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92Y1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392Y1
KR200480392Y1 KR2020150002086U KR20150002086U KR200480392Y1 KR 200480392 Y1 KR200480392 Y1 KR 200480392Y1 KR 2020150002086 U KR2020150002086 U KR 2020150002086U KR 20150002086 U KR20150002086 U KR 20150002086U KR 200480392 Y1 KR200480392 Y1 KR 200480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device
fixing band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Priority to KR2020150002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92Y1/ko
Priority to PCT/KR2015/006285 priority patent/WO201615944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에 면하고,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양 단이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Frame for fixing a portable terminal o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고정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이 다양한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발달함에 따라, 몰입감이 좋고 현실적인 영상을 감상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고 있다.
하지만, 휴대성을 목적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스크린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영상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지고, 눈이 쉽게 피로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변환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허문헌 1과 같이 영상을 대형화하거나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등 가상 현실(VR)을 제공하기 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가 고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헤드마운트(head mount)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제품별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9007호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규격에 구속됨이 없이 적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에 면하고,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양 단이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밴드의 일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밴드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밴드는 탄성을 가지는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 프레임에 휴대용 단말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회전 돌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10)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은 대략 사각형 판 형태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인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 밴드(120)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도 3 참조)의 스크린(미도시)가 면하도록 고정되며, 몸체(110)에는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두 개의 통공(151, 152)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51, 152)의 측방에는 얕은 깊이의 홈(190)이 형성되어 있다. 홈(190)은 몸체(110)의 전면에 휴대용 단말기(1)의 전면이 밀착하였을 때, 전면에 형성된 기계식 버튼(예를 들어, 홈 버튼)이 예기치 않게 압지되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10)의 하단부 양측에는 휴대용 단말기(1)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 돌기(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단의 양측에는 아래 위로 두개씩 약간의 높이를 가지는 측방 돌기(140)가 형성되어 있다.
측방 돌기(140)의 위아래 쪽의 모서리 부근에는 후술하는 커버(6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밴드(120)의 일단은 몸체(110)의 일단에 결합되고, 고정 밴드(120)의 타단은 몸체(110)의 상기 일단과 마주하는 타단에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1)를 몸체(110)에 밀착 고정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 밴드(120)는 몸체(110)의 좌우 방향(도 1에서 몸체(110)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밴드(120)는 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고정 밴드(120)의 일단은 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고, 고정 밴드(120)의 타단은 몸체(110)의 상단에 마주하는 하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밴드(120)는 고무 등과 같은 가요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고정 밴드(120)의 일단은 몸체(110)와 연결되는 핀(1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몸체(110)에 결합된다. 고정 밴드(120)의 타단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 슬릿(121)이 관통 형성된다.
몸체(110)의 하단부에는 몸체(110)의 배면 방향으로 연정된 고정부(131)를 구비하는 고정 걸이(130)가 형성된다.
고정 밴드(12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 슬릿(121)에 고정부(131)에 삽입하는 것을 통해, 고정 밴드(120)의 타단이 고정 걸이(130)에 걸려 몸체(110)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밴드(120)의 배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의 배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정 깊이의 복수의 요철(122)의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10)이 배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의 몸체(110)의 배면의 네 모서리 측에는 수 결합부(180)가 형성된다.
수 결합부(180)는 몸체(110)의 배면과 수직하여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81)와 상기 수직 연장부(18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수평 연장부(182)를 포함한다.
도 3은 고정 프레임(10)에 휴대용 단말기(1)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는 스크린이 형성된 전면이 몸체(110)에 면하도록 고정 프레임(10)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도 1의 상태에서 고정 밴드(120)를 회전시켜 고정 밴드(120)가 휴대용 단말기(1)의 배면을 가로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핀(123)에서부터 고정 슬릿(121)까지(즉, 몸체(110)에 고정되는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고정 밴드(120)의 길이는 몸체(110)의 상하방향 길이와 같거나 작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 밴드(120)의 길이는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의 길이를 말한다.
