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039B1 -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039B1
KR101753039B1 KR1020160152049A KR20160152049A KR101753039B1 KR 101753039 B1 KR101753039 B1 KR 101753039B1 KR 1020160152049 A KR1020160152049 A KR 1020160152049A KR 20160152049 A KR20160152049 A KR 20160152049A KR 101753039 B1 KR101753039 B1 KR 10175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filter
wearer
ima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박동렬
김희성
Original Assignee
김진우
박동렬
김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박동렬, 김희성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16015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02B27/225
    • G02B27/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02B2027/0125Field-of-view increase by wavefront divi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Abstract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및 외부 빛이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외부 빛은 투과시키고 상기 영상제공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착용자 눈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거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head mount device providing movie}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 장치는 두 눈에 근접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하여 시각적 체험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특히, 최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영상기술이 고도화 되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이 제공되는 장치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일반 모니터는 고정된 기기를 사람이 감상하는 형태로 제품화되어 있어서 집중도나 몰입감을 떨어뜨리는 반면 가상현실 영상이 제공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착용한 사람이 머리를 다른 데로 돌리면 화면이 따라 돌아가게 만들 수 있어서 착용자가 높은 집중도와 몰입감을 가지고 화면을 보게 되고, 또한 보다 자유롭게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예;소형 LCD, LCOS 등)를 안경과 유사한 구조의 어안렌즈와 결합한 장치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 시각(binocular viewing)을 구현한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양안 시차를 감안한 2개의 영상을 제공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가상현실의 예에서, 가상현실로 제공되는 화면 외에 다른 외부 사물은 볼 수 없도록 완전히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이에 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의 시각에 부가적인 영상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개특허 제10-2014-0036351호(컴팩트한 시스루 디스플레이 시스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증강현실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장치는 광 패턴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생성된 광 패턴으로부터 가상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형성기와 광학 시스템의 외부로부터 외부 광이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보기 창(viewing window)과 근위 빔 분리기(proximal beam splitter)와 근위 빔 분리기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원위 빔 분리기(distal beam splitter)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26557호(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가상현실 장치를 보여준다.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장치는 일면이 착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기 얼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용파트와 메인 프레임의 타면에 외부 전자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공동 구조로 형성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에 외부 전자장치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이 장치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정면 눈 앞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장치는 주로 휴대폰 등을 사용하고 있어서 이것이 외부의 시각 정보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시-클로즈드(See-closed) 상태에서 화면을 통해 가상현실 영상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실제현실 간의 유연한 전환이 가능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및 외부 빛이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외부 빛은 투과시키고 상기 영상제공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착용자 눈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상기 영상제공부 및 상기 반거울과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착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제공부는 상기 착용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거울은 상기 영상제공부 하부 및 상기 착용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는 외부 빛이 상기 반거울에 유입되는 경로에 배치되는 제1광학필터; 및 상기 반거울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된 빛이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며 제2광학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광학필터 및 상기 제2광학필터는 편광필터이고,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는 상기 제1광학필터 및 상기 제2광학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편광특성을 조절하는 편광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광학필터는 시각 교정 기능을 하는 렌즈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는 편광된 빛으로 상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는 상기 제2광학필터가 결합된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를 지지하며,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렌즈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실제현실 간에 유연한 전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가 제어하는 빛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없다면 방향은 착용자가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는 영상제공부(110), 반거울(120), 착용부(130), 렌즈부(140), 제1광학필터(150), 필터부(160) 및 헤드밴드(170)를 포함한다.
영상제공부(110)는 착용부(130)에 결합되어 착용부(130) 상단에 지지된다.
영상제공부(110)는 가상현실 영상 및 증강현실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제공부(110)는 디스플레이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여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상제공부(110)에는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휴대 단말(2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제공부(110)는 스마트폰의 일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display)를 가동하여 영상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영상제공부(110)는 영상을 반거울(120)을 향하여 제공한다.
영상제공부(110)의 위치는 반거울(120)의 상단 또는 하단이 가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영상제공부(110)는 반거울(120)의 상단에 배치되며 영상제공부(11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는 하방을 향한다.
영상제공부(110)에서 제공되는 빛은 편광된 빛일 수 있다.
반거울(120)은 착용부(130)에 결합되며, 렌즈부(140)의 전방, 영상제공부(110)의 하방, 제1광학필터(150)의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반거울(120)은 외부 빛이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다.
