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606A -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 Google Patents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606A
KR20170134606A KR1020177031794A KR20177031794A KR20170134606A KR 20170134606 A KR20170134606 A KR 20170134606A KR 1020177031794 A KR1020177031794 A KR 1020177031794A KR 20177031794 A KR20177031794 A KR 20177031794A KR 20170134606 A KR20170134606 A KR 2017013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hone
housing
connecting element
display device
wear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링 양
차오 지앙
송야 첸
린웨이 유
판 양
신위앤 시아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는 헤드폰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헤드폰 장치는 2개의 헤드폰 몸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및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인접한 2개의 단부 구역과, 이 2개의 단부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역과, 이 중간 구역에 배치된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본체, 및 이 본체의 2개의 대향 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2개의 원위 단부는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연결된다. 본체는 연결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 요소를 거쳐서 헤드폰 장치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분은 하우징의 중간 구역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착용하고, 헤드폰 몸체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힘을 가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2개의 원위 단부는 연결 요소에 연결되지 않아서, 2개의 단부 구역에 대응하는 연결 요소의 부분은 헤드폰 몸체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변형 공간을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본 개시는 착용가능한 장비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에 관한 것이다.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비디오 안경(video glasses), 안경형 디스플레이, 휴대용 시네마(portable cinema)로 또한 알려진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는 3D 비디오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는 근안 기술을 이용하여, 몰입형 시네마의 효과를 실현하고, 휴대용 홈시어터의 컨셉을 생산적이도록 한다.
관련 분야에 있어서,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에 대해, 특히 몰입형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폰 장치에 일체로 연결된다. 즉, 연결 부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의 2개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헤드폰 장치에 연결될 대응하는 헤드폰 몸체를 향해 연장되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의 형상이 비교적 고정된다. 그러나, 상이한 사용자는 상이한 얼굴 폭을 가져서, 좌측 및 우측 헤드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축을 따르는 변형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필요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의 형상이 고정되어서, 변형이 제공될 수 없다. 이에 따르면, 관련 분야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의 2개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부분은 특정 변형을 제공하도록 탄성적이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는 사용자의 두 눈을 덮을 필요가 있어서, 측방향(좌측 및 우측 헤드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축을 따르는 방향) 길이가 헤드폰 장치의 2개의 헤드폰 몸체 사이의 거리에 실질적으로 근접하고, 연결 부분은 비교적 제한되며, 이 연결 부분에 의해 제공된 측방향 변형이 비교적 제한된다. 2개의 헤드폰 몸체를 분리시키도록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가해지는 힘이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연결된 연결 부분의 2개의 단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장되고 비틀리는 힘을 가하고, 이 힘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부 손상을 초래한다.
상기 언급된 설명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상기 관련 분야에 있어서 문제점을 해결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헤드폰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제공한다. 헤드폰 장치는 2개의 헤드폰 몸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인접한 2개의 단부 구역과, 이 2개의 단부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역과, 이 중간 구역에 배치된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본체와, 이 본체의 2개의 대향 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2개의 원위 단부는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연결되고, 본체는 연결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는 2개의 헤드폰 몸체, 연결 요소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더 제공한다. 2개의 헤드폰 몸체는 이 2개의 헤드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을 형성한다. 연결 요소는 2개의 헤드폰 몸체에 연결되고, 이 2개의 헤드폰 몸체를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탄성적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 요소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2개의 헤드폰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미지를 투영한다. 축방향으로 2개의 헤드폰 몸체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2개의 단부는 연결 요소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 요소를 거쳐서 헤드폰 장치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분은 하우징의 중간 구역에 위치된다.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착용하고, 2개의 헤드폰 몸체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힘을 가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2개의 단부 구역은 연결 요소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2개의 단부 구역에 대응하는 연결 요소의 부분은 헤드폰 몸체들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킨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의 평면도,
