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418A -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418A
KR20200064418A KR1020180150528A KR20180150528A KR20200064418A KR 20200064418 A KR20200064418 A KR 20200064418A KR 1020180150528 A KR1020180150528 A KR 1020180150528A KR 20180150528 A KR20180150528 A KR 20180150528A KR 20200064418 A KR20200064418 A KR 20200064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tating body
frame
camera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636B1 (ko
Inventor
고영화
Original Assignee
고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화 filed Critical 고영화
Priority to KR102018015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6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5/23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촬영기기를 거치하는 홀더부, 볼 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둘러싸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어링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에 거치한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손잡이부, 및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작동할 때 길이 조절에 의해 무게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다단 형태로 구성되는 스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CAMERA ASSIST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진행할 때 카메라 홀더부를 다각도로 회전시키는 손잡이부에 스태빌라이징(stabilizing)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영상촬영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인해 우리 주변에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가 사라졌을 뿐만 아니라 캠코더도 자취를 감췄다. 요즘은 전문적인 용도가 아니라면 영상을 찍을 때 스마트폰이나 액션캠을 사용하는 것을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또한, SNS가 발달함에 따라 개인 컨텐츠가 활성화된 1인 미디어 시장이 도래됐다. 누구나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카메라로 쉽게 촬영하고 나만의 개성을 담은 컨텐츠들이 인터넷에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촬영은 이제 소수의 영역이 아닌 대중적으로 즐길 수 있는 행위로 진화했다. 사람들은 더욱 역동적인 컨텐츠를 끊임없이 갈망하고 있을 때 영상 세대인 현재 젊은이들은 새로운 영상 시대를 열고 있다.
정적인 사진에 비해 동적인 영상은 사진에 비해 신경 써야 할 요소들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보기 편하기 위해 깔끔하고 덜 흔들린 결과물을 원하면서도, 찍을 때는 촬영자가 부담없이 간편하게 촬영하기를 원한다.
그런데, 동영상을 찍을 때는 몰랐지만 다 찍고 나서 결과물을 보면 흔들림 때문에 몹쓸 영상이 찍힌 것을 보고 속이 상하곤 한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촬영할 때 삼각대, 셀카봉, 짐벌(Gimbal) 등의 촬영 보조장치를 많이 사용했다.
그러나, 촬영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하며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삼각대의 이용이 어려우며 이동에 따른 진동 및 흔들림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촬영 결과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다양한 각도로 촬영하기 어려웠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817(2015.11.06)호는 촬상장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파지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다른 다수의 바가 삽입 연결된 조절바, 상기 조절바와 연결되어 촬상장치가 고정되는 거치대, 상기 몸체에는 리모트컨트롤러 버튼이 구비되어 제어신호를 보내줌으로써 거치대에 고정된 촬상장치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압력을 제어하는 감속장치, 상기 감속장치는 굴곡진 호 형상의 타단이 중앙의 축공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축공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축회전체, 상기 가이드공에 끼워지며 상기 축회전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축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마찰 회전되면서 축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공에 형성된 범위까지 가이드되는 하나 이상의 위성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507(2016.11.09)호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복수 개의 레그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817(2015.11.06)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507(2016.11.0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이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진행할 때 카메라 홀더부를 다각도로 회전시키는 손잡이부에 스태빌라이징(stabilizing)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영상촬영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볼(ball) 형상의 회전체를 중심으로 3축으로 베어링을 설치하여 3축을 기준으로 하는 볼회전을 통해 흔들림 방향에 상관없이 흔들림을 잡아줌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핸들 바로 위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좌우 떨림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는 촬영기기를 거치하는 홀더부, 볼 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둘러싸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어링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에 거치한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손잡이부, 및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작동할 때 길이 조절에 의해 무게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다단 형태로 구성되는 스틱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는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함께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틸트프레임, 상기 틸트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과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 및 상기 틸트프레임이 틸팅되었을 때 상기 스틱부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촬영기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가 안착될 수 있는 내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내공간에 안착된 상기 회전체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및 하부 양측 상에 각각 구비되어 3개의 축을 형성하는 3개의 베어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베어링들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스틱부를 잇는 가상의 수직선을 제1 축이라 할 때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베어링, 및 상기 회전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축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베어링 및 제 3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핸들, 및 선단에 상기 회전체가 결합되고 후단에 상기 