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926A -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926A
KR20180090926A KR1020170015635A KR20170015635A KR20180090926A KR 20180090926 A KR20180090926 A KR 20180090926A KR 1020170015635 A KR1020170015635 A KR 1020170015635A KR 20170015635 A KR20170015635 A KR 20170015635A KR 20180090926 A KR20180090926 A KR 2018009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esistance
resistance element
wiring
sensing
curren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5339B1 (ko
Inventor
홍원기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533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56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05339B1/ko
Priority to US15/850,549 priority patent/US10474306B2/en
Priority to CN201810105416.8A priority patent/CN108459780B/zh
Publication of KR2018009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한 가변 저항 요소; 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1 구동 배선과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2 구동 배선과 제2 감지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1 구동 배선과 상기 제1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1 전류 경로는,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2 구동 배선과 상기 제2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2 전류 경로와 상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 받기 위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센서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최근에는 표시 장치의 가요성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가변 저항 요소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가 변형된 상태의 종류를 파악하는 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한 가변 저항 요소;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1 구동 배선과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2 구동 배선과 제2 감지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1 구동 배선과 상기 제1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1 전류 경로는,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2 구동 배선과 상기 제2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2 전류 경로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배선 및 상기 제2 구동 배선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감지 배선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들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가 제1 변형 상태인지 상기 제1 변형 상태와 상이한 제2 변형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류 경로는 제1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배선으로부터 상기 가변 저항 요소의 제1 저항 변화량이 반영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감지 배선으로부터 상기 가변 저항 요소의 제2 저항 변화량이 반영된 감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변형 상태는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이고, 상기 제2 변형 상태는 상기 표시 장치가 스트레칭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제2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배선과 상기 제1 감지 배선은 상기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배선과 상기 제2 감지 배선은 상기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배선과 상기 제2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3 구동 배선과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4 구동 배선과 제4 감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3 구동 배선과 상기 제3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3 전류 경로는,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4 구동 배선과 상기 제4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4 전류 경로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경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구동 배선 및 상기 제4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나머지 배선들에는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배선, 상기 제2 구동 배선, 상기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감지 배선은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는, 가변 저항 요소;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배선들; 및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배선들 간에 형성되는 제1 전류 경로는,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배선들 간에 형성되는 제2 전류 경로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류 경로는 제1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류 경로와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배선들은 상기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배선들은 상기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류 경로와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 저항 요소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가 변형된 상태의 종류를 파악하는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가변 저항 요소의 배치 구조 및 가변 저항 요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영역 P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0; 이하, 센서라고 함) 및 터치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10), 센서(20) 및 터치 센서(30) 등도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센서(20)는, 표시 장치(1)가 변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표시 장치(1)가 벤드(bend)되어 변형된 것인지 스트레치(stretch)되어 변형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20)는 표시 장치(1)가 변형된 정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센서(2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터치 센서(30)는 표시 장치(1)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터치가 입력된 위치, 세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30)는 정전용량 변화 감지 방식, 저항 변화 감지 방식, 광량 변화 감지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표시 패널(10) 상에 센서(20)가 위치하고, 센서(20) 상에 터치 센서(30)가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표시 패널(10), 센서(20) 및 터치 센서(3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표시 패널(10),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0) 