도 2는 확장된 상태의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도시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
본 개시의 목적, 기술적인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하기는 다양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과 조합하여 본 개시를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는 본 출원을 단지 예시하는데 사용될 뿐이고,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는 단지 설명을 위해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또는 나타낸 기술적인 특징부의 수를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그러므로, "제 1" 또는 "제 2"의 한정부를 갖는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명백하게 또는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다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명백하게 명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장착(mount)", "연결된" 및 "연결"은 넓게 이해되어야 하고, 예를 들면, "연결"은 고정된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으며, "연결"은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서로에 대한 연통일 수도 있으며, "연결"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거나, 매개물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거나, 2개의 요소의 내부들 사이의 연통(communication), 2개의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일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는 특정 조건에 따라 본 개시에서의 상기 용어의 특정 정의를 이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의 상이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제공한다. 본 개시를 간략화시키기 위해, 특정 예시의 구성요소 및 설정이 이하에 설명된다. 분명하게, 그들은 단지 예시이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개시에 있어서, 도면 부호 및/또는 참조 문자는 상이한 실시예예서 반복될 수도 있다. 이 반복은 간단함 및 명확성을 목적으로 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설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게다가, 본 개시는 다양한 특정 프로세스 및 재료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지만, 당업자는 다른 프로세서의 적용 및/또는 다른 재료의 사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의 개략도이다.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는 헤드폰 장치(10), 디스플레이 장치(20) 및 연결 요소(30)를 포함한다. 헤드폰 장치(10)는 2개의 헤드폰 몸체(11)를 포함하고, 이 헤드폰 몸체(11)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Y)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하우징(21) 및 이 하우징(21) 내에 배치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22)을 포함한다. 하우징(21)은 2개의 헤드폰 몸체(11)에 각각 인접한 2개의 단부 구역(211)과, 이 2개의 단부 구역(211)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역(212)과, 이 중간 구역(212)에 배치된 연결 부분(213)을 포함한다. 연결 요소(30)는 본체(31)와, 이 본체(31)의 2개의 대향 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원위 단부(32)를 포함한다. 2개의 원위 단부(32)는 2개의 헤드폰 몸체(11)에 각각 연결된다. 본체(31)는 연결 부분(2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요소(30)는 2개의 헤드폰 몸체(11)가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2개의 원위 단부(32)에 각각 연결되게 하기 위해, 2개의 원위 단부(32)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의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연결 요소(30)를 거쳐서 헤드폰 장치(10)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연결 부분(213)은 하우징(21)의 중간 구역(212)에 배치된다, 즉, 축방향(Y)으로 2개의 헤드폰 몸체(11)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2개의 단부는 연결 요소(30)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2개의 단부는 2개의 단부 구역(211)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분(213)이 연결 요소(30)에 고정되는 상이한 연결 방식에 따르면, 중간 구역(212)은 비고정 구역을 더 가질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2개의 단부는 중간 구역(212)의 비고정 구역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착용하고, 2개의 헤드폰 몸체(11)를 서로로부터 분리되도록 힘을 가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2개의 단부 구역(211)은 연결 요소(30)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2개의 단부 구역(211)에 대응하는 연결 요소(30)의 부분은 헤드폰 몸체(11)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변형 공간을 더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연결 요소(30)에 고정되고, 2개의 헤드폰 몸체(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미지를 투영한다. 상세하게,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의 하우징(21)은 관찰용 창(watch window)(216)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정면 측부(21A)와, 디스플레이 정면 측부(21A)에 반대인 하우징 외측부(21B)를 포함한다. 