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10Y1 - 안경 프론트 - Google Patents

안경 프론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10Y1
KR200473710Y1 KR2020120010893U KR20120010893U KR200473710Y1 KR 200473710 Y1 KR200473710 Y1 KR 200473710Y1 KR 2020120010893 U KR2020120010893 U KR 2020120010893U KR 20120010893 U KR20120010893 U KR 20120010893U KR 200473710 Y1 KR200473710 Y1 KR 200473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hollow
main frame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326U (ko
Inventor
장용찬
Original Assignee
장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찬 filed Critical 장용찬
Priority to KR2020120010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1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중공림을 설치하여, 중공림에 의해 주 프레임의 양편에 안경렌즈가 설치하도록 한 안경 프론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금속강판을 재단하여 성형되며, 브릿지의 양편에 중공의 림 고정부가 형성된 주 프레임과;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장착되어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중공림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 프론트에 있어서,
상기 중공림의 내경에는 렌즈홈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를 진입시켜 견착하는 견착홈이 형성되어,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는 견착홈을 통해 중공림을 견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중공림 사이에는 연결 지지부가 형성되어, 연결 지지부에 의해 한 쌍의 중공림은 단품형의 보조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중공림은 연결 지지부에 의해 상호 지지하여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고, 주 프레임의 브릿지는 중공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에 의해 전면, 또는 배면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 프론트{Front of eyeglasses}
본 고안은 안경 프론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중공림을 설치하여, 중공림에 의해 주 프레임의 양편에 안경렌즈가 설치하도록 한 안경 프론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선명하고 실제 물체에 가깝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눈의 초점과 안경테에 따른 렌즈의 광학 중심점을 일치시켜야 하므로 안경을 제작할 때에는 정밀한 과정을 통해 안경렌즈나 안경테를 설계함과 아울러 정확하게 조제 및 가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경테는 가급적 가볍고 탄력적이며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어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는 내구성과, 착용 시 외력에 의해 안경 렌즈의 파손이나 이탈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견고성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에는 경량성과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금속강판 재질로 제작된 주 프레임을 이용한 안경 프론트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 안경 프론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안경렌즈에 대비하여 강도가 높은 관계로, 외부 충격을 받게 되면 림에 견착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 1994-0018682호에서는 안경용 유연 가변형 장식테(중공림)을 제안하여, 림 고정구 내에 유연 가변형 장식테를 통해 안경 렌즈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연 가변형 장식테를 통해 림 고정구 내에 안경 렌즈를 설치하면, 외부 충격에 의한 안경 렌즈의 파손이 예방될 수 있는 긴요한 효과가 발휘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림 본체(본 고안에서 림 고정구) 내에 개별 제작된 유연 가변형 장식테(본 고안에서 중공림)를 설치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유연 가변형 장식테를 개별적으로 제작하므로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과 조립 상의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특히, 림 본체(림 고정구) 내에 설치된 유연 가변형 장식테(중공림)의 지지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가변형 장식테의 공회전이 발생될 경우, 렌즈 결합부재에 고정된 렌즈와 착용자의 안구 사이의 초점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안경 프론트에는 용접 등을 통해 별도 제작된 코 지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관계로, 제작에 따른 부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주 프레임에 형성된 림 고정구에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중공림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림 고정구에 설치된 한 쌍의 중공림이 연결 지지부를 통해 상호 단품형의 보조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각 림 고정구에 설치된 중공림이 연결 지지부에 의해 상호 지지되어 요동이 방지되고, 또 한 쌍의 중공림을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의 제작, 및 조립에 따른 부대비용의 절감과 조립에 따른 편리성을 확보하는 한편,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된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사이의 물성 보완을 통해 형태 안정성과 유연성이 확보되도록 한 안경 프론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 프론트는,
금속강판을 재단하여 성형되며, 브릿지의 양편에 중공의 림 고정부가 형성된 주 프레임과;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장착되어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중공림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 프론트에 있어서,
