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039B1 - 액세서리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039B1
KR102207039B1 KR1020140071114A KR20140071114A KR102207039B1 KR 102207039 B1 KR102207039 B1 KR 102207039B1 KR 1020140071114 A KR1020140071114 A KR 1020140071114A KR 20140071114 A KR20140071114 A KR 20140071114A KR 102207039 B1 KR102207039 B1 KR 10220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ccessory device
electronic device
portions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388A (ko
Inventor
김명석
윤용상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039B1/ko
Priority to CN201580026661.4A priority patent/CN106413461A/zh
Priority to US14/736,433 priority patent/US9998166B2/en
Priority to PCT/KR2015/005863 priority patent/WO2015190837A1/en
Priority to EP15171702.2A priority patent/EP2955604B1/en
Publication of KR2015014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Abstract

액세서리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서리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전자 장치의 후면이 위치됨과 아울러 굴곡되는 제 1 영역부; 전면에 전자 장치의 전면이 위치하는 제 2 영역부; 상기 제 2 영역부에 대면하게 위치하는 제 3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영역부는 상기 제 1 영역부의 굴곡에 의하여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액세서리 장치{PROTECTING COV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액세서리에 관한 발명으로 예컨데,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액세서리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테블릿 PC, 갤럭시텝, 아이패드 및 전자책 단말기와 다양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전자 장치를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래의 기능 외에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 게임, 카메라 기능, 일정 관리, 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다양한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전자 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 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나 가방에 보관하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 사용하고 있으나, 보관 및 휴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등 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별도의 액세서리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전자 장치를 보호하거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별도의 동작 가능한 장치(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NFC 및 무선충전회로등)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부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종래의 액세서리 장치는 전자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스탠드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 사용시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볼 때 사용이 용이한 시야 범위로 들어 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전자 장치가 스탠드 및 타이핑 거치 상태에서 사용이 용이한 시야 범위에 들어 올 수 있도록 스탠드 및 타이핑 거치 상태에서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를 장착하고, 굴곡에 따라서 거치대로 사용하는 다수의 영역부를 구성함으로써, 액세서리 장치의 거치대 사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거치대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세서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제 1, 2 전자 장치를 장착하고, 굴곡에 따라서 거치대로 사용하는 다수의 영역부를 구성함으로써,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부재의 이동에 의한 각을 조정하여 거치대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세서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서리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전자 장치의 후면이 위치됨과 아울러 굴곡되는 제 1 영역부; 전면에 전자 장치의 전면이 위치하는 제 2 영역부; 및 상기 제 2 영역부에 대면되게 위치하는 제 3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영역부는 상기 제 1 영역부의 굴곡에 의하여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서리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제 1 전자 장치가 위치됨과 아울러 굴곡되는 제 1 영역부; 상기 제 1 영역부와 연결되고, 전면에 제 2 전자 장치가 위치되는 제 2 영역부; 및 상기 제 1 영역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영역부의 굴곡에 따라서 상기 제 1, 2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제 3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3 영역부에는 상기 제 2, 3 영역부를 대면시 결합을 유지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자력에 의해 결합을 유지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장착하고, 굴곡에 따라서 거치대로 사용하는 다수의 영역부를 구성하여 제품의 거치대 사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2 전자 장치를 탈부착 장착가능하게 하고, 굴곡에 따라서 거치대로 사용하는 제 1, 2, 3 영역부를 구성하여 제 1, 2 전자 장치를 장착한 영역부들을 이용하여 스탠드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를 장착하고, 별도로 자석의 자력 없이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영역부를 구성하여 전자 장치를 장착한 영역부들을 이용하여 스탠드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시 영역부들의 거치대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 1 영역부의 굴곡에 따라서 자력에 의해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영역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시야 범위내로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의 자력 없이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영역부를 구성하여 거치대의 시야 범위내로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역부들의 거치대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에 탈부착되는 제 1, 2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에 탈부착되는 제 1, 2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에 제 1, 2 전자 장치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에 제 1, 2 전자 장치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를 이용하여 거치 각도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를 이용하여 거치 각도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다른 실시예의 자력 발생 장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자석부재가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다른 실시예의 자력 발생 장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2 자석부재가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에 탈부착되는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적용예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장치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가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10a)의 전면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1)은 전자 장치(10)(10a)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10a)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10a)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지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 메인메뉴 전환키,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는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11d;Status Bar)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1)의 하부에는 홈키(11a), 메뉴 버튼(11b), 및 뒤로 가기 버튼(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키(11a)은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11)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1a)이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키(1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1)상에는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키(11a)은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뉴 버튼(11b)은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뒤로 가기 