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606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606B1
KR101033606B1 KR1020100096333A KR20100096333A KR101033606B1 KR 101033606 B1 KR101033606 B1 KR 101033606B1 KR 1020100096333 A KR1020100096333 A KR 1020100096333A KR 20100096333 A KR20100096333 A KR 20100096333A KR 101033606 B1 KR101033606 B1 KR 10103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d
holder
glasses
rotation ang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주
알랭 미끌리따리앙
김도영
서영국
김유석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알랭 미끌리 인터네셔널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랭 미끌리 인터네셔널,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랭 미끌리 인터네셔널
Priority to KR102010009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606B1/ko
Priority to PCT/KR2011/003904 priority patent/WO2012046941A1/en
Priority to EP11830827.9A priority patent/EP2625561B1/en
Priority to CN201180045157.0A priority patent/CN103189782B/zh
Priority to US13/234,432 priority patent/US84191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시청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시청자가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는 경우에 3D 안경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안경 다리 부분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고화질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3D 영상 컨텐츠의 제작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3D 영화, 3D 스포츠 방송 및 3D 게임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D 영상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존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약 65mm정도 떨어져 존재하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인체의 좌우눈이 각각 서로 연관된 2D영상을 볼 경우에 이들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재생하게 되는데, 이 같은 능력을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
일반적으로, 특수 안경(3D 안경 또는 입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영상물을 시청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3D 안경은 편광의 진동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이용한 편광안경방식, 좌우영상을 서로 전환시켜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그리고 좌우안에 서로 다른 밝기의 빛을 전달하는 방식인 농도차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3D 안경은 코받이(nose pad) 부분이 프레임에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시청자가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면, 특수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안경 다리(temple) 부분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시청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자가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는 경우에 3D 안경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안경 다리 부분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복수의 렌즈 장착부 및 인접하는 렌즈 장착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브릿지에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패드는,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양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각각 연장되는 팁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및 상기 힌지부에는 지지 패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기 위한 제 1 및 제 2돌기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돌기부는 지지 패드의 최소 회전 각도와 최대 회전 각도 사이의 복수의 서브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된 상태에서 지지 패드의 회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돌기부는 지지 패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도록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패드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샤프트는 캠 샤프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는 지지 패드의 최소 회전 각도 보다 작거나, 지지 패드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큰 각도 범위에서 삽입홀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후크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캐쳐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프론트 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일 종단부가 상기 리어 프레임을 관통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패드는 브릿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될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패드는 0도 내지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따르면, 시청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따르면, 시청자가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는 경우에 3D 안경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안경 다리 부분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경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 및 도 6은 홀더와 지지 패드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일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경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며. 도 5 및 도 6은 홀더와 지지 패드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일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은 복수의 렌즈 장착부(11, 12) 및 인접하는 렌즈 장착부(11, 12)를 연결하는 브릿지(15)를 포함하는 프레임(10)과 상기 브릿지(15)에 장착되는 홀더(40) 및 상기 홀더(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패드(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패드(50)는 상기 홀더(40)에 장착되는 힌지부(52) 및 상기 힌지부(52)의 양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각각 연장되는 팁부(53)를 포함하는 본체(51) 및 상기 본체(51)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부(53)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0) 및 상기 힌지부(52)에는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기 위한 제 1 및 제 2돌기부(45, 5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돌기부(45, 55)는 지지 패드의 최소 회전 각도(A1)와 최대 회전 각도(A3) 사이의 복수의 서브 회전 각도(A2)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된 상태에서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돌기부(45, 55)는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도록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0)에는 삽입홀(43)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패드(50)에는 상기 삽입홀(43)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샤프트는 캠 샤프트(5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56)는 지지 패드(50)의 최소 회전 각도(A1) 보다 작거나, 지지 패드(50)의 최대 회전 각도(A3) 보다 큰 각도 범위에서 홀더(40)의 삽입홀(43)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0)에는 후크부(42)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후크부(42)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캐쳐부(3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프론트 프레임(20) 및 리어 프레임(30)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40)는 