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43B1 -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1943B1 KR102071943B1 KR1020130087782A KR20130087782A KR102071943B1 KR 102071943 B1 KR102071943 B1 KR 102071943B1 KR 1020130087782 A KR1020130087782 A KR 1020130087782A KR 20130087782 A KR20130087782 A KR 20130087782A KR 102071943 B1 KR102071943 B1 KR 102071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gear
- translation
- translation unit
- optical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4—Viewing or reading apparatus having collapsible par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안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안 프레임과 우안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좌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병진유닛과, 상기 우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병진유닛을 포함하는 한 쌍의 병진유닛과,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안 광학모듈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안 광학모듈을 포함하는 한 쌍의 광학모듈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한 개 또는 두 개의 2D/3D 영상을 효율적으로 시청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청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장치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로써 1인 이상의 시청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영상장치는 단순히 2D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3D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시청자를 위한 영상장치 뿐만 아니라, 개개인에게 각종 정보 또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착용가능한 영상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10)는 크게 코 받침(11), 전방 프레임(12), 한 쌍의 측방 프레임(13, 14) 및 단일의 광학모듈(15)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모듈(15)은 좌안 또는 우안 상측 부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영상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모듈(15)은 좌측 프레임(14) 또는 우측 프레임(13)에 구비되어 광학모듈(15)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5a)과, 상기 지지프레임(15a)에서 절곡되어 좌안 상측 또는 우안 상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b) 및 카메라 모듈(15c)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b)는 영상패널로부터 광원이 생성되고, 이러한 광원을 균일하게 하거나 집광시키기 위한 렌즈부를 거쳐 화면소자에서 이미지로 생성되어 투사부로 반사되어 사람의 육안에 영상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단, 단일의 영상을 좌안 또는 우안에 제공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 형상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광학모듈(15)이 어느 한쪽 상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최적의 영상 제공을 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으며, 좌안 또는 우안 전방에 고정되어 위치하므로 시야가 방해되어 하루종일 착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얼굴 특성에 따라 거리 및 각도 조절 가능한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영상, 다중 영상 또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안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안 프레임과 우안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좌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병진유닛과, 상기 우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병진유닛을 포함하는 한 쌍의 병진유닛과,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안 광학모듈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안 광학모듈을 포함하는 한 쌍의 광학모듈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안 프레임과 우안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중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병진유닛은 상기 중앙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병진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병진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좌측 병진기어가 치형 맞물림된 상기 중앙기어의 대향면에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병진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기어는 랙기어로써 형성되고, 상기 좌측 병진기어 및 우측 병진기어는 피니언기어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형성된 좌측 힌지축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형성된 우측 힌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상기 좌안 광학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힌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좌측 힌지홀과, 상기 우안 광학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힌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우측 힌지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기 좌측 힌지축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좌안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힌지축의 말단을 수용하는 좌측 장공과, 상기 우측 힌지축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우안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힌지축의 말단을 수용하는 우측 장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좌측 회전기어와,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우측 회전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평기어와, 상기 우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우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평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좌측 회전기어와,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우측 회전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헬리컬기어와, 상기 우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우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헬리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이 상호 최근접 위치에 있을 때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최근접 위치에서 상호 이격되어 있을 때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기설정된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의 이격 거리에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기설정된 이격 거리가 아닌 경우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상기 좌안 광학모듈 또는 상기 우안 광학모듈의 기설정된 각도에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기설정된 각도가 아닌 경우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하므로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모듈의 거리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광학모듈을 사용하여 단일의 영상, 다중 영상 