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01B1 - 촬영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9901B1 KR102019901B1 KR1020180154401A KR20180154401A KR102019901B1 KR 102019901 B1 KR102019901 B1 KR 102019901B1 KR 1020180154401 A KR1020180154401 A KR 1020180154401A KR 20180154401 A KR20180154401 A KR 20180154401A KR 102019901 B1 KR102019901 B1 KR 102019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stick
- photographing
- photographing device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에 대한 촬영각도를 조절하였을 때 변화되는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어 화각의 제한없이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촬영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틸팅될 수 있게 마련되는 홀더부와, 짐벌(gimbal)구조를 갖고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그립을 포함하는 핸들부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를 지지하며 타단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상기 홀더부를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카운터 웨이트가 구비되는 스틱부와, 상기 홀더부와 상기 스틱부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가 틸팅되었을 때 상기 스틱부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구비된 상기 스틱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촬영기기의 고정 촬영 시 복수 개의 레그가 방사형으로 전개되어 상기 스틱부를 바닥 위에 세우는 포드부를 포함하는 촬영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영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에 대한 촬영각도를 조절하였을 때 변화되는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어 화각의 제한없이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촬영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 등 다양한 촬영기기를 통한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촬영기기의 안정적인 고정 및 정립은 고품질의 영상을 얻어내기 위한 필수조건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촬영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삼각대와 같은 다양한 보조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조장치를 통해 촬영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피사체를 추적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촬영기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하며 촬영을 수행하는 핸들헬드(handheld)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삼각대의 이용이 어려우며 이동에 따른 진동 및 흔들림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영상을 얻어내기 힘들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핸드헬드의 촬영 시 흔들림을 방지해주는 스테디 캠(steady cam)과 같은 장비가 개발되어 있으나, 종래 스테디 캠의 경우 고가의 장비이며 휴대가 어려운 크기 등 대중적으로 사용되기에는 여러 문제점이 존재했다.
아울러 종래 스테디 캠의 경우 흔들림 방지로만 이용될 수 있어 고정 촬영 시에는 삼각대와 같은 별도의 보조장치가 요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촬영각도의 조절 시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하기 위해 무게추의 장착 정도를 번거로움을 감수하고 조절해야 했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촬영 보조장치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촬영 보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에 대한 촬영각도를 조절하였을 때 변화되는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어 화각의 제한없이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촬영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는, 촬영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틸팅될 수 있게 마련되는 홀더부; 짐벌(gimbal)구조를 갖고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그립을 제공하는 핸들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를 지지하며, 타단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상기 홀더부를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카운터 웨이트가 구비되는 스틱부; 상기 홀더부와 상기 스틱부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가 틸팅되었을 때 상기 스틱부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슬라이더부; 및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구비된 상기 스틱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촬영기기의 고정 촬영 시 복수 개의 레그가 방사형으로 전개되어 상기 스틱부를 바닥 위에 세우는 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는,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함께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이 고정되는 틸트프레임; 및 상기 틸트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부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틸트프레임 상에서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며, 촬영기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스틱부를 잇는 가상의 수직선을 Z축이라할 때, 상기 Z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홀더부와 연결된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유닛; 상기 Z축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닛 상에 연결되는 제2 연결유닛; 및 상기 그립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Z축 및 상기 Y축과 각각 직교하는 가상의 X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연결유닛 상에 연결되는 제3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연결유닛, 상기 제2 연결유닛, 상기 제3 연결유닛은 각각 상기 Z축, 상기 Y축, 상기 X축에 대하여 요(yaw), 피치(pitch), 롤(roll)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부는,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가 틸팅되었을 때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의 틸팅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부를 상기 스틱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홀더부가 연결되며, 외주면의 어느 일지점과 반대편 타지점을 관통하는 가이드홈이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디스크; 및 일부분이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삽입되며, 상기 스틱부의 외부로 노출된 다른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헤드가 형성된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크는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가 삽입된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고정볼트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헤드와 상기 디스크가 맞물려 고정되거나 자유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틱부는, 복수 개의 조절바가 다단으로 연결되고, 텔레스코픽 방식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기기가 거치되는 홀더부, 짐벌(gimbal)구조를 갖고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그립을 포함하는 핸들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 및 상기 핸들부가 틸팅될 수 있게 마련되는 스틱부, 상기 스틱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촬영기기의 고정 촬영 시 복수 개의 레그가 방사형으로 전개되어 상기 스틱부를 바닥 위에 세우는 포드부 및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스틱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 및 상기 홀더부가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함께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스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며, 