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452A -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 Google Patents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452A
KR20190001452A KR1020170081459A KR20170081459A KR20190001452A KR 20190001452 A KR20190001452 A KR 20190001452A KR 1020170081459 A KR1020170081459 A KR 1020170081459A KR 20170081459 A KR20170081459 A KR 20170081459A KR 20190001452 A KR20190001452 A KR 2019000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mera
boom
cran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248B1 (ko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씨플렉스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플렉스필름 filed Critical (주)씨플렉스필름
Priority to KR102017008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2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붐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평형을 유지하도록 타측에 가변위치조절부가 설치되는 붐대; 상기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무게추가 설치되는 가변위치조절부;를 마련하여 붐대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무게추를 이동시켜 크레인을 항상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크레인을 자유로이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으며, 크레인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 변화를 신속하게 하거나 느리게 움직이도록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무게추의 이동 속도, 무게추의 제동 및 무게추의 이동 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다양한 촬영 기법으로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Balance weight position-shifting crane corresponding to camera weight change}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촬영용 카메라의 중량 변화에 상관없이 위치와 자세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크레인은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 위치조정 가능하도록 지지대 상에 배열되어 있는 붐으로서 커플링들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진 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 카메라 크레인은 붐의 무게를 보상하는 시스템(즉, 평형추)을 가진 캔틸레버섹션프레임, 자유단에서 로프풀리를 가지고 있는 중앙지주 그리고 상기 풀리들에 걸쳐 있고, 캔틸레버섹션프레임의 일단에 배열된 텐션기구와 연결된 일단과 커플링과 연결된 타단을 가진 텐션 와이어를 또한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붐 카메라 크레인에 대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붐 카메라 크레인은 고정 베이스(2)가 구비된 지지부(1)를 가진다. 컬럼(3)이 베어링 유니트(4)에 의해 지지부(1)와 연결되어 컬럼(3)이 지지부(1)의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앙 섹션프레임(5)은 상기 지지부(1)의 수직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베어링 유니트(6)를 통하여 컬럼(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캔틸레버섹션프레임인 기단섹션프레임(7)은 중앙섹션프레임(5)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붐 무게 보상요소인 카운터밸런스(8)가 구비되어 있다.
텐션기구(9)가 상기 기단섹션프레임(7)상에 배열되어 있다.
조립된 중공붐(11)을 이루는 여러개의 섹션프레임들은 커넥팅 커플링(10)들에 의해 중앙섹션프레임(5)의 타단 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크레인은 중앙지주(12)를 가진다. 상기 중앙지주(12)의 자유단들은 텐션와이어(15)가 놓이는 가이드 롤러(14)가 구비되어 있다.
텐션와이어(15)는 자유단에 근접한 선단섹션프레임에 고정된 일단을 가지고 있고, 텐션와이어(15)를 텐션시키는 텐션기구(9)에 고정된 타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중공붐(11)은 적어도 2개의 섹션프레임으로 조립될 수 있는 중공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20)를 가진 캐리지(19)는 붐(11)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중공붐(11)의 상에는 카메라(20)의 접속 케이블(21)이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붐 카메라 크레인은 붐 상에 카메라(20)의 접속 케이블(21)이 정렬됨 없이 놓이게 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붐을 이루고 있는 여러 섹션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커넥팅 커플링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여러 섹션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 크레인은 카메라의 높이 및 거리에 따라 각각 변위되는 카메라의 중량에 대응되는 무게 조절을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일일이 새롭게 중량 재 설정 후 카메라 크레인을 조작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카메라 크레인의 선단에 장착된 카메라가 수중으로 들어가게 되면, 카메라의 중량이 감소되는 수중에서의 크레인 조작 시 밸런스 웨이트가 맞지 않아 카메라를 원하는 각도와 높이 등으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카메라용 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카메라용 크레인은 카메라가 안착되는 안착대, 이 안착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대로 이루어진 카메라 받침대, 카메라 받침대에 결합되며, 다수의 붐대가 조인트에 의해 서로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붐, 상기 안착대와 연결대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와 이 연결대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붐대 중에서 상기 카메라 받침대에 가장 가까운 최전방 붐대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수단, 상기 붐이 축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받침대가 결합된 수직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반에 안착되는 삼각대, 다수로 이루어진 상기 붐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 상기 붐의 무게 균형을 확보해 주는 무게유지수단, 상기 상하 회전수단과 좌우 회전수단 및 카메라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원거리 제어기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카메라가 구비된 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크레인은 차량에 설치 고정되고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붐조립체, 상기 붐조립체에서 인출입되고 끝단에 헤드가 구비되는 붐, 상기 헤드측에 연결되고 와이어를 통하여 중량물을 올리고 내리는 후크부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 좌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측면에 제1체결부재로 체결 고정되는 "ㄴ"자 형상의 브라켓트, 상기 브라켓트에 제2체결부재를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연결구를 구비한다.
