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273B1 -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273B1
KR101690273B1 KR1020160129940A KR20160129940A KR101690273B1 KR 101690273 B1 KR101690273 B1 KR 101690273B1 KR 1020160129940 A KR1020160129940 A KR 1020160129940A KR 20160129940 A KR20160129940 A KR 20160129940A KR 101690273 B1 KR101690273 B1 KR 10169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upport
wire
work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임태순
우석현
고산웅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Priority to KR102016012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외벽을 보수 또는 청소하거나 물건을 승강하기 위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전동 와인더; 상기 작업대 전방에 설치되면서 상부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와인더에서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를 상기 작업대 상부 중앙으로 안내하면서 제1 풀리의 축을 중심으로 제2 풀리의 축이 회전하도록 하는 풀리 뭉치; 상기 지지대의 상부 후방과 상기 풀리 뭉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로부터 풀리 뭉치를 밀거나 당기면서 전후 수평을 유지하는 전동 실린더;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상부가 좌 또는 우로 기울도록 하면서 좌우 수평을 유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고소작업 중 전후 또는 좌우로 기우는 현상을 보상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외벽을 보수 또는 청소하거나 물건을 승강하기 위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는 빌딩의 외벽 보수 또는 청소 작업이나 대형 선박의 도장작업 뿐만 아니라, 무거운 물건 등을 승강하는 등 여러 형태의 고소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와인더; 및 상기 와이더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를 안내하면서 작업대의 균형을 잡기 위한 풀리 뭉치;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리 뭉치는 축 결합된 다수개의 풀리를 이용하여 작업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하도록 와이어를 안내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풀리 뭉치는 리프트의 무게 중심이 중앙에 있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리프트의 무게 중심이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 무게 중심에 대한 보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4524호(2000.03.06.공개)에는 자동 수평 조절장치를 구비한 곤도라(이하, 와이어 리프트라 칭함.)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경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좌우측 회전모터의 스위칭부에 각각 마그네틱 스위치가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양측 마그네틱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수평조절부를 구성함으로서, 상기 수평조절부가 와이어 리프트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좌우측 회전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안은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의 좌우측 수평조절은 가능하나 전후 수평조절은 고려되지 않았는데, 가령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를 타고 작업 중에 갑자기 전방으로 무게가 쏠리거나 후방으로 무게가 치우쳤을 때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면서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에서 작업 중 무게중심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후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도 자동으로 보상이 이루어지면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고소작업 중 무게중심이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이동시 발생하는 기울어짐을 보상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전동 와인더; 상기 전동 와인더 상부의 작업대 전방에 설치하되, 중간 지점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 결합된 상하부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면서 상부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작업대가 좌우로 이동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와인더에서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를 상기 작업대 상부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하되,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단에 제1 풀리가 축 설치되고, 상기 제1 풀리의 후방으로 제2 풀리가 위치하는 한편,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의 좌 또는 우에는 사이드 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가 축 결합되면서 상기 제1 풀리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풀리의 축이 회전하도록 풀리 뭉치; 상기 지지대의 상부 후방과 상기 풀리 뭉치의 제2 풀리 하측 사이드 패널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무게 중심이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가 전후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대로부터 풀리 뭉치를 밀거나 당기면서 전후 수평을 유지하는 전동 실린더; 및 상기 지지대의 좌 또는 우측에 위치하면서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 와인더와 풀리 뭉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동 와인더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급제동하여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 스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 하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전후로 길이 조절하도록 하되, 고소작업시에는 작업대의 전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지상에서 이동시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바;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상으로부터 상기 작업대의 높이를 감지하여 지상에 근접시 상기 실린더 바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높이감지 센서; 및 상기 실린더 바의 하부 전후에 설치되고, 지상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에 의하면 고소작업 중 무게중심이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이동시 발생하는 기울어짐을 보상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를 도시한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의 전후 무게중심에 따른 수평 보상을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의 좌우 이동에 따른 수평 보상을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와이어(210)를 감거나 풀기 위한 전동 와인더(200), 상기 작업대 전방에 설치되면서 상부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지지대(300),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와인더에서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를 상기 작업대 상부 중앙으로 안내하면서 제1 풀리(410)의 축을 중심으로 제2 풀리(420)의 축이 회전하도록 하는 풀리 뭉치(400), 상기 지지대의 상부 후방과 상기 풀리 뭉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로부터 풀리 뭉치를 밀거나 당기면서 전후 수평을 유지하는 전동 실린더(500)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상부가 좌 또는 우로 기울도록 하면서 좌우 수평을 유지하는 코일 스프링(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00)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이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전후좌우면이 막힌 