관찰용 창(216)은 하우징(21) 내에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22)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결 부분(213)은 하우징 외측부(21B)의 중간 구역(212B) 내에 배치, 즉, 2개의 헤드폰 몸체(11)로부터 멀리 있는 측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의 두 눈으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각각 제공하도록, 2세트의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22)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각 세트의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22)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학 모듈(도시되지 않음)의 세트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관찰용 창(216)으로부터 대응하는 광학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사전설정된 방향으로 각각 투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확대된 허상을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은 1세트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즉, 단일의 디스플레이원을 포함할 수도 있고,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2세트의 광학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투영 방향으로 각각 투영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21)은 밀봉된 하우징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측부(21C) 및 하우징 하측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2개의 단부 구역(211)은,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인접한 디스플레이 정면 측부(21A)의 2개의 단부 구역(211A)과,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인접한 하우징 외측부(21B)의 2개의 단부 구역(211B)과,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인접한 하우징 상측부(21C)의 2개의 단부 구역(211C)과,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인접한 하우징 하측부(도시되지 않음)의 2개의 단부 구역(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중간 구역(212)은, 디스플레이 정면 측부(21A)의 중간 구역(212A)과, 하우징 외측부(21B)의 중간 구역(212B)과, 하우징 상측부(21C)의 중간 구역(212C)과, 하우징 하측부의 중간 구역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연결 요소(30)는 하우징 외측부(21B)를 커버한다. 연결 부분(213)은 하우징 외측부(21B)의 중간 구역(212B)에 배치된다, 즉, 하우징 외측부(21B)의 2개의 단부 구역(211B)은 연결 요소(30)에 연결되지 않아서, 탄성 재료로 제조된 연결 요소(30)는 보다 큰 변형 가능한 구역을 갖는다. 연결 부분(213)은 페이스팅(pasting), 리벳팅(riveting), 스냅-끼워맞춤 구조, 자기 흡착(magnetic adsorption), 피봇팅 결합 등, 또는 상기 방식의 조합으로 연결 요소(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방식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들은 본 명세서에 반복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상태에서, 즉,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에 가해지는 힘이 없을 경우, 연결 요소(30)는 원래 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래 상태에서, 연결 요소(30)는 중간 구역(212B) 및 하우징 외측부(21B)의 2개의 단부 구역(211B)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헤드폰 몸체(11)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힘이 가해지는 경우, 2개의 단부 구역(211B)에 대응하는 연결 요소(30)의 부분은 원래 상태로부터, 연결 요소(30)의 부분이 2개의 단부 구역(211B)으로부터 멀어지는 확장 상태로 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 상태에서, 연결 요소(30)와 헤드폰 몸체(11)에 인접한 2개의 단부 구역(211)의 측부 사이에 특정 예비 공간(X)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헤드폰 몸체(11)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탄성적인 공간이 제공되고, 이에 의해, 상이한 머리 폭을 갖는 사용자를 수용한다. 연결 요소(30)는 변형 가능하고 탄성적인 재료로 제조되어서,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착용할 경우, 연결 요소(30)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가 착용될 때의 상태를 안정화시키도록, 2개의 헤드폰 몸체(11)가 서로 근접해지게 하는 클램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가 자연 상태에 있을 경우, 연결 요소(30)와, 연결 부분(213)이 위치되는 하우징(21)의 측부에서의 2개의 단부 구역(211) 사이에 특정 예비 공간이 형성된다, 즉, 연결 요소(30) 및 2개의 단부 구역(211)은 서로 부착되지 않는다. 게다가, 중간 구역(212) 및 2개의 단부 구역(211)의 분할 및 비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필요한 것은 단지, 2개의 헤드폰 몸체(11)에 각각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2개의 대향 단부가 연결 요소(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2개의 단부 구역(211)이 연결 요소(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연결 요소(30)는 보다 큰 변형 가능 공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는 2개의 헤드폰 몸체(11)에 연결된 헤드 장착 브래킷(40)을 더 포함한다. 헤드 장착 브래킷(40) 및 헤드폰 몸체(11)는 헤드폰과 유사한 형태를 구성한다. 연결 요소(30)의 2개의 원위 단부(32)는 대응하는 헤드폰 몸체(1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하게, 연결 요소(30)의 2개의 원위 단부(32) 각각은 대응하는 헤드폰 몸체(11)에 연결된 회전 링(33)을 포함한다. 회전 링(33) 및 헤드폰 몸체(11)는 서로 결합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되어,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 있는 치형 구조체 또는 힌지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폰은 연결 요소(30)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헤드폰이 대략 90도로 회전되는 경우, 즉, 헤드폰이 올바르게 착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의 눈 정면에 위치된다. 두 눈은 대응하는 관찰용 창(216) 각각을 통해 하우징(21) 내에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22)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가 올바르게 착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와 헤드 장착 브래킷(4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헤드폰의 상이한 형태에 따라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헤드폰 및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중첩된 상태가 되기 위해 절첩되도록 회전되는 경우, 즉, 헤드 장착 브래킷(4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 제품에 의해 차지된 공간의 양은 비교적 감소되고, 따라서,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보관 및 휴대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게다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원위 단부(32)는 철회 가능한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분(213)은 하우징의 디스플레이 정면 측부(21A)의 중간 구역(212A)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전방 측부(21A)의 관찰용 창(216)을 통한 사용자의 전망이 영향을 받지 않는 한, 특정 제품 디자인에 따라 특정 위치가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213)은 하우징 상측부(21C)의 중간 구역(212C)과, 하우징 하측부의 중간 구역에 배치되고, 또한, 하우징 상측부(21C) 및 하우징 하측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요소(30)는 2개의 연결 벨트일 수 있다. 