * 2016-08-03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TWI619103B (zh) * 2016-09-23 2018-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KR102341297B1 (ko) 2017-09-01 2021-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형상 유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08196774B (zh) * 2017-12-18 2021-05-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查阅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82582B (zh) * 2018-01-29 2021-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支付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52529B (zh) 2018-03-07 2019-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與劃分可撓式顯示器的方法
CN109753118B (zh) * 2018-12-29 2021-03-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CN109992189B (zh) * 2019-02-22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961694B (zh) * 2019-02-28 2023-02-28 重庆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3141428B (zh) * 2020-01-20 2023-07-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4237530A (zh) * 2020-01-21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的显示方法及相关装置
KR20210101684A (ko)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162295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의 운영 방법 및 장치
CN111338555B (zh) * 2020-02-19 2022-03-15 昆明闻泰通讯有限公司 通过虚拟键盘实现输入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625132B (zh) * 2020-05-15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20210158482A (ko) * 2020-06-24 2021-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05615A1 (ko) * 2022-07-01 2024-0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8628B (zh) * 2006-11-09 2013-09-11 Creator Technology Bv 可撓性顯示裝置之第二顯示器整合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5379B1 (ko) * 2009-10-14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JP5640365B2 (ja) * 2009-12-07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078899B1 (ko) * 2010-01-29 2011-11-0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CN101894538B (zh) * 2010-07-15 2012-09-05 优视科技有限公司 屏幕显示画面控制方法和装置
KR101731346B1 (ko) * 2010-11-12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101287147B1 (ko) * 2011-05-23 2013-07-17 (주) 프렉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30059233A (ko) * 2011-11-28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30080937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30106946A (ko) * 2012-03-21 2013-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3369214A (zh) * 2012-03-30 2013-10-23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与图像获取装置
KR101375335B1 (ko) *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16416B1 (ko) *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03631333B (zh) * 2012-08-27 2017-07-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提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36499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45533B1 (ko) * 2012-10-04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45883B1 (ko) * 2012-10-3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102086715B1 (ko) *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65442B1 (ko) * 2013-02-01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442104B (zh) * 2013-08-21 2016-07-06 上海鼎为通讯电子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显示控制方法
CN103645749A (zh) * 2013-12-23 2014-03-19 张志增 自动调节型显示设备及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84A (ko) 2020-07-29
CN107430433B (zh) 2021-03-26
EP4354277A2 (en) 2024-04-17
ES2821892T3 (es) 2021-04-28
KR20160085192A (ko) 2016-07-15
CN112965600B (zh) 2024-02-20
CN112965601A (zh) 2021-06-15
KR20160085190A (ko) 2016-07-15
CN107430433A (zh) 2017-12-01
KR102270681B1 (ko) 2021-06-30
KR102589849B1 (ko) 2023-10-17
KR20160085225A (ko) 2016-07-15
TWI619113B (zh) 2018-03-21
EP3243125A2 (en) 2017-11-15
CN112965600A (zh) 2021-06-15
EP3243125A4 (en) 2018-02-14
TW201636993A (zh) 2016-10-16
CN107223279A (zh) 2017-09-29
CN107223279B (zh)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681B1 (ko)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951253B2 (en)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0712938B2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US108910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1861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357221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1688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54978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US2016020286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810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102381051B1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EP3285469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brightness thereof,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for same
KR102463080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트 표시방법
CN112150985B (zh) 可弯曲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EP328788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