반거울(120)은 영상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영상을 착용자 눈을 향하여 반사시킨다. 반거울(120)은 영상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영상의 빛 중 1/2을 착용자 눈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것이나, 반드시 이러한 비율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반거울(120)은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외부 빛을 투과시킨다. 반거울(120)은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외부 빛 중 1/2을 투과시키는 것이나, 반드시 이러한 비율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반거울(120)의 반사량과 투과량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착용부(130)는 영상제공부(11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착용부(130)는 전방에서 제1광학필터(150)가 지지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다만, 제1광학필터(150)는 반드시 착용부(130)에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광학필터(150)는 영상제공부(110)에 연결되어 착용부(130)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착용부(130)의 측면에는 헤드밴드(170)가 결합된다. 헤드밴드(170)는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착용부(130)는 내부에 반거울(120), 렌즈부(140) 및 필터부(160)와 결합하여 이들을 내부에 안착시킨다.
렌즈부(140)는 착용부(130) 내부에 안착된다.
렌즈부(140)는 영상제공부(110)에서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위한 영상을 입체적인 영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렌즈부(140)는 영상제공부(110)에서 제공되는 빛과 외부 빛을 실질적으로 그대로 투과시켜 증강현실 내지 실제 현실을 감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광학필터(150)는 착용부(130) 전방에 결합되며, 반거울(120) 전방에 배치된다.
제1광학필터(150)는 입사되는 빛의 광학적 특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1광학필터(150)는 편광을 제어하는 편광필터일 수도 있고, 깜빡이는 타이밍이 설정된 필터일 수도 있으며, 특정 색만을 통과시키는 색필터일 수도 있다. 다만, 제1광학필터(150)의 이러한 종류는 후술할 제2광학필터(162) 또는 제3광학필터(164)와 동일할 필요가 있다.
제1광학필터(150)는 예를 들어, 제2광학필터(162)와 반대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광학필터(150)가 수평편광만을 투과시키는 것이라면, 제2광학필터(162)는 수직편광만을 투과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반대 특성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필요에 따라 제2광학필터(162)는 수평편광의 일부와, 수직편광의 일부만을 투과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제1광학필터(150)와 제2광학필터(162)가 반대의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양 필터의 깜빡임 타이밍을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제1광학필터(150)를 투과한 빛은 제2광학필터(162)를 투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1광학필터(150) 및 제2광학필터(162)와의 거리에 따른 페이즈 시프트(phase shift)를 감안할 경우 제1광학필터(150)가 열릴 때 제2광학필터(162)는 닫히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제1광학필터(150)와 제2광학필터(162)가 반대의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은 양 필터가 통과시키는 색을 다르게 하여 제1광학필터(150)를 투과한 빛은 제2광학필터(162)를 투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광학필터(150)와 제2광학필터(162) 또는 제3광학필터(164)와의 관계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광학필터(150) 내지 제3광학필터(164)로서 편광필터를 예시한다.
필터부(160)(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는 착용부(130) 내부에 안착된다.
필터부(160)는 렌즈부(140) 전방으로 배치되어, 렌즈부(140)를 향하는 빛의 광학적 특성을 제어한다.
헤드밴드(170)는 착용부(130)에 결합되어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의 착용을 보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부(160)는 제2광학필터(162), 제3광학필터(164), 필터지지부(166) 및 회전축(168)을 포함한다.
각각의 필터부(160)는 좌안용 및 우안용 두 개로 구성되고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제2광학필터(162)는 편광필터이며, 입사된 빛 중 수직편광된 성분만을 투과시킨다. 도 2에서는 제2광학필터(162)는 반거울(120)을 투과한 외부 빛이 착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경로상에 그리고 반거울(120)에서 반사된 영상이 착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경로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2광학필터(162)는 편광필터인 동시에 어안렌즈 역할을 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광학필터(162)는 편광특성을 가진 일체의 어안렌즈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어안렌즈 전면에 편광특성을 가진 편광필름이 부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3광학필터(164)는 편광필터이다. 제3광학필터(164)는 도 2에서의 제2광학필터(162)의 위치로 회전되어 도 2에서의 제2광학필터(162)의 위치로 배치될 경우 입사된 빛 중 수평편광된 성분만을 투과시킨다.