상기 중공림의 내경에는 렌즈홈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를 진입시켜 견착하는 견착홈이 형성되어,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는 견착홈을 통해 중공림을 견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중공림 사이에는 연결 지지부가 형성되어, 연결 지지부에 의해 한 쌍의 중공림은 단품형의 보조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중공림은 연결 지지부에 의해 상호 지지하여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고, 주 프레임의 브릿지는 중공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에 의해 전면, 또는 배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의 림 고정부의 외측에는 상호 밀착 여부에 따라 림 고정부의 개폐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된 개폐단이 형성되고, 상기 각 개폐단에는 분할 힌지편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개폐단을 통해 림 고정부를 개방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한 쌍의 중공림을 림 고정부에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통해 이들 분할 힌지편을 상호 결합하여 림 고정부를 폐쇄함으로써, 주 프레임에 보조 프레임의 한 쌍의 중공림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프레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중공림과 연결 지지부는 단일 사출, 또는 단일 절삭 가공을 통해 성형된 단품형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고정된 각 중공림의 내측 내벽에는, 착용자의 코 부위를 지지하는 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 프론트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중공림을 설치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중공림에 의해 렌즈의 탄력적인 설치상태를 확보함에 있어, 상기 림 고정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중공림이 연결 지지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단품형의 보조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품형으로 구성하면, 중공림의 개별 제작, 및 개별 조립에 따른 부대비용의 증가와 조립상의 번거로움을 포함하는 제조상의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연결 지지부는 주 프론트에 형성된 브릿지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주 프론트에 형성된 브릿지의 물성을 보완하고, 브릿지의 외부 노출에 따른 미관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주 프레임에 형성된 림 고정부에 삽입되는 중공림은 연결 지지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림 고정부 내에서 독립적으로 공회전하는 현상이 예방되어서, 결과적으로 내구성을 포함하는 향상된 품질 안정성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연결 지지부에 의해 상호 지지된 상태로 주 프레임에 장착된 중공림에 각각 코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주 프레임에 용접과정을 통해 코 지지부를 형성함에 따른 제조상의 번거로움이나 부대비용의 증가를 해소할 수 있고, 또 코 지지부가 형성된 중공림은 연결 지지부에 의해 상호 안정된 지지 상태를 형성하므로, 착용과정에 지지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 프론트를 포함한 안경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 프론트를 구성하는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1에서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 프론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 프론트를 포함한 안경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 프론트를 구성하는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1에서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 프론트(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 프레임(10)과, 상기 주 프레임(10)에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주 프레임(10)은 스텐강판 등 금속강판을 레이저 컷팅이나 프레스 제단을 통해 제단하여 제작되어서, 가벼우면서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주 프레임(10)은 브릿지(11)의 양편에 중공의 림 고정부(12, 12')가 형성되고, 상기 주 프레임(10)에 형성된 중공의 림 고정부(12, 12')의 외측에는 개폐단(12, 12'a)이 형성되어, 개폐단(12, 12'a)의 밀착 여부에 따라 림 고정부(12, 12')의 개폐 상태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림 고정부(12, 12')의 외측에 형성된 각 개폐단(12, 12'a)에는 분할 힌지편(13)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14)를 통해 이들 분할 힌지편(13)의 상호 결합하여 림 고정부(12, 12')의 폐쇄를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된 분할 힌지편(13)에는 안경 다리(110)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 연결부(111)가 힌지구조로 연결되어, 안경 프론트(1)의 양단에 안경 다리(110)가 힌지구조로 연결된 안경테를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주 프레임(10)을 포함하는 안경 프론트(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주 프레임(10)에 안경렌즈(L)의 탄력적인 고정을 도모하면서, 금속강판으로 이루어진 주 프레임(10)의 물성을 보완하는 보조 프레임(20)을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 프레임(20)은, 사출 성형이나 절삭가공을 통해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프레임에(20)는 주 프레임(10)에 형성된 림 고정부(12, 12')에 고정되어 안경렌즈(L)를 고정하는 한 쌍의 중공림(21, 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20)의 중공림(21)의 내경에는 안경렌즈(L)의 외경을 견착시켜 고정하는 렌즈홈(21a)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주 프레임(10)의 림 고정부(12, 12')를 진입시켜 견착하는 견착홈(21b)이 형성되어, 도 4a와 같이 안경 렌즈(L)를 견착한 중공림(21, 21')은 각각 주 프레임에 형성된 림 고정부(12, 12')에 견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중공림(21, 21')을 분리 구성하지 아니하고, 연결 지지부(22)를 통해 상호 연결된 단품형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보조 프레임(2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중공림(21, 21')이 연결 지지부(22)에 의해 연결된 단품형으로 구성하면, 중공림(21, 21')의 개별 제작, 및 개별 조립에 따른 부대비용의 증가와 조립 상의 번거로움을 포함하는 제조상의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된다.
