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450B1 -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450B1
KR102449450B1 KR1020180015452A KR20180015452A KR102449450B1 KR 102449450 B1 KR102449450 B1 KR 102449450B1 KR 1020180015452 A KR1020180015452 A KR 1020180015452A KR 20180015452 A KR20180015452 A KR 20180015452A KR 102449450 B1 KR102449450 B1 KR 10244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essure sensor
base
sensor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464A (ko
Inventor
임재익
김민우
박원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450B1/ko
Priority to US16/212,014 priority patent/US10845911B2/en
Priority to CN201910073600.3A priority patent/CN110134270A/zh
Publication of KR2019009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pressure sensitive conductive elements delivering a boolean signal and located between crossing sensing lines, e.g. located between X and Y sensing lin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Abstract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이격된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PRESSURE SENSOR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 표시 장치의 적용예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 동작으로 입력한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를 수행하는 영역과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획득하는 영역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표시 장치 간의 정보 교환 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포터블 전자 기기, 또는 텔레비전, 모니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의 대형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동작으로 입력한 정보는 터치 여부에 대한 정보, 터치 위치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터치 동작에 압력이 수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터치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터치 압력이 가해진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의 터치 압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기능 및 적용 분야가 다변화됨에 따라 표시 장치는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표시면으로부터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표시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표시 장치의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표시 장치의 물리적 버튼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 정보 및/또는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 정보 및/또는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이격된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 상기 압력 센서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 배치되는 쿠션 시트,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압력 센서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는 제1 접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 상기 압력 센서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 배치되는 쿠션 시트, 및 상기 압력 센서 부재와 상기 쿠션 시트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는 제2 접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직접 배치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의 폭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절연성을 갖는 팽창성 물질(auxetic material)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압력 방향에 대한 강성이 상기 압력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강성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 사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 사이에는 보이드가 정의될 수 있다.
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의 두께 및 상기 제2 전극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베이스의 표면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과 중첩하는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 정보 및 사용자의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방향의 어느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이고, 상기 터치 압력 정보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압력 정보일 수 있다.
또,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전극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제공받는 압력 센서 IC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제1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압력 센서 IC에 제공되는 제1 출력 신호의 크기는,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제2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압력 센서 IC에 제공되는 제2 출력 신호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이격 방향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이격 방향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전극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 센서 IC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 장치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도통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표시 장치에 압력이 가해진 가압 상태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서로 도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 IC는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터치 압력 정보 및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 표시 신호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IC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패널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압력 센서 패드, 및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압력 센서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패드, 상기 제1 압력 센서 패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패드는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면을 갖는 제1 표시 영역 및 곡면을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직접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이격 방향으로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절연성을 갖는 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압력 방향에 대한 강성이 상기 압력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강성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과 맞닿는 제1 전극, 및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 정보 및/또는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여, 터치 압력 정보 또는 터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표시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의 임의의 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압력 센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10은 어느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가압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가압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7은 도 15의 압력 센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압력 센서 부재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초기 상태에서의 도 19의 압력 센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가압 상태에서의 도 19의 압력 센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각각 가압 상태에서의 도 22의 압력 센서 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를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1)를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인쇄회로기판(200), 윈도우 글라스(400) 및 배면 커버(600)를 포함하고, 압력 센서 부재(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다양한 포터블 전자 기기 또는 대형 전자 기기로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통해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1, DA2, DA3)은 평탄한 표면을 갖는 제1 평탄 표시 영역(예컨대, 제1 표시 영역(DA1)) 및 곡면을 갖는 곡면 표시 영역(예컨대,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하고, 평탄한 표면을 갖는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표시 영역(DA2)은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평탄 표시 영역(DA1) 및 제2 평탄 표시 영역(DA3)과 구분될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곡면 표시 영역(DA2)은 제1 평탄 표시 영역(DA1)에 