및 터치 센서(3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표시 패널(10), 센서(20) 및 터치 센서(3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10)은 기판(110), 화소들(120) 및 봉지층(encapsulation layer; 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다수의 화소들(12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130)은 화소들(120) 및 기판(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110)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110)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유리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들(120)은 표시 구동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으며, 봉지층(130)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130)은 화소들(120)로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130)은 센서(20) 또는 터치 센서(30)의 기판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봉지층(130)은 유리,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13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막의 재료로는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폴리에폭시, 벤조시클로부텐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무기막의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한 금속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서(20)는, 기판(200), 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가변 저항 요소(2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0)은 도 2에 도시된 기판(110)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가변 저항 요소(210)는 변형된 정도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경되는 구성 요소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이나 힘에 대응하여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가변 저항 요소(210)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경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 요소(210)는 압력 감지 물질(force sensitive material) 또는 압력 감지 레지스터(force sensitive resistor)로 지칭되는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요소(210)는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나노 튜브, 나노 컬럼, 나노 로드, 나노 기공, 나노 와이어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탄소, 흑연, 준금속, 금속, 상기 준금속 또는 금속의 도전성 산화물, 또는 상기 준금속 또는 금속의 도전성 질화물의 입자들을 포함하거나, 절연성 비드 상에 상기 입자들이 코팅된 코어 쉘 구조의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금속은, 안티몬(Sb), 게르마늄(Ge) 및 비소(A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아연(Zn), 알루미늄(Al), 스칸듐(Sc), 크롬(Cr),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인듐(In), 주석(Sn), 이트륨(Y), 지르코늄(Zr), 니오븀(Nb), 몰리브덴(Mo),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금(Au), 은(Ag), 백금(Pt), 스트론튬(Sr), 텅스텐(W), 카드뮴(Cd), 탄탈륨(Ta), 타이타늄(Ti) 등,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산화물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인듐 아연 옥사이드(IZO), 알루미늄 도프된 아연 산화물(AZO), 갈륨 인듐 아연 산화물(GIZO), 아연 산화물(ZnO)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탄소 나노 튜브나 은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변 저항 요소(210)는 압저항(piezo resistive) 성질을 갖는 반도체(예를 들어,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변 저항 요소(21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저항 요소(210)에는 제1 구동 배선(220a)과 제1 감지 배선(220b)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가변 저항 요소(210)가 제1 구동 배선(220a)과 제1 감지 배선(22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220a)의 일단은 패드(240)와 연결되고, 제1 구동 배선(220a)의 타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배선(220b)의 일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와 연결되고, 제1 감지 배선(220b)의 타단은 패드(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220a)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1 구동 배선(220a)의 타단, 가변 저항 요소(210) 및 제1 감지 배선(220b)의 일단을 따라 제1 전류 경로(CP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류 경로(CP1)는 제1 방향(x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가변 저항 요소(210)에는 제2 구동 배선(230a)과 제2 감지 배선(230b)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가변 저항 요소(210)가 제2 구동 배선(230a)과 제2 감지 배선(2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구동 배선(230a)의 일단은 패드(240)에 연결되고, 제2 구동 배선(230a)의 타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배선(230b)의 일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되고, 제2 감지 배선(230b)의 타단은 패드(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 배선(230a)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2 구동 배선(230a)의 타단, 가변 저항 요소(210) 및 제2 감지 배선(230b)의 일단을 따라 제2 전류 경로(CP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류 경로(CP2)는 제2 방향(y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가 변형되는 경우, 가변 저항 요소(210)뿐만 아니라 배선들(220a, 220b, 230a, 230b) 또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배선들(220a, 220b, 230a, 230b)의 저항 변화량이 감지 신호에 반영되지 않도록, 배선들(220a, 220b, 230a, 230b)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또는 힘에 대한 변형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패드들(240)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구동 배선(220a) 및 제2 구동 배선(23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감지 배선(220b) 및 제2 감지 배선(230b)으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 신호들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가 변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의 형상이 변형되면, 가변 저항 요소(210)가 수축(compressive)되거나 인장(tensile)되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 변화량이 반영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게 되면 표시 장치(1)가 변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1)는 플렉서블한 것으로, 벤드되어 변형될 수도 있고 스트레치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가변 저항 요소(210)는 표시 장치(1)가 벤드되는 경우에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장되어 변형되고, 표시 장치(1)가 스트레치되는 경우에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장되어 변형될 수 있다.