버튼(1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0a)의 전면 상단영역에는 제 1 카메라(12a)와, 조도 센서(12b) 또는 근접 센서(12c)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13a), 플래시(flash)(13b) 또는 스피커(13c)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자 장치(10)가 배터리 팩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저면은 착탈가능한 배터리 커버(15)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전자 장치는 제 1, 2 전자 장치(10)(10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10)는 앞서 언급한 노트북, 넷북,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PC, 갤랙시 탭 및 아이패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상기 제 2 전자 장치(10a)는 키보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 장치(100)는 상기 제 1, 2 전자 장치(10)(10a)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 장치(100)는 보호 커버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제 1, 2 전자 장치(10)(10a)를 보호하는 커버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 장치를 제 1, 2 전자 장치(10)(10a)의 표면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1, 2 전자 장치(10,10a; 도 1에 도시됨)를 보호하는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액세서리 장치(100)는 제 1, 2, 3 영역부(110)(120)(130) 및 결합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10)의 후면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110)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굴곡된다.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전면에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10a)의 후면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영역부(130)는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굴곡에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과 대면되어 상기 제 1, 2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영역부(110)에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 3 영역부(130)는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를 거치대로 사용시 상기 제 3 영역부를 이동시켜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3 영역부(120)(130)에는 상기 제 2, 3 영역부(120)(130)를 대면시킴과 동시에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1, 2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이동시켜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결합 부재(14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액세서리 장치(100)를 스탠드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사용이 용이한 시야 범위내로 각도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40)는 자력 발생 장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력 발생 장치부(140)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14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14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며,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140)를 이용하여 거치 각도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자력 발생 장치부(140)를 이용하여 거치 각도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앞서 언급한 도 3 및 도 7a,b를 참조하여, 상기 자력 발생 장치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자석부재(141)와, 제 2, 3 자석부재(142)(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석부재(141)들은 후술하는 제 2 자석부재(142)와 대면됨과 동시에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영역부(12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자석부재(142)는 상기 제 1 자석부재(141)들과 대면됨과 동시에 이동하고, 이동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 3 영역부(13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3 자석부재(143)는 상기 제 2 자석부재(142)와 접촉에 따른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영역부(120)에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부(110)를 굴곡시킴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제 3 영역부(130)가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과 대면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가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제 1 자석부재(141)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 2 자석부재(142)는 이동 위치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 1 자석부재(141)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는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자석부재(142)가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상기 제 1 자석부재(141)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다른 실시예의 자력 발생 장치부(14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자석부재(141)가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 중 다른 실시예의 자력 발생 장치부(14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2 자석부재(142)가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9b와 같이, 상기 제 1 자석부재(141)는 상기 제 2 자석부재(142)가 N, S 극이 반복되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금속 플레이트(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a와 같이, 상기 제 2 자석부재(142)는 반대로 상기 제 1 자석부재(141)가 금속 플레이트가 아닌 N, S 극이 반복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금속 플레이트(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자석부재(141)는 선택에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160)나 영구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자석부재(142)도 마찬가지로 선택에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150)나 영구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2 자석부재는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이 자석이나 금속 플레이트(150)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 1 자석부재(141)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자석부재(142)이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자력 발생 장치부(140)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 1 영역부(110)를 굴곡시킴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제 3 영역부(130)가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과 대면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금속플레이트(150)가 상기 제 2 영역부(120)에 구비된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금속 플레이트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150)는 이동 위치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상기 제 1, 2 영영부를 거치대로 사용시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0과 같이, 상기 제 2 영역부(120)에는 상기 제 3 영역부(130)에 구비된 돌기(131)와 착탈에 따라서 상기 거치대 사용 및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부재(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121)들은 상기 돌기(131)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부(110)를 굴곡시킴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제 3 영역부(130)가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과 대면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돌기(131)가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결합부재(12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130)와 상기 제 2 영역부(120)는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110)를 거치대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경우,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돌기(131)는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결합 부재(121)에서 이탈시킴과 동시에 이동하여 또 다른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결합부재(121)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거치 각도는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이동 거리 만큼 변경된다.