촬영기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틱부는, 상부에 상기 핸들부가 고정되는 틸트프레임 및 상기 틸트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과 상기 스틱부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부는,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가 틸팅되었을 때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부의 틸팅방향을 따라 상기 중량부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부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부 또는 스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중량부를 결속시키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부는, 상측 일부에 신축성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량부 상부에 대상물이 안착될 경우, 상기 밴드를 통해 상기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부는, 상기 홀더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에 대한 상기 중량부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부는, 상기 스틱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틱부에 대한 상기 중량부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틱부는 복수 개의 조절바가 다단으로 연결되고, 텔레스코픽 방식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는,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에 대한 촬영각도를 조절하였을 때 변화되는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어 화각의 제한없이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부 및 포드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확장팩이 상단에 장착된 기본적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가 하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가 스틱부 하단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스틱부에 핸들부가 연결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그립이 고정클립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핸들부가 자성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탄성링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른 포드부가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부 및 포드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확장팩이 상단에 장착된 기본적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가 하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가 스틱부 하단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스틱부에 핸들부가 연결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그립이 고정클립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핸들부가 자성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탄성링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른 포드부가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제1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는 홀더부(100), 핸들부(200), 스틱부(300), 포드부(400), 슬라이더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홀더부(100)는 촬영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기울기 조절을 통한 틸팅이 가능하고, 틸팅을 통해 파시체에 대한 촬영기기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촬영기기는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 폰 등 일반적으로 휴대가 가능하며, 사진, 동영상 등의 다양한 포맷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홀더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틸트프레임(130)과 틸트프레임(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른 구성과 연결하는 조인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프레임(120)은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20)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하부프레임(120)과 함께 하부프레임(120)에 안착된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프레임(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20)의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26)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바(116)를 통해 하부프레임(120) 상에서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부프레임(110)의 슬라이드바(116)는 슬라이드홈(126)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118)에 의해 수축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하부프레임(120)과의 거리가 벌어졌을 때 하부프레임(120)를 향해 복귀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 사이에 촬영기기가 거치되었을 때 촬영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또한 하부프레임(120)에는 영상 촬영 시 영상 화면의 수평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촬영기기의 수평상태 및 정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20)은 틸트프레임(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데, 틸트프레임(130)은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틸트프레임(130)과 슬라이더부(500)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140)에 의해 스틱부(300)를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140)는 틸트프레임(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요크(142) 및 슬라이더부(500) 상에 형성되는 제2 요크(144), 그리고 제1 요크와 제2 요크를 축 연결하는 조인트핀(1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인트핀(146)의 일측에는 노브가 구비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을 통해 제1 요크(142)를 제2 요크(144)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제1 요크(142)와 연결된 틸트프레임(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프레임(120)은 틸트프레임(130) 상에서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촬영기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틸트프레임(13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틸트프레임(130)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틸트프레임(130)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슬릿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틸트프레임(130)으로부터 승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를 회전축으로 삼아 상기 슬릿 상에서 회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핸들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기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 중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스태빌라이저(210, 220, 230)와 그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태빌라이저(210, 220, 230)는 짐벌(gimbal) 구조를 갖고 홀더부(100) 또는 홀더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스틱부(300) 상에 연결되어, 이동 촬영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흔들림으로부터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유닛(210) 및 제1 베어링(212), 제2 연결유닛(220) 및 제2 베어링(222), 제3 연결유닛(230) 및 제3 베어링(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닛(210)은 홀더부(100)와 스틱부(300)를 잇는 가상의 수직선을 Z축이라 할 때, 홀더부(100)와 연결된 스틱부(300)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베어링(212)에 의해 상기 Z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Z축에 대한 요(yaw) 자유도를 갖는다.