또한, 연결 요소(30)는 하우징(21)의 임의의 측부에 배치된 다수의 연결 부분을 다수의 연결 벨트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213)은 하우징(21) 내의 중간 구역(212)에 배열될 수 있어서, 연결 요소(30)는 하우징(21) 내에 배열될 수 있고, 하우징(21)의 측방향 측부의 외부로 각각 연장되고, 대응하는 헤드폰 몸체(11)를 향해 연장된다. 다수의 측방향 측부가 하우징(21)의 특정 형태에 따라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연결 부분(213)이 헤드폰 몸체(11)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2개의 단부 구역(211)에 배치되지 않는 한, 연결 부분(213)은 다수의 측방향 측부에 의해 구성된 중간 구역(212)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의 2개의 단부 구역(211)은 비-연결 상태에 있고, 2개의 단부 구역(211)에 대응하는 연결 요소(30)의 부분은 이용가능한 변형 공간을 확장한다.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를 착용하고, 2개의 헤드폰 몸체(11)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힘을 가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형태에 의해 발생된 연결 요소(30)의 변형 제한은 연결 요소(30)를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부분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오직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정신 및 원리 내에서의 임의의 변경예, 대안예 및 개선예 등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에 있어서,
    2개의 헤드폰 몸체를 포함하는 헤드폰 장치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인접한 2개의 단부 구역과, 상기 2개의 단부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역과, 상기 중간 구역에 배치된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본체와, 상기 본체의 2개의 대향 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요소로서, 상기 2개의 원위 단부는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에 연결된 헤드 장착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의 2개의 원위 단부는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관찰용 창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전방 측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전방 측부에 반대인 하우징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용 창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하우징 외측부의 중간 구역에 배치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하우징 외측부를 커버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와 상기 헤드폰 몸체에 인접한 2개의 단부 구역의 측부 사이에 예비 공간이 형성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2개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8.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에 있어서,
    2개의 헤드폰 몸체로서,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을 형성하는,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와,
    2개의 헤드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가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멀어지게 하도록 탄성을 갖는 연결 요소와,
    상기 연결 요소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미지를 투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2개의 단부는 상기 연결 요소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관통 투영시키기 위한 관찰용 창 및 상기 관찰용 창으로부터 멀리 향하여 있는 하우징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하우징 외측부에 고정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로부터 멀리 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측에 배치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와,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2개의 헤드폰 몸체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2개의 단부 사이에 예비 공간이 형성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에 연결된 헤드 장착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13. 제 8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2개의 헤드폰 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회전 링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KR1020177031794A 2015-08-19 2015-08-19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KR20170134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87565 WO2017028282A1 (zh) 2015-08-19 2015-08-19 穿戴式显示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606A true KR20170134606A (ko) 2017-12-06

Family

ID=5698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794A KR20170134606A (ko) 2015-08-19 2015-08-19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0127B2 (ko)
EP (1) EP3339933A4 (ko)
JP (1) JP6574520B2 (ko)
KR (1) KR20170134606A (ko)
CN (1) CN105829950A (ko)
WO (1) WO2017028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4333B2 (ja) 2015-08-19 2019-06-05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ヘッドマウント電子デバイス
WO2017028282A1 (zh) 2015-08-19 2017-02-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穿戴式显示设备
WO2017028281A1 (zh) 2015-08-19 2017-02-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式电子装置
KR102003629B1 (ko) 2015-08-19 2019-07-24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헤드 장착 전자 장치
EP3351995B1 (en) * 2015-09-14 2020-11-0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EP3514604A1 (en) * 2016-09-14 2019-07-2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EP3779559A4 (en) * 2017-06-14 2022-01-05 Cheng Li HEAD-MOUNTED DISPLAY AND SCREEN, HEAD-MOUNTED BRACKET AND VIDEO FOR IT