또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병진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광학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초기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거리 및 각도 변경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병진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광학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초기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거리 및 각도 변경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양안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두 개의 광학모듈을 구비하여 2D/3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안면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병진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광학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는 크게 몸체(100), 한 쌍의 병진유닛(200) 및 한 쌍의 광학모듈(30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몸체(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0)는 양안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안 프레임(110)과 우안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좌안 프레임(110)과 우안 프레임(120)의 자유단(110a, 120a)에는 안경 다리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좌안 프레임(110)과 우안 프레임(120)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중앙부(130)인 상기 좌안 프레임(110)과 우안 프레임(120) 사이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축(131)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31)의 외주면에는 중앙기어(1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중앙부(130)인 상기 좌안 프레임(110)과 우안 프레임(120) 사이에는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안경렌즈 한 쌍이 구비된 렌즈부(312, 322, 도 5 참조)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안경렌즈 거치부(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정적인 착용감을 위해 코 받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는 후술할 좌측 힌지축(211, 도 4 참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좌안 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힌지축(211)의 말단을 수용하는 좌측 장공(111)과, 후술할 우측 힌지축(221, 도 4 참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우안 프레임(120)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힌지축(221)의 말단을 수용하는 우측 장공(121)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부(130)에 회전축(131)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부(130)를 기준으로 좌안 프레임(110)과 우안 프레임(120)이 대향되게 구비되고, 좌측 장공(111)과 우측 장공(121)이 대향되게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은 상기 좌안 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병진유닛(210)과, 상기 우안 프레임(1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병진유닛(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병진유닛(200)은 상호 개별적으로 각각 좌, 우 이동할 수도 있으나, 상기 회전축(131)과 결합되어 동시에 좌, 우 이동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은 상기 회전축(131)의 회전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좌측 병진유닛(210)이 좌측으로 이동시 우측 병진유닛(220)은 우측으로 이동하며, 좌측 병진유닛(210)이 우측으로 이동시 우측 병진유닛(220)은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좌측 병진유닛(210)은 상기 회전축(131)의 외주면에 구비된 중앙기어(132)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병진기어(212)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병진유닛(220)은 상기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상기 좌측 병진기어(212)가 치형 맞물림된 상기 중앙기어(132)의 대향면에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병진기어(2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측 병진기어(212)와 우측 병진기어(222)는 상기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기어(132)는 랙기어로써 형성되고, 상기 좌측 병진기어(212) 및 우측 병진기어(222)는 피니언기어로써 형성될 수 잇다.
이러한 한 쌍의 병진유닛(200)의 동시 이동 방법 및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구성요소의 결합에 의해 동시 이동될 수 있으면 족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210)에 형성된 좌측 힌지축(211)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220)에 형성된 우측 힌지축(2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병진유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좌측 회전기어(213)와, 상기 우측 병진유닛(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우측 회전기어(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힌지축(211)의 말단은 상기 좌안 프레임(110)에 형성된 좌측 장공(111)에 수용되어 상기 좌측 병진유닛(210)을 상기 몸체(100) 내에서 좌, 우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우측 힌지축(221)의 말단은 상기 우안 프레임(120)에 형성된 우측 장공(121)에 수용되어 상기 우측 병진유닛(220)을 상기 몸체(100) 내에서 좌, 우 이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좌측 회전기어(213)와 우측 회전기어(223)에 대한 기능 및 작용은 후술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은 좌안 및 우안 상측 부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영상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안 광학모듈(310)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안 광학모듈(32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은 각각 영상패널(311, 321), 렌즈부(312, 322), 화면소자(미도시), 투사부(313, 323)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패널(311, 321)은 광원을 생성하고, 이러한 광원을 균일하게 하거나 집광시키기 위한 렌즈부(312, 322)를 거쳐 화면소자에서 이미지로 생성되며, 생성된 이미지는 투사부(313, 323)로 반사되어 사람의 육안에 영상을 제공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모듈은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편광제어기 및 렌티큘러 렌즈시트 등과 같은 3D 구현을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은 상기 좌안 광학모듈(310)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힌지축(211)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좌측 힌지홀(314)과, 상기 우안 광학모듈(320)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힌지축(221)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우측 힌지홀(324)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이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에 체결될 수 있으며,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더욱 정밀하고 견고한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좌측 힌지홀(314)의 외주면에는 상기 좌측 병진유닛(210)의 좌측 회전기어(213)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평기어(315)와, 우측 힌지홀(324)의 외주면에는 상기 우측 병진유닛(220)의 상기 우측 회전기어(223)와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평기어(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에 구비된 좌측 회전기어(213) 및 우측 회전기어(223)는 평기어로써 형성된다.