특히, 상기 보조 프레임(20)의 연결 지지부(22)는 도 1과 도 4b와 같이 주 프론트(10)에 형성된 브릿지(11)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주 프론트(10)에 형성된 브릿지(11)의 물성을 보완하고, 브릿지(11)의 외부 노출에 따른 미관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주 프레임(10)에 형성된 림 고정부(12, 12')에 삽입되는 보조 프레임(20)의 중공림(21, 21')은 연결 지지부(22)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림 고정부(12, 12') 내에서 독립적으로 공회전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향상된 품질 안정성을 갖는다.
즉, 중공림(21)과 중공림(2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22)는 림 고정부(12, 12')에 삽입된 중공림(21, 21')의 공회전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안경렌즈(L)를 장착한 상태로 림 고정부(12, 12')에 삽입된 중공림(21, 21')이 공회전함에 따라 안경렌즈(L)의 초점이 흐트러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4b와 같이 상기 브릿지(11)에는 가 고정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11a)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밀착되는 보조 프레임(20)의 연결 지지부(22)에는 가 고정공(11a)에 압입되는 가 고정돌기(2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 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20)의 장착 과정에 있어, 보조 프레임(10)의 연결 지지부(22)에 형성된 가 고정돌기(22a)를 주 프레임(10)의 브릿지(11)에 형성된 가 고정공(11a)에 진입시켜 가 고정한 다음, 양편에 형성된 중공림(21, 21')을 림 고정부(12, 12')에 진입시켜 고정하므로, 조립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주 프레임(10)에 장착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인 보조 프레임(20)에 착용자의 코 부위를 지지하여 안경 프론트(1)를 안면에 이격되게 지지하는 코 지지부(23)를 일체로 형성한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지지부(22)의 양편에 형성된 중공림(21, 21')의 내측 내벽에는 각각 코 지지부(23)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중공림(21, 21')의 내측 내벽에 형성되는 코 지지부(23)는, 사출이나 절삭을 통해 성형되는 중공림(21, 21')의 성형과정에 중공림(21, 21')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성형공정이 요구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연결 지지부(22)에 의해 연결된 보조 프레임(20)의 중공림(21, 21')에 각각 코 지지부(23)를 형성하면, 종래 주 프레임에 용접 등을 통해 코 지지부를 형성함에 따른 제조상의 번거로움이나 생산성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코 지지부(23)가 형성된 각 중공림(21, 21')은 연결 지지부(22)에 의해 상호에 지지되어 주 프레임(10)에 안정된 고정상태를 형성하므로, 착용과정에 코 지지부(23)에 의한 안경 프론트(1)의 지지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1. 안경 프론트
10. 주 프레임 11. 브릿지
11a. 가 고정공 12, 12'. 림 고정구
12, 12'a. 개폐단 13. 분할 힌지편
14. 고정볼트
20. 보조 프레임 21. 21'. 중공림
22. 연결 지지부 22a. 가 고정돌기
23. 코 지지부
110. 안경다리 111. 힌지 연결부

Claims (3)

  1. 금속강판을 재단하여 성형되며, 브릿지의 양편에 중공의 림 고정부가 형성된 주 프레임과;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장착되어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중공림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 프론트에 있어서,
    상기 중공림의 내경에는 렌즈홈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를 진입시켜 견착하는 견착홈이 형성되어,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는 견착홈을 통해 중공림을 견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중공림 사이에는 연결 지지부가 형성되어, 연결 지지부에 의해 한 쌍의 중공림은 단품형의 보조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중공림은 연결 지지부에 의해 상호 지지하여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고, 주 프레임의 브릿지는 중공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에 의해 전면, 또는 배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의 림 고정부의 외측에는 상호 밀착 여부에 따라 림 고정부의 개폐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된 개폐단이 