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542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542B1
KR101616542B1 KR1020150092103A KR20150092103A KR101616542B1 KR 101616542 B1 KR101616542 B1 KR 101616542B1 KR 1020150092103 A KR1020150092103 A KR 1020150092103A KR 20150092103 A KR20150092103 A KR 20150092103A KR 101616542 B1 KR101616542 B1 KR 101616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spine
support
portable terminal
user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이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일 filed Critical 이재일
Priority to KR102015009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에서 지지되는 경추지지대; 상기 경추 지지대의 일단과 힌지결합하며, 연장 가능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단말기 지지대; 및 상기 경추 지지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서 사용자의 가슴에서 지지되며, 상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J자형으로 형성되는 흉부지지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PORTABLE TERMINAL CRADL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직장인의 경우에는 버스나 지하철등의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통학 및 이동을 하게 된다. 최근 통계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직장인들의 출근시간은 대략 1시간 정도가량 된다.
최근에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통근자 및 통학자들은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동안 스마트폰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인터넷 강의를 듣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폰을 장시간 손으로 들고 있는 경우, 팔이 아프게 되고 자세도 자연스레 앞으로 숙이게 되어서 목에 통증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급정차시, 스마트폰을 잡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넘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큰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더욱이, 팔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힘들어지게 되다.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을 편리하게 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슴으로 주로 지지함으로써, 목에 부담을 적게 주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서는 셀카봉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이어마이크폰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에서 지지되는 경추지지대; 상기 경추 지지대의 일단에 결합되며, 연장 가능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단말기 지지대; 및 상기 경추 지지대의 타단에서 회전 연장되어서 상기 연장부와 경추 지지대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사용자의 가슴에서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흉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흉부 지지대는 J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경추 지지대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단말기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추 지지대의 하면에는, 상기 흉부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흉부 지지대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추 지지대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상호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경추 지지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경추 지지대에 설치되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어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은 릴타입 유선 이어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흉부지지대에 형성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경추 지지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경추 지지대에 형성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촬영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촬영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추 지지대는,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대와 결합하는 제 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 2 지지대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는, 상기 제 2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2 지지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에서 지지되는 경추지지대, 상기 경추 지지대는 상호 접철되는 제 1 지지대 및 제 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 지지대에 결합되며, 연장 가능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단말기 지지대; 및 상기 경추 지지대의 타단에서 회전 연장되어서 상기 연장부와 경추 지지대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사용자의 가슴에서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J 자형 흉부 지지대, 상기 흉부 지지대의 외경은 상기 경추 지지내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구성되어서, 상기 흉부지지대가 상기 경추지지대에 밀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추 지지대에 설치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촬영 개시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에서 지지되는 경추지지대; 상기 경추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장 가능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단말기 지지대; 및 상기 경추 지지대의 타단에서 회전 연장되어서 상기 연장부와 경추 지지대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사용자의 가슴에서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흉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단말기 지지대가 셀카봉으로서 기능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적절한 거리를 두고 스마트폰을 통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 중 접철 구조를 가져서, 휴대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과 마이크를 내장함으로써,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고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며, 화상 통화시에도 유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중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셀카봉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사용시 일측은 셀카봉으로 다른 측은 이어 마이크로 이용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중 흉부 지지대의 회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중 경추 지지대가 접혀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셀카봉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평면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분리형으로, 블루투스 이어 마이크폰과 셀카봉으로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는 착용자(U:사용자)의 목과 가슴으로 지지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P)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는, 경추 지지대(10), 연장부(20), 단말기 지지대(30), 흉부 지지대(40), 이어폰(80), 마이크(90) 및 스위치 버튼(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추 지지대(1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태를 띠어서 착용자의 목에 감길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 경추 지지대(10)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배터리, 근거리 통신 모듈, 제어기판등의 전자 부품이 내장될 수 있으며, 그 내측으로는,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목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완충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경추 지지대(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리 접철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연장부(20)는, 경추 지지대(10)의 통상적인 안테나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신축 연장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착용자가 원하는 길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볼 수 있게 되다. 이 연장부(20)의 일단에는 단말기 지지대(30)가 설치된다.