,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강성부(110a)(120a)(130a) 및 연결부(110b)(130b)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부(110a)(120a)(130a)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를 굴곡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10b)(130b)는 상기 강성부(110a)(120a)(130a) 들을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강성부(110a)(120a)(130a)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10b)(130b)들은 상기 제 1 3 영역부(110) 130)를 상기 제 1, 3 영역부(110) (130)의 굴곡시킬 수 있도록 연결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10b)(130b)들은 상기 제 1, 3 영역부(110)(1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1, 2 회전 연결부(170)(18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회전 연결부(170)는 상기 제 1, 2 영역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영역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180)는 상기 제 1, 3 영역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에는 상기 제 1, 2 전자 장치(10, 10a; 도 2에 도시됨)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90) 또는 착탈 부재(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90)들은 상기 제 1, 2 전자 장치(10, 10a; 도 2에 도시됨)에 구비된 다수의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에 탈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결합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의 결합부(190)는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와 접촉되어 억지끼움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전자 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10)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10a)는 키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보드의 신호를 상기 결합부(190) 및 상기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의 결합부(190)는 외부에 돌출되는 결합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전자 장치(10, 10a; 도 2에 도시됨)의 커넥터(191)는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케이스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191)는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커넥터(191)는 개구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개구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몸체부와, 플레이트 및 탄성부는 도면에 미도시 한다.
즉,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가 상기 결합부(19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 상기 결합부(190)와 상기 플레이트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내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부(190)와 상기 커넥터(191)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90)와 상기 커넥터(191)를 분리하면, 상기 개구내에 구비된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다시 원위치 시킨다.
또한, 상기 착탈 부재(미도시 됨)들은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외측면 둘레에서 탈부착되도록 착탈 후크부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착탈 부재(미도시 됨)들은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둘레를 감싸면서 끼워 결합 및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는 사용에 따라서 스탠딩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함께 사용하거나 스탠딩 거치대 또는 타이핑 거치대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영역부(110)에 제 1 전자 장치(10)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영역부(120)에 키보드를 장착한다. 즉,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는 스탠딩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함께 사용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는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후면과 착탈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10)의 후면과 착탈되고, 상기 제 2 영역부(120)는 키보드, 거치대,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및 플립 커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부(120)는 상기 개시된 장치이외에 다른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10)의 후면과 착탈되고, 상기 제 2 영역부(120)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10a)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2 전자 장치는 키보드, 센서 패턴, 도전 패턴, 안테나, 무선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및 플립 커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구성된다.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에는 상기 제 1, 2 전자 장치(10,10a; 도 1 및 도 2에 도시됨)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 또는 마이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노출홀(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5을 참조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조립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액세서리 장치(100)는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의 사이에는 제 1 회전 연결부(17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영역부(110)(120)의 사이에는 제 2 회전 연결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영역부(110)에는 제 1 전자 장치(1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부(110)에 구비된 결합부(190)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10)에 구비된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를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 2 영역부(120)에 키보드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10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영역부(110)에 제 1 전자 장치(10)를 부착시키고, 제 2 영역부(120)에 키보드를 일체로 구비한 상태에서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를 제 1 회전 연결부(170)에 의해 회전시킨다.이때, 상기 제 1 전자 장치(10)와 상기 키보드는 서로 대면됨과 동시에 포개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180)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과 대면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부(120)에는 상기 제 3 영역부(130)에 구비된 제 2 자석부재(142)와 접촉에 따라 자력에 의해 부착 및 이탈되어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개폐시키는 제 3 자석부재(14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3 영역부(130)가 제 2 회전 연결부(18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제 3 자석부재(143)와 접촉됨과 동시에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는 닫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를 개방시킬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제 1, 2 회전 연결부(170)(18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와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제 3 자석부재(143)가 분리된다.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는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제 2 회전 연결부(180)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과 대면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는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제 1 자석부재(141)와 자력에 의해 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회전시,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상기 제 1 영역부(110)내에 구비된 연결부(110b)에 의해 굴곡된다. 상기 연결부(110b)들은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굴곡시키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영역부(110)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110b)에 의해 굴곡된다. 상기 연결부(110b)는 상기 제 1 영역부(110)를 굴곡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중심 아래까지 굴곡시킨다.
즉, 도 11과 같이,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10b)에 의해 삼각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는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제 1 자석부재(141)와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거치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110)에 장착된 제 1 전자 장치(10)를 거치시킨다.