형성되고, 상기 각 개폐단에는 분할 힌지편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개폐단을 통해 림 고정부를 개방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한 쌍의 중공림을 림 고정부에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통해 이들 분할 힌지편을 상호 결합하여 림 고정부를 폐쇄함으로써, 주 프레임에 보조 프레임의 한 쌍의 중공림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론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중공림과 연결 지지부는 단일 사출, 또는 단일 절삭 가공을 통해 성형된 단품형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론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주 프레임의 림 고정부에 고정된 각 중공림의 내측 내벽에는, 착용자의 코 부위를 지지하는 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론트.
KR2020120010893U 2012-11-26 2012-11-26 안경 프론트 KR200473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93U KR200473710Y1 (ko) 2012-11-26 2012-11-26 안경 프론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93U KR200473710Y1 (ko) 2012-11-26 2012-11-26 안경 프론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26U KR20140003326U (ko) 2014-06-05
KR200473710Y1 true KR200473710Y1 (ko) 2014-07-24

Family

ID=5198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893U KR200473710Y1 (ko) 2012-11-26 2012-11-26 안경 프론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1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06B1 (ko) 2010-10-04 2011-05-11 알랭 미끌리 인터네셔널 안경
KR20110087641A (ko) * 2010-01-26 2011-08-03 진정욱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KR20110010877U (ko) * 2010-05-17 2011-11-23 안명희 합성수지제 안경커버가 결합된 반테 안경
KR101093870B1 (ko) 2011-07-26 2011-12-19 심성기 시력 보정용 고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41A (ko) * 2010-01-26 2011-08-03 진정욱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KR20110010877U (ko) * 2010-05-17 2011-11-23 안명희 합성수지제 안경커버가 결합된 반테 안경
KR101033606B1 (ko) 2010-10-04 2011-05-11 알랭 미끌리 인터네셔널 안경
KR101093870B1 (ko) 2011-07-26 2011-12-19 심성기 시력 보정용 고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26U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267B2 (en) Spectacle structure
US7370961B2 (en)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KR20170038446A (ko) 조립식 안경
KR102144105B1 (ko) 안경과 광학보조 기구의 세트
US9298018B2 (en) Eyewear with lens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73710Y1 (ko) 안경 프론트
KR101233660B1 (ko) 비정형 안경테(무테 안경테)
US10739616B2 (en) Detachable spectacle frame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KR20090011437U (ko) 경첩 체결구조가 개량된 합성수지테 안경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212274B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 안경테, 이를 구비한 보조 안경, 및 안경 세트
MX2013010903A (es) Anteojos.
KR20220002437U (ko) 렌즈 교환이 가능한 단일 렌즈 안경
KR101365018B1 (ko) 개량된 프론트 바디 연결구조를 갖는 안경테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JP3208441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101816908B1 (ko) 개량된 렌즈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테 안경
KR200378698Y1 (ko) 고글용 보조안경의 착탈구조
JP3099209U (ja)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
JP2012127999A (ja) 前掛け式メガネ
KR200455196Y1 (ko)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KR20180017416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