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26Y1 -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 Google Patents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26Y1
KR200494226Y1 KR2020200000803U KR20200000803U KR200494226Y1 KR 200494226 Y1 KR200494226 Y1 KR 200494226Y1 KR 2020200000803 U KR2020200000803 U KR 2020200000803U KR 20200000803 U KR20200000803 U KR 20200000803U KR 200494226 Y1 KR200494226 Y1 KR 200494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oving
variable
rail
photograph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063U (ko
Inventor
정승교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정승교
정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교, 정원석 filed Critical 정승교
Priority to KR2020200000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2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Abstract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레일을 따라 촬영장비의 이동 및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거치시키고자 하는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로써,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고정부재; 상기 원판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와, 상기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가변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가변부재가 구비되는 회전슬라이딩부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슬라이딩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마련하여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진 레일에 따라 이동부재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레일의 폭에 관계없이 촬영장비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 설치된 제1 회전부재를 중심으로 제2 회전부재 내지 제4 회전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촬영장비의 이동 및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바퀴부재 및 거치용 고정부재를 자유로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Variable shooting equipment moving stand}
본 고안은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현장에서 촬영장비로 영상을 찍을 때 촬영현장에 마련된 이동레일의 폭에 맞추어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은 개인적인 취미 활동으로서 뿐만 아니라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 홍보를 위한 상업용 영상자료, 소규모의 단편영화 촬영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
특히, 종래 동영상 촬영은 주로 영화, 방송 등 한정된 분야에서만 이루어졌으나, 최근 들어 그 사용범위 등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즉, 고가의 전문 촬영장비 뿐만 아니라 보급형의 각종 컴팩트 카메라, 디지털 일안반사식렌즈(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캠코더 등을 사용하여도 일정 수준 이상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해지고, 더구나 효과적인 동영상 촬영을 보조해 주는 각종 보조 장치나 액세서리 등이 개발됨에 따라 개인이나 소규모 기업에서도 자신의 제품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촬영은 주로 촬영자가 카메라를 손에 들고 촬영을 하거나 장시간 노출이 필요한 촬영 등의 경우 삼각대 등의 고정수단에 카메라를 고정한 후 정지하고 있거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 경우 촬영하는 시점은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양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영상에 다양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이동하면서 촬영된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된 시점에서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촬영자가 카메라를 들고 이동하거나 카메라가 고정된 삼각대를 들고 이동을 하여야 한다. 정지된 피사체를 정지영상으로 촬영하는 경우 이러한 이동을 하여도 촬영에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지만,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피사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의 이동에 따라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카메라를 사람이 들고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경우 사람의 움직임은 매끄럽지 못하고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촬영되는 동영상 또한 균일한 속도로 이동되는 시점에서 촬영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면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영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사람이 촬영 각도를 잡기 어려운 위치(예를 들면, 바닥에서 상방을 향하여 촬영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촬영시점이 변화하는 경우 연속적인 느낌의 동영상 촬영이 매우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방송이나 영화 촬영시에는 촬영장소의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여 카메라가 해당 레일 위를 이동하면서 촬영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촬영현장에 설치되는 레일의 폭이 다른 경우에는 이동거치대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레일에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량물인 촬영장비 등의 이동이 어려우며, 촬영장비 등을 안정되게 거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사용 편의성과 수납성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용 레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사용 편의성과 수납성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용 레일 장치는 촬영장치가 안착되어 이동 촬영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 단에 체결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을 따라 이동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다리 및 상기 슬라이딩 다리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연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이동촬영용 보조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이동촬영용 보조장비는 곡선레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지지대, 곡선레일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레일보조용 구조체, 레일보조용 구조체와 지지대의 연결을 위한 지지대 연결용 부재, 레일보조용 구조체의 상부에 연결되는 곡선레일, 곡선레일에 인입되어 곡선운동용 주행을 할 수 있는 이동차, 이동차와 촬영기기 연결용 헤드를 결속시켜주기 위한 연결용 헤드 고정용 부재, 촬영기기 연결용 헤드로 구성하며, 곡선레일과 레일보조용 구조체를 부재연결용 홀에 부재연결용 결속부품으로 결속하고, 촬영기기 연결용 헤드와 이동차와 촬영기기용 헤드 고정용 부재를 연결용 결속부품으로 결속하고, 이동차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용 스토퍼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77595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2805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6597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현장에 설치된 레일의 폭에 따라 이동부재의 간격을 조절하여 레일을 따라 촬영장치를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각도로 이동부재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부재를 가변시키고자 하는 길이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장비의 