제3광학필터(164)는 편광필터인 동시에 일반렌즈 역할을 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광학필터(164)는 편광특성을 가진 일체의 일반렌즈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일반렌즈 전면에 편광특성을 가진 편광필름이 부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반렌즈는 어안렌즈와 같이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렌즈는 제외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일반렌즈는 시력교정을 위한 렌즈나 도수가 없어 외부 빛을 실질적으로 그래도 투과시키는 렌즈를 의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제2광학필터(162)는 편광필터를 사용할 경우, 회전만으로도 그 광학적 특성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제3광학필터(164)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가상현실을 보기 위해서는 어안렌즈가 필요하고 현실을 왜곡없이 보기 위해서는 어안렌즈가 제거되어야 한다. 어안렌즈의 제거는 회전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제2광학필터(162)와 어안렌즈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3광학필터(164)와 일반렌즈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설계할 경우 필터와 렌즈의 특성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다.
필터 지지부(166)는 제2광학필터(162) 및 제3광학필터(164)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제2광학필터(162)는 필터 지지부(166)의 내측 하단에, 제3광학필터(164)는 필터 지지부(166)의 외측 상단에 배치된다.
필터 지지부(166)의 밑면은 제2광학필터(162)의 외경과 접하고, 필터 지지부(166)의 측면은 제3광학필터(164)의 외경과 접한다. 필터 지지부(166)의 밑면, 측면과 광학필터와의 두 접점을 선으로 연결하면 대략 직각 삼각형의 모양이 나타난다.
회전축(168)은 필터 지지부(166)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좌안용 필터 지지부(166)는 회전축(16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할 수 있다.
우안용 필터 지지부(166)는 회전축(16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할 수 있다.
좌안용 및 우안용 필터 지지부(166)가 모두 90도 회전할 경우 회전 전 제2광학필터(162)의 위치에 제3광학필터(164)가 배치되며, 제3광학필터(164)는 빛의 수평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가 제어하는 빛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는 외부 빛(L1, 1점 쇄선)과 영상(L2, 점선)의 경로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영상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영상은 수평편광된 빛이고, 제1광학필터(150)는 빛 성분 중 수평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고, 제2광학필터(162)는 빛 성분 중 수직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킨다.
이 경우 외부 빛은 차단되어 착용자의 눈에 도달하지 않으며, 착용자는 영상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영상만을 볼 수 있다. 이는 가상현실 영상을 보는 상황에 적합하다.
도 3b는 도 3a와는 다른 광학적 배치에 있어서 외부 빛(L1, 1점 쇄선)과 영상(L2, 점선)의 경로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영상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영상은 수평편광된 빛이고, 제1광학필터(150)는 빛 성분 중 수평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고, 제3광학필터(164)는 빛 성분 중 수평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킨다.
이 경우 외부 빛과 영상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영상은 모두 착용자의 눈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현실을 보거나 증강현실 영상을 보는 상황에 적합하다.
현실을 그대로 제공하기 위해 영상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영상을 차단할 수 있다.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 영상제공부(110)는 증강현실을 보기 위한 정보로만 구성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렌즈부(140)는 제1렌즈(142), 제2렌즈(144), 렌즈 지지부(146) 및 회전축(148)을 포함한다.
각각의 렌즈부(140)는 좌안용 및 우안용 두 개로 구성되고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4는 도 2에서와는 달리 렌즈를 중심으로 기술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러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도 2에서의 필터부(160)와 도 4에서의 렌즈부(140)를 별개의 구성으로 취하는 형태, 도 2에서 필터부(160)에 렌즈가 각각 결합된 형태(상술), 도 4에서 렌즈부(140)에 필터가 각각 결합된 형태(후술)가 모두 가능하다.
제1렌즈(142)는 어안렌즈이다. 어안렌즈는 평면의 가상현실 영상을 입체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렌즈(144)는 일반렌즈이다.
렌즈 지지부(146)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는 기어형상을 띈다.
렌즈 지지부(146)는 제1렌즈(142) 및 제2렌즈(144)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제1렌즈(142) 및 제2렌즈(144)는 렌즈 지지부(146) 중심으로부터 일직선상의 동일 거리에 제1렌즈(142) 및 제2렌즈(144)의 중심이 오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될 경우 제1렌즈(142) 및 제2렌즈(144)는 렌즈 지지부(146)가 그 중심을 회전축(148)으로 하여 180도 회전하는 경우 서로 위치가 변경된다.
