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972A - 입체안경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안경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972A
KR20120020972A KR1020100084938A KR20100084938A KR20120020972A KR 20120020972 A KR20120020972 A KR 20120020972A KR 1020100084938 A KR1020100084938 A KR 1020100084938A KR 20100084938 A KR20100084938 A KR 20100084938A KR 20120020972 A KR20120020972 A KR 20120020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mounting member
bridge
stereoscopic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희
Original Assignee
송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희 filed Critical 송정희
Priority to KR102010008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972A/ko
Publication of KR2012002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테를 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안경에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을 별도로 구비하는 함에 있어서,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형성하여 안경에 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일반적인 도수용 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하기 위해 거치부재를 형성하고, 이 거치부재를 입체안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안경 미착용자 사용시 입체안경으로부터 거치부재를 제거함에 따라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안경 거치장치{3D SPECTACLES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도수용 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하기 위해 거치부재를 형성하고, 이 거치부재를 입체안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안경 미착용자 사용시 입체안경으로부터 거치부재를 제거함에 따라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안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화 "아바타"의 흥행으로 인하여 3D 영화나, 에니메이션 등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면서 3D 영화관의 확충은 물론 3D 티브이의 출시도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한 필수 도구인 3D 입체안경의 보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D 입체안경은 일반 안경과는 달리 편광필름에 의해 제작된 편광렌즈를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편광렌즈를 렌즈테에 형성된 홈에 끼워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3D 입체안경의 편관렌즈는 그 두께가 통상 0.2~1mm정도로 얇게 제작된다.
기존의 도수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안경착용자는 입체안경을 착용하기 번거롭거나, 아예 도수안경을 벗고 입체안경을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구비하여 일반적인 도수용 안경에 거치함으로써 안경착용자들에게 입체안경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부재를 입체안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안경 미착용자 사용시 입체안경으로부터 거치부재를 제거함에 따라 입체안경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거치부재를 입체안경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함에 따라 입체안경을 안경에 대해 높낮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는: 한 쌍의 테를 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안경에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을 별도로 구비하는 함에 있어서,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형성하여 안경에 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보조브리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브리지 상측에 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입체안경의 착용시 이마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연장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입체안경의 높이를 변경할 있도록 높낮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보조브리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보조브리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는 끼움돌기, 및 상기 거치부재에 함몰되어 원하는 위치의 끼움돌기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끼움홈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구비하여 일반적인 도수용 안경에 거치함으로써 안경착용자들에게 입체안경의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부재를 입체안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안경 미착용자 사용시 입체안경으로부터 거치부재를 제거함에 따라 입체안경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거치부재를 입체안경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함에 따라 입체안경을 안경에 대해 높낮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입체안경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입체안경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입체안경을 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에 거치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 거치장치는 거치부재(100)를 포함한다.
특히, 거치부재(100)는 입체안경(12)에 형성된다. 이때, 입체안경(12)은 단독으로 사용되어 지거나 또는 도수용 안경(2)에 걸쳐지게 사용된다.
안경(2)은 한 쌍의 테(4)를 브리지(6)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입체안경(12)은 한 쌍의 보조테(14)를 보조브리지(16)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한편, 거치부재(100)는 입체안경에(12) 형성되어 안경(2)에 입체안경(12)을 거치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 거치부재(100)는 보조브리지(16)의 내측에 형성되어 브리지(6) 상측에 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거치부재(100)는 입체안경(12)의 보조테(14)에 형성되어 안경(2)의 테(4) 상측에 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거치부재(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거치부재(100)가 브리지(6) 상측에 거치됨에 따라, 입체안경(12)은 안경(2)에 지지되면서 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경(2)을 착용한 상태로 입체안경(12)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특히, 거치부재(100)가 브리지(6) 상측에 안정적으로 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체안경(12)이 얼굴쪽으로 밀리면서 안경(2)과 입체안경(12)을 파손하거나 또는 입체안경(12)이 브리지(6)에 지지된 채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거치부재(100)는 입체안경(12)의 착용시 이마에 접촉하는 접촉부재(200)를 연장 형성한다.
즉, 입체안경(12)이 안경(2)에 거치될 때, 접촉부재(200)가 얼굴의 이마에 접촉함으로써 입체안경(12)은 안경(2)과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심하게 흔들리지 않게 된다.
물론, 접촉부재(200)는 안경(2)의 테(4)에 걸리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접촉부재(200)가 얼굴에 접하기 때문에 거치부재(100)가 얼굴에 부짖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타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재(200)는 거치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거치부재(100) 단부가 접촉부재(20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안경(2)의 테(4)와 입체안경(12)의 보조테(14)는 착용자의 눈과 일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입체안경(12)은 거치부재(100)에 대해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거치부재(100)는 입체안경(12)의 높이를 변경할 있도록 높낮이조절부(300)에 의해 보조브리지(16)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거치부재(100)는 보조브리지(16)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거치부재(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입체안경(12)은 자연적으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로서, 높낮이조절부(300)는 끼움돌기(310a) 및 끼움홈부(320a)를 포함한다.
끼움돌기(310a)는 보조브리지(16)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게 형성된다. 이 끼움돌기(310a)는 보조브리지(16)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보조브리지(16)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끼움돌기(310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끼움홈부(320a)는 거치부재(100)에 함몰 형성되어 원하는 위치의 끼움돌기(310a)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끼움홈부(320a)가 다수 개의 끼움돌기(310a) 중 어는 끼움돌기(310a)를 수용하느냐에 따라 안경(2)에 대해 입체안경(12)의 높이가 설정되며, 이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편의상, 끼움홈부(320a)는 거치부재(100)에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끼움홈부(320a)는 홈 형상이거나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끼움돌기(310a)가 거치부재(100)에 형성되고, 끼움홈부(320a)가 보조브리지(16)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끼움돌기(310a)와 끼움홈부(320a)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거치부재(100)가 보조브리지(1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안경 미착용자는 거치부재(100)를 제거한 입체안경(12)을 바로 착용하면 됨에 따라 입체안경(12)의 안경(2) 착용자나 안경(2) 미착용자에 대한 호환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5에서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안경(12)은 끼움홈부(320b)를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도록 거치부재(100)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끼움홈부(320b)는 거치부재(100)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며, 끼움돌기(310b)는 보조브리지(16)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된다.
편의상, 끼움홈부(320b)는 거치부재(100)에 상하 방향으로 2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끼움돌기(310b)는 보조브리지(16)에 상하 방향으로 3열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래서, 2열의 끼움홈부(320b)는 3열 중 이웃한 2열의 끼움돌기(310b)를 동시에 수용한다. 이는, 거치대(100)가 보조브리지(16)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끼움홈부(320b)와 끼움돌기(310b)는 동일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각각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되며, 서로 동일 개수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끼움돌기(310a,310b) 및 끼움홈부(320a,320b)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안경 4: 테
6: 브리지 12: 입체안경
14: 보조테 16: 보조브리지
100: 거치부재 200: 접촉부재
300: 높낮이조절부 310a,310b: 끼움돌기
320a,320b: 끼움홈부