제2 연결유닛(220)은 위와 같은 제1 연결유닛(210) 상에 결합되되, 상기 Z축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베어링(222)을 통해 제1 연결유닛(210)과 연결되어, 상기 Y축에 대한 피치(pitch) 자유도를 갖게 된다.
제3 연결유닛(230)은 앞서 설명한 상기 Z축 및 상기 Y축과 각각 직교하는 가상의 X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 연결유닛(220) 상에 마련된 제3 베어링(232)을 통해 제2 연결유닛(220)과 연결되어, 상기 X축에 대한 롤(roll) 자유도를 갖게 된다.
이때 제3 연결유닛(23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2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가상의 X축, Y축, Z축 상에서 요(yaw), 피치(pitch), 롤(roll) 자유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는 이동 중의 촬영 시 발생하는 진동 및 흔들림 속에서도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기기가 수평 및 연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전후, 좌우 방향축에 대하여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촬영기기의 정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스태빌라이저의 구동을 위해서는 스태빌라이저가 정립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하중이 필요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는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스틱부(300)의 카운터 웨이트(410, 도 10 참조)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카운터 웨이트(410)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할 스틱부(300)에 대한 설명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그리고 그립(240)의 경우 앞서 설명한 제3 연결유닛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스태빌라이저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스태빌라이저를 통해 홀더부(100)를 지지하게 할 수 있으며, 이동 중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를 통해 홀더부(10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손에 쥐었을 때 엄지손가락 부분이 놓이게 되는 부분에 곡률을 갖고 유선형으로 형성된 패드(2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손바닥이 닿은 측면 부분은 라운딩 처리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그립(240)은 또한 그립(242)의 종단에는 돌출 형성된 고정핀(24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핀(244)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의 수납 또는 휴대 시 핸들부(200)를 접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핀(244)은 후술한 포드부(400)의 클램프링(4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할 포드부(400)의 설명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이어서, 스틱부(300)는 홀더부(100)와 연결되어 홀더부(1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타단에는 전술한 스태빌라이저(210, 220, 230)가 홀더부(100)를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카운터 웨이트 (410, 도 10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카운터 웨이트(410)는 전술한 스태빌라이저가 홀더부(100)에 거치된 촬영장치를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무게중심을 맞추는데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운터 웨이트(4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무게로 교체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보조배터리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틱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홀더부(100)를 바닥 위에 세우는 지지대 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셀피스틱(selfie-stick)의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틱부(300)는 제1 조절바(310), 제2 조절바(320) 및 제3 조절바(330)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절바가 다단으로 연결되고, 텔레스코픽 방식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틱부(300)가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경우 스틱부(300)가 안정적으로 바닥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는 포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드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410)가 구비된 스틱부(3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촬영기기의 고정 촬영 시에는 복수 개의 레그(420)가 방사형으로 전개되어 홀더부(100)및 스틱부(300)를 바닥 위에 세울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포드부(400)는 복수 개의 레그(420), 레그서포터(430), 클램프링(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그(420)는 스틱부(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클램프링(440)에 연결되어 클램프링(400)의 이동에 따라 스틱부(30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전개되어 일종의 트라이포드(tripod)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링(440)은 스틱부(300)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스틱부(300)를 따라 이동하여 레그(420)를 펼치거나 접히도록 할 수 있으며, 고리의 양단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나사 또는 볼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클램프링(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420)가 스틱부(300)를 감싸도록 접혀 있을 때, 그립(240)의 고정핀(244)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핀홈(442)을 포함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더할 수 있다.