단말기 지지대(30)는, 상기 연장부(20)의 일단에 설치되어서, 스마트폰과 같은 파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단말기 지지대(30), 연장부 지지부(31), 회전 힌지부(33) 및 단말기 파지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파지부는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단말기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단말기 파지부(35)에는 전원 공급 단자(35-1)이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20)와 단말기 지지대(30)는, 경추 지지대(10)와 흉부 지지대(40)와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20)와 단말기 지지대(30)는 셀카봉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경추 지지대(10)와 흉부 지지대(40)에는 이어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흉부 지지대(40)는, 회전가능하게 상기 경추 지지대(10)의 타단에 부착된다. 경추 지지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0)와 경추 지지대(10)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사용자의 가슴에서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J 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므로, 착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자신의 목에 상기 경추 지지대(10)를 끼울 수 있게 된다. 또한 흉부 지지대(40)는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상기 연장부(20)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흉부 지지대(40)는, 경추 지지대(10)의 타단에 설치된 힌지부(11)에 의해 회전되어서, 경추 지지대(10)와 일체가 되거나, 경추 지지대(10)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흉부 지지대 삽입부(13) 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성을 높일 수 있께 된다.
이와 같은 흉부 지지대(40)의 일단에는 마이크(90)가 형성되며, 이 마이크(90)는 마이크 힌지부(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마이크 힌지부(41)에 의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의 입력을 위해 회전조절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이 흉부 지지대(40)가 흉부 지지대 삽입부(13)에 삽입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흉부 지지대(40)와 경추 지지대(10)의 곡선 모양이 상이한 경우, 상기 마이크 힌지부(41)를 조절하여, 흉부 지지대(40)를 경추 지지대(10)에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흉부 지지대 삽입부(13)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경추 지지대(10)에는 릴타입 이어폰(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이어폰(80)은 단말기 지지대(30)에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버스나 지하철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 피해를 안주면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흉부 지지대(40)에는 마이크(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80)과 더불어서, 동영상 강의를 듣거나, 혹은 동영상 채팅, 동영상 통화를 할때, 유용하게 된다.
한편, 단말기 파지부(35)에는 전원 공급 단자(35-1)가 형성되어서, 경추 지지대(10)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오랜시간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추 지지대(10) 또는 연장부(20)에는 사용자 입력부(100)가 설치되어서, 셀카 촬영시 또는 동영상 시청시 다양한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또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35-1)와 함께 있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유선으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최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흉부 지지대(40)가 회전하여 접혀져서 휴대성을 높이는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중 흉부 지지대의 회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부 지지대(40)는, 회전 가능하게 경추 지지대(10)에 힌지결합하게 된다. 이 때, J 자형 흉부 지지대(40)(40)는, 경추 지지대(10)의 일부와 폭만 좁을 뿐 비슷한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된다. 한편, 경추 지지대(10)의 저면에는 흉부 지지대 삽입부(1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흉부 지지대(40)가 경추 지지대(10)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흉부 지지대(40)에 삽입되어서, 일체가 된다. 이와 같이 흉부 지지대(40)가 경추 지지대(10)측으로 일체가 됨으로써 휴대성이 우수하게 되다.