즉,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스탠드 거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영역부(110)에 장착된 상기 제 1 전자 장치(10)는 스탠드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부(120)는 평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2 영역부(120)는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10)를 장착한 상기 제 1 영역부(110)는 스탠드 거치대로 사용되고, 키보드가 구비된 제 2 영역부(120)는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하여 문서 작업을 할 수 있고, 제 1 전자 장치(10)를 통해 동영상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탠드 모드로 사용시 제 1 전자장치를 바라볼 때 적절한 시야각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시야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스탠드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변경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130)를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후면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 2 자석부재(142)는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제 1 자석부재(141)를 따라서 이동한다. 즉, 사용자가 제 3 영역부(130)의 제 2 자석부재(142)를 밀거나 당긴 후 적절한 시야각을 조정한 후 상기 제 2 자석부재(142)를 상기 제 2 영역부(120)의 제 1 자석부재(141)에 부착시켜 고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10)의 스탠드 모드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시야각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2 전자 장치(10, 10a 도 1에 도시됨)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110)(120)(130)를 이용하여 상기 거치 각도를 변경할 경우 상기 제 1, 2 전자 장치내에 구비된 센서에서 변경된 거치 각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신호화 하고, 이 신호를 제 1, 2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 됨)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는 감시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 1, 2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액세서리 장치(미도시 됨)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볼 때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이 용이한 시야 범위로 조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
본 실시예는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 1 영역부(110)에 제 1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를 장착하고, 제 2 영역부(120)에 키보드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부(110)의 굴곡에 따라서 거치대로 사용하거나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영역부들을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탠드 모드 및 타이핑 모드로 사용시 사용이 용이한 시야 범위내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액세서리 장치(100)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는 제 1, 2, 3 영역부(210)(220)(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전면에는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의 후면을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210)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굴곡시킨다. 상기 제 2 영역부(220)는 상기 전자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2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영역부(230)는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굴곡에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후면과 대면되어 상기 제 1, 2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영역부(210)에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 3 영역부(230)는 상기 제 1, 2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시 자석의 자력 없이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이동시켜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3 영역부(220)(230)에는 상기 제 2, 3 영역부(220)(230)를 대면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3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이동시켜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를 스탠드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용이한 시야 범위내로 각도 조정을 더욱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부(220)에는 상기 제 3 영역부(230)에 구비된 돌기(131; 도 10에 도시됨)와 착탈에 따라서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부재(121; 도 10에 도시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들은 상기 돌기(131; 도 10에 도시됨)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부(210)를 굴곡시킴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제 3 영역부(230)가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후면과 대면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 영역부(230)의 돌기가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결합부재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230)와 상기 제 2 영역부(220)는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210)를 거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경우, 상기 제 3 영역부(230)의 돌기는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결합 부재(121; 도 10에 도시됨)에서 이탈시킴과 동시에 이동하여 또 다른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결합부재(121; 도 10에 도시됨)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거치 각도는 상기 제 3 영역부(230)의 이동 거리 만큼 변경된다.
앞서 언급한 도 13과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210) (220)(2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강성부(210a)(220a)(230a) 및 연결부(210b)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부(210a)(220a)(230a)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210)(220)(230)를 굴곡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10b)는 상기 강성부(210a)을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강성부(210a)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10b)들은 상기 제 1 영역부(210)를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굴곡시킬 수 있도록 연결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210)(220)(23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1, 2 회전 연결부(240)(25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회전 연결부(240)는 상기 제 1, 2 영역부(210)(2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영역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250)는 상기 제 1, 3 영역부(210)(2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부(210)에는 상기 전자 장치(10, 10a; 도 1에 도시됨)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 또는 착탈 부재(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들은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에 탈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결합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착탈 부재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 및 착탈부재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2, 3 영역부(210)(220)(230)는 사용에 따라서 스탠딩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함께 사용하거나 스탠딩 거치대 또는 타이핑 거치대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영역부(210)에 전자 장치(10, 10a; 도 1에 도시됨)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영역부(220)에 키보드를 장착한다. 즉, 상기 제 1, 2 영역부(210)(220)는 스탠딩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함께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부(210)는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의 후면과 착탈되고, 상기 제 2 영역부(220)는 또 다른 전자 장치(10a; 도 1에 도시됨), 키보드, 센서 패턴, 도전 패턴, 안테나, 무선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거치대 및 플립 커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부(220)는 상기 개시된 장치이외에 다른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부(210)는 상기 전자 장치(10)의 후면과 착탈되고, 상기 제 2 영역부(220)는 또 다른 전자 장치(10a)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전자 장치는 키보드, 센서 패턴, 도전 패턴, 안테나, 무선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및 플립 커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구성된다.