비해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또, 곡면 표시 영역(DA2)은 제1 평탄 표시 영역(DA1)과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은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의 제2 방향(Y)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평탄 표시 영역(DA1)이 형성하는 표시면과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이 형성하는 표시면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탄 표시 영역(DA1)이 형성하는 표시면과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이 형성하는 표시면은 대략 수직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제1 평탄 표시 영역(DA1) 뿐만 아니라 곡면의 표시면을 형성하는 곡면 표시 영역(DA2) 및 제1 평탄 표시 영역(DA1)의 표시면과 다른 각도의 표시면을 형성하는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제3 방향(Z) 측에서 표시 장치(1)를 바라보는 경우 베젤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은 착시를 유도할 수 있고, 곡면 표시 영역(DA2) 및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의 제어 기능과 영상 표시 기능을 다변화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는 패널형 부재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부분적으로 벤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더욱 참조하여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100)의 사시도로서, 표시 패널(100)의 제1 베이스(110)가 벤딩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100)의 임의의 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베이스(110) 및 발광 소자(150)를 포함하고, 배선층, 봉지층(160) 및 터치 위치 감지 전극(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전면 측으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10)는 그 상부에 배선층 및 발광 소자(15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 부재일 수 있다. 제1 베이스(110)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절연 플레이트 또는 절연 필름일 수 있다. 또, 제1 베이스(11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110)는 글라스 재료, 석영 재료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110)는 발광 소자(1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광 소자 지지부(111) 및 발광 소자 지지부(111)로부터 돌출되어 구동 IC(180)가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200)과 접속되는 표시 패널 패드(190)가 배치된 표시 패널 패드 형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베이스(11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베이스(110)는 부분적으로 벤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 지지부(1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방향(Y)으로 벤딩되어 곡면 표시 영역(DA2) 및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표시 패널 패드 형성부(112)는 적어도 제1 방향(X)으로 벤딩되어 표시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발광 소자 지지부(111)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베이스(110)의 발광 소자 지지부(11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12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배선들(미도시)을 포함하는 배선층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채널을 형성하는 액티브 패턴(121), 제어 단자인 게이트 패턴(123), 입력 단자인 드레인 패턴(125) 및 출력 단자인 소스 패턴(127)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액티브 패턴(121)의 채널 영역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특정 화소 내의 발광 소자(150)의 발광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패턴(123)은 특정 화소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드레인 패턴(125)은 구동 전압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액티브 패턴(121)과 게이트 패턴(123) 사이에는 제1 절연층(131)이 개재되고, 게이트 패턴(123)과 드레인 패턴(125) 및 소스 패턴(127) 사이에는 제2 절연층(132) 및 제3 절연층(133)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연층들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31), 제2 절연층(132) 및 제3 절연층(133)은 각각 질화규소, 산화규소, 질화산화규소 또는 산화질화규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는 단차 보상층(141)이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층(141)은 제1 베이스(110) 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이 형성한 단차를 최소화하여 발광 소자(150)가 안정적으로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단차 보상층(141)은 절연 특성과 단차 보상 특성을 갖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 보상층(141) 상에는 발광 소자(150)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50)는 제1 평탄 표시 영역(DA1), 곡면 표시 영역(DA2) 및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에 배치되어 영상 표시가 구현되는 표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발광 소자(150)는 각 화소들마다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50)는 서로 대향하는 애노드 전극(151)과 캐소드 전극(153)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155)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발광 소자(150)는 유기 발광층(155)의 재료 또는 적층 구조에 따라 청색 광을 인광 발광 또는 형광 발광하거나, 녹색 광을 인광 발광 또는 형광 발광하거나, 적색 광을 인광 발광 또는 형광 발광하거나, 또는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51)은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소스 패턴(1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51)은 각 화소별로 배치되어 독립적인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화소 전극이고 캐소드 전극(153)은 복수의 화소에 걸쳐 배치되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애노드 전극(151)과 캐소드 전극(153)은 각각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55)은 애노드 전극(151)과 캐소드 전극(153) 사이에 개재되어 애노드 전극(151)과 캐소드 전극(153)으로부터 전달되는 정공과 전자를 재결합시킴으로써 엑시톤을 형성하고, 상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변화하며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애노드 전극(151)과 캐소드 전극(153) 사이에는 정공 제어층, 전자 제어층 또는 전하 생성층 등의 기능층이 더 개재되어 발광 소자(150)의 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애노드 전극(151) 상에는 화소 정의막(142)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42)은 각 화소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42)은 애노드 전극(151)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개구를 가지고, 유기 발광층(155) 및 캐소드 전극(153)은 화소 정의막(1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42)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또는 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50) 상에는 봉지층(16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60)은 표시 장치(1)의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이 침투하여 발광 소자(150)를 손상시키거나 변성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봉지층(160)은 서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무기 봉지층(161, 165) 및 하나 이상의 유기 봉지층(16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봉지층(161, 165)과 유기 봉지층(163)은 서로 교번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5는 봉지층(160)이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층(160)의 최하층과 최상층은 각각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봉지층(161, 16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 봉지층(161)은 캐소드 전극(153)과 맞닿고 제2 무기 봉지층(165)은 터치 위치 감지 전극(170)과 맞닿을 수 있다. 제1 무기 봉지층(161) 및 제2 무기 봉지층(165)은 각각 질화규소, 산화규소, 질화산화규소 또는 산화질화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 봉지층(165) 상에는 터치 위치 감지 전극(170)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위치 감지 전극(170)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한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베이스(110)의 표시 패널 패드 형성부(112) 상에는 구동 IC(180) 및 표시 패널 패드(1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10)의 표시 패널 패드 형성부(112)가 제1 방향(X)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구동 IC(180)는 제1 베이스(110)의 볼록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180)는 외부의 구동 소자, 예컨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제공받은 구동 신호를 기초로 표시 패널(100)의 영상 표시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1 베이스(11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20) 또는 발광 소자(150)와 구동 IC(18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 베이스(110)의 표시 패널 패드 형성부(112) 상에는 표시 패널 패드(19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 패드(190)는 표시 패널(100)과 인쇄회로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도 4 등은 확장된 면적을 갖는 별도의 전극을 통해 표시 패널 패드(190)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패드(190)는 배선의 말단이 확장되어 전기적 접속을 위한 패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1 베이스(110) 상에는 표시 패널 패드(190)와 구동 IC(18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표시 패널 패드(190)와 박막 트랜지스터(120) 또는 발광 소자(15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쇄회로기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1)의 인쇄회로기판(200)의 배면사시도이다. 