일 종단부(41)가 상기 리어 프레임(30)을 관통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30)의 내주면(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패드(50)는 브릿지(15)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패드(50)는 0도 내지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장착되는 렌즈에 따라 통상의 시력 교정용 안경일 수도 있고, 특수 안경(예를 들어, 3D 안경/입체 안경)일 수도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하여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안경은 입체 안경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입체 안경은 편광의 진동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이용한 편광안경방식, 좌우영상을 서로 전환시켜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그리고 좌우안에 서로 다른 밝기의 빛을 전달하는 방식인 농도차 방식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은 프론트 프레임(20)과 리어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은 복수의 렌즈(L1, L2) 장착부(21, 22)와 인접하는 렌즈(L1, L2) 장착부(21, 22)를 연결하는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프레임(30)은 복수의 렌즈(L1, L2) 장착부(31, 32)와 인접하는 렌즈(L1, L2) 장착부(31, 32)를 연결하는 브릿지(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20)과 리어 프레임(30)은 각 렌즈 장착부와 브릿지가 서로 형합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각 프레임(20, 30)은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 프레임의 일부 영역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나머지 영역은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착용 상태에서, 시청자의 귀 부분에 안착되는 복수의 레그부(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40)는 일 종단부(41)가 상기 리어 프레임(30)을 관통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30)의 내주면(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0)에는 후크부(42)가 마련되고, 상기 리어 프레임(30)에는 상기 홀더(40)의 후크부(42)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캐쳐부(3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40)는 상기 프레임(10)에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므로,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체결 공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0)에 마련된 후크부(42)와 상기 리어 프레임(30)에 마련된 캐쳐부(34)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호 끼움 결합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 패드(50)는 통상 안경 착용자의 코 부위에 안착되며, 렌즈(L1, L2)와 착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입체 안경(1)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패드(50)는 상기 홀더(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52) 및 상기 힌지부(52)의 양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각각 연장되는 팁부(53)를 갖는 본체(51)를 포함하며, 일 실시 태양으로, 상기 본체(51)는 "∩"자 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51) 내부에는 본체(51)의 형상 및 착용 상태에서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54)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54)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부(53)는 착용자의 코부위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착용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40)에는 삽입홀(43)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패드(50)에는 상기 삽입홀(43)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 샤프트(56)가 상기 삽입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지지 패드(50)는 상기 홀더(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시청자가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입체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는 경우에 입체 안경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안경 다리 부분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입체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안경(1)의 일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7은 시력 교정 안경 등의 안경 미착용자가 입체 안경만을 착용한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시력 교정 안경의 등의 안경 착용자가 입체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한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시력 교정 안경 등의 안경 미착용자가 입체 안경만을 착용한 경우에, 상기 지지 패드(50)는 착용자의 코 부위에 안착되며, 렌즈(L1, L2)와 착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입체 안경(1)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 패드(50) 내부에 삽입된 금속 와이어에 의하여 소정의 강성 및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실리콘으로 형성된 팁부에 의하여 착용감이 개선된다.
한편, 이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의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를 최소 회전 각도(A1, 도 5참조)라 지칭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시력 교정 안경(G) 등의 안경 착용자가 입체 안경(1)을 이중으로 착용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 패드(50)가 시력 교정 안경(G)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패드(50)는 착용자에 의하여 홀더(4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패드(50)는 브릿지(15)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이 완료된 지지 패드(50)는 시력 교정 안경(G)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이에 따라 입체 안경(1)의 흘러내림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의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를 최대 회전 각도(A3, 도 5참조)라 지칭한다.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지지 패드(50)는 최소 회전 각도(A1)보다 작거나, 최대 회전 각도(A3)보다 크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최소 회전 각도(A1)와 최대 회전 각도(A3) 및 최소 회전 각도(A1)와 최대 회전 각도(A3) 사이의 하나 이상의 서브 회전 각도(A2)로 각각 회전된 상태에서, 홀더(40)와 지지패드(50)의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40) 및 상기 힌지부(52)에는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A1 내지 A3)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기 위한 제 1 및 제 2돌기부(45, 5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돌기부(45, 55)는 지지 패드의 최소 회전 각도(A1)와 최대 회전 각도(A3) 사이의 복수의 서브 회전 각도(A2)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된 상태에서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돌기부(45, 55)는 지지 패드(5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도록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각 돌기부(45, 55)는 사다리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패드(50)의 힌지(52)부에 마련된 힌지 샤프트는 캠 샤프트(56)일 수 있으며, 상기 캠 샤프트(56)는 지지 패드(50)의 최소 회전 각도(A1) 보다 작거나, 지지 패드(50)의 최대 회전 각도(A3) 보다 큰 각도 범위에서 홀더(40)의 삽입홀(43)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도 6의 (a)는 홀더(40)와 지지 패드(50)가 최소 회전 각도(A1)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홀더(40)와 지지 패드(50)가 서브 회전 각도(A2)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의 (c)는 홀더(40)와 지지 패드(50)가 최대 회전 각도(A3)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홀더(40)와 지지 패드(50)의 제 1 및 제 2돌기부(45, 55)가 맞물려 있으므로,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소 회전 각도(A1)가 유지된다. 또한, 이때의 각도를 0도라 지칭한다.
