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759A - 입체 영상용 안경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759A
KR20130005759A KR1020110067361A KR20110067361A KR20130005759A KR 20130005759 A KR20130005759 A KR 20130005759A KR 1020110067361 A KR1020110067361 A KR 1020110067361A KR 20110067361 A KR20110067361 A KR 20110067361A KR 20130005759 A KR20130005759 A KR 20130005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lasses
polarization
frame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섭
김인기
서영규
Original Assignee
케이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759A/ko
Publication of KR2013000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편광렌즈, 제2 편광렌즈; 및 상기 제1 편광렌즈 및 상기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제2 렌즈 테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 중 어느 하나가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용 안경{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은 입체 영상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 영상을 2D 또는 3D로 선택하여 볼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얼굴 형상을 고려하여 조절이 가능한 입체 영상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3D 영상물의 제작 및 표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3D 영화의 출시 작품수가 늘어나고 있고, 3D 영상물을 표시하는 텔레비전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3D 영상물의 기본 원리는 양안 시차에서 비롯된다. 양안 시차란 왼쪽 눈에 보이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 보이는 영상이 두 눈의 간격만큼 차이가 나는 것을 말한다. 사람은 이러한 양안 시차에 의해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구현 방식으로는, 두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2안식과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다안식이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2안 안경식과 다안 무안경식이 구현 가능하나, 상용화에 용이한 것은 2안 안경식이다.
무안경식은 말 그대로 별도의 안경 없이 3D 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이고, 안경식은 보통 3D 영화관에서와 같이 안경을 끼고 3D 영상을 감상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안경식은 3D 영화관에서 입체 영상을 볼 때, 장시간 시청시 사람에 따라서 어지럼증이나, 구토, 심하면 간질 증세까지 나올 수 있다고 한다. 일부 장면에서 어지럼증이 나서 입체 영상용 안경을 벗는 경우도 있으나, 입체로 상영되기 때문에 입체 영상용 안경 없이는 좌, 우 화면이 중첩되어 제대로 관람을 할 수 없다.
또한, 현재 3D 영화관에 구비된 입체 영상용 안경은 하나 또는 제한된 수의 사이즈로만 제공되고 있어 다른 얼굴 형태나 크기를 가진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꼭 들어맞는 편한 안경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3D 영상 또는 2D 영상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입체 영상용 안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얼굴 형상을 고려하여 편광렌즈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용 안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은,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편광렌즈, 제2 편광렌즈; 및 상기 제1 편광렌즈 및 상기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제2 렌즈 테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 중 어느 하나가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은,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편광렌즈, 제2 편광렌즈; 및 상기 제1 편광렌즈 및 상기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제2 렌즈 테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 중 어느 하나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편광렌즈 중 하나의 편광렌즈의 편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용 안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안경만으로도 입체 영상을 2D 또는 3D로 선택하여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편광렌즈의 폭 조절이 가능한 입체 영상용 안경을 제공함으로써, 3D 영화관에서 사용자들이 얼굴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자신에게 꼭 들어맞는 안경을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의 라인(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편광은 선편광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은 선편광 이외에도 원편광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100)은 좌우가 각각 다른 편광 방향의 편광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는 각각 양안 시차를 가지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체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100)은 안경테(110)에 장착되는 편광렌즈들(121, 122, 이상 도 2 참조)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100)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체 영상을 2D로 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1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의 라인(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안경테(110)에는 입체 영상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1 편광렌즈(121)와 제2 편광렌즈(122)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제1 렌즈 테두리(111)와 제2 렌즈 테두리(112)에 배치된다.
제1 편광렌즈(121)와 제2 편광렌즈(122)는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편광렌즈(121)와 제2 편광렌즈(122)는 각각 P파 및 S파만을 투과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편광렌즈(121) 및 제2 편광렌즈(122)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렌즈에 편광필름 등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편광렌즈(121)는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경테(110)와 결합한다. 이는 제1 렌즈 테두리(111)의 형상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편광렌즈(121)의 외주에는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조절 부재(12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편광렌즈(121)가 회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대신하여 제2 편광렌즈(122)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안경테(110)는 제1 렌즈 테두리(111)와 제2 렌즈 테두리(112)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렌즈 테두리(111)는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홈(114)이 내주를 따라 형성되고, 홈(114)에 제1 편광렌즈(1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제1 렌즈 테두리(111)에는 제1 편광렌즈(121)에 구비된 회전 조절 부재(121a)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홈(117)은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렌즈 테두리(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안경테(110)는 제1 렌즈 테두리(111)에 홈(114)을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115)와 후면 케이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5)와 후면 케이스(116)에서 제1 렌즈 테두리(111)를 이루는 부분은 서로 단차진 복수의 원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원주면 중 어느 하나는 전면 케이스(115)와 후면 케이스(116)의 결합시 이격되어 홈(114)에서 제1 편광렌즈(121)의 외주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복수의 원주면 중 다른 하나는 전면 케이스(115)와 후면 케이스(116)의 결합시 서로 대면하여 홈(114)을 한정한다.
