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309B1 -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 Google Patents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309B1
KR101660309B1 KR1020150079709A KR20150079709A KR101660309B1 KR 101660309 B1 KR101660309 B1 KR 101660309B1 KR 1020150079709 A KR1020150079709 A KR 1020150079709A KR 20150079709 A KR20150079709 A KR 20150079709A KR 101660309 B1 KR101660309 B1 KR 10166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moving
fix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7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309B1/ko
Priority to PCT/KR2015/005657 priority patent/WO201619514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영상촬영기가 탈부착될 수 있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된 영상촬영기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때 설정된 어느 한 지점만 촬영할 수 있도록 영상촬영기가 좌우로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회전하며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의 흔들림을 최소화여 선명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별도의 중량추가 구비되어 있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Video Camcorder for sliding stand}
본 발명은 다양한 영상촬영기가 탈부착될 수 있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된 영상촬영기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때 설정된 어느 한 지점만 촬영할 수 있도록 영상촬영기가 좌우로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회전하며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의 흔들림을 최소화여 선명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별도의 중량추가 구비되어 있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과 영상물에서는 많은 부분에서 특수촬영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는데, 피사체를 고정시켜 두고 카메라를 움직여가며 촬영을 한다든지, 움직이는 피사체를 움직이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더욱 다이나믹한 효과를 내는 영상을 얻는다든지 하는 것들도 그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수 촬영을 위해서는 지금까지는 사람이 카메라를 휴대하고 움직이면서 촬영을 하거나, 카메라를 상하 및 좌우 회전이 자유로운 거치대에 설치하여두고 카메라를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여가며 촬영을 하였다.
전자의 경우 촬영기사가 비디오카메라를 한손으로 든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촬영하는데, 장시간 촬영할 경우 카메라를 들고 있는 손에 피로감이 쉽게 오고 이동 과정에서 카메라가 흔들려 촬영 영상도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후자의 경우 카메라가 거치대에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촬영 영상이 원활하게 촬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좀더 진보된 촬영 거치대가 개발되었는데, 첫번째로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크레인 또는 레일 위에 장착된 탈것에 사람이 카메라를 휴대하고 탑승하여 촬영을 하는 것과, 카메라를 산업용 로봇과 유사하게 운동제어가 가능한 로봇 촬영장치에 장착하여 원격으로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조정하면서 촬영하는 촬영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촬영 거치대는 자체적인 중량이 무거워 동력이 많이 소비되고, 운반, 설치 등의 취급이 어려워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의 조정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박진감이 넘치고 정교한 촬영을 원하는 경우에는 그 한계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촬영 대상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촬영 각도 높이 등을 정교하게 조절하여 입체적인 영상과 고 해상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그리고 영상촬영 카메라의 거치가 필요한 영상촬영기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하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820298호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등록일자 2008.04.01)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8773호 '영상장비 스태빌라이저' (공개일자 2014.04.24) 3. 등록특허공보 제10-1407451호 '3차원 영상 카메라의 무빙 장치와 그 제어방법' (등록일자 2014.06.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입체적인 영상과 고 해상도의 영상물을 획득할 수 있도록 떨림,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아 정교한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각도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시각에서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에 장착된 영상촬영장치가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설정된 대상물 또는 지점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110)이 형성되는 고정베이스(100);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00)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상면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고정브라켓(310)과 제2 고정브라켓(320); 일측단이 상기 제1 고정브라켓(310)에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고정브라켓(320)에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회전각 조절판(400); 상면에 영상촬영기(S)가 안착되며,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이 관통하되,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과 상기 고정베이스(100)가 수평면 상에서 이루는 각도가 교차되도록 어긋나는 경우 상기 레일(11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에 안내되어 상기 영상촬영기(S)가 임의로 설정된 지점(O)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촬영기(S)를 회전시키는 이동베이스(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500)는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며, 일측에 상기 레일(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이동레일(511)이 형성되는 이동판(510);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이 관통하되,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에 안내되어 상기 이동베이스(5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레일(511)에 안착되는 조절판 장착부(520); 상기 이동판(510)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영상촬영기(S)의 촬영방향을 지시하는 지시자(531)가 측면에 구비되는 방향지시판(530); 상면에 상기 영상촬영기(S)가 안착되되, 일측면이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와 연결되고 타측면이 상기 방향지시판(530)에 