한편, 리어 프레임(미도시) 측으로 상기 지지패드(5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 샤프트(56) 및 삽입홀(43)의 내주면의 형상에 의하여 지지 패드(50)의 최소 회전 각도(A1) 보다 작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캠 샤프트(56)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리어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패드(5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 상기 제 1돌기부와 제 2돌기부(45, 55)는 일부 영역이 오버랩(overlap)되면서 마찰력이 커지는 한편, 지지패드(5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오버랩 구간 이후에, 제 1 및 제 2돌기부(45, 55)의 서로 다른 에지부(최소 회전 각도일 때의 에지부와 다른 에지부)가 상호 형합되며 그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홀더(40)와 지지 패드(50)의 제 1 및 제 2돌기부(45, 55)가 맞물려 있으므로,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대 회전 각도(A3)가 유지된다. 또한, 이때의 각도를 90도라 지칭한다.
한편, 리어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패드(50)에 외력을 더욱 가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 샤프트(56) 및 삽입홀(43)의 내주면의 형상에 의하여 지지 패드(50)의 최대 회전 각도(A3) 보다 크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캠 샤프트(56)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따르면, 시청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따르면, 시청자가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는 경우에 3D 안경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안경 다리 부분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안경 10: 프레임
11, 12: 렌즈 장착부 15: 브릿지
20: 프론트 프레임 30: 리어 프레임
40: 홀더 43: 삽입홀
45: 제 1돌기부 50: 지지 패드
52: 힌지부 53: 팁부
54: 와이어 55: 제 2돌기부

Claims (13)

  1. 복수의 렌즈 장착부 및 인접하는 렌즈 장착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브릿지에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패드를 포함하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는,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양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각각 연장되는 팁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상기 힌지부에는 지지 패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기 위한 제 1 및 제 2돌기부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돌기부는 지지 패드의 최소 회전 각도와 최대 회전 각도 사이의 복수의 서브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된 상태에서 지지 패드의 회전 각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돌기부는 지지 패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에지부끼리 형합되도록 다각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패드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는 캠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샤프트는 지지 패드의 최소 회전 각도 보다 작거나, 지지 패드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큰 각도 범위에서 삽입홀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후크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캐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론트 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일 종단부가 상기 리어 프레임을 관통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는 브릿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는 0도 내지 90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100096333A 2010-10-04 2010-10-04 안경 KR10103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33A KR101033606B1 (ko) 2010-10-04 2010-10-04 안경
PCT/KR2011/003904 WO2012046941A1 (en) 2010-10-04 2011-05-27 Glasses
EP11830827.9A EP2625561B1 (en) 2010-10-04 2011-05-27 Glasses
CN201180045157.0A CN103189782B (zh) 2010-10-04 2011-05-27 眼镜
US13/234,432 US8419182B2 (en) 2010-10-04 2011-09-16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33A KR101033606B1 (ko) 2010-10-04 2010-10-04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606B1 true KR101033606B1 (ko) 2011-05-11

Family

ID=4436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333A KR101033606B1 (ko) 2010-10-04 2010-10-04 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9182B2 (ko)
EP (1) EP2625561B1 (ko)
KR (1) KR101033606B1 (ko)
CN (1) CN103189782B (ko)
WO (1) WO20120469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75Y1 (ko) * 2011-01-17 2013-01-08 (주)시선 입체안경 거치장치
KR200473710Y1 (ko) 2012-11-26 2014-07-24 장용찬 안경 프론트