이러한 관계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의 두께로 인해, 고정 밴드(120)를 당겨 늘리지 않는 이상, 고정 슬릿(121)이 고정부(131)에 닿지 못한다.
사용자가 고정 밴드(120)를 당겨 고정부(131)를 고정 슬릿(121)에 끼워 넣으면, 고정 밴드(120)는 원상태로 길이가 축소되려는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를 몸체(110)에 밀착 고정시킨다.
도 3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의 길이(장축 방향 길이)가 측방 돌기(140)에 닿는 최대 사이즈로 도시되었지만, 휴대용 단말기(1)의 전면의 넓이가 몸체(110)의 전면보다 작고, 스크린이 통공(151, 152)에 일부 노출될 수 있는 크기라면 그 규격에 상관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1)의 두께 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길이 수축하는 고정 밴드(12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밴드(120)가 휴대용 단말기(1)가 몸체(110)에 압박해 밀착 고정시키므로 가능하다.
측방 돌기(140)는 휴대용 단말기(1)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좌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지만,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이며, 휴대용 단말기(1)의 길이가 도 1에 도시된 것에 비해 작아 측방 돌기(140)에 닿지 않아도 무방하다. 고정 밴드(120)의 탄성력과, 고정 밴드(120)와 휴대용 단말기(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좌우 방향과는 달리, 휴대용 단말기(1)의 자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는 항시 힘이 가해지므로, 해당 방향(즉, 휴대용 단말기(1)의 측방)에 대한 지지력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10)의 하단부에 휴대용 단말기(1)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회전 돌기(160)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돌기(160)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돌기(160)는 몸체(110)에 대해 소정 축(O)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회전 돌기(16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장축(164)과, 제1장축(164)과 수직하고 제1장축(164)에 비해 짧은 제2장축(165)에 의해 정의되는 대략 "계란형"을 가진다.
제1장축(164)은 회전 돌기(160)의 길이가 최대인 위치를 정의하는 축이고, 제2장축(165)은 회전 돌기(160)의 폭이 최대인 위치를 정의하는 축이다.
회전 돌기(160)의 주변에는 회전 돌기(16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62, 163)가 형성된다.
도 4의 (a)는 회전 돌기(160)가 제1 스토퍼(162)까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제1장축(164)의 끝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 돌기(160)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의 (c)는 회전 돌기(160)가 제2 스토퍼(163)까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돌기(160)의 회전 상태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의 측면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회전 돌기(160)를 회전시켜, 회전 돌기(160)의 일 지점에 휴대용 단말기(1)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종류에 상관없이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에 대한 휴대용 단말기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c)는 회전 돌기(160)가 제2 스토퍼(163)까지 회전한 상태에서도, 회전 돌기(160)의 제2장축(165)의 끝점이 제1스토퍼(162)에 비해 높이 솟아, 제1스토퍼(162)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의 결합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몸체(110)의 전면에는 회전 돌기(160)의 회전 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눈금(161)이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눈금(161)은 본래의 눈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휴대용 단말기(1)의 제품별로 정해진 회전 돌기(160)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눈금(161)은 등 간격일 필요는 없으며, 대응하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해 색상을 달리하거나, 눈금의 주변에 해당 제품의 명칭을 부기하는 등의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를 고정 프레임(10)의 앞쪽에서 끼워넣는 방식으로 고정하므로, 휴대용 단말기(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이 구조물에 쓸려 손상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10)은 디스플레이 장치(2)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2)에 고정 프레임(10)이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의 본체(20)의 전방에는 수 결합부(18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암 결합부(2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암 결합부(213)는 수 결합부(18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통공이다.