체결되어 직선운동하는 조절판 장착부(520)의 동력을 전달받아 방향지시판(530)을 회전시키는 카메라 거치캡(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와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교차되는 각도가 넓어지면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의 이동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방향지시판(530)의 회전반경이 커지고,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와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교차되는 각도가 작아지면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의 이동거리가 감소하여 상기 방향지시판(530)의 회전반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의 상단에는 슬라이딩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521)가 삽입되되,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돌기(521)가 슬라이딩되며 이동되도록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베이스(100)와 수평면상에서 예각(θ)을 이루며 경사지는 슬라이딩홈(54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510)이 이동하여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가 직선이동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돌기(521)가 상기 슬라이딩홈(5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판(530)과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 사이에는 상기 방향지시판(530)의 상면과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의 하면 사이로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방향지시판(530)과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을 일정간격 이격하는 마운팅부(550)가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부(55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55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에는 상기 결합돌기(551)가 삽입되는 조임홈(542)이 형성되되,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이 상기 방향지시판(530)에 고정되어 상기 영상촬영기(S)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임홈(542)과 상기 결합돌기(551)를 고정하는 고정핸들(560)이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지지브라켓(210); 상기 지지브라켓(210)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각도조절대(220); 상기 각도조절대(220)의 설정된 회전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대(220)를 상기 지지브라켓(2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100)에는 상기 이동베이스(500)가 좌우로 이동할 때 균일한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베이스(500)에 일정한 중량감을 전달하는 중량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중량부(600)는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무게추(610);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회전풀리(620); 상기 무게추(6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풀리(62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무게추(610)와 상기 회전풀리(620)를 연결되며, 일측면이 상기 이동베이스(500)와 결합된 이동벨트(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변환하는 거치대에 영상촬영기가 장착되며, 영상촬영기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이동할 때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 혹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촬영기의 직선운동 및 회전시 진동이 발생되지 않아 보정이 불필요한 영상과 고 해상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일측에 중량부를 구비하여 영상촬영기의 이동 또는 회전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동베이스의 이동방법과 촬영방법을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이동베이스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이동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동베이스의 작동방법과 주요구성의 배치를 표현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고정베이스에 중량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동베이스의 이동방법과 촬영방법을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이동베이스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이동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동베이스의 작동방법과 주요구성의 배치를 표현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고정베이스에 중량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베이스(100)를 갖는다. 고정베이스(100)에는 고정베이스(100)의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110)이 구비되며, 레일(110)은 고정베이스(1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고정베이스(100)의 양측에는 각각 지지대(200)가 구비된다. 지지대(200)는 고정베이스(100)를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고정베이스(100)의 상면이 바닥면과 이루고 있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지지대(200)는 지지브라켓(210), 각도조절대(220) 및 고정핀(230)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210)은 고정베이스(100)의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각도조절대(220)는 지지브라켓(2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브라켓(210)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핀(230)은 사용자가 각도조절대(220)의 각도를 설정한 후 각도조절대(220)와 지지브라켓(210)이 이루고 있는 회전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각도조절대(220)와 지지브라켓(210)을 상호 고정시킨다. 따라서, 복수개로 구비된 한쌍의 각도조절대(220) 각각이 이루고 있는 각도가 동일하면 고정베이스(100)의 상면은 바닥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고, 한쌍의 각도조절대(220)의 각도가 서로 상이하면 고정베이스(100)의 상면은 바닥면으로부터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지지대(200)의 상단, 즉 지지브라켓(210)의 상면에는 제1 고정브라켓(31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지지대(200) 중 제1 고정브라켓(310)이 설치되지 않는 다른 지지대(200)에는 제2 고정브라켓(320)이 설치된다. 제1 고정브라켓(310)과 제2 고정브라켓(320)은 지지대(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을 참조하면 일측이 제1 고정브라켓(3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 고정브라켓(320)에 고정되는 회전각 조절판(400)이 구비된다. 회전각 조절판(400)의 일측은 제1 고정브라켓(310)에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회전각 조절판(400)의 일측이 제1 고정브라켓(310)에서 고정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고정핀(311)에 의해 제1 고정브라켓(310)에 체결된다.