표시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2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베이스(110)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 장치(1)의 영상 표시에 필요한 영상 표시 신호를 생성하거나, 전달하거나, 또는 변조하여 표시 패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200)은 베이스 기판(201), 압력 센서 IC(240) 및 패드들(231, 233, 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의 베이스 기판(201)은 절연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01)의 표면에는 압력 센서 IC(240), 패드들(231, 233, 210) 및 그 외의 표시 장치(1)의 구동에 필요한 추가적인 IC들(미도시)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회로 패턴이 인쇄된 상태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201)의 배면(도 6 기준 전면) 상에는 압력 센서 IC(240)가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 IC(240)는 후술할 압력 센서 부재(301)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거나, 압력 센서 부재(301)로부터 출력 신호를 제공받거나,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를 기초로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터치 압력 정보)를 획득하거나, 터치 위치에 대한 정보(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및/또는 터치 압력 정보 및 터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표시 장치(1)의 동작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베이스 기판(201)의 배면 상에는 압력 센서 부재(3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1 출력 패드(231)와 제2 출력 패드(233) 및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3 출력 패드(2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패드(231)는 제1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280)를 통해 압력 센서 부재(301)의 제1 압력 센서 패드(371)와 접속되고, 제2 출력 패드(233)는 제2 이방 전도성 접착제(미도시)를 통해 압력 센서 부재(301)의 제2 압력 센서 패드(372)와 접속되며, 제3 출력 패드(210)는 제3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260)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표시 패널 패드(190)와 접속될 수 있다. 제1 출력 패드(231)와 제2 출력 패드(233)는 각각 압력 센서 IC(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00)의 배면 상에는 압력 센서 부재(301)가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 부재(301)는 제1 접합 부재(710)를 개재하여 표시 패널(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710)는 양면 테이프 등의 광학 투명 접착제,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 등의 광학 투명 수지 또는 감압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710)는 압력 센서 부재(301)의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또, 제1 접합 부재(710)는 압력 센서 부재(301)의 제2 베이스(310)와 더 맞닿아 결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센서 부재(301)에 대하여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표시 패널(100)의 전면 상에는 윈도우 글라스(400)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글라스(4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을 커버하여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고 표시 장치(1)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또, 윈도우 글라스(400)는 표시 장치(1)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동작, 즉 사용자와 표시 장치(1)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터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 글라스(400)는 표시 패널(10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방향(Y)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글라스(4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방향(Y)으로 벤딩되어 곡면 표시 영역(DA2)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윈도우 글라스(400)는 제2 평탄 표시 영역(DA3)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글라스(400)는 표시 장치(1)의 상면 외관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1)의 측면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 장치(1)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을 통해 터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윈도우 글라스(400)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고분자 기판 등의 광 투과율이 높고 강도가 우수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부재(301)의 배면 상에는 쿠션 시트(500)가 배치될 수 있다. 쿠션 시트(500)는 표시 패널(10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방향(Y)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시트(500)는 표시 장치(1)의 제1 평탄 표시 영역(DA1)과 곡면 표시 영역(DA2), 나아가 제2 평탄 표시 영역(DA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쿠션 시트(50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시트(500)는 외부 충격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거나, 또는 외부 충격을 분산시켜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쿠션 시트(500)는 충격 흡수 및/또는 분산에 유리한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우레탄계 수지 카보네이트계 수지, 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에틸렌계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 고무 계열 재료, 또는 이들의 발포 성형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시트(500)는 제2 접합 부재(720)를 개재하여 압력 센서 부재(30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합 부재(720)는 광학 투명 접착제, 광학 투명 수지 또는 감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 부재(720)는 압력 센서 부재(301)의 제2 베이스(310)와 맞닿아 결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쿠션 시트(500)의 배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시트(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시트는 강도 보강 시트, 방열 시트, 전자파 차폐 시트 및/또는 광투과 차폐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커버(600)는 쿠션 시트(500)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면 커버(600)는 표시 패널(100)과 인쇄회로기판(200), 및 그 밖의 표시 장치(1)의 구동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커버하고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면 커버(600)는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재료 등의 강도(strength)와 강성(rigidity)이 우수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 커버(600)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커버(600)의 제2 방향(Y) 양측 가장자리는 제2 방향(Y)으로 벤딩된 표시 패널(100), 윈도우 글라스(400) 등이 안착 및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 글라스(400) 사이에는 편광 부재(8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800)는 표시 장치(1)의 야외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부재(800)는 무편광 상태의 입사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환하고, 상기 원편광이 반사되어 출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원에 의한 반사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등은 편광 부재(800)가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800)는 선형 편광 부재(미도시)와 위상 지연 부재(미도시)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편광 부재(80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제3 접합 부재(730)가 개재되고, 편광 부재(800)와 윈도우 글라스(400) 사이에는 제4 접합 부재(740)가 개재되어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접합 부재(730)는 표시 패널(100)의 터치 위치 감지 전극(170) 및 편광 부재(800)와 맞닿고, 제4 접합 부재(740)는 편광 부재(800) 및 윈도우 글라스(400)와 맞닿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접합 부재(730) 및 제4 접합 부재(740)는 각각 광학 투명 접착제, 광학 투명 수지 또는 감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더욱 참조하여 압력 센서 부재(30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1)의 압력 센서 부재(301)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3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압력 센서 부재(301)를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한 비교단면도이다.
