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475Y1 - 입체안경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안경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475Y1
KR200464475Y1 KR2020110000461U KR20110000461U KR200464475Y1 KR 200464475 Y1 KR200464475 Y1 KR 200464475Y1 KR 2020110000461 U KR2020110000461 U KR 2020110000461U KR 20110000461 U KR20110000461 U KR 20110000461U KR 200464475 Y1 KR200464475 Y1 KR 200464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shaft member
auxiliary
nose pad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387U (ko
Inventor
지 문 장
Original Assignee
(주)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선 filed Critical (주)시선
Priority to KR2020110000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7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에 있어서, 보조테 각각에 입체안경필름을 설치 가능하도록 독립된 고정틀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보조브리지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입체안경에 입체안경필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복합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입체안경 거치장치{3D SPECTACLES MOUN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입체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안경에 입체안경필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복합 사용이 가능한 입체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화 "아바타"의 흥행으로 인하여 3D 영화나, 에니메이션 등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면서 3D 영화관의 확충은 물론 3D 티브이의 출시도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한 필수 도구인 3D 입체안경의 보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D 입체안경은 일반 안경과는 달리 편광필름에 의해 제작된 편광렌즈를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편광렌즈를 렌즈테에 형성된 홈에 끼워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3D 입체안경의 편광렌즈는 그 두께가 통상 0.2~1mm정도로 얇게 제작된다.
기존의 도수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안경착용자는 입체안경을 착용하기 번거롭거나, 아예 도수안경을 벗고 입체안경을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안경착용자는 입체안경을 착용시 입체안경이 흘러내려 눈과 입체안경의 필름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노우즈패드부를 세워 사용시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노우즈패드부를 눕혀 사용시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입체안경의 보조테 각각에 입체안경필름을 올려놓고 이 보조테에 고정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입체안경필름의 설치와 분리를 간단히 하고자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테에 결합되는 고정틀로써 노우즈패드부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하고자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는: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에 있어서, 상기 보조테 각각은 입체안경필름을 설치 가능하도록 독립된 고정틀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보조브리지는 도수안경에 거치되도록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노우즈패드부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노우즈 패드 기능과 도수안경에 거치 기능을 갖는 리브를 구비하는 회동축부재, 상기 회동축부재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보조브리지에 함몰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의 둘레면 일부와 면접하도록 내측에 수용다각면을 갖는 수용홈부, 및 상기 보조테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틀에 함몰되어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회동축부재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수용하고, 상기 회동축부재의 둘레면 일부와 면접하도록 내측에 함몰다각면을 갖는 함몰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테 각각은 접하여 지지되는 상기 입체안경필름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끼움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틀은 상기 끼움돌부를 일대일로 억지 끼움하는 끼움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노우즈패드부를 세워 사용시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노우즈패드부를 눕혀 사용시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입체안경의 보조테 각각에 입체안경필름을 올려놓고 이 보조테에 고정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입체안경필름의 설치와 분리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테에 결합되는 고정틀로써 노우즈패드부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장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보조테와 고정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도수안경에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장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보조테와 고정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도수안경에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는 고정틀(100)과 노우즈패드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노우즈패드부(200)는 입체안경(1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입체안경(12)은 단독으로 착용되어 지거나 또는 일반적인 도수안경(22)에 거치된다.
여기서, 도수안경(22)은 한 쌍의 메인테(24)를 메인브리지(26)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입체안경(12)은 한 쌍의 보조테(14)를 보조브리지(16)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한편, 노우즈패드부(200)는 입체안경(12)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세운 후 도수안경(22)에 입체안경(12)을 거치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뉘인 상태로 도수안경(22) 미착용자에게 노우즈패드(nose-pad) 역할을 한다.
아울러, 고정틀(100)은 입체안경(12)의 보조테(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입체안경필름(18)을 고정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틀(100)은 보조테(14)에 결합되면서 노우즈패드부(200)가 입체안경(12)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조테(14)가 서로 연결되는 한 쌍 구비되는데, 고정틀(100)은 서로 독립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노우즈패드부(200)가 보조브리지(16)에 노출되게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서로 연결된 보조테(14) 각각은 입체안경필름(18)을 설치 가능하도록 독립된 고정틀(10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보조테(1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브리지(16)로 연결된다.
아울러, 입체안경필름(18)은 보조테(14)의 내측 가장자리에 접하게 된다. 입체안경필름(18)은 입체화면 시청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안경렌즈일 수도 있다.
물론, 입체안경필름(18)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또한, 보조브리지(16)는 도수안경(22)에 거치되도록 노우즈패드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여기서, 도 3에서처럼, 노우즈패드부(200)는 회동축부재(210), 수용홈부(220) 및 함몰홈부(230)를 포함한다.
회동축부재(210)는 입체안경(12)의 보조브리지(16)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회동축부재(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회동축부재(210)는 6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회동축부재(2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회동축부재(210)는 리브(212)를 둘레면에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리브(212)는 뉘여져 입체안경(12)의 대응되는 보조테(14)의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노우즈 패드(nose pad) 역할을 한다. 아울러, 리브(212)는 세워져 도수안경(22)의 메인테(24) 상측이나 메인브리지(26) 상측에 접함으로써 입체안경(12)을 도수안경(22)에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리브(21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축부재(21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리브(212)는 노우즈 패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 쌍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노우즈패드부(2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입체안경(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례로, 회동축부재(210)가 입체안경(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도록, 보조브리지(16)는 수용홈부(220)를 함몰 형성하고, 고정틀(100)은 함몰홈부(230)를 형성한다.
수용홈부(220)는 회동축부재(210)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보조브리지(16)에 함몰된다.
그리고, 수용홈부(220)는 다각 기둥 형상인 회동축부재(210)의 둘레면 일부와 면접하도록 내측에 수용다각면(222)을 형성한다. 특히, 수용다각면(222)은 다각 기둥 형상인 회동축부재(210)의 둘레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동축부재(210)는 수용홈부(220)에 일부 수용되어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함몰홈부(230)는 보조테(14) 각각에 설치되는 고정틀(100)의 가장자리에 함몰된다.
따라서, 함몰홈부(230)는 수용홈부(220)로부터 돌출된 회동축부재(21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수용한다.
특히, 함몰홈부(230)는 회동축부재(210)의 둘레면 일부와 면접하도록 내측에 함몰다각면(232)을 형성한다.
이때, 함몰다각면(232)은 다각 기둥 형상인 회동축부재(210)의 둘레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동축부재(210)는 함몰홈부(230)에 일부 수용되어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5에서처럼, 회동축부재(210)는 수용홈부(220)에 삽입되어 함몰홈부(230)에 양쪽 전측 가장자리가 에워싸진 채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브(212)는 회동축부재(2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며, 도수안경(22)에 대해 입체안경(1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회동축부재(210)는 수용다각면(222)과 함몰다각면(232)에 의해 강제 회전하게 되며, 임의적으로 회전 방지된다.
물론, 수용홈부(220)와 함몰홈부(230)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틀(100)은 보조테(14)에 접하게 놓여진 입체안경필름(18)을 고정하고, 교체 가능하도록 보조테(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4에서처럼, 보조테(14) 각각은 접하여 지지되는 입체안경필름(18)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끼움돌부(310)를 돌출 형성하고, 고정틀(100)은 끼움돌부(310)를 일대일로 억지 끼움하는 끼움홈부(320)를 형성한다.
즉, 보조테(14)의 끼움돌부(310)가 고정틀(100)의 끼움홈부(320)에 끼워지거나 이탈됨으로써, 입체안경필름(18)은 고정 설치 가능하다.
이때, 끼움돌부(310)는 보조테(14)에 놓여지는 입체안경필름(18)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입체안경필름(18)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보조테(14)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끼움돌부(310)가 입체안경필름(18)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함으로써, 입체안경필름(18)은 보조테(14)에 정위치 설치 가능하게 된다.
물론, 끼움돌부(310)와 끼움홈부(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끼움돌부(310)는 보조테(14)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끼움돌부(310)가 고정틀(100)에 형성되고, 끼움홈부(320)가 보조테(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틀(100)이 보조테(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입체안경 14: 보조테
16: 보조브리지 18: 입체안경필름
22: 도수안경 24: 메인테
26: 메인브리지 100: 고정틀
200: 노우즈패드부 210: 회동축부재
212: 리브 220: 수용홈부
222: 수용다각면 230: 함몰홈부
232: 함몰다각면 310: 끼움돌부
320: 끼움홈부