또한, 회전각 조절판(400)의 타측은 제2 고정브라켓(320)에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며, 제2 고정핀(321)의 체결에 의해 회전각 조절판(400)의 타측의 고정과 슬라이딩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회전각 조절판(400)은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수평면을 기준으로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베이스(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이동베이스(500)가 구비되며, 레일(110)과 결합되어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베이스(500)는 상면에 영상촬영기(S)가 안착된다. 이동베이스(500)에는 회전각 조절판(400)이 관통할 수 있으며, 회전각 조절판(400)과 고정베이스(100)가 수평면 상에서 이루는 각도가 교차되도록 어긋나는 경우에는 이동베이스(500)가 좌우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각 조절판(400)에 안내되어 영상촬영기(S)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영상촬영기(S)가 회전됨에 따라 촬영하고자 하는 임의로 설정한 지점(O)이 이동베이스(500)의 좌우 이동에도 변동없이 동일한 지점(O)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회전각 조절판(400)과 고정베이스(100)의 어긋난 각도의 범위가 작으면 영상촬영기(S)의 회전반경은 감소하고, 각도의 범위가 크면 영상촬영기(S)의 회전반경은 증가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이동베이스(500)는 이동판(510), 조절판 장착부(520), 방향지시판(530), 카메라 거치캡(540)을 포함한다.
먼저 이동판(5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레일(110)에 안착되어 레일(110)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판(510)은 외부의 동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이동판(510)의 일부분을 파지한 후 일정한 압력을 가해 이동판(5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판(510)의 상면의 일측에는 이동레일(511)이 구비된다. 이동레일(511)은 레일(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조절판 장착부(520)는 이동레일(511)에 안착되어 이동판(510)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절판 장착부(520)에는 회전각 조절판(400)이 관통된다. 따라서, 회전각 조절판(400)이 고정베이스(100)와 어긋나도록 배치되면 이동판(510)이 이동하면서 조절판 장착부(520)는 회전각 조절판(400)에 안내되어 이동레일(511)을 따라 이동판(5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절판 장착부(520)의 이동거리는 회전각 조절판(400)과 고정베이스(100) 상호간의 어긋나는 각도의 범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방향지시판(530)은 이동판(510)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방향지시판(530)과 이동판(510) 사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방향지시판(530)의 일측에는 영상촬영기(S)의 촬영방향을 지시하는 지시자(531)가 돌출형성되며, 지시자(531)를 통해 촬영하는 방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카메라 거치캡(540)은 상면에 영상촬영기(S)가 안착된다. 그리고 하면의 일측면이 조절판 장착부(520)와 연결되고 타측이 방향지시판(530)과 체결된다. 즉 카메라 거치캡(540)은 방향지시판(530)과 조절판 장착부(52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선운동하는 조절판 장착부(520)의 동력을 전달받아 방향지시판(530)을 회전시킨다.
도 4 를 참조하면 회전각 조절판(400)과 고정베이스(100)의 교차되는 각도(θ-1)가 넓어지면 조절판 장착부(520)의 이동거리가 증가하여 방향지시판(530)의 회전반경이 커지기 때문에 보다 역동적인 촬영이 가능하고,
회전각 조절판(400)과 고정베이스(100)의 교차(θ-1)되는 각도가 작아지면 조절판 장착부(520)의 이동거리가 감소하여 방향지시판(530)의 회전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다.
도 3 을 참조하면 조절판 장착부(520)의 상단에는 슬라이딩돌기(521)가 돌출형성된다. 카메라 거치캡(540)의 하단에는 슬라이딩돌기(521)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541)이 형성되며, 슬라이딩홈(541)은 삽입된 슬라이딩돌기(521)가 슬라이딩홈(541)을 따라 일정간격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딩홈(541)은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수평면상에서 예각(θ-2)을 이루는 각도로 경사진다.
이처럼 슬라이딩돌기(521)와 슬라이딩홈(541)으로 인해 이동판(510)이 이동하여 조절판 장착부(520)가 직선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돌기(521)가 슬라이딩홈(5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을 회전시킨다.
이때 조절판 장착부(520)가 이동하면서 카메라 거치캡(540)을 회전시키면 슬라이딩홈(541)이 평면상에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돌기(521)가 경사진 슬라이딩홈(541)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방향지시판(530)과 카메라 거치캡(540) 사이에는 마운팅부(550)가 형성된다. 마운팅부(550)는 방향지시판(530)과 카메라 거치캡(540) 사이를 이격시키며, 이격된 방향지시판(530)의 상면과 카메라 거치캡(540)의 하면 사이로 회전각 조절판(400)이 통과한다.