또한, 각도조절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좌측 평기어(315)는 좌측 헬리컬기어로, 상기 우측 평기어(325)는 우측 헬리컬기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에 구비된 좌측 회전기어(213) 및 우측 회전기어(223)는 헬리컬기어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초기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거리 및 각도 변경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병진유닛(200)은 상호 더 이상 가까워질 수 없는 상호 최근접 위치에 놓여진 상태이다. 왜냐하면 좌측 힌지축(211)이 좌측 장공(111)의 최우측에 닿아 있으며, 우측 힌지축(221)이 우측 장공(121)의 최좌측에 닿아 있어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또한, 좌안 광학모듈(310)은 좌측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위치하고, 우안 광학모듈(320)은 우측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를 이하 초기상태라고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초기상태에서는 한 쌍의 광학모듈(300)에 다른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동일한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 쌍의 광학모듈(300)이 사용자의 시야각이 분산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초기위치에 있을 경우, 즉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은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이 상호 최근접 위치에 있을 때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최근접 위치에서 상호 이격되어 있을 때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하여 시청자의 양안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3D 영상 제공도 가능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병진유닛(200)은 상호 더 이상 멀어질 수 없는 상호 최원접 위치에 놓여진 상태이다. 왜냐하면 좌측 힌지축(211)이 좌측 장공(111)의 최좌측에 닿아 있으며, 우측 힌지축(221)이 우측 장공(121)의 최우측에 닿아 있어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좌안 프레임(110)을 좌측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우안 프레임(120)을 우측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회전축(131)을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형성된다.
사용자마다 양안의 간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은 기설정된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200)의 이격 거리에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기설정된 이격 거리가 아닌 경우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은 상기 좌안 광학모듈(310) 또는 상기 우안 광학모듈(320)의 기설정된 각도에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기설정된 각도가 아닌 경우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두 개의 광학모듈을 양안 상측에 각각 한 개 씩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300)의 거리 및/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형상에 따른 최적의 거리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2D/3D의 단일의 영상 또는 다중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몸체 110: 좌안 프레임
111: 좌측 장공 120: 우안 프레임
121: 우측 장공 130: 중앙부
131: 회전축 132: 중앙기어
140: 안경렌즈 거치부 200: 한 쌍의 병진유닛
210: 좌측 병진유닛 211: 좌측 힌지축
212: 좌측 병진기어 213: 좌측 회전기어
220: 우측 병진유닛 221: 우측 힌지축
222: 우측 병진기어 223: 우측 회전기어
300: 한 쌍의 광학모듈 310: 좌안 광학모듈
311:영상패널 312: 렌즈부
313:투사부 314: 좌측 힌지홀
315: 좌측 평기어 320: 우안 광학모듈
321: 영상패널 322: 렌즈부
323: 투사부 324: 우측 힌지홀
325: 우측 평기어
111: 좌측 장공 120: 우안 프레임
121: 우측 장공 130: 중앙부
131: 회전축 132: 중앙기어
140: 안경렌즈 거치부 200: 한 쌍의 병진유닛
210: 좌측 병진유닛 211: 좌측 힌지축
212: 좌측 병진기어 213: 좌측 회전기어
220: 우측 병진유닛 221: 우측 힌지축
222: 우측 병진기어 223: 우측 회전기어
300: 한 쌍의 광학모듈 310: 좌안 광학모듈
311:영상패널 312: 렌즈부
313:투사부 314: 좌측 힌지홀
315: 좌측 평기어 320: 우안 광학모듈
321: 영상패널 322: 렌즈부
323: 투사부 324: 우측 힌지홀
325: 우측 평기어
Claims (12)
- 양안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안 프레임과 우안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좌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병진유닛과, 상기 우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병진유닛을 포함하는 한 쌍의 병진유닛; 및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안 광학모듈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안 광학모듈을 포함하는 한 쌍의 광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형성된 좌측 힌지축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형성된 우측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상기 좌안 광학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힌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좌측 힌지홀과, 상기 우안 광학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힌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우측 힌지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좌측 회전기어와,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우측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평기어와, 상기 우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우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평기어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프레임과 우안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중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병진유닛은 상기 중앙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병진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병진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좌측 병진기어가 치형 맞물림된 상기 중앙기어의 대향면에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병진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기어는 랙기어로써 형성되고,