이와 같이, 원주를 이루는 홈(114)에 삽입되는 제1 편광렌즈(121)는 자신의 주면과 수직한 축(중심축)을 중심으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렌즈 테두리(111)와 제2 렌즈 테두리(112)는 연결 브릿지(113)에 의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 브릿지(113)는 제1 연결 부재(113a), 제2 연결 부재(113b) 및 너트 부재(113c)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113a)는 제1 렌즈 테두리(111)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113b)는 제2 렌즈 테두리(112)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113c)에는 제1 연결 부재(113a) 및 제2 연결 부재(113b)가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브릿지(113)는 사용자가 너트 부재(113c)를 이용하여 연결 브릿지(11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 관람시 제1 편광렌즈(121)와 제2 편광렌즈(122)는 서로 다른 편광을 유지하고 있다.
도 4의 (a)의 경우, 사용자가 제1 편광렌즈(121)를 약 90도 정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렌즈(121)와 제2 편광렌즈(122)의 편광이 일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의 (a)의 경우, 사용자가 제1 편광렌즈(121)를 약 90도 정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렌즈(121)와 제2 편광렌즈(122)의 편광이 일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100)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3D 영상을 관람하는 도중에 간단한 조작으로 3D 영상 또는 2D 영상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200)은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100)과 달리 제1 편광렌즈(221)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편광렌즈(221)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편광렌즈(221)의 내부 순서가 바뀔 수 있으나, 이는 입체 영상을 관람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편광렌즈(221)는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경테(210)와 결합한다. 이를 위해, 제1 편광렌즈(221)의 외주에는 후술하는 제1 렌즈 테두리(211)의 고정축(211a)이 삽입되는 고정홈(22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홈(221a)은 제1 편광렌즈(221)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렌즈 테두리(211)의 내주 상하부에는 제1 편광렌즈(221)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 역할을 하는 고정축(2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편광렌즈(221)가 Y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고정축(211a)은 제1 렌즈 테두리(211)의 내주 좌우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제1 렌즈 테두리(211)의 내주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1 편광렌즈(221)의 외주에 고정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테두리(211)의 내주에는 제1 편광렌즈(221)의 회전을 한정하는 규제 부재(211b)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규제 부재(211b)는 제1 편광렌즈(221)의 외주를 잡아주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편광렌즈(221)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편광렌즈들과 렌즈 테두리들은 원형뿐만 아니라 고정축(211a)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 테두리(211)와 제2 렌즈 테두리(212)를 연결하는 연결 브릿지(213)의 구성은 도 1의 연결 브릿지(113)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300)은 제1 편광렌즈(321)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편광렌즈(321)는 X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경테(310)와 결합한다. 이를 위해, 안경테(310)를 구성하는 제1 렌즈 테두리(311)와 제2 렌즈 테두리(312)는 상단바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렌즈 테두리(311)의 중간에는 제1 편광렌즈(321)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 역할을 하는 고정축(3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편광렌즈(321)의 외주에는 제1 렌즈 테두리(311)의 고정축(311a)이 삽입되는 고정홈(32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홈(321a)은 제1 편광렌즈(321)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편광렌즈(321)는 제1 편광렌즈(321)의 둘레를 감싸는 보호 테두리(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400)은 제1 렌즈 테두리(411)에 제1 편광렌즈(421)를 착탈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1 렌즈 테두리(411)는 제1 편광렌즈(421)를 수납할 수 있는 렌즈 수납부(411a)를 구비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500)은 도 8의 입체 영상용 안경(400)과 같이 제1 편광렌즈(521)의 착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1 렌즈 테두리(511)는 도 7의 입체 영상용 안경(300)과 마찬가지로 상단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1 편광렌즈(521)의 착탈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렌즈 테두리(511)는 빨리 집게와 같은 구조로서 제1 편광렌즈(521)를 착탈 가능하고, 제1 편광렌즈(521)를 착탈 가능한 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 관람시 제1 편광렌즈(1021)와 제2 편광렌즈(1022)는 대칭 구조로 서로 다른 편광을 유지하고 있다.