KR20160002190A (ko) * 2014-06-30 2016-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1298B2 (en) 2012-09-28 2019-01-29 Hemaris Ag Spectacle bridge element and spectacle frame, spectacles or spectacle set including spectacle bridge 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422A (en) * 1979-04-04 1981-02-24 Stephen Speckhart Adjustable spectacle nosepiece
JP2008185743A (ja) * 2007-01-30 2008-08-14 High Life Giken:Kk 眼鏡アップ具
KR20090005955U (ko) * 2007-12-12 2009-06-17 박성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탈부착식 코 받침대
KR100951225B1 (ko) * 2008-04-29 2010-04-05 김재현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및 안경테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9949A (en) * 1935-04-03 1938-03-01 John R Oliver Spectacles and the like
US4787729A (en) * 1987-08-24 1988-11-29 Ruffen Kenneth T Eyeglass nose support
DE8816304U1 (ko) * 1988-12-14 1990-04-12 Weber, Karl, 7000 Stuttgart, De
JPH0643399A (ja) * 1992-07-17 1994-02-18 Opt Iijima:Kk 鼻パッド支持部材,鼻パッド支持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鼻パッド支持部材の取付方法
US5980038A (en) * 1999-01-21 1999-11-09 Crews, Inc. Angularly adjustable temples for eyeglasses
JP2000284232A (ja) 1999-03-30 2000-10-13 Yukitaka Kudo 眼鏡フレーム
JP2002221693A (ja) * 2000-06-21 2002-08-09 Yochi Kaihatsu Kk 眼 鏡
JP2008051844A (ja) * 2006-08-22 2008-03-06 Nojiri Optical Co Ltd 眼鏡のネジ無しノーズパッドアーム止着機構
US7452070B2 (en) * 2007-01-09 2008-11-18 Trendus World Ltd. Single lens pince-nez
US7380934B1 (en) * 2007-05-17 2008-06-03 Anthony Wang Lee Spectacles with adjustable nose pads
CN201163316Y (zh) * 2007-12-27 2008-12-10 何秋明 一种可调式眼镜中梁托叶
KR20100084880A (ko) * 2009-01-19 2010-07-28 이동한 안경 코받침
US7731354B1 (en) * 2009-05-08 2010-06-08 Faith Idea Limited Spectacle frame
US8201939B2 (en) * 2009-07-30 2012-06-19 Nike, Inc. Eyewear with frame and rear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422A (en) * 1979-04-04 1981-02-24 Stephen Speckhart Adjustable spectacle nosepiece
JP2008185743A (ja) * 2007-01-30 2008-08-14 High Life Giken:Kk 眼鏡アップ具
KR20090005955U (ko) * 2007-12-12 2009-06-17 박성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탈부착식 코 받침대
KR100951225B1 (ko) * 2008-04-29 2010-04-05 김재현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및 안경테의 조립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75Y1 (ko) * 2011-01-17 2013-01-08 (주)시선 입체안경 거치장치
KR200473710Y1 (ko) 2012-11-26 2014-07-24 장용찬 안경 프론트
KR20160002190A (ko) * 2014-06-30 2016-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102212031B1 (ko) 2014-06-30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9182B2 (en) 2013-04-16
EP2625561B1 (en) 2017-10-25
EP2625561A4 (en) 2014-05-14
US20120081654A1 (en) 2012-04-05
WO2012046941A1 (en) 2012-04-12
CN103189782A (zh) 2013-07-03
EP2625561A1 (en) 2013-08-14
CN103189782B (zh)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6426B2 (ja) コントラストの一致性を向上させた双眼式表示装置
US20120162764A1 (en) Head-mounted display
US9057944B2 (en) Shutter glasses and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rive circuit or a drive power supply accommodated on a temple portion of a frame member
KR20060134106A (ko) 화상 표시 장치
KR101033606B1 (ko) 안경
KR101890621B1 (ko) 안경
US10520778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device
CN101694549A (zh) 眼镜、望远眼镜及立体视像眼镜架组件
KR102090094B1 (ko) 광 시야각을 제공하는 vr 헤드셋 기기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KR20120085363A (ko) 3d 시청용 이중 안경 탈착 구조
KR20100038645A (ko) 입체영상 구현용 안경
TW201407224A (zh) 具矯正視力的遮陽與立體兩用鏡片及眼鏡
KR20120126978A (ko) 사시 환자용 입체안경
JP2012078670A (ja) 立体映像観察用眼鏡
JPH1195186A (ja) 液晶シャッタ眼鏡
JP5205437B2 (ja) 立体映像観賞用メガネ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921504B1 (ko) 입체영상용 안경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KR20130005759A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331363B1 (ko) 스테레오 비디오와 모노 비디오를 선별적으로 볼 수 있는 편광안경
KR102071943B1 (ko)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1059114B1 (ko) 돗수렌즈 클립 장착용 입체영상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