만일 가변 저항 요소(210)에 제1 구동 배선(220a) 및 제1 감지 배선(220b)만 연결된 경우, 표시 장치(1)가 벤드되는 경우에도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이 커지고, 표시 장치(1)가 스트레치 되는 경우에도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표시 장치(1)가 변형된 것은 감지할 수 있으나, 표시 장치(1)가 벤드된 것인지 스트레치된 것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20)는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된 두 쌍의 배선들(220a, 220b, 230a, 230b)을 포함하므로, 표시 장치(1)가 변형되었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어떠한 상태로 변형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20)의 동작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 장치(1)가 소정의 각도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부러진 경우(예를 들어, 벤드된 경우)를 제1 변형 상태로 지칭하고, 표시 장치(1)가 거의 동일한 평면 상에서 늘어나거나 수축된 경우(예를 들어, 스트레치 된 경우)를 제2 변형 상태로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드(24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20)는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구동 배선들(220a, 230a)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감지 배선들(220b, 230b)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50)는 제1 구동 배선(220a)과 제2 구동 배선(230a)으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제1 구동 배선(22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제2 구동 배선(23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 배선(220b)으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에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1 저항 변화량(ΔR1)이 반영될 수 있으며, 제1 저항 변화량(ΔR1)은 제1 전류 경로(CP1)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50)는 제2 구동 배선(23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제1 구동 배선(22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 감지 배선(230b)으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에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2 저항 변화량(ΔR2)이 반영될 수 있으며, 제2 저항 변화량(ΔR2)은 제2 전류 경로(CP2)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제1 방향(x축 방향)에 대응하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 변화와 제2 방향(y축 방향)에 대응하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 변화를 순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저항 변화량(ΔR1)과 제2 저항 변화량(ΔR2)을 이용하여, 변형된 표시 장치(1)가 제1 변형 상태인지 제2 변형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20)는 메모리(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5)에는 표시 장치(1)가 변형된 정도(이하, 표시 장치(1)의 변형률이라 함)에 대응하는 제1 저항 변화량(ΔR1)과 제2 저항 변화량(ΔR2)의 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55)에는, 표시 장치(1)가 소정의 변형률을 갖도록 제1 변형 상태로 변형되었을 때 측정된 제1 저항 변화량(ΔR1)과 제2 저항 변화량(ΔR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255)에는 각 변형률(제1 변형 상태로 변형되었을 때)에 매칭되는 제1 저항 변화량(ΔR1)과 제2 저항 변화량(ΔR2)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5)에는 표시 장치(1)가 소정의 변형률을 갖도록 제2 변형 상태로 변형되었을 때 측정된 제1 저항 변화량(ΔR1)과 제2 저항 변화량(ΔR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255)에는 각 변형률(제2 변형 상태로 변형되었을 때)에 매칭되는 제1 저항 변화량(ΔR1)과 제2 저항 변화량(ΔR2)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감지 신호들로부터 획득한 제1 저항 변화량(ΔR1), 제2 저항 변화량(ΔR2) 및 메모리(255)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로 하여, 변형된 표시 장치(1)가 제1 변형 상태인지 제2 변형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5 및 도 6에는 표시 장치(1)의 제1 변형 상태의 변형률과 제1 저항 변화량(ΔR1) 간의 관계를 나타낸 제1 그래프(B1, B1'), 표시 장치(1)의 제1 변형 상태의 변형률과 제2 저항 변화량(ΔR2) 간의 관계를 나타낸 제2 그래프(B2, B2'), 표시 장치(1)의 제2 변형 상태의 변형률과 제1 저항 변화량(ΔR1) 간의 관계를 나타낸 제3 그래프(S1, S1') 및 표시 장치(1)의 제2 변형 상태의 변형률과 제2 저항 변화량(ΔR2) 간의 관계를 나타낸 제4 그래프(S2, S2')를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의 x축은 표시 장치(1)의 변형률에 대응하며, y축은 저항 변화량에 대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0)에서 산출한 제1 저항 변화량(ΔR1)의 값이 Ra이고 제2 저항 변화량(ΔR2)의 값이 Rb인 경우, 표시 장치(1)가 제2 변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표시 장치(1)가 C1만큼의 변형률을 갖도록 변형되었음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250)에서 산출한 제1 저항 변화량(ΔR1)의 값이 Ra이고 제2 저항 변화량(ΔR2)의 값이 Rc인 경우, 표시 장치(1)가 제1 변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표시 장치(1)가 C2만큼의 변형률을 갖도록 변형되었음을 산출할 수도 있다.