이와 유사하게, 흉부 지지대 삽입부(13) 없이, 간단하게 흉부 지지대(40)를 경추 지지대(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흉부 지지대(40)의 외경은 경추 지지대(10)의 내경과 동일 또는 작게 형성되거나, 이와 반대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90)가 위치하는 마이크(90) 지지부(43)는 마이크 힌지부(4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자는 마이크(90)의 각도를 조절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흉부 지지대(40)가 삽입부(13)에 삽입되거나, 또는 흉부 지지대(40)가 제 1 지지대(14)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밀착하도록 회전하는 겨웅, 상기 마이크 힌지부를 조절하여 접철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경추 지지대(10)를 접철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중 경추 지지대가 접혀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지지대(10)는 제 1 지지대(14)와 제 2 지지대(18), 그리고 이들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대(14)와 제 2 지지대(18)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힌지 결합부(19)에 의해 양자가 접히게 됨으로써, 휴대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결합부(19)는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제 1 지지대(14)와 제 2 지지대(18)를 결합시키고, 그 내부에는 탄성지지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지지대른 힌지 결합부(19)와 함께 체결하게 되면, 제 1 지지대(14) 및 제 2 지지대(18)는 외측으로 꺽여질 수 있게 되어서, 개방측을 더 넓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목에 경추 지지대(10)를 끼울 때 보다 편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의해 접혀지는 경우 셀카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셀카봉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우산의 지지봉과 유사한 형태가 되며, 그리고, 접혀진 경추 지지대(10)의 일단에는 촬영 개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0:스위치 버튼)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연장부(2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된다. 단말기 지지대(30)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100)을 누르게 되면 동영상 촬영 또는 정지 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거치대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셀카봉으로성의 기능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평면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는, 단말기 거치부(50)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경추 지지대(1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목에 걸지 않고도, 평상시에 책상위에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분리형으로, 블루투스 이어 마이크과 셀카봉으로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는, 연장부(20)와 경추 지지대(10)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버튼식으로 체결되어서, 버튼(15)을 누르고 양자를 분리시키면, 연장부(20)와 경추 지지대(10)가 분리하게 된다. 이 때, 연장부(20)에는, 블루투스 모듈(내장됨)과 사용자 입력부(100), 제어부(내장됨)등이 위치하게 되며, 경추 지지대(10)와 흉부 지지대(40)에는, 마이크(90)와 이어폰(80)이 형성되게 되며, 그 내부에 또다른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분리된 상태에서, 연장부(20)와 단말기 지지대(30)는 블루투스 셀카봉이 되게 된다. 그리고 경추 지지대(10)와 흉부 지지대(40)는 블루투스 이어마이크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는, 전원 공급단자(35-1). 배터리(60), 근거리 통신모듈(70:블루투스 통신모듈), 이어폰(80), 마이크(90) 사용자 입력부(10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60)와, 근거리 통신 모듈(7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기판등은, 경추 지지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 중 이미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발명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전원 공급 단자(35-1)는 단말기 파지부(35)에 설치되어서, 휴대용 단말기(P)에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 단자(35-1) 및 배터리(6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 걱정 없이 보다 오랜 시간동안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60)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시간을 길게 해주고, 근거리 통신 모듈 (70)및 제어부(11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경추 지지대(10)에는 전원 공급 소켓(미도시)이 설치되어서, 이 배터리(60)는 외부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경추 지지대(10)가 좁고 긴 형태를 지니므로 수용공간의 폭은 좁고 굽어져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작은 사이즈의 배터리가 상호 병렬연결된 형태로 구성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0)은 상기 경추 지지대(10)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사용자 입력부(100)로부터의 촬영 개시 명령을 전송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어폰(80)으로 출력하는 기능, 또한 마이크(90)로부터의 사용자 음성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0)는 경추 지지대(10)에 설치되어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촬영 개시 명령, 동영상 시작 명령, 동영상 멈춤 명령 등의 다양한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촬영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70)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70)로 수신하여 이를 이어폰(8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마이크(9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7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적절한 거리를 두고 스마트폰을 통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 중 접철 구조를 가져서, 휴대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과 마이크를 내장함으로써,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고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며, 화상 통화시에도 유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중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셀카봉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사용시 일측은 셀카봉으로 다른 측은 이어 마이크로 이용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엘이디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경추 지지대
20 : 연장부
30 : 단말기 지지대
40 : 흉부 지지대
50 : 단말기 거치부
60 : 배터리
70 : 근거리 통신 모듈
