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765U -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 Google Patents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765U
KR20100006765U KR2020080017094U KR20080017094U KR20100006765U KR 20100006765 U KR20100006765 U KR 20100006765U KR 2020080017094 U KR2020080017094 U KR 2020080017094U KR 20080017094 U KR20080017094 U KR 20080017094U KR 20100006765 U KR20100006765 U KR 201000067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nner cylinder
coupled
fixing plat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570Y1 (ko
Inventor
수 만 이
영 호 곽
준 영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2020080017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7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좌상(左像), 우상(右像)용 입체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면을 촬영한 후 합친 영상이 우수한 품질의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두 카메라에 대해 정밀한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는 한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사이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 각각 저면 중앙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어 스크류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제2카메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카메라받침대는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에 저면 중앙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에 체결공에 결합되어 내통체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로 구성되어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내통체 상면에 볼이 중심축을 이루고, 상기 볼 외주연에는 볼에 미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외측으로 스프링이 구비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삼각형상의 카메라고정판과; 상기 카메라고정판의 세 점 모서리에 카메라고정판의 상하 수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제 공하고자 한다.
카메라, 카메라 거치대, 광축, 입체영상촬영

Description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Support of camera for broadcasting}
본 고안은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좌상(左像), 우상(右像)용 입체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면을 촬영한 후 합친 영상이 우수한 품질의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두 카메라에 대해 정밀한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은 입체 영상 촬영을 위한 두 대의 카메라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면을 촬영한 후 두 대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합쳐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만들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는 하나의 몸체에 하나의 상이 맺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두 대의 각 카메라는 스스로에 기준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복수의 카메라로 동시에 하나의 물체를 촬영하는 경우 각 카메라의 광축이 달라 영상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두 대의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 두 장을 인간의 두 눈에 각각 독립적으로 인식시킬 때 입체인식에 오류를 일으키게 된다.
인간의 눈은 두 개지만 하나의 눈처럼 정확하게 동기 하여 움직이며 만약 상황이 달라지는 경우 능동적이며 유기적으로 움직여 보정 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두 눈으로 사물을 응시한 결과처럼 카메라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두 대 카메라 간의 거리 및 두 카메라의 초점에 대해 능동적이며 유기적인 정밀한 보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보정이 미흡한 상태에서 도출된 사진을 이용하여 입체를 재현하는 경우 감각의 혼란을 야기하여 두통이나 어지러움, 입체의 심도 부족 등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입체촬영시 절대적으로 필요한 좌우영상물을 합쳤을 때 우수한 품질의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정밀하게 광축을 보정 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입체 영상 촬영을 위한 두 대의 카메라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면을 촬영한 후 두 대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만들 때 두 카메라의 광축에 따른 정밀한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사이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 각각 저면 중앙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어 스크류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제2카메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카메라받침대는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에 저면 중앙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에 체결공에 결합되어 내통체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로 구성되어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내통체 상면에 볼이 중심축을 이루고, 상기 볼 외주연에는 볼에 미 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외측으로 스프링이 구비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삼각형상의 카메라고정판과; 상기 카메라고정판의 세 점 모서리에 카메라고정판의 상하 수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 카메라받침대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받침대는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에 저면 중앙이 결합되어 스크류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판과, 상기 제2슬라이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에 체결공에 결합되어 내통체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로 구성되어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제2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카메라고정판으로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고정판의 중앙에는 형상과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카메라 고정홈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머리부가 카메라고정판 상면에 걸림되고 몸체는 카메라고정판을 관통하며 몸체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산부와, 상기 수나사산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산부와의 체결력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암나사산부와, 상기 암나사산부의 상단에 높낮이 조절이 편리하도록 암나사산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처리가 된 조절노브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 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 대의 입체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적당한 간격으로 두고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면을 촬영한 후 광축이 서로 다른 두 영상물에 대해 좌우 수평보정과 상하 수직보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여 두 영상물의 광축을 일치시킴으로 우수한 품질의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거치대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광축을 보정하는 조작이 손쉽고 편리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 그리고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스크류바 회전방향에 따라 제1카메라받침대와 제2카메라받침대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축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에 입체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입체영상촬영을 위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물에 대해 광축보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입체영상촬영은 두 대의 카메라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면을 촬영한 후 두 대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합쳐서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만들게 된다.