압력 센서 부재(301)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부재(301)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압력이 수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압력이 가해진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부재(301)는 제2 베이스(310) 및 제2 베이스(310) 상에 배치된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과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10)는 그 상부에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 부재일 수 있다. 제2 베이스(310)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절연 플레이트 또는 절연 필름일 수 있다. 또, 제2 베이스(31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31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310)는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력 센서 지지부(311) 및 압력 센서 지지부(311)로부터 돌출되고 인쇄회로기판(200)과 접속되는 제1 압력 센서 패드(371) 및 제2 압력 센서 패드(372)가 배치된 압력 센서 패드 형성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베이스(31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베이스(310)는 부분적으로 벤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지지부(3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방향(Y)으로 벤딩되고, 압력 센서 지지부(3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 표시 영역(DA2) 및 제2 평탄 표시 영역(DA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압력 센서 패드 형성부(312)는 적어도 제1 방향(X)으로 벤딩되어 표시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압력 센서 지지부(311)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10)의 압력 센서 지지부(311) 상에는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각각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310)가 벤딩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 제2 베이스(310)가 제2 방향(Y)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 장치(1)의 곡면 표시 영역(DA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표시 장치(1)의 제2 평탄 표시 영역(DA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서로 도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호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1 전극(331), 압력 센서 IC(240) 및 제2 전극(332)은 하나의 회로를 형성하되, 초기 상태에서 상기 회로는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각각 압력 센서 IC(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전극(331)은 압력 센서 IC(240)로부터 입력 신호(INPUT)가 제공되는 입력 전극이고, 제2 전극(332)은 압력 센서 IC(240)에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출력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INPUT) 및 상기 출력 신호는 각각 전류 신호 및 전압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등은 입력 전극(즉, 제1 전극(331))이 출력 전극(즉, 제2 전극(33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 전극은 출력 전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이 서로 도통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압력 센서 IC(240)에는 출력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은 각각 소정의 전기 저항을 갖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의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아연, 구리, 은, 금 등의 금속 재료를 들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 사이에는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이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제1 전극(331) 또는 제2 전극(332)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310)가 벤딩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과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9 등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 중 어느 하나와 맞닿을 수도 있다. 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 전극(331)과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 및 제2 전극(332)과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서로 도통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과 압력 센서 부재(301)를 결합하는 제1 접합 부재(710)는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맞닿아 접하되, 제1 전극(331),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 및 제1 접합 부재(71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보이드가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접합 부재(710)는 제1 전극(331)과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 사이를 충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이드는 비워진 상태이거나, 또는 소정의 기체가 충진된 상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극(332),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 및 제1 접합 부재(71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보이드가 정의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고분자 매트릭스(351) 및 고분자 매트릭스(351) 내에 분산된 전도성 입자(3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매트릭스(351)는 탄성을 가지고 푸아송 비(Poisson's ratio)가 양의 값을 갖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실리콘(silico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또는 우레탄 등의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다. 또, 전도성 입자(352)의 예로는 탄소나노튜브 등의 탄소 물질, 전도성 고분자 입자, 또는 금속 와이어, 금속 나노 파이버 또는 금속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푸아송 비가 양의 값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푸아송 비'는 물체에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일 방향으로의 팽창 길이에 대한 다른 방향으로의 수축 길이의 비를 의미한다.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초기 두께(T350)는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의 초기 두께(T332) 보다 클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압력 센서 부재(301)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두께가 감소하고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부재(301)의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에 제3 방향(Z)으로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는 감소하고 제2 방향(Y)으로의 폭이 팽창되어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 부재(301)의 압력 감지 방향(예컨대, 제3 방향(Z))은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의 이격 방향(예컨대, 제2 방향(Y))과 대략 수직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초기 두께(T350)를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의 초기 두께(T332)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와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형상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압력 센서 부재(301)의 센싱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310)의 표면은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된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베이스(310) 표면의 그루브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제1 접합 부재(710)와 맞닿는 상면의 레벨은 서로 동일하되, 제1 전극(331), 제2 전극(332)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제2 베이스(310)와 맞닿는 하면의 레벨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제2 베이스(310)의 압력 센서 패드 형성부(312) 상에는 제1 압력 센서 패드(371) 및 제2 압력 센서 패드(37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 패드(371) 및 제2 압력 센서 패드(372)는 압력 센서 부재(301)와 인쇄회로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 패드(371)는 제1 전극(3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압력 센서 패드(372)는 제2 전극(3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 패드(371)와 제2 압력 센서 패드(372)는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과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더욱 참조하여 압력 센서 부재(301)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301)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어느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가압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3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압력 