수 결합부(180)를 암 결합부(213)에 삽입하면, 수평 연장부(182)가 본체(20)의 전면판(210)의 전방 내측면에 걸려 고정 프레임(10)이 본체(2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고정 프레임(10)은 수 결합부(180)의 후크 구조를 통해 본체(20)에 걸치는 방식으로 본체(2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10)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의 본체(20)에 고정되므로, 고정 프레임(10)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10)이 결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는 본체(20), 안면 패드(30), 완충 패드(40), 헤드 밴드(5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는 커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은 본체(20)와 커버(60)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10)이 디스플레이 장치(2)와 탈부착이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 고정 프레임(10)의 몸체는 디스플레이 장치(2)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체의 전방(전면판(210))에는 고정 프레임(10)의 상기 수 결합부(180)가 체결될 수 있는 암 결합부(213)와, 커버(6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60)는 본체(2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하며, 커버(60)의 배면에는 고정 프레임(10)의 결합홈(170) 또는 본체(20)의 결합홈(21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60)가 고정 프레임(10)에 결합될 때, 커버(60)와 고정 프레임(10)의 돌기들(120, 130, 140, 160)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60)의 측면부에는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60)의 결합핀을 본체(20)의 결합홈(214)에 끼워 커버(60)를 본체(20)의 전면에 결합함으로써 본체(2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2)를 사용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10)을 본체(20)에 결합한 다음(도 5 참조)에는, 커버(60)의 결합핀을 고정 프레임(10)의 결합홈(170)에 끼워 커버(60)를 고정 프레임(10)의 전면에 결합함으로써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1)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0)의 전면판(210), 고정 프레임(10)의 몸체(110), 커버(60)의 넓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체(20)의 배면 측에는 사용자의 눈 주위에 밀착될 수 있는 고글 형태의 안면 패드(30)가 결합되고, 안면 패드(30)의 배면에는 사용자가 착용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패드(4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는 본체(20)에 고정되는 헤드 밴드(5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파지하지 않고도 장치를 얼굴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로 구성된다. 헤드 밴드(50)는 밸크로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는 휴대용 단말기(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영상을 스테레오스코피 기술을 이용해 대형의 고해상도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의 본체(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는 고정 프레임(10) 또는 커버(60)가 부착될 수 있는 전면판(210)과, 상기 전면판(210)에 결합되어 어두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240) 및 상기 본체 프레임(240)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220) 및 렌즈 조절체(23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0)의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된 두 개의 원형인 제1통공(151, 152)(도 1 참조)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통공(211, 212)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조립체(220)는 좌우 배치되는 두 개의 볼록 렌즈(221, 222)를 포함하고, 두 렌즈(221, 222)는 전면판(210)에 형성된 제2통공(211, 21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10)의 몸체(110)에 면한 휴대용 단말기(1)의 스크린의 일부는 제1통공(151, 152)을 통해 본체(20) 내부에 위치한 좌우측 렌즈(221, 222)에 노출된다.
본체 프레임(240)은 사용자의 눈 및 좌우측 렌즈(221, 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로 제3통공(241, 2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통공(241, 242) 사이에는 사용자의 코가 위치할 수 있는 코 받침홈(24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40)의 내부는 휴대용 단말기(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반사 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암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조립체(220)는 사람마다 상이한 좌우 눈의 초점거리의 편차를 고려하여 본체 프레임(240)의 내부에서 렌즈 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렌즈 조절체(230)는 본체 프레임(24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회전형 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렌즈 조절체(230)를 돌려 렌즈 조립체(22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는 사용자가 2차원의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느끼도록 하는 스테레오스코피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휴대용 단말기(1)를 통해 3차원 영상에 적합한 영상을 휴대용 단말기(1)의 스크린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의 스크린을 좌우로 양분하고, 사용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맞게 제작된 좌안용 용상과 우안용 영상을 각각 양분된 스크린을 통해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은 하나의 영상을 소프트웨어적 기법을 이용해 처리해 오프셋된 두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동일한 대상에 대해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해 두 개의 영상으로 촬영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좌안용 영상은 고정 프레임(10)의 좌측 제1통공(151)과 본체(20)의 좌측 제2통공(211)을 통해 좌측 렌즈(221)를 통과하고, 좌측 렌즈(221)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으로 입력된다.