80 : 이어폰
90 : 마이크
100 : 사용자 입력부(스위치 버튼)
110 : 제어부

Claims (15)

  1.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에서 지지되는 경추지지대;
    상기 경추 지지대에 결합되며, 연장 가능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단말기 지지대; 및
    상기 경추 지지대의 타단에서 회전 연장되어서 상기 연장부와 경추 지지대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사용자의 가슴에서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흉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 지지대의 하면에는, 상기 흉부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흉부 지지대 삽입부가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 지지대는 J 자형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대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단말기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대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호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경추 지지대에 설치되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어폰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릴타입 유선 이어폰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 지지대에 형성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경추 지지대에 형성되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촬영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촬영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1.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에서 지지되는 경추지지대;
    상기 경추 지지대에 결합되며, 연장 가능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단말기 지지대; 및
    상기 경추 지지대의 타단에서 회전 연장되어서 상기 연장부와 경추 지지대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사용자의 가슴에서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흉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 지지대는,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대와 결합하는 제 2 지지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 2 지지대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는, 상기 제 2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대홀이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2 지지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92103A 2015-06-29 2015-06-2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616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03A KR101616542B1 (ko) 2015-06-29 2015-06-2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03A KR101616542B1 (ko) 2015-06-29 2015-06-2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542B1 true KR101616542B1 (ko) 2016-04-28

Family

ID=5591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103A KR101616542B1 (ko) 2015-06-29 2015-06-2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13Y1 (ko) * 2016-05-24 2017-03-15 강철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KR20200066267A (ko) * 2020-02-05 2020-06-09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800A (ko) * 2005-04-18 2006-10-23 최후림 하드타입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 거치장치
JP2007128011A (ja) * 2005-10-31 2007-05-24 Yoshizo Fujimoto カメラホルダー付き伸長腕
US20080158411A1 (en) * 2007-01-03 2008-07-03 Jamey Firnberg Gooseneck video device holder
KR20110027204A (ko) * 2009-09-10 2011-03-16 박재욱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800A (ko) * 2005-04-18 2006-10-23 최후림 하드타입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 거치장치
JP2007128011A (ja) * 2005-10-31 2007-05-24 Yoshizo Fujimoto カメラホルダー付き伸長腕
US20080158411A1 (en) * 2007-01-03 2008-07-03 Jamey Firnberg Gooseneck video device holder
KR20110027204A (ko) * 2009-09-10 2011-03-16 박재욱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13Y1 (ko) * 2016-05-24 2017-03-15 강철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KR20200066267A (ko) * 2020-02-05 2020-06-09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102128755B1 (ko) 2020-02-05 2020-07-01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9927B (zh) 便携式电子、电气设备的配件
US20210181610A1 (en) Handheld devic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6619357B2 (ja) 腕時計型スマート端末機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US9473190B1 (en) Phone case with built-in holder
JP3193967U (ja) 無線充電ホルダー
US11570917B2 (en) Portable monitor and peripherals hub system
KR20160129507A (ko)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101616542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07027078B (zh) 可穿戴式的耳机配件、无线耳机以及耳机产品
KR200476796Y1 (ko)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CN106483662A (zh) 用于后置式穿戴的多媒体智能眼镜
TW202206969A (zh) 可攜式監視器及週邊裝置插座系統
KR101350362B1 (ko)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KR20160137325A (ko)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JP2009033765A (ja) ヘッドホン機能付携帯電話
KR20180083007A (ko)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200482913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KR200456288Y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102272058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JP5338002B1 (ja) 電子機器を収納するフォルダー
US20170195469A1 (en) System and apparatus attaching to a mobile device for providing hands-free use thereof and carrying personal items thereon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CN105828549A (zh) 一种移动终端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