만일 가변 저항 요소(210)에 제2 구동 배선(230a) 및 제2 감지 배선(230b)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50)는 제1 저항 변화량(ΔR1)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저항 변화량(ΔR2)에 대한 정보 없이는 제1 저항 변화량(ΔR1)의 값인 Ra가 제1 그래프(B1)에 포함되는 것인지 제3 그래프(S1)에 포함되는 정보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즉 변형된 표시 장치(1)가 제1 변형 상태인지 제2 변형 상태인지 판단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우, 가변 저항 요소(210)에 두 쌍의 배선들(220a, 220b, 230a, 230b)을 연결함으로써 제1 저항 변화량(ΔR1) 및 제2 저항 변화량(ΔR2)을 모두 획득할 수 있고, 따라서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까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변형 상태일 때,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1 방향으로의 저항이 커지는 방향으로 변화(제1 저항 변화량(ΔR1)이 양의 수를 가짐)하고 제2 방향으로의 저항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화(제2 저항 변화량(ΔR2)이 음의 수를 가짐)하는 반면, 제2 변형 상태일 때,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1 방향으로의 저항 및 제2 방향으로의 저항이 모두 커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제1 저항 변화량(ΔR1) 및 제2 저항 변화량(ΔR2)이 양의 수인지 음의 수인지 여부 만으로도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제1 저항 변화량(ΔR1) 및 제2 저항 변화량(ΔR2)이 서로 다른 부호를 갖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1)가 제2 변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과 달리, 제1 저항 변화량(ΔR1) 및 제2 저항 변화량(ΔR2)이 양의 수인지 음의 수인지 여부 만으로는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50)에서 산출한 제1 저항 변화량(ΔR1)의 값이 Ra'이고 제2 저항 변화량(ΔR2)의 값이 Rb'인 경우, 표시 장치(1)가 제2 변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표시 장치(1)가 C1'만큼의 변형률을 갖도록 변형되었음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250)에서 산출한 제1 저항 변화량(ΔR1)의 값이 Ra'이고 제2 저항 변화량(ΔR2)의 값이 Rc'인 경우, 표시 장치(1)가 제1 변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표시 장치(1)가 C2'만큼의 변형률을 갖도록 변형되었음을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에 따라 표시 패널(10)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가 달라질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가변 저항 요소의 배치 구조 및 가변 저항 요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변 저항 요소(210)와 배선들(220a, 220b, 230a, 230b)을 연결하는 패드들(24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7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0)에는 하나의 가변 저항 요소(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변 저항 요소(210)는 기판(200)의 코너와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0)에는 복수의 가변 저항 요소들(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변 저항 요소(210)는 기판(200)의 코너와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0)에 구비되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개수, 가변 저항 요소(210)의 배치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 요소(21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폭(W)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L)보다 작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가변 저항 요소(210)는 기판(200)의 일 측면과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 요소(210)는 테이퍼(taper)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폭(W)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가변 저항 요소(210)는 기판(200)의 일 측면과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가변 저항 요소(210)가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 저항 요소(2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영역 P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8은 제1 감지 배선(220b)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감지 배선(220b)은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메쉬 구조를 형성하는 도전선이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200)이 연신되면, 가변 저항 요소(210)뿐만 아니라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된 배선들(220a, 220b, 230a, 230b) 또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다만, 배선들(220a, 220b, 230a, 230b)이 메쉬 구조를 갖는 경우, 메쉬 구조를 형성하는 도전선 자체의 형상(단면적, 전체 길이 등)은 변형되지 않으므로, 배선들(220a, 220b, 230a, 230b)의 저항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감지 배선(220b) 뿐만 아니라, 제1 구동 배선(220a), 제2 구동 배선(230a) 및 제2 감지 배선(230b)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 요소(210)는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에는 제1 구동 배선(220a)과 제1 감지 배선(220b)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가 제1 구동 배선(220a)과 제1 감지 배선(22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220a)의 일단은 패드(240)와 연결되고, 제1 구동 배선(220a)의 타단은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배선(220b)의 일단은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와 연결되고, 제1 감지 배선(220b)의 타단은 패드(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220a)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1 구동 배선(220a)의 타단,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 및 제1 감지 배선(220b)의 일단을 따라 제1 전류 경로(CP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류 경로(CP1)는 제1 방향(x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에는 제2 구동 배선(230a)과 제2 감지 배선(230b)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가 제2 구동 배선(230a)과 제2 감지 배선(2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구동 배선(230a)의 일단은 패드(240)와 연결되고, 제2 구동 배선(230a)의 타단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배선(230b)의 일단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와 연결되고, 제2 감지 배선(230b)의 타단은 