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596B1 - 안경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596B1
KR101175596B1 KR1020100097169A KR20100097169A KR101175596B1 KR 101175596 B1 KR101175596 B1 KR 101175596B1 KR 1020100097169 A KR1020100097169 A KR 1020100097169A KR 20100097169 A KR20100097169 A KR 20100097169A KR 101175596 B1 KR101175596 B1 KR 101175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nose pad
clamp
rib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569A (ko
Inventor
송정희
Original Assignee
송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희 filed Critical 송정희
Priority to KR102010009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5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에 있어서, 도수안경에 거치되도록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복합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경 거치장치{SPECTACLES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복합 사용이 가능한 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화 "아바타"의 흥행으로 인하여 3D 영화나, 에니메이션 등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면서 3D 영화관의 확충은 물론 3D 티브이의 출시도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한 필수 도구인 3D 입체안경의 보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D 입체안경은 일반 안경과는 달리 편광필름에 의해 제작된 편광렌즈를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편광렌즈를 렌즈테에 형성된 홈에 끼워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3D 입체안경의 편관렌즈는 그 두께가 통상 0.2~1mm정도로 얇게 제작된다.
기존의 도수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안경착용자는 입체안경을 착용하기 번거롭거나, 아예 도수안경을 벗고 입체안경을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안경착용자는 입체안경을 착용시 입체안경이 흘러내려 눈과 입체안경의 필름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노우즈패드부를 세워 사용시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노우즈패드부를 눕혀 사용시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안경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거치장치는: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에 있어서,도수안경에 거치되도록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우즈패드부는, 상기 보조브리지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축부재, 및 상기 회동축부재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노우즈패드 역할과 거치 기능을 갖는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브리지는, 함몰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는 피벗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부재는, 상기 리브를 잇는 노우즈브리지, 및 상기 노우즈브리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피벗축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는 외주면에 곡률진 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여 상기 클램프의 회동을 간섭하도록 상기 리브의 기울기를 달리하도록 바닥면에 평면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는 도수안경의 상측을 수용하도록 함몰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벗축은 둘레면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는 걸림돌부를 수용하도록 내측에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의 걸림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거치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입체안경에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노우즈패드부를 세워 사용시 일반적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안경 미착용자 경우 노우즈패드부를 눕혀 사용시 입체안경의 노우즈패드 역할을 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를 분리한 입체안경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거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를 분리한 입체안경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수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패드부의 회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거치장치는 노우즈패드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노우즈패드부(100)는 입체안경(12)에 형성된다. 이때, 입체안경(12)은 단독으로 착용되어 지거나 또는 도수안경(2)에 거치된다.
여기서, 도수안경(2)은 한 쌍의 메인테(4)를 메인브리지(6)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입체안경(12)은 한 쌍의 보조테(14)를 보조브리지(16)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한편, 노우즈패드부(100)는 입체안경(12)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세운 후 도수안경(2)에 입체안경(12)을 거치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뉘운 상태로 도수안경(2) 미착용자에게 노우즈패드(nose-pad)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노우즈패드부(100)는 회동축부재(110) 및 리브(120)를 포함한다.
회동축부재(110)는 입체안경(12)의 보조브리지(16)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회동축부재(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왕복 회동하기 때문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회동축부재(1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리브(120)는 회동축부재(110)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리브(120)는 뉘여져 입체안경(12)의 대응되는 보조테(14)의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노우즈 패드(nose pad) 역할을 한다. 아울러, 리브(120)는 세워져 도수안경(2)의 메인테(4) 상측이나 메인브리지(6) 상측에 접함으로써 입체안경(12)을 도수안경(2)에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리브(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축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우즈패드부(1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입체안경(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례로, 보조브리지(16)는 수용홈부(200) 및 피벗축(210)을 포함하고, 회동축부재(110)는 노우즈브리지(112) 및 클램프(11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수용홈부(200)는 보조브리지(16)의 얼굴을 향하는 내측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피벗축(210)은 수용홈부(200)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부(200)의 내부 '양측'은 눈(eye)을 향하는 가로방향을 의미한다.
특히, 피벗축(210)은 수용홈부(20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유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보조브리지(16)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수용홈부(200)와 피벗축(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노우즈브리지(112)는 한 쌍의 리브(120)를 잇는 역할을 한다. 이 노우즈브리지(112)는 리브(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노우즈브리지(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클램프(114)는 수용홈부(200)를 향하도록 노우즈브리지(112)의 전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 클램프(114)는 피벗축(210)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클램프(114)는 피벗축(210)에 탄성적으로 억지 끼움된 상태로 피벗축(210)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된다. 편의상, 클램프(114)는 'C'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즉, 회동축부재(110)는 피벗축(21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우즈패드부(100)의 리브(120)가 메인테(4) 또는 메인브리지(6) 상측에 거치됨에 따라, 입체안경(12)은 도수안경(2)에 지지되면서 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수안경(2)을 착용한 상태로 입체안경(12)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편의상, 리브(120)는 메인브리지(6)의 상측에 접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도수안경(2) 미착용자는 노우즈패드부(100)의 리브(120)를 완전히 하강시켜 뉘운 입체안경(12)을 착용함으로써 리브(120)는 노우즈 패드 역할을 하게 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수안경(2)의 메인테(4)와 입체안경(12)의 보조테(14)는 착용자의 눈과 일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입체안경(12)은 노우즈패드부(100)에 대해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클램프(114)는 피벗축(210)에 대해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클램프(114)는 외주면에 곡률진 곡면부(310)를 형성하고, 수용홈부(200)는 곡면부(310)를 가압하여 클램프(114)의 회동을 간섭하도록 바닥면에 평면부(320)를 형성한다.
즉, 곡면부(310)가 강제 회전되며 평면부(320)에 접하면서 가압됨에 따라 외력 제거된 상태에서 클램프(114)는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평면부(320)에 접하는 곡면부(310)의 위치에 따라, 보조브리지(16)에 대한 리브(120)의 기울기는 조절되고, 이 기울기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보조테(14)는 리브(120)에 대해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12) 거치장치는 리브(120)에 함몰홈부(400)를 형성한다.
도수안경(2)과 입체안경(12)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고, 노우즈패드부(100)는 회동축부재(110)와 리브(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함몰홈부(400)는 리브(120)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어 도수안경(2)의 메인테(4) 또는 메인브리지(6)를 수용한다. 편의상, 함몰홈부(400)는 메인브리지(6)를 수용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 함몰홈부(400)는 리브(120)의 하측을 수용함으로써 리브(120)가 도수안경(2)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입체안경(12)의 보조테(14)와 도수안경(2)의 메인테(4)를 최대한 일치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12) 거치장치는 클램프(114)를 피벗축(210)에 대해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벗축(210)의 둘레면에 걸림돌부(330)를 형성하고, 클램프(114) 내측에 걸림돌부(330)를 수용하도록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의 걸림홈부(340)를 형성한다.
이때, 걸림돌부(330)는 제작상 편의를 위해 외측으로 보이는 전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돌부(3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걸림홈부(340)는 다수 개 형성하여 걸림돌부(330)의 수용 위치에 따라 리브(120)의 기울기가 결정된다. 아울러, 걸림돌부(330)가 걸림홈부(340)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리브(120)는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걸림돌부(330)는 리브(120)의 억지 회동에 의해 이웃한 걸림홈부(340)로 이동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노우즈패드부(100)는 입체안경(12)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수안경(2)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도수안경 4: 메인테
6: 메인브리지 12: 입체안경
14: 보조테 16: 보조브리지
100: 노우즈패드부 110: 회동축부재
112: 노우즈브리지 114: 클램프
120: 리브 200: 수용홈부
210: 피벗축 310: 곡면부
320: 평면부 400: 함몰홈부