그리고 레그서포터(430)는 레그(420)가 전개되었을 때 레그(4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레그서포터(430)는 레그(420)가 스틱부(300)에 접혀 있을 때는 함께 접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포드부(400)는 촬영기기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촬영 시에는 스틱부(300)로부터 전개되어, 홀더부(100)를 포함하는 촬영 보조장치를 바닥으로부터 세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포드부(400)는 이동 중의 촬영 시에 스틱부(300)에 접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셀피스틱 역할을 하는 스틱부(300)를 파지할 때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사용자가 피사체에 대한 촬영기기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홀더부(100)를 틸팅하게 되면 촬영 보조장치의 전체 무게중심이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전체 무게중심이 변경될 경우 고정 촬영 시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이동 중 촬영 시에는 변경된 무게중심으로 인해 스태빌라이저가 제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운터 웨이터(410)의 무게를 변경하여 무게중심을 재설정하는 방법이 있겠으나 이는 너무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500)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500)는 홀더부(100)와 스틱부(300)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며, 홀더부(100)가 틸팅되었을 때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스틱부(300)에 대한 홀더부(100)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부(500)는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가 틸팅되었을 때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의 틸팅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부를 상기 스틱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슬라이더부(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510), 고정볼트(520) 및 스터드파일(5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510)는 홀더부(100)와 연결되며, 외주면의 어느 일지점과 반대편 타지점을 관통하는 가이드홈(512)이 내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는(510)는 홀더부(100)의 조인트(140) 중 제2 요크(144)와 연결되어 스틱부(300)와 홀더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볼트(520)는 일부분이 스틱부(300)의 일단에 삽입되며, 스틱부(300)의 외부로 노출된 다른 부분에는 가이드홈(512)에 삽입되는 헤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크(510)는 고정볼트(520)의 헤드가 삽입된 가이드홈(512)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볼트(520)는 스틱부(300) 일단에 형성된 스터드파일(530)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볼트(520) 및 스터드파일(530)에는 서로 대응하는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500)는 고정볼트(520)의 헤드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디스크(512)의 가이드홈(512) 내측면에 맞물리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크(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520)의 헤드가 함께 회전되며, 고정볼트(520)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헤드와 디스크(510)가 맞물려 고정되거나 자유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510)를 고정볼트(520)가 스터드파일(530)을 향해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볼트(520)가 삽입됨에 따라 디스크(510)의 아랫면은 스터드파일(530)의 윗면과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510)를 앞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볼트(520)가 스터드파일(530)로부터 풀리게 하면, 고정볼트(520)가 상승하며 디스크(510)의 구속이 해제되어 디스크(510)는 자유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는 슬라이더부(500)를 구성하는 디스크(510)의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홀더부(100)의 틸팅 각도에 대응하여 스틱부(300)의 타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4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410)의 무게 변경 없이 스태빌라이저가 구동할 수 있는 무게중심을 재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라 일부 구성인 제1실시예에서 소정 변경됨을 명시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확장팩이 상단에 장착된 기본적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600)가 하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6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중량부(600)가 스틱부(300) 하단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스틱부(300)에 핸들부(200)가 연결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그립이 고정클립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핸들부(200)가 자성에 의해 고정프레임(130)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에서 탄성링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른 포드부(400)가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보조장치는 중량부(600)를 포함한다.
중량부(600)는 홀더부(100) 또는 스틱부(300)에 결합되어 핸들부(200) 및 홀더부(100)가 정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한다.
중량부(600)는 중심부에 장공(680)이 형성되고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날개부(620)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600)는 ㄷ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심부에 장공(680)이 형성되고 장공(680)에 조절볼트(660)가 관통된다.
조절볼트(660)는 홀더부(100) 상면 또는 스틱부(300) 하면에 결속된다.