상기 제 1, 2 영역부(110)(120)에는 상기 전자 장치(10,10a; 도 1 및 도 2에 도시됨)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 또는 마이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노출홀(40; 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는 제 1, 2, 3 영역부(210)(220)(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영역부(210)(220)의 사이에는 제 1 회전 연결부(24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영역부(220)(230)의 사이에는 제 2 회전 연결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영역부(210)에는 전자 장치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부(210)에 구비된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에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를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2 영역부(210)(220)를 제 1 회전 연결부(240)에 의해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전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250)에 의해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후면과 대면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2, 3 영역부(210)(220)(230)는 닫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210)(220)(230)를 개방시킬 경우, 도 14와 같이, 상기 제 1, 2 회전 연결부(240)(250)에 의해 상기 제 1, 2, 3 영역부(210)(220)(230)를 회전하여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제 2 회전 연결부(250)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후면과 대면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회전시, 상기 제 1 영역부(210)는 상기 제 1 영역부(210)내에 구비된 연결부(210b)에 의해 굴곡된다. 상기 연결부(210b)는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중심이외 위치에서 굴곡시키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영역부(210)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210b)에 의해 굴곡되고, 상기 연결부(210b)는 상기 제 1 영역부(210)를 굴곡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중심 아래까지 굴곡시킨다.
즉, 도 11과 상기 제 1 영역부(210)는 상기 연결부(210b)에 의해 삼각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영역부(230)는 상기 제 2 영역부(220)에 대면 되고, 상기 제 1 영역부(210)는 거치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210)에 장착된 전자 장치를 거치시킨다.
즉, 상기 제 1 영역부(210)는 스탠드 거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영역부(210)에 장착된 상기 전자 장치는 스탠드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부(220)에는 키보드를 구비하여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를 장착한 상기 제 1 영역부(210)는 스탠드 거치대로 사용되고, 키보드가 구비된 제 2 영역부(220)는 타이핑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하여 문서 작업을 할 수 있고, 전자 장치를 통해 동영상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바라볼 때 적절한 시야각을 포함해야 한다. 즉, 상기 시야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스탠드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변경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후면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3 영역부(230)도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3 영역부(230)를 밀거나 당긴 후 적절한 시야각을 조정한다. 사용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스탠드 모드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별도로 상기 제 3 영역부(230)를 이동하여 상기 제 1 영역부(210)의 굴곡시켜 거치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 장치를 사용이 용이한 시야 범위내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이로인해 액세서리 장치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액세서리 장치(300)는 제 1, 2, 3 영역부(310)(320)(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부(310)는 상기 제 2, 3 영역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3 영역부의 거치대 사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전면에는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의 후면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2, 3 영역부(310)(320)(330)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굴곡시킨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부(220)는 상기 제 3 영역부(330)와 대면되어 상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영역부(3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영역부(330)는 상기 제 1 영역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영역부(310)의 굴곡시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전면과 대면되도록 굴곡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부는 굴곡되고, 상기 제 3 영역부는 굴곡된 상기 제 2 영역부와 대면되어 거치대로 사용한다. 즉 상기 제 2, 3 영역부(320)(330)은 각각 굴곡됨과 동시에 대면되어 상기 제 1, 2, 3 영역부(310)(320)(330)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도 13과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310) (320)(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성부(310a)(320a)(330a) 및 연결부(320b)(330b)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부(310a)(320a)(330a)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310)(320)(330)를 굴곡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20b)는 상기 강성부(320a)을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강성부(320a)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30b)는 상기 강성부(330a)을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3 영역부(330)의 강성부(330a)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연결부(320b)는 상기 제 2 영역부(320)를 상기 제 2 영역부(310)의 중심 이외에 위치에서 굴곡시킬 수 있도록 연결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연결부의 연결부(330b)는 상기 제 3 영역부(330)를 상기 제 3 영역부(330)의 중심에서 굴곡시킬 수 있도록 연결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상기 제 1, 2, 3 영역부(310)(320)(33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1, 2 회전 연결부(340)(35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회전 연결부(340)는 상기 제 1, 2 영역부(310)(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영역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350)는 상기 제 1, 3 영역부(310)(3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영역부(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2, 3 영역부(310)에는 상기 전자 장치(10, 10a; 도 1에 도시됨)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 또는 착탈 부재(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들은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에 탈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결합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착탈 부재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 및 착탈부재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자력 발생 장치부 및 결합부재도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자력 발생 장치부(140; 도 4에 도시됨) 및 결합 부재(121; 도 10에 도시됨)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2, 3 영역부(310)(320)(330)는 사용에 따라서 스탠딩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함께 사용하거나 스탠딩 거치대 또는 타이핑 거치대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키보드, 센서 패턴, 도전 패턴, 안테나, 무선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및 플립 커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구성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3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액세서리 장치(300)는 제 1, 2, 3 영역부(310)(320)(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영역부(310)(320)의 사이에는 제 1 회전 연결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영역부(320)(330)의 사이에는 제 2 회전 연결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전면에는 전자 장치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부(320)에 구비된 결합부(190; 도 4에 도시됨)에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191; 도 2에 도시됨)를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30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2 영역부(310)(320)를 제 1 회전 연결부(340)에 의해 회전시킨다. 이때, 도 15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전면은 경사지게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일부 영역이 연결부(320b)에 의해 굴곡되어 상기 제 3 영역부(330)와 대면된다.