한편 마운팅부(55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551)가 돌출 형성되며, 카메라 거치캡(540)의 하면에는 결합돌기(551)가 삽입되는 조임홈(542)이 형성된다. 이때 카메라 거치캡(540)의 측면에는 조임홈(542)을 관통하는 고정핸들(560)이 형성된다. 고정핸들(560)을 회전하여 조임홈(542)의 간격을 좁혀주면 조임홈(542)이 결합돌기(551)를 압박하게 되다. 따라서, 카메라 거치캡(540)이 방향지시판(5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고정베이스(100)에는 이동베이스(500)에 일정한 중량감을 제공하기 위한 중량부(600)가 구비된다. 중량부(600)를 통해 이동베이스(500)를 사용자가 좌우로 이동시키면 일정한 중량감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균일한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처럼 중량부(600)로 인해 촬영 시 영상촬영기(S)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완성도가 높은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중량부(600)는 무게추(610), 회전풀리(620) 및 이동벨트(630)를 포함한다. 무게추(610)는 고정베이스(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정한 중량을 가지고 있다. 무게추(610)는 영상촬영기(S)와 이동베이스(500)를 합친 중량과 적어도 같거나 큰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풀리(620)는 무게추(61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베이스(1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이동벨트(630)는 무게추(610)와 회전풀리(620)를 연결한다. 즉 무게추(610)가 회전하면 무게추(610)의 회전력을 회전풀리(620)로 전달하여 회전풀리(62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이동벨트(630)의 일측면이 이동베이스(500)와 연결되어 무게추(610)의 중량을 이동베이스(500)에 전달한다. 이동벨트(630)와 이동베이스(500)는 체결판(631)에 의해 결합되며,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체결판(631)과 이동벨트(630)를 결합 또는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는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변환하는 거치대에 영상촬영기(S)가 장착되며, 이동베이스(500)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이동할 때 영상촬영기(S)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 혹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연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부(600)를 구비하여 영상촬영기(S)의 촬영된 영상에 보정이 불필요하고, 고해상도의 영상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고정베이스 110 : 레일
200 : 지지대 210 : 지지브라켓
220 : 각도 조절대 230 : 고정핀
310 : 제1 고정브라켓 320 : 제2 고정브라켓
400 : 회전각 조절판 500 : 이동베이스
510 : 이동판 520 : 조절판 장착부
521 : 슬라이딩돌기 530 : 방향지시판
540 : 카메라 거치캡 541 : 슬라이딩홈
542 : 조임홈 550 : 마운팅부
551 : 결합돌기 560 : 고정핸들
600 : 중량부 610 : 무게추
620 : 회전풀리 630 : 이동벨트
S : 영상촬영기

Claims (7)

  1.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110)이 형성되는 고정베이스(100);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00)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상면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고정브라켓(310)과 제2 고정브라켓(320);
    일측단이 상기 제1 고정브라켓(310)에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고정브라켓(320)에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회전각 조절판(400);
    상면에 영상촬영기(S)가 안착되며,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이 관통하되,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과 상기 고정베이스(100)가 수평면 상에서 이루는 각도가 교차되도록 어긋나는 경우 상기 레일(11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에 안내되어 상기 영상촬영기(S)가 임의로 설정된 지점(O)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촬영기(S)를 회전시키는 이동베이스(50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베이스(500)는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며, 일측에 상기 레일(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는 이동레일(511)이 형성되는 이동판(510);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이 관통하되,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에 안내되어 상기 이동베이스(5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레일(511)에 안착되는 조절판 장착부(520);
    상기 이동판(510)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영상촬영기(S)의 촬영방향을 지시하는 지시자(531)가 측면에 구비되는 방향지시판(530);
    상면에 상기 영상촬영기(S)가 안착되되, 일측면이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와 연결되고 타측면이 상기 방향지시판(530)에 체결되어 직선운동하는 조절판 장착부(520)의 동력을 전달받아 방향지시판(530)을 회전시키는 카메라 거치캡(5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와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교차되는 각도가 넓어지면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의 이동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방향지시판(530)의 회전반경이 커지고,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와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교차되는 각도가 작아지면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의 이동거리가 감소하여 상기 방향지시판(530)의 회전반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의 상단에는 슬라이딩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521)가 삽입되되,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돌기(521)가 슬라이딩되며 이동되도록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베이스(100)와 수평면상에서 예각(θ)을 이루며 경사지는 슬라이딩홈(54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510)이 이동하여 상기 조절판 장착부(520)가 