우안용 영상은 고정 프레임(10)의 우측 제1통공(152)과 본체(20)의 우측 제2통공(212)을 통해 우측 렌즈(222)를 통과하고, 우측 렌즈(222)를 통해 사용자의 우안으로 입력된다.
이때, 고정 프레임(10)의 제1통공의 두께와 본체(20)의 제2통공의 두께에 의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은 대상이 동일하지만 서로 소정의 오프셋을 가지는 영상이며, 사용자가 동시에 입력되는 오프셋된 두 개의 2차원 영상을 좌우안으로 따로 보게 되면, 양쪽 눈에 입력된 2차원 영상들을 하나로 합성하여 하나의 3차원적 깊이를 가지는 3차원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조립체(220)가 볼록 렌즈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1)의 영상을 대형화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로서 2차원 영상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볼록 렌즈를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1)의 영상을 대형의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스크린 영역 확대를 위한 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상 현실(VR)을 제공하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는 스마트폰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휴대용의 소형 영상 장비라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에 면하는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에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이 관통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양 단이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의 일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밴드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탄성을 가지는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프레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프레임.
KR2020150002086U 2015-04-02 2015-04-02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KR200480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86U KR200480392Y1 (ko) 2015-04-02 2015-04-02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PCT/KR2015/006285 WO2016159444A1 (ko) 2015-04-02 2015-06-22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용 휴대 단말기 고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86U KR200480392Y1 (ko) 2015-04-02 2015-04-02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392Y1 true KR200480392Y1 (ko) 2016-05-19

Family

ID=5609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086U KR200480392Y1 (ko) 2015-04-02 2015-04-02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0367A (zh) * 2018-04-20 2018-10-12 歌尔科技有限公司 手机夹持机构及头戴产品
CN110692007A (zh) * 2017-05-31 2020-01-14 脸谱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冲击吸收壁的头戴式装置的金属框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4682A1 (en) * 2012-01-26 2013-08-01 Bibek Sahu Personal media view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4682A1 (en) * 2012-01-26 2013-08-01 Bibek Sahu Personal media view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2007A (zh) * 2017-05-31 2020-01-14 脸谱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冲击吸收壁的头戴式装置的金属框架
CN110692007B (zh) * 2017-05-31 2021-12-07 脸谱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冲击吸收壁的头戴式装置的金属框架
CN108650367A (zh) * 2018-04-20 2018-10-12 歌尔科技有限公司 手机夹持机构及头戴产品
CN108650367B (zh) * 2018-04-20 2020-08-04 歌尔科技有限公司 手机夹持机构及头戴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KR101419007B1 (ko)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KR101814883B1 (ko)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
CN204925509U (zh) 穿戴式显示设备
US20170102549A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GB2516242A (en) Head mounted display
WO2016159444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용 휴대 단말기 고정 프레임
KR101650706B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KR20170134606A (ko)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KR200480392Y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KR20140054705A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KR101875313B1 (ko) 렌즈 조절기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US20200077181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acoustic device
CN205581416U (zh) 一种镜片可替换的虚拟现实眼镜
US20190331917A1 (en) Personal 3d and 2d viewing device
KR20160003517U (ko) 착용감이 개선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92177A1 (en) Extended reality headsets including removable ear cups and related structures
CN205404973U (zh) 一种具有左右格式图像合成镜片和左右眼遮光板的手机裸眼3d观影盒
KR101850619B1 (ko)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1927904B1 (ko) 기록매체,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용 양안거리 캘리브레이션 프로그램, 기록매체가 탑재된 모바일 장치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양안거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CN107076988B (zh) 眼罩及具有该眼罩的头戴式电子装置
US20120081654A1 (en) Glasses
KR20160002824U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CN112925099A (zh) 头戴式设备
CN211426935U (zh) 头戴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