센서 IC(2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압력 센서 부재(301)를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압력 센서 IC(2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위치(A-A' 선 부근)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제1 위치의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압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310)가 벤딩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에 제3 방향(Z)으로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압력이 가해진 위치의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제2 방향(Y)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상기 제1 위치 부분은 부분적으로 제2 방향(Y)으로 이격된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과 접촉할 수 있고,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을 개재하여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서로 도통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331),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 제2 전극(332) 및 압력 센서 IC(240)는 하나의 회로를 형성하고, 압력 센서 IC(240)는 제1 전극(331)에 입력 신호(INPUT)를 제공하며, 제2 전극(332)은 압력 센서 IC(240)에 제1 출력 신호(OUTPUT1)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신호(INPUT) 및 제1 출력 신호(OUTPUT1)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 IC(240)는 입력 신호(INPUT)와 제1 출력 신호(OUTPUT1)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및/또는 터치 압력 정보 및 터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표시 장치(1)의 동작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압력이 수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터치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가압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3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압력 센서 IC(24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2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압력 센서 부재(301)를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개한 비교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압력 센서 IC(24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2 위치(B-B' 선 부근)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제2 위치의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은 압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상기 제2 위치 부분은 부분적으로 제2 방향(Y)으로 이격된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과 접촉할 수 있고,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을 개재하여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서로 도통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331),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 제2 전극(332) 및 압력 센서 IC(240)는 하나의 회로를 형성하고, 압력 센서 IC(240)는 제1 전극(331)에 입력 신호(INPUT)를 제공하며, 제2 전극(332)은 압력 센서 IC(240)에 제2 출력 신호(OUTPUT2)를 제공할 수 있다. 압력 센서 IC(240)는 입력 신호(INPUT)와 제1 출력 신호(OUTPUT1)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득하거나, 및/또는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표시 장치(1)의 동작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압력 센서 IC(240)로부터 제공된 신호의 경로 길이는 상기 제1 위치(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압력 센서 IC(240)로부터 제공된 신호의 경로 길이에 비해 더 길 수 있다. 즉, 제2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압력 센서 IC(240)에 제공되는 제2 출력 신호(OUTPUT2)의 크기와 제1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압력 센서 IC(240)에 제공되는 제1 출력 신호(OUTPUT1)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의 면저항이 일정할 경우, 상기 제2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회로가 형성하는 저항 성분의 크기는 상기 제1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회로가 형성하는 저항 성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출력 신호(OUTPUT1) 및 제2 출력 신호(OUTPUT2)가 전류 신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출력 신호(OUTPUT2)의 크기는 제1 출력 신호(OUTPUT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301)는 입력 신호(INPUT)와 출력 신호(OUTPUT1, OUTPUT2)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압력이 수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터치 압력 정보) 뿐만 아니라, 압력이 가해진 위치에 대한 정보(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위치 정보는 제1 방향(X)의 어느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 내의 터치 위치 감지 전극(170)과 별개로, 압력 센서 부재(301)가 터치 압력 정보와 함께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처리하여 표시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302)의 평면도로서, 제2 베이스(310)가 벤딩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302)는 제2 베이스(310), 제2 베이스(310) 상에 배치된 제1 전극(333), 제2 전극(334)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을 포함하되, 제1 전극(333)과 제2 전극(334)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점이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301)와 상이한 점이다.
제1 전극(333) 및 제2 전극(334)은 각각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 제2 베이스(310)가 벤딩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전극(333)과 제2 전극(334)은 서로 제2 방향(Y)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333)은 압력 센서 IC(미도시)로부터 입력 신호가 제공되는 입력 전극이고, 제2 전극(334)은 압력 센서 IC(미도시)에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출력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333)과 제2 전극(334) 사이에는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이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은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의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들은 각각 제1 전극(333) 및 제2 전극(334)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310)가 벤딩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들은 제1 전극(333) 및 제2 전극(334)과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302)의 제1 전극(333)은 제1 전극(333)과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의 이격 방향 측, 즉 제2 방향(Y)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또, 제2 전극(334)은 제2 전극(334)과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의 이격 방향 측, 즉 제2 방향(Y)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 센서 IC(미도시), 제1 전극(333) 및 제2 전극(334)이 형성하는 회로의 신호 전달 경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압력 센서 IC(미도시)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터치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생성되는 제1 출력 신호와 압력 센서 IC(미도시)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터치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생성되는 제2 출력 신호의 크기 차이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302)는 제1 방향(X)의 어느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 즉 터치 위치 정보에 대한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전도성 고분자 패턴(353)이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위치의 오인식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압력 센서 부재(301) 대신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부재(302)를 포함하여 표시 장치가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단면도로서, 도 15는 도 2에 대응되는 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3에 대응되는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표시 장치(3)의 압력 센서 부재(303)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표시 장치(3)의 압력 센서 부재(303)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압력 센서 부재(303)의 제1 전극(335), 제2 전극(336)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5)은 제2 베이스(310)의 배면 상에 배치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한 점이다.