직선이동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돌기(521)가 상기 슬라이딩홈(5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판(530)과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 사이에는 상기 방향지시판(530)의 상면과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의 하면 사이로 상기 회전각 조절판(400)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방향지시판(530)과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을 일정간격 이격하는 마운팅부(550)가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부(55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55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에는 상기 결합돌기(551)가 삽입되는 조임홈(542)이 형성되되,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이 상기 방향지시판(530)에 고정되어 상기 영상촬영기(S)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임홈(542)과 상기 결합돌기(551)를 고정하는 고정핸들(560)이 상기 카메라 거치캡(54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지지브라켓(210);
    상기 지지브라켓(210)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각도조절대(220);
    상기 각도조절대(220)의 설정된 회전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대(220)를 상기 지지브라켓(2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100)에는 상기 이동베이스(500)가 좌우로 이동할 때 균일한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베이스(500)에 일정한 중량감을 전달하는 중량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중량부(600)는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무게추(610);
    상기 고정베이스(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회전풀리(620);
    상기 무게추(6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풀리(62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무게추(610)와 상기 회전풀리(620)를 연결되며, 일측면이 상기 이동베이스(500)와 결합된 이동벨트(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KR1020150079709A 2015-06-05 2015-06-05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KR10166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09A KR101660309B1 (ko) 2015-06-05 2015-06-05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PCT/KR2015/005657 WO2016195140A1 (ko) 2015-06-05 2015-06-05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09A KR101660309B1 (ko) 2015-06-05 2015-06-05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309B1 true KR101660309B1 (ko) 2016-09-27

Family

ID=5710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709A KR101660309B1 (ko) 2015-06-05 2015-06-05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0309B1 (ko)
WO (1) WO201619514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3465A (zh) * 2017-04-11 2017-05-31 刘振 横向移动旋转式图像艺术滑轨
WO2018068186A1 (en) * 2016-10-10 2018-04-19 GRIPGEAR Limited Mount for a camera
CN108488588A (zh) * 2017-11-22 2018-09-04 苏州火连天贸易有限公司 一种摄影滑移轨道
KR20190001452A (ko) * 2017-06-27 2019-01-04 (주)씨플렉스필름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KR20200094004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로테스 개인방송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동촬영 로봇장치
KR20210002063U (ko) * 2020-03-09 2021-09-17 정승교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CN113942815A (zh) * 2021-10-09 2022-01-18 深圳市春盛海科技有限公司 人工智慧影像辨认用回转餐台
CN115009181A (zh) * 2022-05-27 2022-09-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可再生能源的农村能源发展潜力评估系统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1858A (zh) * 2017-01-25 2017-07-04 安徽达尔智能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自转动检测摄像系统
CN107152594A (zh) * 2017-07-10 2017-09-12 杭州和润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的显示屏支架
CN107883124A (zh) * 2017-12-12 2018-04-06 中山市飞特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广角随动摄影装置
CN108105560A (zh) * 2017-12-27 2018-06-01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一种导轨拍摄装置
CN107990110A (zh) * 2017-12-29 2018-05-04 南京点耐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仓库监控装置用调节结构
CN109027572A (zh) * 2018-08-28 2018-12-18 张秀腾 活动支架
CN109927423A (zh) * 2019-04-19 2019-06-25 廖新兴 一种五维数码拍摄及打印系统
CN110086975A (zh) * 2019-05-29 2019-08-02 北京停简单信息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和道闸一体机
CN112728342B (zh) * 2021-01-05 2022-03-08 东南大学 一种可自动调节角度的多相机拍摄装置
CN113309961B (zh) * 2021-05-19 2022-07-22 温州理工学院 一种新闻传媒采播摄影设备
CN113552757B (zh) * 2021-07-22 2022-07-12 王健羽 一种岩彩肌理效果记录装置
CN113653893A (zh) * 2021-08-05 2021-11-16 贵州中南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车路协同边缘感知设备
CN114740685B (zh) * 2022-03-23 2024-02-20 绍兴醉影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用于影视制作的全景拍摄轨道装置
CN117796758A (zh) * 2022-09-26 2024-04-02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人脸图像采集装置和测肤仪