사용 상태에 따라 이동부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촬영장비를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거치용 이동부재로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는 레일을 따라 촬영장비의 이동 및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거치시키고자 하는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로써,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회전부재(210a, 210b, 210c, 210d)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고정부재(100); 상기 원판고정부재(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210)와, 상기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가변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가변부재(230)가 구비되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의 선단에 설치되는 이동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재(210a)는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210b) 내지 제4 회전부재(210d)는 상기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300)는 한 쌍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레일용 바퀴부재(310)와, 상기 촬영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부재(330) 및 상기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용 고정부재(350)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판고정부재(10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판(110); 상기 하판(1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각도조절홈부(131)가 형성된 상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110)에는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가 이탈되지 않고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부홈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30)에는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가 이탈되지 않고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홈부(111)와 대칭되게 상부홈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11);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저면에 형성되는 직선슬라이딩부(212); 상기 길이가변부재(230)가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직선슬라이딩부(2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213); 인접한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상면에 고정플레이트부재(4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부(214);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슬라이딩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에 의하면,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진 레일에 따라 이동부재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레일의 폭에 관계없이 촬영장비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판고정부재에 고정 설치된 제1 회전부재를 기준으로 제2 회전부재 내지 제4 회전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촬영장비의 이동 및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바퀴부재 및 거치용 고정부재를 자유로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원판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는 레일을 따라 촬영장비의 이동 및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거치시키고자 하는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로써,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회전부재(210a, 210b, 210c, 210d)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고정부재(100)와, 상기 원판고정부재(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210)와, 상기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가변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가변부재(230)가 구비되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의 선단에 설치되는 이동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는 레일(미도시)을 따라 촬영장비(미도시)를 안정되게 이동시킴은 물론 레일의 폭에 따라 이동부재(300)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레일의 폭에 관계없이 촬영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촬영장비의 이동 및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원판고정부재(100)와, 상기 원판고정부재(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 및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의 선단에 설치되는 이동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원판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고정부재(100)는 하판(110)과 상판(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110)의 상면에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의 회전슬라이딩부(221)가 결합되는 하부홈부(111)가 형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130)에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가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각도조절홈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각도조절홈부(131)는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의 제2 회전부재(210b), 제3 회전부재(210c)가 제1 회전부재(210a)로부터 제한된 각도만큼 회전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회전부재(210b)와 제3 회전부재(210c)는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30°이상의 각도로 회전되며, 이는 상기 각도조절홈부(131)에 의해 30°이내의 각도로 회전되지 않게 제한된다.
한편 상기 제1 회전부재(210a)는 제2 회전부재(210b) 내지 제4 회전부재(210d)와 달리 회전되지 않게 원판고정부재(100)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1 회전부재(210a)는 제2 회전부재(210b) 내지 제4 회전부재(210d)를 회전시켜 각도 조절의 기준점이 되게 한다.
상기 각도조절홈부(131)의 외측에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의 회전 각도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각도 눈금이 표시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는 제2 회전부재(210b)와 제3 회전부재(210c)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회전부재(210b)와 제3 회전부재(210c)는 제1 회전부재(210a)의 양측으로 회전되는데, 도 4는 제3 회전부재(210c)가 제1 회전부재(210a) 쪽으로 회전된 상태와 제2 회전부재(210b)가 제4 회전부재(210d) 쪽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상기 각도조절홈부(13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제2 회전부재(210b) 및 제3 회전부재(210c)를 30°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 회전부재(210b)와 제3 회전부재(210c)는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30°이하의 각도 이내로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4 회전부재(210d)는 제1 회전부재(210a)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제4 회전부재(210d)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각도눈금 '0'이 표시되며, 상기 제2 회전부재(210b) 및 제3 회전부재(210c)는 제1 회전부재(210a) 및 제4 회전부재(210d)와 90°의 각도로 설치된다.