압력 센서 부재(303)는 제1 접합 부재(710)를 개재하여 표시 패널(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710)는 압력 센서 부재(303)의 제2 베이스(310)와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또, 압력 센서 부재(303)는 제2 접합 부재(720)를 개재하여 쿠션 시트(5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합 부재(720)는 압력 센서 부재(303)의 제1 전극(335), 제2 전극(336)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5)과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또, 제2 접합 부재(720)는 압력 센서 부재(303)의 제2 베이스(310)와 더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제1 전극(335), 전도성 고분자 패턴(355) 및 제2 접합 부재(72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보이드가 정의되고, 제2 전극(336), 전도성 고분자 패턴(355) 및 제2 접합 부재(72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보이드가 정의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베이스(31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베이스(310)는 부분적으로 벤딩된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310)의 압력 센서 패드 형성부의 전면(도 17 기준 전면) 상에는 제1 압력 센서 패드(375) 및 제2 압력 센서 패드(376)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 베이스(310)의 압력 센서 지지부의 배면(도 18 기준 전면) 상에는 제1 전극(335), 제2 전극(336)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10)의 전면 상의 제1 압력 센서 패드(375)는 제2 베이스(310)의 배면 상의 제1 전극(3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베이스(310)의 전면 상의 제2 압력 센서 패드(376)는 제2 베이스(310)의 배면 상의 제2 전극(3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제1 전극(335)과 제1 압력 센서 패드(375) 및 제2 전극(336)과 제2 압력 센서 패드(376)를 연결하는 배선이 제2 베이스(310)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2 베이스(310)를 우회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극(335)과 제1 압력 센서 패드(375) 및 제2 전극(336)과 제2 압력 센서 패드(376)는 제2 베이스(310)를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의 단면도로서, 도 2에 대응되는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의 도 19의 압력 센서 부재(304)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압력이 가해진 가압 상태에서의 도 19의 압력 센서 부재(304)의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의 압력 센서 부재(304)는 제2 베이스(310)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을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한 점이다.
제2 베이스(310) 상에는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10)의 표면이 그루브를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제2 베이스(310)의 그루브 내에 충진될 수 있다.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맞닿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중첩할 수 있다.
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의 폭은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제1 전극(331) 사이의 이격 공간 및/또는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제2 전극(332) 사이의 이격 공간과 중첩할 수 있다. 나아가,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제1 전극(331) 및/또는 제2 전극(332)과 맞닿을 수 있다.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전기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되, 강성(rigidity) 또는 압력에 대한 길이 변형률이 임의 방향들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압력 방향(예컨대, 도 20 기준 상하 방향)에 대한 강성이 상기 압력 방향의 수직 방향(예컨대, 도 20 기준 좌우 방향)에 대한 강성보다 클 수 있다. 즉,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의 두께 방향으로의 변형률은 폭 방향으로의 변형률보다 작을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은 푸아송 비가 음의 값을 갖는 팽창성 물질(auxetic material)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성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스터 폼(polyester foam)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에스터 우레탄 폼(polyester urethane foa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폼(polytetrafluoroethylene foam, PTFE foam), 백만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폴리프로필렌 폼(polypropylene foam, PP form), 폴리프로필렌 파이버(polypropylene fiber), 나일론 폼(nylon foam) 및 액정성 고분자 폼(liquid-crystalline polymer foam)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팽창성 물질은 노말 허니컴 구조(normal honeycomb structure), 스타-허니컴 구조(star-honeycomb structure), 육각 재도입 허니컴 구조(hexagonal re-entrant honeycomb structure), 카이랄 허니컴 구조(chiral honeycomb structure), 이중-애로우헤드 구조(double-arrowhead structure), 사각 그리드 구조(square grid structure), 로젠지 그리드 구조(lozenge grid structure), 시누소이달 리가먼트 구조(sinusoidal ligament structure) 또는 대칭성 카이랄 단위 구조(symmetrical chiral unit structure) 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의 압력 센서 부재(304)는 두께 방향으로의 강성이 폭 방향으로의 강성보다 큰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두께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폭 방향으로 팽창하여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에 맞닿는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제2 베이스(310) 사이에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을 개재함으로써 압력 센서 부재(304)의 센싱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부재(304)에 두께 방향으로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의 두께 방향으로의 변형률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두께 방향으로 가해진 압력이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폭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강성 이방성 물질층(390)의 폭 방향으로의 변형률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의 폭 방향으로 전달된 압력이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을 폭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제1 전극(331) 간의 접촉 면적 및 전도성 고분자 패턴(350)과 제2 전극(332)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의 단면도로서, 도 2에 대응되는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표시 장치(5)의 압력 센서 부재(305)에 제1 크기의 압력이 가해진 제1 가압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305)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표시 장치(5)의 압력 센서 부재(305)에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의 압력이 가해진 제2 가압 상태에서의 압력 센서 부재(305)의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5)의 압력 센서 부재(305)는 제2 베이스(310),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 제1 전극(337), 제2 전극(338) 및 압전체(357)를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한 점이다.