이때, 두 대의 각 카메라는 스스로에 기준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복수의 카메라로 동시에 하나의 물체를 촬영하는 경우 각 카메라의 영상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대부분 좌우 수평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하 수직이 일치하지 않아서 영상물이 겹쳐보이거나 뒤틀려 보이게 되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각 영상물을 하나의 입체영상으로 합쳤을 때 두 카메라의 광축이 정밀하게 일치되도록 광축 보정이 용이한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카메라 거치대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가이드봉(200)과; 상기 가이드봉 사이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스크류바(300)와; 상기 스크류바(300)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400)와; 상기 스크류바의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 각각 저면 중앙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어 스크류바의 회 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제2카메라받침대(500,60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100)는 내측은 무게를 경감하기 위하여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내측에는 베이스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리브(110)가 구비되며, 사각 모서리부와 양측 가장자리의 중심에 수평으로 관통된 체결홀더(1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봉(200)은 베이스(100)의 사각모서리에 구비되는 체결홀더(120)에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서로 평행한 한 쌍을 이룬다.
상기 스크류바(300)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도록 하고 베이스(100)의 양측 가장자리 중심에 구비되는 체결홀더(120)의 내부에 베어링(130)을 삽입시켜 상기 스크류바(3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바(300)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상기 스크류바(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4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제2 카메라받침대(500,600)는 스크류바(300)의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 각각 저면 중앙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200)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어 스크류바(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제2 카메라받침대 간의 간격이 멀어졌다 좁아졌다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제2 카메라 받침대(500,6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봉(200)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300)에 저면 중앙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510)과, 상기 슬라이드판(510)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 링(521)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522)이 구비된 외통체(523)와 상기 외통체(523)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524)와 상기 외통체(523)에 체결공(522)에 결합되어 내통체(524)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525)로 구성되어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회동부(520)와, 상기 회동부(520)의 내통체 상면에 볼(531)이 중심축을 이루고, 상기 볼(531) 외주연에는 볼에 미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외측으로 스프링(533)이 구비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532)와; 상기 지지체(532)에 지지되는 삼각형상의 카메라고정판(530)과, 상기 카메라고정판(530)의 세 점 모서리에 카메라고정판(530)의 상하 수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 카메라받침대(600,500)에 구비되는 슬라이드판(510)은 저면 중앙에 스크류바(300)에 끼움 결합 되어 맞물려 이동할 수 있는 나사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관(511)이 구비되고, 저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봉(200)에 끼움 결합 되어 안내되는 안내관(5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판(510)의 상면 중앙에는 회동부(5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회동부(520)는 슬라이판(510)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521)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외통체(523)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524)와 상기 외통체에 체결공에 결합되어 내통체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525)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520)의 상면에는 볼(531)이 중심축을 이루고, 상기 볼(531) 외주연에는 상면에 얹혀지는 카메라고정판(530)이 볼(531)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하도 록 외측으로 스프링(533)이 구비되어 회동부(520)와 카메라고정판(530)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53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532)의 상면에 삼각형상의 카메라고정판(530)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볼(531)이 개재되는 카메라고정판(530) 저면과 회동부(520)의 내통체(524) 상면은 볼(531)의 상,하단이 안치될 수 있는 소정깊이의 안치홈(53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532)는 카메라고정판(530)에 상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하부는 내통체(524)에 구비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고정판(530)의 세 점 모서리에는 상하 수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40)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540)는 머리부가 카메라고정판 상면에 걸림되고 몸체는 카메라고정판을 관통하며 몸체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산부(541)와, 상기 수나사산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산부와의 체결력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암나사산부(542)와, 상기 암나사산부(542)의 상단에 높낮이 조절이 편리하도록 암나사산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처리가 된 조절노브(543)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고정판(530)의 중앙에는 카메라고정홈(700)이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고정홈(700)은 형상과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카메라고정홈(700)을 구비하여 카메라의 종류와 크기가 달라도 카메라고정판(53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거치대의 상,하 수직조절은 카메라받침대의 볼(531)을 중심축으로 상,하 유동이 가능한 카메라고정판(530)에서 높이조절부(540)의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의 체결력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카메라 광축의 상,하 수직을 조절하고, 상기 좌우 수평조절은 카메라받침대에서 회동부(520)의 조임부(525)를 풀고 카메라고정판(530)을 좌,우 회전시켜 카메라고정판(530) 위에 고정되는 카메라 광축의 좌우 수평을 조절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카메라받침대(500)와 제2 카메라받침대(600) 모두 좌우수평과 상하수직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그러나, 도 2 ~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 카메라받침대(500,600)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받침대(600)는 가이드봉(200)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300)에 저면 중앙이 결합되어 스크류바(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판(610)과, 상기 슬라이판(610)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621)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622)이 구비된 외통체(623)와 상기 외통체(623)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624)와 상기 외통체(623)에 체결공(622)에 결합되어 내통체(624)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625)로 구성되어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제2회동부(620)와, 상기 회동부(6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카메라고정판(630)으로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회동부(520)의 상면에 구비된 카메라고정판(530)에 상하 수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40)가 구비된 것을 제1 카메라받침 대(500)로 설명하고, 제2 회동부(620)의 상면에 제2 카메라고정판(630)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제2 카메라받침대(600)로 설명한다.