이들 제2 회전부재(210b) 내지 제4 회전부재(210d)는 각각 90°등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130)의 저면에는 하판(110)의 하부홈부(111)와 대칭되는 상부홈부(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홈부(111)와 상부홈부(132)에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의 회전슬라이딩부(2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판(110)과 상판(130)의 중앙에는 하판(110)과 상판(130)을 결합시킬 수 있게 관통구멍(113, 13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113, 133)에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됨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슬라이딩부재(200)는 원판고정부재(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프레임부재(210)와,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가변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11)와,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저면에 형성되는 직선슬라이딩부(212)와,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슬라이딩부(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본체(211)에는 일직선상으로 장공(213)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양 측면에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안착부(2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직선슬라이딩부(212)는 프레임본체(211)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부(215)와, 상기 제1 슬라이딩홈부(215)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부(2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슬라이딩홈부(215)에는 길이가변부재(230)의 제1 슬라이딩부(23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슬라이딩홈부(216)에는 길이가변부재(230)의 제2 슬라이딩부(232)가 각각 대응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장공(213)에는 길이가변부재(2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미도시)가 안착되게 안착홈부(217)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본체(211)에는 회전프레임부재(210)를 원판고정부재(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구멍(218)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슬라이딩부(221)는 상,하부홈부(111, 132)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슬라이딩면(222)과, 상기 상,하부홈부(111, 132)에 결합되는 하부돌기(223) 및 상부돌기(224)와, 상기 상,하부돌기(223, 224)의 후면에 형성되는 회전슬라이딩홈부(2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면(222)은 상,하부홈부(111, 132)의 내측면을 따라 접촉되고, 상기 하부돌기(223)는 하판(110)의 하부홈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돌기(224)는 상판(130)의 상부홈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돌기(223, 224)의 배면에는 하판(110)과 상판(130)에 결합되는 회전슬라이딩홈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224)에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볼트구멍(226)이 형성된다.
아울러 길이가변부재(230)에는 제1 슬라이딩홈부(215)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부(231)와, 제2 슬라이딩홈부(21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23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제1 슬라이딩부(231)에는 길이가변부재(2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23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멍(233)은 회전프레임부재(210)의 장공(21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 길이가변부재(230)의 일측에는 이동부재(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파지결합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결합부(235)에는 이동부재(300)를 수직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게 수직결합구멍(236)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결합부(235)의 일측면에는 이동부재(3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수평고겅구멍(237)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이동부재(30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300)는 한 쌍의 바퀴(310)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바퀴(310)의 양측면에는 각각 고정프레임(311)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312) 사이에는 샤프트(313)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313)와 고정프레임(312)은 고정핀(31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313)에는 케이스(315)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315)의 상면에는 상부고정프레임(316)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6)의 일측면에는 파지결합부(315)의 수평고정구멍(237)에 대응되는 볼트구멍(317)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용 바퀴부재(330)는 촬영장비(미도시)를 단독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용 바퀴부재(330)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서 지면에서 촬영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이동부재(300) 중 이동용 바퀴부재(33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용 바퀴부재(330)에는 바퀴(331)에 고정프레임(332)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32)에는 바퀴(33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333)가 설치된다.
또 상기 이동용 바퀴부재(330)의 고정프레임(332)의 상면에는 파지결합부(235)의 수직결합구멍(236)에 결합되는 상부고정프레임(334)이 고정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거치용 이동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용 이동부재(350)는 촬영장비를 안전하게 거치시키는 것으로, 촬영장치를 이동하지 않고서 안정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거치용 이동부재(350)는 연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받침판(351)의 상면에 하부고정프레임(352)이 고정되고, 상기 하부고조정프레임(352)의 상면에 고정나사(353)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나사(353)에는 받침판(35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너트(354)가 체결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354)의 상면에는 하부고정너트(355)가 체결되고, 상기 고정나사(353)의 상부에는 상부고정너트(356)가 체결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슬라이딩부재(200)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4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4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프레임본체(211)의 안착부(214)에 안착되게 저면안착부(410)가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400)는 이동거치대의 중량을 줄이도록 상면과 하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회전프레임부재(210)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 위치에 다수의 볼트구멍(411)을 형성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의 외면에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인 회전프레임부재(2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의 직선슬라이딩부(212)에는 길이가변부재(23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 슬라이딩홈부(215)에는 길이가변부재(230)의 제1 슬라이딩부(231)가 결합되고, 제2 슬라이딩홈부(216)에는 제2 슬라이딩부(232)가 결합된다.