CN115835009B (zh) * 2022-11-30 2024-04-30 马鞍山师范高等专科学校 一种内嵌加速度陀螺仪的乒乓球运动采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98B1 (ko) 2007-01-15 2008-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KR20110090429A (ko) * 2010-02-04 2011-08-10 신은순 입체이미지 촬영용 트랙
KR20130032622A (ko) * 2011-09-23 2013-04-02 최경섭 카메라 촬영용 전동달리
KR101277595B1 (ko) * 2012-04-16 2013-06-27 (주)현대포멕스 개선된 사용 편의성과 수납성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용 레일 장치
KR20140048773A (ko) 2012-10-16 2014-04-24 강민건 영상장비 스태빌라이저
US8721199B1 (en) * 2013-06-07 2014-05-13 Rhino Camera Gear, LLC Slide-able mount for an image device
KR101407451B1 (ko) 2013-01-15 2014-06-13 주식회사 스카이라이프티브이 3차원 영상 카메라의 무빙 장치와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835B1 (ko) * 2010-10-18 2013-08-20 전동윤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KR101225443B1 (ko) * 2010-10-27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원호형 카메라 프레임를 이용하여 제품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형량 측정 방법
KR101204267B1 (ko) * 2011-04-29 2012-11-23 주식회사 레드로버 카메라 촬영 위치 조절 장치
KR101447233B1 (ko) * 2012-12-21 2014-10-07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파노라마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98B1 (ko) 2007-01-15 2008-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KR20110090429A (ko) * 2010-02-04 2011-08-10 신은순 입체이미지 촬영용 트랙
KR20130032622A (ko) * 2011-09-23 2013-04-02 최경섭 카메라 촬영용 전동달리
KR101277595B1 (ko) * 2012-04-16 2013-06-27 (주)현대포멕스 개선된 사용 편의성과 수납성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용 레일 장치
KR20140048773A (ko) 2012-10-16 2014-04-24 강민건 영상장비 스태빌라이저
KR101407451B1 (ko) 2013-01-15 2014-06-13 주식회사 스카이라이프티브이 3차원 영상 카메라의 무빙 장치와 그 제어방법
US8721199B1 (en) * 2013-06-07 2014-05-13 Rhino Camera Gear, LLC Slide-able mount for an image devic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8186A1 (en) * 2016-10-10 2018-04-19 GRIPGEAR Limited Mount for a camera
CN106773465A (zh) * 2017-04-11 2017-05-31 刘振 横向移动旋转式图像艺术滑轨
CN106773465B (zh) * 2017-04-11 2019-04-19 绍兴市树宝农业科技有限公司 横向移动旋转式图像艺术滑轨
KR20190001452A (ko) * 2017-06-27 2019-01-04 (주)씨플렉스필름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KR102064248B1 (ko) * 2017-06-27 2020-01-13 김준희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CN108488588A (zh) * 2017-11-22 2018-09-04 苏州火连天贸易有限公司 一种摄影滑移轨道
KR20200094004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로테스 개인방송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동촬영 로봇장치
KR102185642B1 (ko) * 2019-01-29 2020-12-02 주식회사 로테스 개인방송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동촬영 로봇장치
KR20210002063U (ko) * 2020-03-09 2021-09-17 정승교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KR200494226Y1 (ko) 2020-03-09 2021-09-23 정승교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CN113942815A (zh) * 2021-10-09 2022-01-18 深圳市春盛海科技有限公司 人工智慧影像辨认用回转餐台
CN115009181A (zh) * 2022-05-27 2022-09-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可再生能源的农村能源发展潜力评估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009181B (zh) * 2022-05-27 2023-04-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可再生能源的农村能源发展潜力评估系统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140A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309B1 (ko)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KR100602827B1 (ko) 두 개의 직교축선을 중심으로 카메라 또는 유사물품을회전가능하게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장치
US20160381271A1 (en) Handheld camera stabilizer with integration of smart device
EP3181982B1 (en) Gimbal platform
JP6194444B2 (ja) 雲台
US9052573B2 (en) Video camera motion stabilizing device
WO2017132814A1 (zh) 竖向增稳机构、云台装置及拍摄设备
KR100881373B1 (ko) 고니오미터를 이용해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US20070019949A1 (en) Stand apparatus for photographic uses
TWI322924B (e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for stabilizing an image sensor
TW201533370A (zh) 攝影用滑移裝置
CN111609281B (zh) 纵向增稳式手持机架及手持摄影器材
CN112145881B (zh) 手持摄影器材
US2018033568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Pictures
KR100928806B1 (ko) 이동촬영 보조장치
JP2010533884A (ja) 写真及びビデオ写真機器のためのパノラマヘッド
TWM521202U (zh) 以線性及旋轉同步連動之攝影旋轉調校裝置
KR20030096205A (ko) 아크레일 파노라마 헤드 회전 슬라이드 촬영 장치
US20170269459A1 (en) Wearable stabilizing assembly for an optical device
CN111779961B (zh) 横向增稳式手持机架及手持摄影器材
US11683589B2 (en) Automatic camera head and operation method
CN203868620U (zh) 云台
KR101322481B1 (ko)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WO2019024118A1 (zh) 遥控器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