일단은 상기 연결구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카메라가 연결된 상태에서 헤드가 상하 어느 방향에 위치하더라도 후크부와 같이 카메라가 항상 지면을 향할 수 있도록 상하 회전하는 회동부, 일단은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고 타단은 모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선이 권취되어 있고 붐이 붐조립체에서 인출입될 때 상기한 카메라선이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붐조립체 상단에 설치 고정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8-000665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4765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202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가 수중으로 들어감에 따라 카메라의 무게 변위에 관계없이 카메라의 높이, 각도, 위치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은 붐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평형을 유지하도록 타측에 가변위치조절부가 설치되는 붐대; 상기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무게추가 설치되는 가변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위치조절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의 이동 속도, 제동 및 무게추의 이동 거리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위치조절부는 상기 붐대의 타측에 소정 길이로 설치되는 리니어 가이드;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니어 블록; 상기 리니어 블록에 의해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위치조절부는 상기 붐대의 타측에 설치되는 윈치드럼;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에 의해 권취되게 감긴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권취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무게추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레버; 상기 무게추의 이동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레버; 상기 무게추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에 의하면, 붐대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무게추를 이동시켜 크레인을 항상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크레인을 자유로이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으며, 크레인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 변화를 신속하게 하거나 느리게 움직이도록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무게추의 이동 속도, 무게추의 제동 및 무게추의 이동 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다양한 촬영 기법으로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붐 카메라 크레인에 대한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을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을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은 붐대(2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부(10), 상기 받침부(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23)와 상기 카메라(23)의 중량에 따라 평형을 유지하도록 타측에 가변위치조절부(30)가 설치되는 붐대(20), 상기 카메라(23)의 중량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무게추(33)가 설치되는 가변위치조절부(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은 크레인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를 수중으로 투입시킴에 따라 카메라의 중량이 변화하게 되는데,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가변 웨이트인 무게추를 이동시켜 카메라용 크레인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카메라가 수평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경우, 가변 웨이트인 무게추를 받침부 쪽으로 이동시켜 카메라의 중량과 일치시켜 크레인의 조정을 원활하게 하고, 카메라가 수평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 가변 웨이트인 무게추를 조작부 쪽으로 이동시켜 카메라의 중량과 일치시켜 크레인의 조정을 원활하게 한다.
<제1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은 안정적으로 붐대(20)를 지지하는 받침부(10), 상기 받침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대(20), 상기 붐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변 웨이트인 무게추(33)를 이동시키는 가변위치조절부(30) 및 상기 무게추(33)가 카메라의 중량과 일치되게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0)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붐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다수의 지지다리(11)와 상기 지지다리(11)의 상부에 붐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포스트(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다리(11)는 붐대(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지는데, 지지다리(11)는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다리(11)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펼쳐지게 마련되며, 지지다리(11)는 지면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지지다리(11)의 상면에는 붐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포스트(12)가 형성된다.