표시 패널(100)과 압력 센서 부재(305) 사이에는 제1 접합 부재(710)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합 부재(7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베이스(110), 압력 센서 부재(305)의 제2 전극(338), 압전체(357), 제1 전극(337),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 및 제2 베이스(310)와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부재(305)의 제2 베이스(310) 상에는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이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 부재(305)에 두께 방향으로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 방향으로의 변형률을 갖는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은 그 압력이 폭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에 대해서는 도 19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 상에는 제1 전극(337)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337)은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 전극(338)은 제1 전극(337)과 압력 방향(예컨대, 도 23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 부재(305)의 압력 감지 방향(예컨대, 상하 방향)은 제1 전극(337)과 제2 전극(338)의 이격 방향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 전극(337)과 제2 전극(338)은 서로 도통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1 전극(337)과 제2 전극(338)은 압전체(357)를 개재하여 하나의 회로를 형성하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전극(337) 및 제2 전극(338)은 각각 소정의 전기 저항을 갖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의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아연, 구리, 은, 금 등의 금속 재료를 들 수 있다.
제1 전극(337)과 제2 전극(338) 사이에는 압전체(357)가 개재될 수 있다. 압전체(357)는 제1 전극(337) 및 제2 전극(338)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며 제1 전극(337) 및 제2 전극(338)과 맞닿을 수 있다. 압전체(357)는 그 형상에 변형이 발생하면 전압이 발생하거나, 또는 전압이 가해지면 그 형상에 변형이 발생하는 재료, 즉 압전 효과(piezo electric effect)를 나타내는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체(357)는 지르코산 염(PbZrO3), 티탄산 염(PbTiO3) 등을 포함하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 Pb[ZrxTi1-x]O3), α-산화철(α-Fe2O3), α-인산알루미늄(α-AlPO4), α-산화규소(α-SiO2), 티탄산 바륨(BaTiO3), 탄탈산 리튬(LiTaO3), 니오브산 리튬(LiNbO3) 등의 무기 재료,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P(VDF-Tr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tetrafluoroethylene, P(VDF-TeFE)), 황산트리글라이신(triglycine sulfate, TGS) 등의 유기 재료, 또는 상기 무기 재료와 유기 재료의 복합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부재(305)에 제1 크기의 압력이 가해진 제1 가압 상태에서 압전체(357)의 수축 변형으로 인해 압전체(357) 표면에는 특정 크기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338), 압전체(357) 및 제1 전극(337)을 통해 제1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 압력 센서 부재(305)에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의 압력이 가해진 제2 가압 상태에서 압전체(357)의 더 큰 수축 변형으로 인해 압전체(357) 표면에는 다른 특정 크기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338), 압전체(357) 및 제1 전극(337)을 통해 상기 제1 신호와 상이한 제2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의 압력 센서 부재(305)는 압전체(357)가 갖는 압전 기능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압력이 수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제1 전극(337) 등을 지지하는 제2 베이스(310)와 제1 전극(337) 사이에 강성 이방성 물질층(391)을 개재함으로써 압력 센서 부재(305)의 센싱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인쇄회로기판
301: 압력 센서 부재
331: 제1 전극
332: 제2 전극
350: 전도성 고분자 패턴
400: 윈도우 글라스
500: 쿠션 시트
600: 배면 커버

Claims (20)

  1.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면의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
    상기 압력 센서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 배치되는 쿠션 시트;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압력 센서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는 제1 접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
    상기 압력 센서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 배치되는 쿠션 시트; 및
    상기 압력 센서 부재와 상기 쿠션 시트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는 제2 접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이격된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직접 배치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의 폭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절연성을 갖는 팽창성 물질(auxetic material)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압력 방향에 대한 강성이 상기 압력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강성보다 큰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 사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 사이에는 보이드가 정의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의 두께 및 상기 제2 전극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8.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이격된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포함하고,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의 두께 및 상기 제2 전극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베이스의 표면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과 중첩하는 그루브를 갖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 정보 및 사용자의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터치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방향의 어느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이고,
    상기 터치 압력 정보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압력 정보인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전극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제공받는 압력 센서 IC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제1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압력 센서 IC에 제공되는 제1 출력 신호의 크기는,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제2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압력 센서 IC에 제공되는 제2 출력 신호의 크기와 상이한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인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이격 방향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의 이격 방향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인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부재의 상기 제1 전극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 센서 IC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 장치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도통되지 않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압력이 가해진 가압 상태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서로 도통시키고,
    상기 압력 센서 IC는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터치 압력 정보 및 터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 표시 신호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IC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패널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패턴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압력 센서 패드, 및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압력 센서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패드, 상기 제1 압력 센서 패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패드는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면을 갖는 제1 표시 영역 및 곡면을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직접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은 제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2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19.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 배치되는 압력 센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에 직접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 부재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이격 방향으로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절연성을 갖는 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은 압력 방향에 대한 강성이 상기 압력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강성보다 큰 표시 장치.