이에 따라 홀더부(100) 상면 및 스틱부(300) 하면에는 조절볼트(660)가 삽입되는 나사산홈이 형성된다.
중량부(600)는 장공(680)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핸들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무게중심 및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량부(600)를 장공(680)에 따라 홀더부(100) 또는 스틱부(300)와 상대적 위치 이동을 시킴으로써 무게중심 및 무게균형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촬영 보조장치는 핸드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가 구동될 수 있도록 무게에 따른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무게의 균형 및 무게의 중심을 균형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홀더부(100), 스틱부(300) 및 중량부(600)이다.
우선 홀더부(100)에 핸드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3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슬릿 및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하부프레임(120)의 상하 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이는 홀더부(100)에서 하부프레임(120)이 고정프레임(13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부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10)에 핸드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볼트를 회전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프레임(120)을 회전시켜서 핸드폰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틱부(300)와 수직된 방향으로 하부프레임(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고정프레임(130)에서 하부프레임(120)을 슬릿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부프레임(120)상에서 핸드폰의 위치를 조절하여 세밀하게 무게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제1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스틱부(300)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통해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스틱부(300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여 무게의 중심을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핸드폰 마다 무게가 서로 다름으로 어떠한 핸드폰이 거치되더라도 무게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계속해서 날개부(620)는 밴드(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밴드삽입공(640)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삽입공(640)은 중량부(60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날개부(6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밴드삽입공(6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밴드가 날개부(620)에 지그재그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밴드가 삽입되면서 중량부(600)의 상부에는 보조배터리와 같은 부가적인 대상물이 결속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촬영 보조장치를 사용하면서 홀더부(100)에 거치되는 핸드폰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배터리 소진에 따른 충전을 위한 보조배터리를 홀더부(100)와 인접한 중량부(600)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시간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중량부(600)는 촬영 보조장치의 무게 중심을 상부로 이동시킴으로 보다 안전하게 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중량부(600)는 홀더부(100) 상부에 장착되는 형상과 180도 뒤집힌 형태로 스틱부(300)에 장착된다.
이를 통해 포드부(400)가 방사형으로 펼쳐지면서 포드부(400)가 스틱부(300)를 지지할 뿐 아니라, 스틱부(300) 하단에 중량부(600)가 결속되면서 날개부(620)가 포드부(400)와 함께 스틱부(300)를 지지하는 오발이 구조로 안정되게 스틱부(300)를 정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조인트(140)의 위치가 핸들부(200) 하부로 이동되었다.
제1실시예에서는 조인트(140)가 틸트프레임(130)과 슬라이더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조인트(140)가 핸들부(200)와 스틱부(300) 사이에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서 홀더부(100)는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함께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하는 상부프레임(110) 및 상기 스틱부(300)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일면과 접촉되며, 하부프레임(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30)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30)은 본래 제1실시예에서 틸트프레임(130)으로 구성되었으나 조인트(140)가 핸들부(200)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프레임(130)은 홀더부(10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30) 하부에 핸들부(200)가 구비되고 핸들부(200) 하부에 조인트(140)가 구비되며 조인트(140) 하부에 스틱부(300)가 이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조인트(1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요크(142), 제2요크(144) 및 제1요크(142) 및 제2요크(144)를 축 연결하는 조인트핀(146)을 포함한다.
조인트핀(146)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도록 일부가 노브가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그립의 형상이 소정 변경되었다.