이는 중량물인 촬영장비의 중량에도 불구하고 회전프레임부재(2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길이가변부재(2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의 회전슬라이딩부(221)는 슬라이딩면(222)이 상,하부홈부(111, 132)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형성된 홈부(111, 132)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하부돌기(223) 및 상부돌기(224)는 상,하부홈부(111, 132)를 따라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회전이 이루어진 회전프레임부재(210)의 볼트구멍(226)에는 각도조절홈부(131)를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줌으로써 회전프레임부재(210)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에 결합된 길이가변부재(230)의 제1 슬라이딩부(231)와 제2 슬라이딩부(232)는 제1 슬라이딩홈부(215)와 제2 슬라이딩홈부(216)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바퀴부재(300)의 폭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길이가변부재(230)는 장공(213)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고정구멍(233)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파지결합부(235)에는 바퀴부재(300)를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바퀴부재(300)는 촬영장비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레일용 바퀴부재(310)가 파지결합부(235)에 결합되고, 촬영장비를 지면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동용 바퀴부재(330)가 파지결합부(235)에 결합되며, 촬영장비를 수직으로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용 고정부재(350)가 파지결합부(235)에 결합된다.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의 상면에는 촬영장비를 소정 높이에 거치할 수 있게 서포트가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에는 서포트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500) 및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받쳐주는 받침대(600)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도조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제2 회전부재(210b)를 제1 회전부재(210a) 쪽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회전부재(210a)는 항상 기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회전부재(210b) 내지 제4 회전부재(210d)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레일의 폭에 맞게 각도 조절 및 폭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3 회전부재(210c)는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제4 회전부재(210d) 쪽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3 회전부재(210c)는 제2 회전부재(210b)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부재(210a)와 제2 회전부재(210b)에 결합된 레일용 이동바퀴(310)는 일렬로 정렬되고, 제3 회전부재(210c)와 제4 회전부재(210d)에 결합된 레일용 이동바퀴(310)는 일렬로 정렬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이동바퀴(3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며, 도 4에서와 같이 4개의 회전프레임부재(210)가 십(十)자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레일용 이동바퀴(310)를 정렬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길이가변부재(230)는 프레임본체(211)에 형성된 직선슬라이딩부(212)를 따라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길이가변부재(230)는 장공(213)에 체결된 볼트(미도시)를 풀어준 다음 길이가변부재(230)를 직선슬라이딩부(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이 완료된 다음 안착홈부(217) 및 고정구멍(233)에 볼트를 체결하여 길이가변부재(230)를 고정시킨다.
아울러 촬영장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파지결합부(235)에 이동용 바퀴부재(330)를 교체 결합하고, 촬영장비를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파지결합부(235)에 거치용 고정부재(350)를 교체 결합하여 촬영장비를 간편하게 이동 및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원판고정부재 110: 하판
111: 하부홈부 113: 관통구멍
130: 상판 131: 각도조절홈부
132: 상부홈부 133: 관통구멍
200: 회전슬라이딩부재 210: 회전프레임부재
210a: 제1 회전부재 210b: 제2 회전부재
210c: 제3 회전부재 210d: 제4 회전부재
211: 프레임본체 212: 직선슬라이딩부
213: 장공 214: 안착부
215: 제1 슬라이딩홈부 216: 제2 슬라이딩홈부
217: 안착홈부 218: 볼트구멍
221: 회전슬라이딩부 222: 슬라이딩면
223: 하부돌기 224: 상부돌기
225: 회전슬라이딩홈부 226: 볼트구멍
230: 길이가변부재 231: 제1 슬라이딩부
232: 제2 슬라이딩부 233: 고정구멍
235: 파지결합부 236: 수직결합구멍
237: 수평고정구멍
300: 이동부재 310: 레일용 바퀴부재
311: 바퀴 312: 고정프레임
313: 샤프트 314: 고정핀
315: 케이스 316: 상부고정프레임
317: 볼트구멍
330: 이동용 바퀴부재 331: 바퀴
332: 고정프레임 333: 브레이크
334: 상부고정프레임
350: 거치용 고정부재 351: 받침판
352: 하부고정프레임 353: 고정나사
354: 높이조절너트 355: 하부고정너트
356: 상부고정너트
400: 고정플레이트부재 410: 저면안착부

Claims (4)

  1. 레일을 따라 촬영장비의 이동 및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거치시키고자 하는 촬영장비 이동거치대로써,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제1~4 회전부재(210a, 210b, 210c, 210d)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고정부재(100);
    상기 원판고정부재(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210)와, 상기 다수의 회전프레임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가변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가변부재(230)가 구비되는 회전슬라이딩부재(20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슬라이딩부재(200)의 선단에 설치되는 이동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재(210a)는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210b) 내지 제4 회전부재(210d)는 상기 제1 회전부재(210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에 결합되고,
    상기 원판고정부재(10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판(110);