도 10의 (a)에서 사용자가 제1 편광렌즈(1021)를 X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렌즈(1021)와 제2 편광렌즈(1022)의 편광이 일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200, 300, 400, 500)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3D 영상을 관람하는 도중에 간단한 조작으로 3D 영상 또는 2D 영상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입체 영상용 안경 110: 안경테
111: 제1 렌즈 테두리 112: 제2 렌즈 테두리
113: 연결 브릿지 113a: 제1 연결 부재
113b: 제2 연결 부재 113c: 너트 부재
114: 홈 115: 전면 케이스
116: 후면 케이스 117: 가이드 홈
121: 제1 편광렌즈 122: 제2 편광렌즈

Claims (10)

  1.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편광렌즈, 제2 편광렌즈; 및
    상기 제1 편광렌즈 및 상기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제2 렌즈 테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 중 어느 하나가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는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상기 제2 렌즈 테두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 조절 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는,
    상기 제1 렌즈 테두리와 상기 제2 렌즈 테두리를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브릿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릿지는,
    상기 제1 렌즈 테두리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2 렌즈 테두리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너트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6.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편광렌즈, 제2 편광렌즈; 및
    상기 제1 편광렌즈 및 상기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제2 렌즈 테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 중 어느 하나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상기 제2 렌즈 테두리 중 어느 하나의 내주 상하부 또는 좌우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고정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 중 어느 하나의 외주 상하부 또는 좌우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테두리 또는 상기 제2 렌즈 테두리 중 어느 하나의 내주에는 상기 제1 편광렌즈 또는 상기 제2 편광렌즈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한정하는 규제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는,
    상기 제1 렌즈 테두리와 상기 제2 렌즈 테두리를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브릿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릿지는,
    상기 제1 렌즈 테두리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2 렌즈 테두리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너트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KR1020110067361A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용 안경 KR20130005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361A KR20130005759A (ko)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361A KR20130005759A (ko)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용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59A true KR20130005759A (ko) 2013-01-16

Family

ID=4783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361A KR20130005759A (ko)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7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240A (ko) * 2017-12-14 2019-06-24 김도형 키 삽입식 탬플을 가지는 안경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240A (ko) * 2017-12-14 2019-06-24 김도형 키 삽입식 탬플을 가지는 안경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726B2 (ja) 位置許容性自動立体表示システム
US7230759B2 (en) Autostereoscopic projection screen
US20120081524A1 (en) Two dimensional media combiner for crea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s
TW201312162A (zh) 3d/2d切換式顯示系統、接收眼鏡及其顯示方法
KR101396254B1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JP2014026012A (ja) 裸眼立体(3d)映像装置及びそのアダプター
EP2806303B1 (en) Lens structure and dual-purpose glasses with functions of sunglasses and 3d glasses
US20160357024A1 (en) 3d display glasses
KR101033606B1 (ko) 안경
TWI526717B (zh) 裸視立體顯示裝置及排列裸視立體顯示裝置之像素的方法
JP2015502572A (ja) 動画立体視システム
KR20130005759A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20120079777A (ko) 삼차원 영상 관찰용 시트 장치
KR101836183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의 시청방법
KR20140003145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21504B1 (ko) 입체영상용 안경
KR101866879B1 (ko)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89508A (ko) 다시점 무안경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214335377U (zh) 全彩色高清晰(5k~8k)高亮度双竖屏观立体像装置
US20120194908A1 (en) 3D to 2D Polarized Down converting Glasses
KR101341497B1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필터 정렬 장치
CN201859257U (zh) 小孔三维立体眼镜
JP2011247930A (ja) 立体視眼鏡
KR101331363B1 (ko) 스테레오 비디오와 모노 비디오를 선별적으로 볼 수 있는 편광안경
KR101968910B1 (ko) 입체 표시장치용 편광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