CN109379653B (zh) * 2018-09-30 2020-1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5687A1 (en) * 2006-06-27 2009-05-07 Nikon Corporation Video display device
US20110273365A1 (en) * 2010-04-27 2011-11-10 Kopin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isplay
CN204229050U (zh) * 2014-12-03 2015-03-25 成都贝思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可翻转视频眼镜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3300A (en) 1987-07-27 1991-03-26 Reflection Technology, Inc. Head mounted display for miniature video display system
US5321416A (en) 1992-07-27 1994-06-14 Virtual Research Systems Head-mounted visual display apparatus
US6424321B1 (en) 1993-10-22 2002-07-23 Kopin Corporation Head-mounted matrix display
US6448944B2 (en) 1993-10-22 2002-09-10 Kopin Corporation Head-mounted matrix display
US7310072B2 (en) 1993-10-22 2007-12-18 Kopin Corporation Portable communication display device
US5903395A (en) * 1994-08-31 1999-05-11 I-O Display Systems Llc Personal visual display system
US5737012A (en) 1994-12-01 1998-04-07 Olympus Optical Co., Ltd. Head mounte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lated thereto
US6369952B1 (en) 1995-07-14 2002-04-09 I-O Display Systems Llc Head-mounted personal visual display apparatus with image generator and holder
JP4154060B2 (ja) * 1999-02-12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7210160B2 (en) 1999-05-28 2007-04-24 Immersion Entertainment, L.L.C. Audio/video programming and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20020061776A (ko) 2001-01-17 2002-07-25 (주)서원케이텍크 헤드셋 장치
US20040201695A1 (en) 2001-02-15 2004-10-14 Rei Inasaka System for delivering news
CN2525546Y (zh) * 2001-09-12 2002-12-11 深圳市东方景电子有限公司 头戴式显示器及配套使用的便携式影音装置
JP2006086980A (ja) 2004-09-17 2006-03-30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ン装置
JP4965800B2 (ja) 2004-10-0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CN2819243Y (zh) 2005-08-19 2006-09-20 宝陆科技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器调整结构
JP2007243631A (ja) * 2006-03-09 2007-09-20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5055585B2 (ja) 2006-03-15 2012-10-24 株式会社ニコン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2938154Y (zh) 2006-08-17 2007-08-22 欧以良 头佩式眼镜显示器
WO2008096719A1 (ja) * 2007-02-05 2008-08-14 Atsushi Takahashi 周辺視野を開放した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01336008B (zh) 2007-08-24 2011-12-07 中名(东莞)电子有限公司 一种旋转折叠式耳机
JP2010056661A (ja) * 2008-08-26 2010-03-11 Olympus Corp 頭部装着型映像取得表示装置
JP4674634B2 (ja) 2008-12-19 2011-04-20 ソニー株式会社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CN201336696Y (zh) 2008-12-22 2009-10-28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存储播放功能的数字眼镜电视
KR200461682Y1 (ko) * 2010-03-03 2012-07-30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입체영상용 판독장치가 구비된 헤드셋
US8446676B2 (en) 2010-09-16 2013-05-21 Olympus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20120098971A1 (en) 2010-10-22 2012-04-26 Flir Systems, Inc. Infrared binocular system with dual diopter adjustment
JP2012138654A (ja) 2010-12-24 2012-07-19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202026447U (zh) 2011-03-24 2011-11-02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蓝牙耳机
US20130195308A1 (en) * 2011-08-02 2013-08-01 180S, Inc. Ear warmer
CN102387442B (zh) 2011-09-22 2014-11-05 深圳市冠旭电子有限公司 一种头戴耳机
JP5942467B2 (ja) 2012-02-22 2016-06-2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8577427B2 (en) 2012-03-08 2013-11-05 Lee Serota Headset with adjustable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CN202455514U (zh) 2012-03-09 2012-09-26 王承延 一种耳机的耳机体活动装置
JP2012191624A (ja) * 2012-03-21 2012-10-04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581779A (zh) 2012-07-31 2014-02-12 扬州田治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耳机
US9143673B2 (en) 2012-09-19 2015-09-22 Google Inc. Imag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pixel arrays
TW201419883A (zh) 2012-11-12 2014-05-16 Powertech Ind Co Ltd 頭戴式耳機裝置
US20160004082A1 (en) * 2013-02-12 2016-01-07 Virtual Goggles Inc. Headset with Binary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CN103149690B (zh) 2013-03-01 2016-03-02 南京理工大学 一种3d头戴显示器
WO2014145060A1 (en) 2013-03-15 2014-09-18 Immy Inc. Head mounted display having alignment maintained via structural frame
JP2014178960A (ja) 2013-03-15 2014-09-25 Sony Corp 加速度感覚呈示装置、加速度感覚呈示方法および加速度感覚呈示システム
WO2014182030A1 (ko) * 2013-05-07 2014-11-13 Bae Youngsik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1509169B1 (ko) * 2013-05-07 2015-04-07 배영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US10137361B2 (en) 2013-06-07 2018-11-2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educed hops to generate an augmented virtual reality scene within a head mounted system