렌즈 지지부(146)의 회전을 위하여 좌안용과 우안용 렌즈 지지부(146) 사이에는 기어(미도시)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기어는 좌안용과 우안용 렌즈 지지부(146) 사이에서 기어이빨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안용 렌즈 지지부(146)는 시계방향으로, 우안용 렌즈 지지부(146)는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48)은 렌즈 지지부(146)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렌즈(142)는 반거울(120)을 투과한 외부 빛이 착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경로상에 그리고 반거울(120)에서 반사된 영상이 착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경로상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렌즈(142) 전면에는 제2광학필터(16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렌즈(142) 전면에 제2광학필터(162)가 부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렌즈(142)가 제2광학필터(162) 역할을 하는 렌즈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144)는 도 4에서의 제1렌즈(142) 위치로 회전되어 도 4에서의 제1렌즈(142) 위치로 배치될 경우 반거울(120)을 투과한 외부 빛이 착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경로상에 그리고 반거울(120)에서 반사된 영상이 착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경로상에 배치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2렌즈(144) 전면에는 제3광학필터(164)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렌즈(144) 전면에 제3광학필터(164)가 부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렌즈(144)가 제3광학필터(164) 역할을 하는 렌즈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뒤의 두 경우에는 제3광학필터(164)는 제1렌즈(142)의 위치로 회전될 경우 빛의 수평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편광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영상제공부
120: 반거울
130: 착용부
140: 렌즈부
142: 제1렌즈
144: 제2렌즈
146: 렌즈 지지부
148: 회전축
150: 제1광학필터
160: 필터부
162: 제2광학필터
164: 제3광학필터
166: 필터 지지부
168: 회전축
170: 헤드밴드
200: 휴대 단말

Claims (7)

  1.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외부 빛이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외부 빛은 투과시키고 상기 영상제공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착용자 눈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거울;
    외부 빛이 상기 반거울에 유입되는 경로에 배치되는 제1광학필터;
    상기 반거울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된 빛이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는 제2광학필터;
    상기 제2광학필터와 결합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를 지지하며,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렌즈교환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상기 영상제공부 및 상기 반거울과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착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제공부는 상기 착용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거울은 상기 영상제공부 하부 및 상기 착용부 전방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필터 및 상기 제2광학필터는 편광필터이고,
    상기 제1광학필터 및 상기 제2광학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편광특성을 조절하는 편광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학필터는 시각 교정 기능을 하는 렌즈 필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부는 편광된 빛으로 상기 영상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7. 삭제
KR1020160152049A 2016-11-15 2016-11-15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KR10175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49A KR101753039B1 (ko) 2016-11-15 2016-11-15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49A KR101753039B1 (ko) 2016-11-15 2016-11-15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039B1 true KR101753039B1 (ko) 2017-07-03

Family

ID=5935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049A KR101753039B1 (ko) 2016-11-15 2016-11-15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7261B (zh) * 2018-02-14 2019-04-21 雙瑩科技股份有限公司 虛擬及擴增實境組合裝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7261B (zh) * 2018-02-14 2019-04-21 雙瑩科技股份有限公司 虛擬及擴增實境組合裝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9719B2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
JP2762677B2 (ja) 光学装置
KR0184001B1 (ko) 안경형 망막직접표시장치
TWI641868B (zh) 具備視力矯正功能之頭戴式顯示裝置
KR101672707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JP2011145488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0258723A (ja) 映像表示装置
CN113853546A (zh) 具有能调节瞳距的机构的双目型头戴式显示系统
JP6780502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753039B1 (ko)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JP3205552B2 (ja) 立体映像撮像装置
KR20170017854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TW201805689A (zh) 外加式近眼顯示裝置
JP2012022278A (ja) 映像実体感メガネ
WO2001092920A2 (en) Display apparatus for management of a 3-dimensional image
US71422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image
US67782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JP3330129B2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
JP4399789B2 (ja) 3次元画像鑑賞メガネ
JP2000199871A (ja) 映像表示装置
KR102071934B1 (ko)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024533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WO2022247001A1 (zh) 一种裸眼三维显示装置
KR102071943B1 (ko)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20170002262U (ko) 씨-쓰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