이때, 상기 제 3 영역부(330)는 상기 제 2 회전 연결부(350)에 의해 회전시키고, 상기 연결부(330b)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2 영역부(220)의 전면과 대면시킨다.
이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도 15와 같이, 상기 제 1 영역부(310)는 바닥면에 대면시키고, 상기 전자 장치(10a)를 장착한 상기 제 2 영역부(320)는 경사지게 거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3 영역부(330)와 대면시켜 거치 상태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부(310)는 상기 제 2 영역부(320)내에 구비된 연결부(320b)에 의해 굴곡된다. 상기 연결부(320b)는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중심이외 위치에서 굴곡시키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 2 영역부는 상기 연결홈(320b)에 의해 일부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10a)의 후면과 분리되어 굴곡된다.
즉, 도 15와 상기 제 2 영역부(320)는 상기 연결부(320b)에 의해 경사진 삼각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영역부(330)는 굴곡된 상기 제 2 영역부(320)의 전면에 대면된다, 즉, 상기 제 3 영역부(330)는 연결부(330b)에 의해 굴곡되어 상기 제 3 영역부(330)의 일단이 상기 제 2 영역부(320)와 대면된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부(320)는 거치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부(320)에 장착된 전자 장치를 거치시킨다.
즉, 상기 제 2 영역부(320)는 스탠드 거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영역부(320)에 장착된 상기 전자 장치는 스탠드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5와 같이, 상기 제 1 영역부(310) 혹은 상기 제 2 영역부(320)에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 또는 마이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홀(3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2, 3 영역부(320)(330)의 굴곡시켜 거치대로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이로인해 액세서리 장치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액세서리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제 1, 2, 3 영역부: 110, 120, 130, 210, 220, 230, 310,320,330
자력 발생 장치부 : 140 제 1, 2, 3 자석부재 : 141, 142, 143
강성부 : 110a,120b,130a. 210a, 220a, 230a, 310a,320a,330a
연결부 : 110b, 130b, 210b,320b,330b
제 1, 2 회전 연결부: 170, 180, 240, 250,340,350
결합부 : 190 커넥터 ; 191
돌기 : 131 결합 부재 : 121

Claims (35)

  1. 액세서리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전자 장치의 후면이 위치됨과 아울러 굴곡되는 제 1 영역부;
    전면에 전자 장치의 전면이 위치하는 제 2 영역부; 및
    상기 제 2 영역부에 대면되게 위치하는 제 3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영역부는 상기 제 1 영역부의 굴곡에 의하여 거치대로 사용되며,
    상기 제 3 영역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강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강성부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부의 연결부는 상기 제 3 영역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성부를 굴곡시켜 상기 제 3 영역부의 일단을 상기 제 2 영역부에 대면시키는 액세서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강성부로 구성되는 액세서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영역부의 강성부들을 굴곡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영역부들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부가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과 착탈되는 액세서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 혹은 상기 제 2 영역부에는 전자 장치를 탈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 또는 착탈 부재가 더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는 전자 장치의 외측면 둘레에서 탈부착되는 착탈 후크부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부는 또 다른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전자 장치는 키보드, 센서 패턴, 도전 패턴, 안테나, 무선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구성되는 액세서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스탠드 거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자력 발생 장치가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 장치는 제 1 자석부재와 대면되는 제 2 자석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자석부재에서 생성되는 자력의 이동에 의하여 거치 각도가 조정되는 액세서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 3 영역부에 구비된 돌기와 착탈에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는 액세서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 혹은 상기 제 2 영역부에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 또는 마이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더 형성되는 액세서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부는 닫은 상태 혹은 거치대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영역에 대면되는 액세서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영역부에는 상기 제 2, 3 영역부를 대면시 결합을 유지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자력 발생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발생 장치부는 상기 제 2 영역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자석부재;
    상기 제 3 영역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자석부재들과 대면됨과 아울러 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는 제 2 자석부재; 및
    상기 제 2 영역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자석부재와 접촉에 따른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개폐시키는 제 3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부재는 상기 제 2 자석부재가 N,S극이 반복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자석부재는 상기 제 1 자석부재가 N.S극이 반복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장치.