상기 제2 카메라받침대(600)에 구비되는 제2슬라이드판(610)은 저면 중앙에 스크류바(300)에 끼움 결합 되어 맞물려 이동할 수 있는 나사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관(611)이 구비되고, 저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봉(200)에 끼움 결합 되어 안내되는 안내관(6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슬라이드판(610)의 상면 중앙에는 제2회동부(6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회동부(620)는 슬라이판(610)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621)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외통체(623)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624)와 상기 외통체에 체결공에 결합되어 내통체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625)로 구성된다.
상기 제2회동부(620)의 상면에는 제2카메라고정판(630)이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고정판(630)의 중앙에는 형상과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카메라고정홈(700)을 구비하여 카메라의 종류와 크기가 달라도 카메라고정판(63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2카메라 받침대(600)는 제2회동부(620)의 상면에 수평이 맞춰진 상태의 카메라고정판(630)이 고정되어 있고, 제1카메라받침대(500)는 고정된 제2카메라고정판(630)을 기준으로 좌우수평과 상하수직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두 카메라의 광축 보정이 더욱 편리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하 수직조절은 제1카메라받침대의 볼을 중심축으로 상,하 유동이 가능한 카메라고정판(530)에서 높이조절부(540)의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의 체결력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고정판(530)위에 고정되는 제1카메라(800)의 광축을 제2카메라고정판(630) 위에 고정되는 제2카메라의 광축(900)에 맞춰 상하 수평을 조절한 후 고정시키면 된다.
그리고, 좌우 수평조절은 제1카메라받침대에서 회동부(520)의 조임부(525)를 풀고 카메라고정판(530)을 좌,우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고정판(530)위에 고정되는 제1카메라의 광축이 제2카메라고정판(630) 위에 고정되는 제2카메라(900)의 광축에 일치되도록 조절한 후 상기 조임부(525)를 조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제2회동부(620)의 조임부(625)를 풀러 제2카메라고정판(630)을 좌,우 회전시킴으로 제2카메라(900)의 광축이 제1카메라받침대(500)에 고정되는 제1카메라(800)의 광축에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바(300)의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 각각 저면 중앙이 결합된 제1,제2카메라받침대(500,600) 위에 구비되는 입체촬영을 위한 두 카메라(800,900) 간의 간격이 멀어지고 좁아지도록 조절됨으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와의 초점거리에 따라 스크류바(300)를 회전시켜 제 1,제2카메라받침대(500,600)위에 구비되는 입체영상촬영을 위한 두 카메라(800,900)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두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면을 촬영한 후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수직이 일치하지 않아 광축이 서로 다른 두 영상물에 대해 제1카메라받침대(500)의 높이조절부(540)를 조 절하여 광축을 일치시키고,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수평이 일치하지 않은 광축이 서로 다른 영상물에 대해 제1 또는 제2카메라받침대(500,600)의 회동부(520,620)를 조절하여 광축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스크류바 회전방향에 따라 제1카메라받침대와 제2카메라받침대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축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에 입체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입체영상촬영을 위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물에 대해 광축보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 110: 보강리브
120: 체결홀더 130: 베어링
200: 가이드봉 300: 스크류바
400: 회전손잡이 500: 제1카메라받침대
510: 슬라이드판 520: 회동부
530: 카메라고정판 540: 높이조절부
600: 제2카메라받침대 610: 제2슬라이드판
620: 제2회동부 630: 제2카메라고정판
700: 카메라고정홈 800,900: 카메라

Claims (4)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사이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 각각 저면 중앙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어 스크류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제2카메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카메라받침대는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에 저면 중앙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내통체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로 구성되어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내통체 상면에 볼이 중심축을 이루고, 상기 볼 외주연에는 볼에 미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외측으로 스프링이 구비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삼각형상의 카메라고정판과;
    상기 카메라고정판의 세 점 모서리에 카메라고정판의 상하 수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카메라받침대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받침대는 가이드봉에 저면 양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에 저면 중앙이 결합되어 스크류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판과, 상기 제2슬라이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내측면에 베어링이 내장되고 일측면에 체결공이 구비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에 체결공에 결합되어 내통체를 조임력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임부로 구성되어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제2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카메라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고정판의 