    상기 하판(1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각도조절홈부(131)가 형성된 상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110)에는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가 이탈되지 않고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부홈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30)에는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가 이탈되지 않고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홈부(111)와 대칭되게 상부홈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00)는 한 쌍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레일용 바퀴부재(310)와, 상기 촬영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부재(330) 및 상기 촬영장비를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용 고정부재(350)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부재(2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11);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저면에 형성되는 직선슬라이딩부(212);
    상기 길이가변부재(230)가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직선슬라이딩부(2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213);
    인접한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상면에 고정플레이트부재(4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부(214);
    상기 원판고정부재(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프레임본체(211)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슬라이딩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KR2020200000803U 2020-03-09 2020-03-09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KR200494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03U KR200494226Y1 (ko) 2020-03-09 2020-03-09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03U KR200494226Y1 (ko) 2020-03-09 2020-03-09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63U KR20210002063U (ko) 2021-09-17
KR200494226Y1 true KR200494226Y1 (ko) 2021-09-23

Family

ID=7791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03U KR200494226Y1 (ko) 2020-03-09 2020-03-09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2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246A1 (en) * 2005-11-02 2007-05-03 Helmut Heiligenmann Portable camera dolly and track
KR101277595B1 (ko) 2012-04-16 2013-06-27 (주)현대포멕스 개선된 사용 편의성과 수납성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용 레일 장치
KR101405036B1 (ko) 2013-01-16 2014-06-19 한국남부발전(주) 샤프트 축 동심도 측정장치
KR101660309B1 (ko) 2015-06-05 2016-09-27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051A (ko) 2012-05-16 2013-11-26 이충림 이동촬영용 보조장비
KR20190040401A (ko) * 2017-10-10 2019-04-18 주식회사 올버튼 Lm 가이드를 이용한 카메라 레일
KR102019901B1 (ko) 2017-12-04 2019-09-11 고영화 촬영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246A1 (en) * 2005-11-02 2007-05-03 Helmut Heiligenmann Portable camera dolly and track
KR101277595B1 (ko) 2012-04-16 2013-06-27 (주)현대포멕스 개선된 사용 편의성과 수납성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용 레일 장치
KR101405036B1 (ko) 2013-01-16 2014-06-19 한국남부발전(주) 샤프트 축 동심도 측정장치
KR101660309B1 (ko) 2015-06-05 2016-09-27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63U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7985B (zh) 攝影用滑移裝置
US9696611B2 (en) Panoramic camera mount
US7643748B2 (en) Platform for stereoscopic image acquisition
US7789356B1 (en) Stand assembly for an optical device
KR20110114554A (ko) 입체 영상 촬영 지지대
US7658555B1 (en) Aerial video mount
US7611293B2 (en) 3D rover camera system and method
US20110080564A1 (en) Apparatus for support and movement of a camera
EP2863101A2 (de) Kamerarig, Handheld-Kamerarig, Halterungskopf, Bildaufnahmeanordnung,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Aufnahme, Bildschirmträger und Verfahren zum Betrachten einer Aufnahme
JP6368045B2 (ja) 多重カメラ撮影用リグ
US20130335520A1 (en) Robotic Camera System with Context Display
KR102223938B1 (ko) 360° 회전형 촬영장치
KR101277595B1 (ko) 개선된 사용 편의성과 수납성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용 레일 장치
KR101297835B1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KR200494226Y1 (ko)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CA2469489A1 (en) Selective focus system for use in photography
US5933668A (en) Camera mounting apparatus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KR20100006765U (ko)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KR20130016689A (ko)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EP2476260A1 (de)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und kalibrierung von mindestens zwei kameras mit einem halbdurchlässigen spiegel zur plastischen bildaufnahme
WO2007070497A2 (en) Segmented display projector mount
KR20210066416A (ko) 영상촬영용 레일마운트 시스템
KR102548325B1 (ko) 레일형 회전 촬영장치
CN215986674U (zh) 一种镜头移动定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