  20.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강성 이방성 물질층;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강성 이방성 물질층과 맞닿는 제1 전극; 및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은 제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길이 방향에 평행한 제2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센서 부재.
KR1020180015452A 2018-02-08 2018-02-08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4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452A KR102449450B1 (ko) 2018-02-08 2018-02-08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6/212,014 US10845911B2 (en) 2018-02-08 2018-12-06 Force sensor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073600.3A CN110134270A (zh) 2018-02-08 2019-01-25 力传感器构件和包括该力传感器构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452A KR102449450B1 (ko) 2018-02-08 2018-02-08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464A KR20190096464A (ko) 2019-08-20
KR102449450B1 true KR102449450B1 (ko) 2022-09-30

Family

ID=6747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452A KR102449450B1 (ko) 2018-02-08 2018-02-08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45911B2 (ko)
KR (1) KR102449450B1 (ko)
CN (1) CN1101342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849A (ko) * 2019-11-15 2021-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728916B (zh) * 2019-12-05 2022-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屏及显示装置
CN111190504A (zh) * 2019-12-31 2020-05-2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2799532B (zh) * 2021-01-12 2022-04-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005362B (zh) * 2021-10-29 2023-11-1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2024044733A (ja) * 2022-09-21 2024-04-02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2041A1 (en) * 2012-10-01 2014-04-03 Ronald Ih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rders Of A Touch Sensor
US20170350773A1 (en) * 2016-06-01 2017-12-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sens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5115A1 (en) * 2005-09-20 2007-03-29 David Norris Kenwr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responsive display materials
JP4311492B2 (ja) * 2007-01-26 2009-08-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放送受信装置
EP2580647A1 (en) * 2010-06-11 2013-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sitional touch sensor with force measurement
US20130026380A1 (en) * 2011-07-26 2013-01-31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ation detector with angled surfaces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130091521A (ko) * 2012-02-08 2013-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층을 포함하는 미세 전자 소자 및 미세 전자 소자 형성 방법
EP2642475B1 (en) * 2012-03-21 2018-07-1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a display panel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553201B2 (en) * 2012-04-02 2017-01-2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film transistor
JP5924405B2 (ja) * 2012-04-17 2016-05-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押圧力センサ
JP5384698B2 (ja) 2012-05-21 2014-01-08 ソニー株式会社 押圧検知センサ、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145533B1 (ko) * 2012-10-04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83921B1 (ko) * 2015-01-09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KR20160149982A (ko) 2015-06-18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473527B1 (ko) 2015-12-21 2022-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KR102489827B1 (ko) * 2015-12-31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7188304A (ja) * 2016-04-05 2017-10-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20170119002A (ko) 2016-04-15 2017-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회로, 센싱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포스 센싱 방법
JP6382888B2 (ja) * 2016-06-09 2018-08-29 Nissha株式会社 電極パターン一体化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42992B1 (ko) * 2016-07-14 2023-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80027893A1 (en) * 2016-07-29 2018-02-01 Elwha Llc Protective garment systems for protecting an individual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564349B1 (ko) * 2016-09-30 2023-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441511B2 (en) * 2017-07-10 2019-10-15 Joseph Hamilto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medicament dispenser
US10635176B2 (en) * 2017-12-18 2020-04-28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2041A1 (en) * 2012-10-01 2014-04-03 Ronald Ih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rders Of A Touch Sensor
US20170350773A1 (en) * 2016-06-01 2017-12-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sens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45911B2 (en) 2020-11-24
US20190243501A1 (en) 2019-08-08
CN110134270A (zh) 2019-08-16
KR20190096464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450B1 (ko)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735571B2 (en) Display device
CN110830613B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驱动方法
US967496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53090B1 (ko) 표시 장치
CN109597516B (zh) 显示设备
KR102582316B1 (ko) 표시 장치
KR102582263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US10772208B2 (en) Printed circuit board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21415B2 (en) Display device
EP3890351A1 (en) Vibration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30083928A1 (en) Fingerprint sensor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987912A (zh) 显示设备
KR20200072083A (ko) 전자 기기
KR20210121976A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099018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brating element
EP3989603A1 (en)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86027A (ko) 표시장치
US20240080629A1 (en) Apparatus
US20230217161A1 (en) Apparatus
US20240056712A1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TW202318688A (zh) 振動裝置以及包含其的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