  19. 액세서리 장치에 있어서,
    굴곡되는 제 1 영역부;
    상기 제 1 영역부와 연결되는 제 2 영역부; 및
    상기 제 1 영역부의 굴곡에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부의 후면과 대면되어 상기 제 1, 2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제 3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강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강성부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부의 연결부는 상기 제 3 영역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성부를 굴곡시켜 상기 제 3 영역부의 일단을 상기 제 2 영역부에 대면시키는 액세서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부는 상기 제 1, 2 영역부를 거치대로 사용시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는 액세서리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강성부; 및
    상기 강성부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강성부들을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들은 상기 제 1 영역부를 상기 제 1 영역부에서 굴곡시키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영역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회전시키는 제 1, 2 회전 연결부가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영역부가 위치하고, 타일단에는 상기 제 3 영역부가 위치하는 액세서리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영역부은 키보드, 센서 패턴, 도전 패턴, 안테나, 무선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및 플립 커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장치.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영역부는 사용에 따라서 스탠딩 거치대 및 타이핑 거치대로 함께 사용하거나 스탠딩 거치대 또는 타이핑 거치대로 각각 사용되는 액세서리 장치.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는 전자 장치의 후면과 착탈되고, 상기 제 2 영역부는 전자 장치, 키보드, 센서 패턴, 도전 패턴, 안테나, 무선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보호 커버 및 플립 커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장치.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은 전자 장치의 후면과 착탈되고, 상기 제 2 영역부는 또 다른 전자 장치를 일체로 구비하는 액세서리 장치.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부에는 상기 제 3 영역부에 구비된 돌기와 착탈에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부에는 전자 장치를 탈부착 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 또는 착탈 부재가 더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들은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커넥터에 탈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액세서리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측면 둘레에서 탈부착되는 착탈 후크부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장치.
  3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영역부에는 상기 제 2, 3 영역부를 대면시 결합을 유지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액세서리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자력 발생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발생 장치부는 상기 제 2 영역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자석부재;
    상기 제 3 영역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자석부재들과 대면됨과 아울러 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는 제 2 자석부재; 및
    상기 제 2 영역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자석부재와 접촉에 따른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3 영역부를 개폐시키는 제 3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부재는 상기 제 2 자석부재가 N,S극이 반복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자석부재는 상기 제 1 자석부재가 N.S극이 반복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장치.