그립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입체적인 두께감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그립은 둘레의 일부에 고정홈(244)이 형성되고 클램프링(440)의 일부에는 결합부재(44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이동시에는 그립의 고정홈(244)이 결합부재(442)에 억지끼움되어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그립은 본 발명의 촬영 보조장치가 셀카봉으로 사용될 시, 그립을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유닛(230)은 자성을 띄는 자성체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130)의 내부에 자성체가 구비됨으로써 제3연결유닛(230)이 고정프레임(130)에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을 상부로 이동시킴으로 사용자는 셀카봉으로 사용시에 포드부(400)를 파지하여 그립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다음 도 9는 포드부(400) 및 카운터 웨이트(41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실시예에서 카운터 웨이트(410)가 하중을 제공하여 무게 중심을 맞추는 구성이 아니라 레그(420)의 일부를 감싸면서 레그(420)가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카운터 웨이트(410)는 스틱부(300)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부로 이동되려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410)는 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최초 위치로 복귀되며, 최초 위치에서 레그(420)의 끝단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카운터 웨이트(410)는 외력에 의해 스틱부(300) 하부로 이동되면 레그(420)가 방사형으로 펼쳐진다.
여기서 레그(420)의 단부와 인접하여 스틱부(300)에 형성되고 레그(420)와 함께 스틱부(300)의 둘레를 형성하는 탄성제공부재(460)를 포함한다.
탄성제공부재(460)는 레그(420)를 바라보는 일면에 탄성돌기(46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를 통해 탄성돌기(462)가 레그(420)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410)가 하부로 이동되면 레그(420)는 탄성돌기(462)의 반발력에 의해 외측으로 소정 펼쳐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홀더부
200: 핸들부
300: 스틱부
400: 포드부
500: 슬라이더부
600: 중량부
200: 핸들부
300: 스틱부
400: 포드부
500: 슬라이더부
600: 중량부
Claims (19)
- 촬영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틸팅될 수 있게 마련되는 홀더부;
짐벌(gimbal)구조를 갖고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기기의 이동 촬영 시 상기 촬영기기를 정립상태로 유지해주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그립을 포함하는 핸들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를 지지하며, 타단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상기 홀더부를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카운터 웨이트가 구비되는 스틱부;
상기 홀더부와 상기 스틱부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가 틸팅되었을 때 상기 스틱부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슬라이더부;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구비된 상기 스틱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촬영기기의 고정 촬영 시 복수 개의 레그가 방사형으로 전개되어 상기 스틱부를 바닥 위에 세우는 포드부; 및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스틱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 및 상기 홀더부가 정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촬영기기가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함께 상기 촬영기기를 맞물어 고정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이 고정되는 틸트프레임; 및
상기 틸트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부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틸트프레임 상에서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촬영기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틸트프레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촬영기기의 수평상태 및 정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가 틸팅되었을 때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의 틸팅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부를 상기 수평계에 의해 상기 촬영기기의 수평상태가 맞춰질 때까지 상기 스틱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홀더부가 연결되며, 외주면의 어느 일지점과 반대편 타지점을 관통하는 가이드홈이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디스크; 및
일부분이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삽입되며, 상기 스틱부의 외부로 노출된 다른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헤드가 형성된 고정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가 삽입된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고정볼트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헤드와 상기 디스크가 맞물려 고정되거나 자유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량부는,
상기 촬영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가 틸팅되었을 때 변화된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부의 틸팅방향을 따라 상기 중량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촬영 보조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스틱부를 잇는 가상의 수직선을 Z축이라할 때,
상기 Z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홀더부와 연결된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유닛;
상기 Z축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닛 상에 연결되는 제2 연결유닛; 및