US10905943B2 (en) 2013-06-07 2021-02-0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hops associated with a head mounted system
KR20150043122A (ko) 2013-10-14 2015-04-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N103596099A (zh) 2013-12-03 2014-02-19 全南三扬电子有限公司 一种旋转耳机
CN103702257B (zh) 2013-12-27 2017-04-19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调节的头戴式耳机
CN203747962U (zh) 2014-03-04 2014-07-30 杭州鐵三角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用可变角度的转动装置
CN203722793U (zh) * 2014-03-07 2014-07-16 北京云视智通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JP2016014730A (ja) 2014-07-01 2016-0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10034508B2 (en) 2014-08-12 2018-07-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ight-distributing headband for head-worn assembly
CN104166239A (zh) 2014-08-25 2014-11-26 成都贝思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清摄像机的头戴式视频眼镜取景装置
CN104254037B (zh) 2014-09-30 2017-08-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耳壳转轴机构及其头戴式耳机
CN204180248U (zh) 2014-11-13 2015-02-25 许辅松 头戴式耳机的联接结构
CN104503083B (zh) 2014-12-31 2017-01-11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头戴显示器
CN104503585A (zh) 2014-12-31 2015-04-0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触控式头戴显示器
CN204302573U (zh) 2014-12-31 2015-04-29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显示器
CN204439937U (zh) 2014-12-31 2015-07-01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佩戴式显示器
CN104503584A (zh) 2014-12-31 2015-04-0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式头戴显示器
CN104503086A (zh) 2014-12-31 2015-04-0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可调节式头戴显示器
US9635450B2 (en) * 2015-02-20 2017-04-25 Oculus Vr, Llc Audio headphones for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CN104765149B (zh) 2015-03-18 2018-09-04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显示器
CN204575970U (zh) 2015-03-18 2015-08-19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显示器
CN204666953U (zh) 2015-04-01 2015-09-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显示设备
KR101919727B1 (ko) 2015-05-29 2019-02-08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구비한 전자장치
US9832561B2 (en) 2015-06-11 2017-11-28 Oculus Vr, Llc Detachable audio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s
WO2017028281A1 (zh) 2015-08-19 2017-02-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式电子装置
JP6524333B2 (ja) 2015-08-19 2019-06-05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ヘッドマウント電子デバイス
WO2017028282A1 (zh) 2015-08-19 2017-02-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穿戴式显示设备
EP3351995B1 (en) 2015-09-14 2020-11-0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EP3358389A4 (en) 2015-09-27 2019-05-29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MOUNT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5687A1 (en) * 2006-06-27 2009-05-07 Nikon Corporation Video display device
US20110273365A1 (en) * 2010-04-27 2011-11-10 Kopin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isplay
CN204229050U (zh) * 2014-12-03 2015-03-25 成都贝思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可翻转视频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0127B2 (en) 2019-08-20
US20170055061A1 (en) 2017-02-23
WO2017028282A1 (zh) 2017-02-23
CN105829950A (zh) 2016-08-03
EP3339933A1 (en) 2018-06-27
JP6574520B2 (ja) 2019-09-11
EP3339933A4 (en) 2019-07-17
JP2018532288A (ja)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4606A (ko)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JP7086315B2 (ja) マイクロディスプレイベースの没入型ヘッドセット
KR101579130B1 (ko) 휴대용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어
US11340464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KR101814883B1 (ko)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
US10317683B2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KR20120079421A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129166A1 (en) Near-eye display having lenslet array with reduced off-axis optical aberrations
WO2018049621A1 (zh) 头戴式电子设备及其显示模组
CN205581416U (zh) 一种镜片可替换的虚拟现实眼镜
US10652647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101033606B1 (ko) 안경
KR101999198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205581406U (zh) 一种虚拟现实设备
CN107076988B (zh) 眼罩及具有该眼罩的头戴式电子装置
JP5973803B2 (ja) 頭部装着型電子機器
US20190212521A1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unit thereof
WO2018049619A1 (zh) 头戴显示设备
KR20160093249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KR200480392Y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KR200430109Y1 (ko) 단안형 페이스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10670869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N103941396A (zh) 影像系统
WO2016070818A1 (zh) 显示装置及fpv设备
JPH03236018A (ja) 目に装着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