KR1020140071114A 2014-06-11 2014-06-11 액세서리 장치 KR10220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114A KR102207039B1 (ko) 2014-06-11 2014-06-11 액세서리 장치
CN201580026661.4A CN106413461A (zh) 2014-06-11 2015-06-11 附属设备
US14/736,433 US9998166B2 (en) 2014-06-11 2015-06-11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PCT/KR2015/005863 WO2015190837A1 (en) 2014-06-11 2015-06-11 Accessory device
EP15171702.2A EP2955604B1 (en) 2014-06-11 2015-06-11 Access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114A KR102207039B1 (ko) 2014-06-11 2014-06-11 액세서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88A KR20150142388A (ko) 2015-12-22
KR102207039B1 true KR102207039B1 (ko) 2021-01-25

Family

ID=5350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114A KR102207039B1 (ko) 2014-06-11 2014-06-11 액세서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98166B2 (ko)
EP (1) EP2955604B1 (ko)
KR (1) KR102207039B1 (ko)
CN (1) CN106413461A (ko)
WO (1) WO2015190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4711B2 (en) * 2014-08-19 2017-04-25 World Richman Manufacturing Corporation Universal device-holding case construction with magnetic fastener feature
KR102239820B1 (ko) * 2014-10-08 202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USD777716S1 (en) * 2015-02-19 2017-01-31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806060S1 (en) * 2015-02-23 2017-12-26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823290S1 (en) * 2015-02-23 2018-07-17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9918534B2 (en) * 2016-03-29 2018-03-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435011B1 (ko) * 2017-05-22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사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96718B2 (en) 2019-04-03 2021-05-04 Dell Products, L.P. Foldable case for a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a detachable keyboard
KR20220006307A (ko) * 2020-07-08 2022-01-17 강지원 태블릿 pc 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930B2 (ja) 1992-09-03 2001-06-11 三星電子株式会社 マスク
JP3187010B2 (ja) * 1998-08-24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ェライト埋め込みガラスセラミック複合基板型サーキュレータ
KR101243217B1 (ko) * 2011-06-08 2013-03-13 박문성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101257295B1 (ko) 2012-12-27 2013-04-23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휴대폰 지갑형 케이스
US20130277271A1 (en) 2012-04-19 2013-10-24 Graphique de France, Ltd. Cover and Packaging for Tablet Compu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8088B (zh) 2010-03-17 2014-01-29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具有支架功能的保护袋
HK1138471A2 (en) 2010-04-28 2010-08-20 Switcheasy Ltd Combination of protective casing and stand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11146575A2 (en) * 2010-05-20 2011-11-24 Salman Sajid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TWI420887B (zh) 2010-06-15 2013-12-21 Mitac Int Corp Handle of the holster support structure
US9335793B2 (en) 2011-01-31 2016-05-10 Apple Inc.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CN202085900U (zh) * 2011-05-27 2011-12-28 韦兴荣 多功能电脑包
JP2013084246A (ja) * 2011-09-30 2013-05-09 Sony Corp 保護カバー及び情報処理装置
CN103162075B (zh) 2011-12-15 2015-05-13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支撑功能的保护套
JP3174930U (ja) * 2012-02-03 2012-04-12 陳可安 直立に置くことができる保護カバー
TWM437646U (en) 2012-04-11 2012-09-21 fu-yi Xu Protective sheath
TWM479586U (zh) * 2012-05-04 2014-06-01 Ezero Technologies Llc 用於一攜帶型裝置之具有一近場通信能力及天線的支架以及用於一攜帶型裝置之具有一近場通信能力及天線及經調適以用於近場通信之鍵盤的支架
KR200472542Y1 (ko) * 2012-07-31 2014-05-07 벨킨 인터내셔널, 인크.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겸 거치대
JP3187010U (ja) * 2013-07-30 2013-11-07 敦 谷原 薄型機器のカバ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930B2 (ja) 1992-09-03 2001-06-11 三星電子株式会社 マスク
JP3187010B2 (ja) * 1998-08-24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ェライト埋め込みガラスセラミック複合基板型サーキュレータ
KR101243217B1 (ko) * 2011-06-08 2013-03-13 박문성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US20130277271A1 (en) 2012-04-19 2013-10-24 Graphique de France, Ltd. Cover and Packaging for Tablet Computer
KR101257295B1 (ko) 2012-12-27 2013-04-23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휴대폰 지갑형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5604A1 (en) 2015-12-16
US20150365123A1 (en) 2015-12-17
KR20150142388A (ko) 2015-12-22
EP2955604B1 (en) 2019-07-31
CN106413461A (zh) 2017-02-15
WO2015190837A1 (en) 2015-12-17
US9998166B2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039B1 (ko) 액세서리 장치
US11266033B2 (en) Flexible display electronic device
CN110582804B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US9891667B2 (en) Connectabl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39820B1 (ko) 보호 커버
CN107436627B (zh) 具有密封构件的电子设备
CN110622104B (zh) 以多角度支撑的电子设备
US9545139B2 (en)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102439789B1 (ko) 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KR102350063B1 (ko)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KR20150142386A (ko)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214063B1 (ko) 보호 커버
KR102575971B1 (ko)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9591904B2 (en) Protecting cover
EP3445025B1 (en) Protection cover
KR102086718B1 (ko) 멀티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보호 장치
US20160099516A1 (en) Electronic devices
EP2993875B1 (en)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ver device
KR101999733B1 (ko)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KR101814007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