상기 그립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Z축 및 상기 Y축과 각각 직교하는 가상의 X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연결유닛 상에 연결되는 제3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연결유닛, 상기 제2 연결유닛, 상기 제3 연결유닛은 각각 상기 Z축, 상기 Y축, 상기 X축에 대하여 요(yaw), 피치(pitch), 롤(roll) 자유도를 갖는 촬영 보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는,
복수 개의 조절바가 다단으로 연결되고, 텔레스코픽 방식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촬영 보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부 또는 스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중량부를 결속시키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촬영 보조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측 일부에 신축성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량부 상부에 대상물이 안착될 경우, 상기 밴드를 통해 상기 대상물을 고정하는 촬영 보조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홀더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에 대한 상기 중량부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되는 촬영 보조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스틱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틱부에 대한 상기 중량부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되는 촬영 보조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15259 WO2019112299A1 (ko) | 2017-12-04 | 2018-12-04 | 촬영 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5354 | 2017-12-04 | ||
KR20170165354 | 2017-12-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5975A KR20190065975A (ko) | 2019-06-12 |
KR102019901B1 true KR102019901B1 (ko) | 2019-09-11 |
Family
ID=6684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4401A KR102019901B1 (ko) | 2017-12-04 | 2018-12-04 | 촬영 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99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26729A1 (zh) * | 2019-08-12 | 2021-02-18 |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 拍摄设备的固持装置及云台 |
KR200494226Y1 (ko) | 2020-03-09 | 2021-09-23 | 정승교 |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
CN114001257B (zh) * | 2021-11-19 | 2023-08-15 | 杭州背包智能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落地式直播一体机 |
US11966148B2 (en) * | 2022-07-31 | 2024-04-23 | Jared Cohn | Telescoping pole |
CN221857985U (zh) * | 2022-11-05 | 2024-10-18 | 深圳市豪华联合科技有限公司 | 拍摄支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3540B1 (ko) * | 2014-12-18 | 2015-07-02 | 김달천 | 자동 수평 유지장치가 구비된 셀프 촬영 보조장치 |
KR101775871B1 (ko) * | 2017-03-29 | 2017-09-06 | 고영화 |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5166U (ja) * | 1992-04-13 | 1993-11-16 | 船井電機株式会社 | 携帯用電気機器のバンド取付構造 |
KR20030039208A (ko) * | 2001-11-12 | 2003-05-17 | 최경구 | 화상카메라 고정장치 |
KR101239189B1 (ko) * | 2011-08-08 | 2013-03-06 | 임경수 |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
-
2018
- 2018-12-04 KR KR1020180154401A patent/KR1020199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3540B1 (ko) * | 2014-12-18 | 2015-07-02 | 김달천 | 자동 수평 유지장치가 구비된 셀프 촬영 보조장치 |
KR101775871B1 (ko) * | 2017-03-29 | 2017-09-06 | 고영화 |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5975A (ko) | 2019-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9901B1 (ko) | 촬영 보조장치 | |
US8985878B2 (en) | System for camera stabilization | |
JP5593329B2 (ja) | 機器の安定化支持装置およびその平衡化方法 | |
TWI509182B (zh) | 用以平穩地支持動作敏感影像擷取裝置之穩固安裝架及方法 | |
CN106534701B (zh) | 手持云台 | |
EP2521939B1 (en) | Balanced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 |
US8845103B2 (en) |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 |
JP2798277B2 (ja) | 機器支持具、該機器支持具用ハンドル、安定化画像の記録方法及び該記録方法による安定化記録画像 | |
US20120106941A1 (en) |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 |
US9052573B2 (en) | Video camera motion stabilizing device | |
US20140037281A1 (en) | Camera stab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US8585205B2 (en) |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 |
CN111306408B (zh) | 一种手持稳定器 | |
CN109844396A (zh) | 云台支架 | |
WO2019112299A1 (ko) | 촬영 보조장치 | |
KR20170099073A (ko) | 3축 흔들림 보정장치가 구비된 영상촬영 짐벌기구 | |
KR20140048773A (ko) | 영상장비 스태빌라이저 | |
WO2022193214A1 (zh) | 手持云台、拍摄装置、及可移动平台 | |
KR102120636B1 (ko) |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 |
JP2001092001A (ja) | 撮影補助装置 | |
JP6168750B2 (ja) | 撮影機器保持装置 | |
JP6710880B1 (ja) | 撮影器具 | |
JPH10232446A (ja) | カメラ支持装置 | |
JP2020122952A (ja) | カメラ保持具 | |
KR200342057Y1 (ko) | 핸드헬드 카메라 안정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