상기 붐대(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붐대(20)는 받침부(1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붐대(21)와 상기 받침부(10)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짧게 형성되는 제2 붐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붐대(21)의 끝단에는 수중 촬영을 하기 위한 수중 카메라(23)가 설치되며, 상기 수중 카메라(23)는 수중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카메라의 외면을 감싸는 카메라 하우징(미도시)이 설치되고,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제1 붐대(21)는 카메라의 촬영 시 카메라(23)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길이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붐대(21)는 텔레스코프(telescope)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카메라(23)를 전진 이동시키거나 후진 이동시켜 촬영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붐대(22)에는 카메라(23)의 중량에 따라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가변위치조절부(3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위치조절부(30)는 상기 붐대(20)의 타측에 소정 길이로 설치되는 리니어 가이드(31), 상기 리니어 가이드(3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니어 블록(32), 상기 리니어 블록(32)에 의해 상기 리니어 가이드(3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33)를 포함한다.
상기 리니어 가이드(31)는 제2 붐대(22)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고, 상기 리니어 가이드(31)는 제2 붐대(22)의 끝단에서부터 받침부(10)의 포스트(12)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리니어 가이드(31)에는 리니어 가이드(31)를 따라 이동되는 리니어 블록(32)이 설치되며, 상기 리니어 블록(32)의 상면에는 카메라(23)와의 평형(또는 균형)을 맞추기 위한 무게추(33)가 설치된다.
상기 무게추(33)는 리니어 가이드(31)를 따라 이동되면서 카메라(23)와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적정 무게를 갖는다.
상기 제2 붐대(22)에는 리니어 블록(32)이 리니어 가이드(31)를 따라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40)는 가변위치조절부(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33)의 이동 속도, 제동 및 무게추의 이동 거리를 제어한다.
상기 조작부(40)에는 리니어 블록(32)의 이동과 관련된 레버 또는 버튼이 다수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무게추(33)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레버(41), 상기 무게추(33)의 이동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레버(42) 및 상기 무게추(33)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버튼(43)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속도조절레버(41)는 리니어 블록(32)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속도조절레버(41)를 조작함에 따라 리니어 블록(32)이 이동된다.
한편 속도조절레버(41)는 레버를 더욱 밀어주게 됨에 따라 리니어 블록(32)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리니어 블록(32)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카메라(23)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카메라(23)를 느린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 붐대(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카메라(23)와 무게추(33)의 이동 속도를 신속하게 하거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면서 카메라(23)와 무게추(33)가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촬영자는 카메라(23)의 위치를 높이거나 낮추면서 붐대(20)의 조절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카메라(23)를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 브레이크레버(42)는 속도조절레버(42)에 의해 이동되는 리니어 블록(32)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촬영자는 원하는 위치에서 브레이크레버(42)를 이용하여 리니어 블록(32)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레버(42)는 리니어 블록(32)의 이동을 원만한 속도로 제어하거나 급격한 속도로 이동되게 제어한다.
즉, 촬영자는 촬영 시 카메라(23)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시 카메라(23)를 느린 속도로 이동시키거나 카메라(23)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레버(42)는 촬영자가 붐대(20)를 회전시키면서 카메라(23)의 이동을 신속하게 또는 느린 속도로 이동시킬지에 따라 리니어 블록(32)의 이동을 적절하게 제동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촬영 기법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거리설정버튼(43)은 리니어 블록(32)을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거리설정버튼(43)은 리니어 블록(32)을 10㎝ 또는 20~30㎝의 거리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설정버튼(43)은 리니어 블록(32)을 10㎝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튼(미도시) 또는 50㎝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시키고자 하는 거리를 설정하는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리니어 가이드(31)의 측면에는 이동 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거리를 나타내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은 길이 가변되는 받침부(10)의 상면에 붐대(2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붐대(20)의 일측에는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23)를 설치하고, 붐대(20)의 타측에는 카메라(23)의 위치에 따라 카메라(23)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도록 무게추(33)를 이동시키는 가변위치조절부(30)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부(10)의 지지다리(11)는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3개로 이루어지며, 지지다리(11)의 상면에는 붐대(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포스트(12)를 고정한다.