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프레임은 상기 핸들의 좌우 떨림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과의 결합 부위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축회전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틱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틱부를 바닥 위에 세우는 삼각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삼각대는 상기 스틱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레그들, 상기 복수개의 레그들이 방사형으로 전개되었을 때 상기 복수개의 레그들을 지지하는 레그서포터, 및 상기 스틱부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레그들을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클램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는 손잡이부에 스태빌라이징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영상 촬영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손잡이부가 다각도로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화각의 제한없이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는 볼 형상의 회전체를 중심으로 3축으로 베어링을 설치하여 3축을 기준으로 하는 볼회전을 통해 흔들림 방향에 상관없이 흔들림을 잡아줌과 동시에 핸들 바로 위에도 베어링을 설치하여 좌우 떨림도 잡아줌으로써, 이동중에도 안정적인 촬영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있는 홀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있는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스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삼각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는 홀더부(100), 손잡이부(200), 스틱부(300) 및 삼각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부(100)는 촬영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기울기 조절을 통한 틸팅이 가능하고, 틸팅을 통해 피사체에 대한 촬영기기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기기는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 등 일반적으로 휴대가 가능하며, 사진, 동영상 등의 다양한 포맷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손잡이부(200)는 홀더부(10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며,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기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 중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00)는 이동하면서 촬영시 홀더부(10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는 스태빌라이징 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틱부(300)는 손잡이부(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00) 상부에 결합된 홀더부(100)를 지지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홀더부(100)를 바닥 위에 세우는 지지대 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셀피스틱(selfie-stick)의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삼각대(400)는 스틱부(300)가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경우 스틱부(300)가 안정적으로 바닥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구성이고, 동시에 흔들림 방지를 위한 무게추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있는 홀더부(100)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홀더부(100)는 촬영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틸트프레임(130)과 틸트프레임(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른 구성과 연결하는 조인트(140) 및 틸팅되었을 때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슬라이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프레임(120)은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20)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하부프레임(120)과 함께 하부프레임(120)에 안착된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프레임(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20)의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26)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바(116)를 통해 하부프레임(120) 상에서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부프레임(110)의 슬라이드바(116)는 슬라이드홈(126)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118)에 의해 수축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하부프레임(120)과의 거리가 벌어졌을 때 하부프레임(120)를 향해 복귀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 사이에 촬영기기가 거치되었을 때 촬영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또한, 하부프레임(120)에는 영상 촬영 시 영상 화면의 수평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촬영기기의 수평상태 및 정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평계(124)는 촬영기기의 수평을 측정하여 촬영 결과물의 수평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하부프레임(12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프레임(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틸트프레임(130)은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틸트프레임(130)과 슬라이더(150)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140)에 의해 스틱부(300)를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140)는 틸트프레임(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요크(142) 및 슬라이더(150) 상에 형성되는 제2 요크(144), 그리고 제1 요크(142)와 제2 요크(144)를 축 연결하는 조인트핀(1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핀(146)의 일측에는 노브가 구비되고 노브의 회전을 통해 제1 요크(142)를 제2 요크(144)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제1 요크(142)와 연결된 틸트프레임(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프레임(120)은 틸트프레임(130) 상에서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촬영기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틸트프레임(13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틸트프레임(130)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120)은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조절부재(128)에 의해 틸트프레임(130)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128)는 통상의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하부프레임(120)은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틸트프레임(130)으로부터 승하강할 수 있으며, 조절부재(128)를 회전축으로 삼아 가이드홀 상에서 회전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있는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는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기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 