상기 좌측 병진기어 및 우측 병진기어는 피니언기어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좌측 힌지축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좌안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힌지축의 말단을 수용하는 좌측 장공; 및
상기 우측 힌지축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우안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힌지축의 말단을 수용하는 우측 장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이 상호 최근접 위치에 있을 때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최근접 위치에서 상호 이격되어 있을 때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기설정된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의 이격 거리에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기설정된 이격 거리가 아닌 경우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상기 좌안 광학모듈 또는 상기 우안 광학모듈의 기설정된 각도에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기설정된 각도가 아닌 경우 각각 다른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양안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안 프레임과 우안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좌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병진유닛과, 상기 우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병진유닛을 포함하는 한 쌍의 병진유닛; 및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안 광학모듈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안 광학모듈을 포함하는 한 쌍의 광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병진유닛은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형성된 좌측 힌지축과,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형성된 우측 힌지축과, 상기 좌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좌측 회전기어와, 상기 우측 병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우측 회전기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광학모듈은 상기 좌안 광학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힌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좌측 힌지홀과, 상기 우안 광학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힌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우측 힌지홀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좌측 헬리컬기어와, 상기 우측 힌지홀의 외주면에는 상기 우측 회전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우측 헬리컬기어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7782A KR102071943B1 (ko) | 2013-07-25 | 2013-07-25 |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7782A KR102071943B1 (ko) | 2013-07-25 | 2013-07-25 |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2373A KR20150012373A (ko) | 2015-02-04 |
KR102071943B1 true KR102071943B1 (ko) | 2020-01-31 |
Family
ID=5248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7782A KR102071943B1 (ko) | 2013-07-25 | 2013-07-25 |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1943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82762A (ja) * | 1994-07-15 | 1996-03-26 | Sega Enterp Ltd | 頭部搭載型映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映像表示システム |
AU1873801A (en) * | 2000-02-11 | 2001-08-20 | Emd Ltd. (Eyeglasses Mounted Display Limited) | Binocular display device |
-
2013
- 2013-07-25 KR KR1020130087782A patent/KR10207194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2373A (ko) | 2015-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84001B1 (ko) | 안경형 망막직접표시장치 | |
US7992996B2 (en) | Spectacles-type image display device | |
US20160005231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JP7566339B2 (ja) | 調整可能な瞳孔間距離機構を有する両眼タイプ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
JP2011145488A (ja)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 |
CN104635340A (zh) | 一种佩戴式显示器 | |
US11300805B2 (en) | Stereoscopic eyeglasses, method for designing eyeglass lens to be used for the stereoscopic eyeglasses, and method for observing stereoscopic image | |
JPS6035049B2 (ja) | 映画鑑賞等用立体眼鏡 | |
JP2011145607A (ja)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 |
KR101946947B1 (ko) | 양안식 디스플레이의 간격 및 초점 조절구조 | |
US11880050B2 (en) | Virtual reality lens barrel assembly, virtual reality device and control method | |
JP2004523786A (ja) | 立体視装置 | |
CN109061884A (zh) | 焦深可调的透视型近眼显示光学系统 | |
CN208847961U (zh) | 焦深可调的透视型近眼显示光学系统 | |
JP2012053236A (ja) | ふくそう角変更ユニット | |
JP2003043409A (ja) | 画像表示装置 | |
EP2625561B1 (en) | Glasses | |
KR102071934B1 (ko) |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
KR102071943B1 (ko) |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
RU2275754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мотра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отображаемого видеодисплейным средством (варианты) | |
US9857592B2 (en) | Display device | |
JP2019179084A (ja) | 画像表示装置 | |
KR101753039B1 (ko) |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 |
JP3302130B2 (ja) |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 |
JP4399789B2 (ja) | 3次元画像鑑賞メガ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