상기 포스트(12)에는 붐대(20)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붐대(20)는 받침부(10)로부터 일단까지 형성되는 제1 붐대(21)와 받침부(10)로부터 타단까지 형성되는 제2 붐대(22)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제1 붐대(21)의 선단에는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23)를 설치하며, 제2 붐대(22)의 선단에는 카메라(23)의 위치에 따라 크레인이 평형(또는 균형)을 이루도록 무게추(33)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제2 붐대(22)의 상면에는 소정 길이로 이루어진 리니어 가이드(31)를 설치하며, 리니어 가이드(31)를 따라 이동되는 리니어 블록(32)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리니어 블록(32)에는 카메라(23) 무게와 평형을 이루도록 무게추(33)를 설치한다.
아울러 제2 붐대(22)에는 리니어 블록(32)이 이동되도록 속도조절레버(41)를 설치하고, 리니어 블록(32)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레버(42)를 설치하며, 리니어 블록(32)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버튼(43)을 다수 설치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은 촬영자가 크레인을 이용하여 촬영 시 카메라(23)의 위치에 따라 가변위치조절부(30)에 설치된 리니어 블록(32)을 적절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카메라(23)와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23)가 수중으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카메라(23)의 중량은 가벼워지게 된다. 이에 촬영자는 조작부(40)에 설치된 속도조절레버(41)를 작동시켜 리니어 블록(32)을 받침부(10)의 포스트(12) 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무게추(33)는 리니어 블록(32)과 함께 이동되며, 무게추(33)가 받침부(10)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크레인은 카메라(23)와 무게추(33)에 의해 크레인 양측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에 촬영자는 크레인을 원하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 촬영자는 이동되는 리니어 블록(32)의 이동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거나 느리게 이동시키면서 크레인을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촬영 시 리니어 블록(32)의 이동시키고자 하는 거리를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은 제2 붐대(22)에 가변위치조절부(30)를 설치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변위치조절부(30)는 상기 붐대(20)의 타측에 설치되는 윈치드럼(35), 상기 윈치드럼(35)의 회전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36), 상기 와이어(36)의 권취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붐대(22)에는 와이어(36)를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드럼(35)이 설치되며, 상기 윈치드럼(35)에는 윈치드럼(35)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36)를 설치한다.
아울러 제2 붐대(22)의 상면에는 와이어(36)에 의해 이동되는 무게추(33)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제2 붐대(22)의 상면에는 무게추(33)가 이탈되지 않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구(37)가 고정된다.
또한 제2 붐대(22)에는 무게추(3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속도조절레버(41), 브레이크레버(42) 및 거리설정버튼(43)이 설치된 조작부(40)가 마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은 제1 붐대(21)에 설치된 카메라(23)가 수중으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가벼워진 중량만큼 속도조절레비(41) 및 브레이크레버(42)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정지시킨 상태를 유지시켜 카메라(23)와 무게추(33)와의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은 카메라(23)의 중량과 붐대(20)의 중량이 서로 평형을 이루도록 무게추(33)를 이동시켜 줌으로써, 촬영자가 크레인의 조작을 보다 원활하면서 작업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받침부 11: 지지다리
12: 포스트
20: 붐대 21: 제1 붐대
22: 제2 붐대 23: 카메라
30: 가변위치조절부 31: 리니어 가이드
32: 리니어 블록 33: 무게추
35: 윈치드럼 36: 와이어
37: 안내구
40: 조작부 41: 속도조절레버
42: 브레이크레버 43: 거리설정 버튼

Claims (5)

  1.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평형을 유지하도록 타측에 가변위치조절부가 설치되는 붐대;및
    상기 카메라의 중량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무게추가 설치되는 가변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위치조절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의 이동 속도, 제동 및 무게추의 이동 거리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위치조절부는
    상기 붐대의 타측에 소정 길이로 설치되는 리니어 가이드;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니어 블록;
    상기 리니어 블록에 의해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위치조절부는
    상기 붐대의 타측에 설치되는 윈치드럼;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에 의해 권취되게 감긴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권취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무게추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레버;
    상기 무게추의 이동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레버;
    상기 무게추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웨이트의 위치이동 카메라용 크레인.