중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스태빌라이저(210)와 핸들(220) 및 핸들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210)는 홀더부(100) 또는 홀더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스틱부(300) 상에 연결되어, 이동 촬영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흔들림으로부터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2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ball) 형상의 회전체(211)와, 회전체(211)의 일부를 둘러싸는 연결부재(213) 및 연결부재(213)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어링들(215,217,21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체(211)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볼회전에 의해 손잡이부(200)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완화시킴과 동시에 분산시켜 홀더부(100)의 흔들림에 의해 촬영기기의 화면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체(211)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홀더부(100)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횡회전, 상하회전, 복합회전 등 다각도로 구동시키면서 촬영기기의 화면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213)는 내공간(S)을 형성하여 내공간(S)에 회전체(211)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13)의 내공간(S)에 안착된 회전체(211)를 중심으로 연결부재(213)의 상부 및 하부 양측 상에는 제1 내지 제3 베어링(215,217,219)이 각각 구비되어 3개의 축을 형성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베어링(215)은 회전체(2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체(21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홀더부(100)와 스틱부(300)를 잇는 가상의 수직선을 제1 축이라 할 때,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 베어링(217) 및 제3 베어링(219)은 회전체(21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1 축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체(21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에서, 제1 내지 제3 베어링(215,217,219)은 회전체(211)의 외주면을 따라 동시에 그리고 한번에 자유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210)는 이동 중의 촬영 시 어떤 방향으로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기기가 수평 및 연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한 방향에 대하여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촬영기기의 정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핸들(220)은 촬영 보조장치를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22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핸들프레임(230)의 일단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여기에서, 핸들(220)은 손바닥이 닿는 부분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230)은 선단에 회전체(211)가 결합되고, 후단에 핸들(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여기에서, 핸들프레임(230)은 핸들(220)과의 결합 부위에 베어링(231)과 회전축(233)이 마련되어 축 회전하는 베어링(231)을 통해 핸들(220)을 잡은 손위에 바로 토크가 걸릴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핸들(220)은 베어링(231)에 의해 좌우 회전할 수 있고 촬영기기로 가는 좌우 떨림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230)은 회전축(233)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들(220)의 각도 제어가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태빌라이저(210)의 구동을 위해서는 스태빌라이저(210)가 정립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하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일 실시예에서, 스틱부(300)의 카운터 웨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스틱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틱부(300)는 홀더부(1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스태빌라이저(210)가 홀더부(100)를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카운터 웨이트(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카운터 웨이트(410)는 스태빌라이저(210)가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장치를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무게중심을 맞추는데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운터 웨이트(4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무게로 교체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부가적인 보조배터리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틱부(30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홀더부(100)를 바닥 위에 세우는 지지대 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셀피스틱의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틱부(300)는 다수개의 축이 서로 연결 구성되되,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틱부(300)는 제1 조절바(310), 제2 조절바(320) 및 제3 조절바(33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절바가 다단으로 연결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틱부(300)가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경우 스틱부(300)가 안정적으로 바닥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삼각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삼각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삼각대(400)는 복수개의 레그(420), 레그서포터(430), 클램프링(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그(420)는 스틱부(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클램프링(440)에 연결되어 클램프링(440)의 이동에 따라 스틱부(30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전개된다.
이때, 클래프링(440)은 스틱부(300)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스틱부(300)를 따라 이동하여 레그(420)를 펼치거자 접히도록 할 수 있으며, 고리의 양단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나사 또는 볼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레그서포터(430)는 레그(420)가 전개되었을 때 레그(4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레그서포터(430)는 레그(420)가 스틱부(300)에 접혀 있을 때는 함께 접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삼각대(400)는 촬영기기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경우에 스틱부(300)로부터 전개되어 홀더부(100)를 포함하는 촬영 보조장치를 바닥으로부터 세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삼각대(400)는 이동 중의 촬영시에는 스틱부(300)에 접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셀피스틱 역할을 하는 스틱부(300)를 파지할 때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는 카메라 홀더부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이동시에도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에서 홀더부와의 결합부위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부위의 두 지점에 토크가 걸리게 되어 흔들림 발생을 최소화하고 이동중에도 촬영 화면의 회전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홀더부