패드(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 배선(230a)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2 구동 배선(230a)의 타단,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 및 제2 감지 배선(230b)의 일단을 따라 제2 전류 경로(CP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류 경로(CP2)는 제2 방향(y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는 도 7c에 도시된 가변 저항 요소(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9a에 도시된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 및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9c를 참조하면,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는 도 7d에 도시된 가변 저항 요소(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9a에 도시된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a) 및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210b)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센서(20)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제1 구동 배선(220a)과 제2 구동 배선(230a)으로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제1 전류 경로(CP1)에 대응하는 제1 저항 변화량(ΔR1)과 제2 전류 경로(CP2)에 대응하는 제2 저항 변화량(ΔR2)이 반영된 감지 신호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20)는, 기판(200), 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가변 저항 요소(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저항 요소(210) 및 이에 연결된 제1 구동 배선(220a), 제1 감지 배선(220b), 제2 구동 배선(230a) 및 제2 감지 배선(230b)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가변 저항 요소(210)에는 제3 구동 배선(260a) 및 제3 감지 배선(260b)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가변 저항 요소(210)가 제3 구동 배선(260a) 및 제3 감지 배선(26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구동 배선(260a)의 일단은 패드(240)에 연결되고, 제3 구동 배선(260a)의 타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감지 배선(260b)의 일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되고, 제3 감지 배선(260b)의 타단은 패드(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구동 배선(260a)에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3 구동 배선(260a)의 타단, 가변 저항 요소(210) 및 제3 감지 배선(260b)의 일단을 따라 제3 전류 경로(CP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전류 경로(CP3)는 제3 방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3 방향은 x축과 y축 사이, 특히 x축 또는 y축과 45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가변 저항 요소(210)에는 제4 구동 배선(270a) 및 제4 감지 배선(270b)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가변 저항 요소(210)가 제4 구동 배선(270a) 및 제4 감지 배선(27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구동 배선(270a)의 일단은 패드(240)에 연결되고, 제4 구동 배선(270a)의 타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감지 배선(270b)의 일단은 가변 저항 요소(210)에 연결되고, 제4 감지 배선(270b)의 타단은 패드(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구동 배선(270a)에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4 구동 배선(270a)의 타단, 가변 저항 요소(210) 및 제4 감지 배선(270b)의 일단을 따라 제4 전류 경로(CP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전류 경로(CP4)는 제4 방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4 방향은 제3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제1 내지 제4 구동 배선들(220a, 230a, 260a, 270a)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제1 구동 배선(22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제2 내지 제4 구동 배선들(230a, 260a, 270a)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 배선(220b)으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에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1 저항 변화량(ΔR1)이 반영될 수 있으며, 제1 저항 변화량(ΔR1)은 제1 전류 경로(CP1)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 구동 배선(23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나머지 구동 배선들(220a, 260a, 270a)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 감지 배선(230b)으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에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2 저항 변화량(ΔR2)이 반영될 수 있으며, 제2 저항 변화량(ΔR2)은 제2 전류 경로(CP2)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3 구동 배선(26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나머지 구동 배선들(220a, 230a, 270a)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3 감지 배선(260b)으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에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3 저항 변화량이 반영될 수 있으며, 제3 저항 변화량은 제3 전류 경로(CP3)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4 구동 배선(270a)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나머지 구동 배선들(220a, 230a, 260a)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4 감지 배선(270b)으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에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제4 저항 변화량이 반영될 수 있으며, 제4 저항 변화량은 제4 전류 경로(CP4)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제1 내지 제4 방향에 대응하는 가변 저항 요소(210)의 저항 변화를 순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내지 제4 저항 변화량을 이용하여, 변형된 표시 장치(1)가 제1 변형 상태인지 제2 변형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제3 방향 또는 제4 방향으로 표시 장치(1)가 변형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표시 장치(1)의 변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10에서는 센서(20)가 표시 패널(10) 또는 터치 센서(30)와 별개로 형성되며, 가변 저항 요소(210)가 기판(200) 상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20)는 표시 패널(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에 포함된 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봉지층(13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가변 저항 요소(210)는 터치 센서(30)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기판(200) 없이 터치 센서(30)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20: 센서