Claims (3)

  1.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에 있어서,
    상기 보조테 각각은 입체안경필름을 설치 가능하도록 독립된 고정틀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보조브리지는 도수안경에 거치되도록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노우즈패드부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노우즈 패드 기능과 도수안경에 거치 기능을 갖는 리브를 구비하는 회동축부재;
    상기 회동축부재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보조브리지에 함몰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의 둘레면 일부와 면접하도록 내측에 수용다각면을 갖는 수용홈부; 및
    상기 보조테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틀에 함몰되어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회동축부재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수용하고, 상기 회동축부재의 둘레면 일부와 면접하도록 내측에 함몰다각면을 갖는 함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테 각각은 접하여 지지되는 상기 입체안경필름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끼움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틀은 상기 끼움돌부를 일대일로 억지 끼움하는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
KR2020110000461U 2011-01-17 2011-01-17 입체안경 거치장치 KR200464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61U KR200464475Y1 (ko) 2011-01-17 2011-01-17 입체안경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61U KR200464475Y1 (ko) 2011-01-17 2011-01-17 입체안경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87U KR20120005387U (ko) 2012-07-25
KR200464475Y1 true KR200464475Y1 (ko) 2013-01-08

Family

ID=4687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461U KR200464475Y1 (ko) 2011-01-17 2011-01-17 입체안경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7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06B1 (ko) * 2010-10-04 2011-05-11 알랭 미끌리 인터네셔널 안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06B1 (ko) * 2010-10-04 2011-05-11 알랭 미끌리 인터네셔널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87U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6479B2 (en) Eyeglasses for personal and commercial use including reuse in 3D theater and other repeated operations
US9128301B2 (en) Assembly structure for subsidiary frame of eyeglasses
CN203981981U (zh) 可用于近视者佩戴的头戴式3d显示器及其所使用的近视眼镜框
KR100991285B1 (ko)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KR101115062B1 (ko)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CN101694549A (zh) 眼镜、望远眼镜及立体视像眼镜架组件
KR101106545B1 (ko) 탈부착 및 상ㆍ하 개폐가 가능한 보조 입체안경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CN211023904U (zh) 一种视觉训练vr眼镜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KR20120100577A (ko) 렌즈교체형 안경
KR101033606B1 (ko) 안경
KR200464475Y1 (ko) 입체안경 거치장치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US20130120836A1 (en) Diopter lens
KR101175596B1 (ko) 안경 거치장치
CN207133530U (zh) 一种分体式铰链结构的眼镜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JP2007065466A (ja) 一眼眼鏡
KR20120020972A (ko) 입체안경 거치장치
KR101117610B1 (ko) 쇼케이스형 접이식 안경
KR101486985B1 (ko) 보조 입체안경
KR20120005840U (ko) 도수안경테결합용 보조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