110: 상부프레임 120: 하부프레임
130: 틸트프레임 140: 조인트
150: 슬라이더
200: 손잡이부
210: 스태빌라이저
211: 회전체 213: 연결부재
215,217,218,231: 베어링
220: 핸들 230: 핸들프레임
233: 회전축
300: 스틱부 400: 삼각대

Claims (8)

  1. 촬영기기를 거치하는 홀더부;
    볼 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둘러싸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어링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에 거치한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손잡이부; 및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작동할 때 길이 조절에 의해 무게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다단 형태로 구성되는 스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함께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틸트프레임;
    상기 틸트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과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 및
    상기 틸트프레임이 틸팅되었을 때 상기 스틱부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촬영기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가 안착될 수 있는 내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내공간에 안착된 상기 회전체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및 하부 양측 상에 각각 구비되어 3개의 축을 형성하는 3개의 베어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베어링들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스틱부를 잇는 가상의 수직선을 제1 축이라 할 때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베어링; 및
    상기 회전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축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베어링 및 제 3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핸들; 및
    선단에 상기 회전체가 결합되고 후단에 상기 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프레임은
    상기 핸들의 좌우 떨림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과의 결합 부위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축회전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틱부를 바닥 위에 세우는 삼각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삼각대는
    상기 스틱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레그들;
    상기 복수개의 레그들이 방사형으로 전개되었을 때 상기 복수개의 레그들을 지지하는 레그서포터; 및
    상기 스틱부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레그들을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클램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1020180150528A 2018-11-29 2018-11-29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10212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528A KR102120636B1 (ko) 2018-11-29 2018-11-29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528A KR102120636B1 (ko) 2018-11-29 2018-11-29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418A true KR20200064418A (ko) 2020-06-08
KR102120636B1 KR102120636B1 (ko) 2020-06-09

Family

ID=7108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528A KR102120636B1 (ko) 2018-11-29 2018-11-29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6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5844A1 (en) * 2005-06-20 2006-12-21 Gali Hershenzon Support for a camcorder
US20070264004A1 (en) * 2006-05-11 2007-11-15 Daggett George D Multiple image mosaic photograph camera mount and method
CN202339466U (zh) * 2011-10-21 2012-07-18 杨子良 一种摄影稳定器
KR20150124817A (ko) 2014-04-29 2015-11-06 유승곤 촬상장치 보조기구
KR20160074995A (ko) * 2014-12-19 2016-06-29 (주)성박 회전 셀카봉
KR20160129507A (ko)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101775871B1 (ko) * 2017-03-29 2017-09-06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5844A1 (en) * 2005-06-20 2006-12-21 Gali Hershenzon Support for a camcorder
US7563038B2 (en) * 2005-06-20 2009-07-21 Lino Manfrotto + Co. S.P.A. Support for a camcorder
US20070264004A1 (en) * 2006-05-11 2007-11-15 Daggett George D Multiple image mosaic photograph camera mount and method
CN202339466U (zh) * 2011-10-21 2012-07-18 杨子良 一种摄影稳定器
KR20150124817A (ko) 2014-04-29 2015-11-06 유승곤 촬상장치 보조기구
KR20160074995A (ko) * 2014-12-19 2016-06-29 (주)성박 회전 셀카봉
KR20160129507A (ko)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101775871B1 (ko) * 2017-03-29 2017-09-06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636B1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8277B2 (ja) 機器支持具、該機器支持具用ハンドル、安定化画像の記録方法及び該記録方法による安定化記録画像
US9052573B2 (en) Video camera motion stabilizing device
KR101775871B1 (ko)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US6439515B1 (en) Video camera support device
WO2017215064A1 (zh) 一种手持稳定器
KR102019901B1 (ko) 촬영 보조장치
US10921690B2 (en) Gimbal photographing device
US20140037281A1 (en) Camera stab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W201126088A (en)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KR20160000408U (ko)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20170099073A (ko) 3축 흔들림 보정장치가 구비된 영상촬영 짐벌기구
JP2011118017A (ja) 撮影補助装置
CN205402137U (zh) 一种手持式摄像、摄影辅助稳定器的重心平衡机构
US20050128347A1 (en) Tripod of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120636B1 (ko)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JP2002040551A (ja) 携帯可能なスタンド
JPH05161037A (ja) 撮影用クレーン装置
JP2014228824A (ja) 撮影用携帯カメラクレーン
KR101957928B1 (ko)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CN211176005U (zh) 集成相机机身的云台组件和拍摄设备
JPH10232446A (ja) カメラ支持装置
Borchers Using a Tripod
WO2022217511A1 (zh) 手持云台及云台相机
JP2010032981A (ja) 撮影者と背後の風景を一緒に写し込める簡易カメラ保持具
CN220711587U (zh) 一种云台影像摄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