중앙에는 형상과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카메라 고정홈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머리부가 카메라고정판 상면에 걸림되고 몸체는 카메라고정판을 관통하며 몸체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산부와, 상기 수나사산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산부와의 체결력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암나사산부와, 상기 암나사산부의 상단에 높낮이 조절이 편리하도록 암나사산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처리가 된 조절노브가 일 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KR2020080017094U 2008-12-24 2008-12-24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KR200467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94U KR200467570Y1 (ko) 2008-12-24 2008-12-24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94U KR200467570Y1 (ko) 2008-12-24 2008-12-24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65U true KR20100006765U (ko) 2010-07-02
KR200467570Y1 KR200467570Y1 (ko) 2013-06-19

Family

ID=4445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094U KR200467570Y1 (ko) 2008-12-24 2008-12-24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7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873A2 (ko) * 2010-10-22 2012-04-26 주식회사 레드로버 수평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CN102756269A (zh) * 2012-05-21 2012-10-31 大连嘉禾自控技术有限公司 四轴间距可变螺栓拧紧设备
KR101297835B1 (ko) * 2010-10-18 2013-08-20 전동윤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KR102415450B1 (ko) * 2022-01-18 2022-07-05 주식회사 한라이엔씨 측지측량용 삼각대 지면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CN115076536A (zh) * 2022-06-08 2022-09-20 方程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的身份验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493A (ko) * 2000-08-18 2002-02-25 이용범 초점과 주시각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입체영상 카메라및 입체영상 카메라의 초점과 주시각 동시 제어방법
DE102005040335B4 (de) * 2005-03-10 2009-07-30 Inaba, Minoru, Oyama Digitale Stereokamera und Digitale Stereovideokamera
KR100874871B1 (ko) * 2007-04-06 2008-12-19 (주)파버나인 입체 카메라의 광축 제어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835B1 (ko) * 2010-10-18 2013-08-20 전동윤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WO2012053873A2 (ko) * 2010-10-22 2012-04-26 주식회사 레드로버 수평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WO2012053873A3 (ko) * 2010-10-22 2012-07-05 주식회사 레드로버 수평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CN102756269A (zh) * 2012-05-21 2012-10-31 大连嘉禾自控技术有限公司 四轴间距可变螺栓拧紧设备
KR102415450B1 (ko) * 2022-01-18 2022-07-05 주식회사 한라이엔씨 측지측량용 삼각대 지면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CN115076536A (zh) * 2022-06-08 2022-09-20 方程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的身份验证装置
CN115076536B (zh) * 2022-06-08 2023-12-19 深圳沃尔克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的身份验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70Y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3219B2 (en) Panoramic camera support
KR100881373B1 (ko) 고니오미터를 이용해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KR200467570Y1 (ko)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EP25566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US63014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on and interactive viewing of totally immersive stereoscopic images
US9678419B2 (en) Multifunctional panoramic head and panoramic image capture system
US9435979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KR100980508B1 (ko)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WO2010118674A1 (zh) 图像采集设备
US9706187B2 (en) Camera rig for shooting multi-view images and videos and imag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for use with same
KR101297835B1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CN106101688B (zh) 一种双目摄像机水平控制结构及双目摄像机
JP2007052060A (ja) 立体カメラ用レンズシステム及び立体カメラ
AU1074199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reation and interactive viewing of totally immersive stereoscopic images
CN206460513U (zh) 双摄像标定板
US9429824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CN206369889U (zh) 双摄像标定用暗箱
CN203965781U (zh) 一种矫正透视变形照相机
WO2017039744A1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CN208670537U (zh) 一种网络播放器摄像头
JP3111376B2 (ja) 立体カメラの位置決め調整装置
CN206246947U (zh) 一种图像获取设备的调整结构
JP2019117288A (ja) 3次元vr画像撮影器具
TWM352201U (en) Projection auxiliary device for rapid adjustment of 3-D stereoscopic image
KR20210002063U (ko)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