30: 터치 센서
210: 가변 저항 요소
220a, 230a: 구동 배선
220b, 230b: 감지 배선
250: 제어부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한 가변 저항 요소;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1 구동 배선과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2 구동 배선과 제2 감지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1 구동 배선과 상기 제1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1 전류 경로는,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2 구동 배선과 상기 제2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2 전류 경로와 상이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배선 및 상기 제2 구동 배선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감지 배선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들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가 제1 변형 상태인지 상기 제1 변형 상태와 상이한 제2 변형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경로는 제1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배선으로부터 상기 가변 저항 요소의 제1 저항 변화량이 반영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감지 배선으로부터 상기 가변 저항 요소의 제2 저항 변화량이 반영된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 상태는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이고, 상기 제2 변형 상태는 상기 표시 장치가 스트레칭된 상태인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제2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지 않는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배선과 상기 제1 감지 배선은 상기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배선과 상기 제2 감지 배선은 상기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배선과 상기 제2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3 구동 배선과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제4 구동 배선과 제4 감지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3 구동 배선과 상기 제3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3 전류 경로는,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제4 구동 배선과 상기 제4 감지 배선 간에 형성되는 제4 전류 경로와 상이한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경로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구동 배선 및 상기 제4 구동 배선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나머지 배선들에는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배선, 상기 제2 구동 배선, 상기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감지 배선은 메쉬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16. 가변 저항 요소;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배선들; 및
    상기 가변 저항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배선들 간에 형성되는 제1 전류 경로는, 상기 가변 저항 요소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배선들 간에 형성되는 제2 전류 경로와 상이한 센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경로는 제1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센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경로와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센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요소는,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와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배선들은 상기 제1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배선들은 상기 제2 서브 가변 저항 요소에 연결되는 센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경로와 상기 제2 전류 경로는 동시에 형성되는 센서.
KR1020170015635A 2017-02-03 2017-02-03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70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635A KR102705339B1 (ko) 2017-02-03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850,549 US10474306B2 (en) 2017-02-03 2017-12-21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810105416.8A CN108459780B (zh) 2017-02-03 2018-02-02 传感器和包括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635A KR102705339B1 (ko) 2017-02-03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926A true KR20180090926A (ko) 2018-08-14
KR102705339B1 KR102705339B1 (ko) 2024-09-12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4306B2 (en) 2019-11-12
CN108459780B (zh) 2023-08-04
US20180224978A1 (en) 2018-08-09
CN108459780A (zh)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815B2 (en) Display device
KR102357420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56154B1 (ko) 센서,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2543477B1 (ko)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28240B1 (ko) 입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213362B (zh) 触摸传感器以及包括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US20170371471A1 (en) Touch sensor
CN107526465B (zh) 触摸传感器和通过使用该触摸传感器检测触摸的方法
CN107870694B (zh) 显示装置及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US10133391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7844210B (zh) 触摸传感器和包括其的显示装置及触敏显示装置
US20210019020A1 (en)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475832B2 (ja) 入力装置
US11397114B2 (en) Temperat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80739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CN108459780B (zh) 传感器和包括其的显示装置
KR102705339B1 (ko)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85855A (ko) 터치 센서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