Claims (6)

  1.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에 있어서,
    상기 입체안경은 도수안경에 거치되도록 노우즈패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노우즈패드부는, 상기 보조브리지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축부재; 및
    상기 회동축부재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노우즈패드 역할과 거치 기능을 갖는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브리지는, 함몰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는 피벗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부재는, 상기 리브를 잇는 노우즈브리지; 및
    상기 노우즈브리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피벗축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외주면에 곡률진 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여 상기 클램프의 회동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리브의 기울기를 달리하도록 바닥면에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거치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도수안경의 상측을 수용하도록 함몰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거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축은 둘레면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는 걸림돌부를 수용하도록 내측에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의 걸림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거치장치.
KR1020100097169A 2010-10-06 2010-10-06 안경 거치장치 KR101175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69A KR101175596B1 (ko) 2010-10-06 2010-10-06 안경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69A KR101175596B1 (ko) 2010-10-06 2010-10-06 안경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69A KR20120035569A (ko) 2012-04-16
KR101175596B1 true KR101175596B1 (ko) 2012-08-22

Family

ID=4613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169A KR101175596B1 (ko) 2010-10-06 2010-10-06 안경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5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67Y1 (ko) * 2004-03-03 2004-06-25 이휘재 렌즈교체형 선글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67Y1 (ko) * 2004-03-03 2004-06-25 이휘재 렌즈교체형 선글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69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301B2 (en) Assembly structure for subsidiary frame of eyeglasses
US10534200B2 (en) Eyeglasses with movable lenses
US8328353B2 (en) Segmented delta toric lens
KR20110008448A (ko) 머리띠형 안경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KR101420157B1 (ko)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101106545B1 (ko) 탈부착 및 상ㆍ하 개폐가 가능한 보조 입체안경
KR101115062B1 (ko)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KR101175596B1 (ko) 안경 거치장치
KR101033606B1 (ko) 안경
KR200464475Y1 (ko) 입체안경 거치장치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20120020972A (ko) 입체안경 거치장치
US20100033672A1 (en) Eyeglass assembly
CN102540483A (zh) 眼镜调整结构
TWM558916U (zh) 可依鏡片焦點調整鏡片角度的單片式眼鏡
TWM544017U (zh) 眼鏡鼻托調整結構
US20150241716A1 (en) Protective lens for people with presbyopia
KR920000740Y1 (ko) 망원안경
KR20120088477A (ko) 코 패드가 회전하는 안경
KR101486985B1 (ko) 보조 입체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