Claims (5)

  1. 한 쌍의 테를 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안경에 한 쌍의 보조테를 보조브리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입체안경을 별도로 구비하는 함에 있어서,
    상기 입체안경은 거치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안경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보조브리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브리지 상측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입체안경의 착용시 이마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입체안경의 높이를 변경할 있도록 높낮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보조브리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보조브리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는 끼움돌기; 및
    상기 거치부재에 함몰되어 원하는 위치의 끼움돌기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안경 거치장치.
KR1020100084938A 2010-08-31 2010-08-31 입체안경 거치장치 KR20120020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38A KR20120020972A (ko) 2010-08-31 2010-08-31 입체안경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38A KR20120020972A (ko) 2010-08-31 2010-08-31 입체안경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72A true KR20120020972A (ko) 2012-03-08

Family

ID=4612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938A KR20120020972A (ko) 2010-08-31 2010-08-31 입체안경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9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38B1 (ko) * 2012-03-23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38B1 (ko) * 2012-03-23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80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head mounted vision augmentation systems
US20170235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head mounted vision augmentation systems
WO2012078913A3 (en) Adjustable eyewear, lenses, and frames
KR100991285B1 (ko)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US8328353B2 (en) Segmented delta toric lens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US20180045977A1 (en) Bridgeless glasses
JP2023543597A (ja) 方法
KR200455089Y1 (ko) 보조안경
KR20120020972A (ko) 입체안경 거치장치
CN105353519A (zh) 3d眼镜片
US10962799B2 (en) Eyeglass frame supported by cheek bones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WO2021199097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用眼鏡フレーム
CN109923444B (zh) 适于面部几何形状的3d眼镜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CN204679719U (zh) 3d眼镜
KR101508871B1 (ko) 코받침 없는 안경
CN102540483A (zh) 眼镜调整结构
KR20120005840U (ko) 도수안경테결합용 보조안경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US20230375855A1 (en) Corrective Lens Apparatus and Method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773428B1 (ko) 보조렌즈를 구비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