KR1020170081459A 2017-06-27 2017-06-27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KR10206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59A KR102064248B1 (ko) 2017-06-27 2017-06-27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59A KR102064248B1 (ko) 2017-06-27 2017-06-27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52A true KR20190001452A (ko) 2019-01-04
KR102064248B1 KR102064248B1 (ko) 2020-01-13

Family

ID=6501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459A KR102064248B1 (ko) 2017-06-27 2017-06-27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26A (ko) * 2019-10-31 2021-05-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영상을 이용한 한우 체중 측정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02Y1 (ko) * 2001-05-30 2001-10-17 노해용 캠코더의 위치제어장치용 크레인
JP2007239842A (ja) * 2006-03-08 2007-09-20 Shotoku Corp カメラクレーン装置
KR20080006657A (ko) 2006-07-13 2008-01-17 백금순 카메라용 크레인
KR100820298B1 (ko) 2007-01-15 2008-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KR20090047654A (ko) 2007-11-08 2009-05-13 박용민 카메라가 구비된 크레인
KR20150112557A (ko) * 2014-03-28 2015-10-07 이철주 촬영용 직선구동장치
KR101660309B1 (ko) * 2015-06-05 2016-09-27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02Y1 (ko) * 2001-05-30 2001-10-17 노해용 캠코더의 위치제어장치용 크레인
JP2007239842A (ja) * 2006-03-08 2007-09-20 Shotoku Corp カメラクレーン装置
KR20080006657A (ko) 2006-07-13 2008-01-17 백금순 카메라용 크레인
KR100820298B1 (ko) 2007-01-15 2008-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KR20090047654A (ko) 2007-11-08 2009-05-13 박용민 카메라가 구비된 크레인
KR20150112557A (ko) * 2014-03-28 2015-10-07 이철주 촬영용 직선구동장치
KR101660309B1 (ko) * 2015-06-05 2016-09-27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26A (ko) * 2019-10-31 2021-05-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영상을 이용한 한우 체중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248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541B1 (en) Camera jib
JP4118915B2 (ja) カメラ用ペデスタル
US4606527A (en) Theatre scenery hoisting mechanism
JP2002207174A (ja) 台架装置
JP6524177B2 (ja) 視覚的に透明な可撓性支持部材を有する飛行プラットフォーム
CA2744052A1 (en)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arranging a person supported by a handling system
US3373285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slack in high tension cables for a ceiling mounted x-ray tube assembly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FI83756B (fi) Anordning foer lindning av en kabel.
US2421437A (en) Microphone boom
US5064172A (en) Stringing block
KR101690273B1 (ko)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KR20190001452A (ko)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EP0460342B1 (en) Hoisting device for individuals
EP1542203A1 (en) An adjustable musical instrument stand
KR200428025Y1 (ko) 카메라용 크레인
KR100852248B1 (ko) 카메라용 크레인
JP6457308B2 (ja) 機器懸架システム
JP2011092605A (ja) 吊り物装置
JP2009196790A (ja) エレベータ
KR102038146B1 (ko)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을 포함하는 수중 촬영 시스템
CN111109842A (zh) 电动升降桌
JP2011140356A (ja) エレベータのそらせシーブおよびエレベータ
US1775853A (en) Radiographic unit
CN215326574U (zh) 吊装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