상자 형태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전후좌우에 설치되는 난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업대(10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전동 와인더(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와이어(210)를 감거나 풀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좌우 양측의 전동 와인더(200)는 동일한 속도와 권선비율로 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설치되며, 상기 양측 전동 와인더(200)의 작동은 작업대(100)의 일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전동 와인더 상부의 작업대 전방에 설치하되, 중간 지점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 결합된 상하부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면서 상부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작업대가 좌우로 이동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300)는 작업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풀리 뭉치(400)의 제1 풀리(410)가 축 결합되도록 브래킷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0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보통은 도 7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작업대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만약 상기 고소작업이 작업대 내에서 할 수 없는 경우, 다시 말해서 작업대의 좌우 폭보다 작업면의 좌우 폭이 큰 경우에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작업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지지대(300)가 절곡되지 않는 다면 상기 작업대는 좌우로 이동하는 폭만큼 기울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300)의 중간 지점이 좌우로 꺾이도록 축 결합함으로써,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가 좌우로 이동시에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풀리 뭉치(400)는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와인더에서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를 상기 작업대 상부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하되,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단에 제1 풀리(410)가 축 설치되고, 상기 제1 풀리의 후방으로 제2 풀리(420)가 위치하는 한편,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의 좌 또는 우에는 사이드 패널(430)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가 축 결합되면서 상기 제1 풀리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풀리의 축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풀리 뭉치(4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풀리(410, 420)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S" 형태로 꺽어주면서 감기고 풀리도록 한다.
한편, 상기 풀리 뭉치(400)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풀리와 동축으로 별도의 풀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동 와인더 또는 후술하는 전동 실린더나 실린더 바 등으로 연결되는 전선 또는 보조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한다.
상기 전동 실린더(500)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 후방과 상기 풀리 뭉치의 제2 풀리 하측 사이드 패널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무게 중심이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가 전후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대로부터 풀리 뭉치를 밀거나 당기면서 전후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전동 실린더(5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의 무게 중심이 중앙,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풀리 뭉치(400)를 밀거나 당겨주면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동 실린더(500)는 무게중심의 전후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수단은 예를 들어 전후의 근접센서 사이에 볼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볼이 전후 근접센서에 접근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무게중심의 움직임 즉, 작업대의 전후 기울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하편, 상기 전동 실린더(500)를 설치하기 위해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작업대의 후방으로 브래킷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동 실린더(50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작업대의 무게중심이 작업대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전동 실린더(500)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5는 작업대의 무게중심이 작업대의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대의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물건을 전방으로 움직인 경우다. 이때, 상기 작업대는 전방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고, 이를 감지한 전동 실린더(500)는 그만큼 풀리 풍치(400)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제2 풀리(420)가 상측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결국, 상기 제2 풀리(420)와 와이어(2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그만큼 작업대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대 내부의 작업자나 물건에 의해 이동한 무게중심만큼 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로 인해 작업대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6은 작업대의 무게 중심이 작업대의 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대의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물건을 후방으로 움직인 경우다. 이때, 상기 작업대는 후방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고, 이를 감지한 전동 실린더(500)는 그만큼 풀리 풍치(400)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2 풀리(420)가 하측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결국, 상기 제2 풀리(420)와 와이어(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그만큼 작업대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대 내부의 작업자나 물건에 의해 이동한 무게중심만큼 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로 인해 작업대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코일 스프링(600)은 상기 지지대(300)의 좌 또는 우측에 위치하면서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600)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상부가 좌 또는 우로 기울지 않도록 잡아주는 한편, 앞서 지지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좌 또는 우로 꺾일 때에는 인장/압축력에 의해 원활하게 꺾이도록 하면서 복원력을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상기 전동 와인더(200)와 풀리 뭉치(4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대(300)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동 와인더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급제동하여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 스톱(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블록 스톱(7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대가 기울어짐에 따라 와이어를 안내하는 풀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0) 하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전후로 길이 조절하도록 하되, 고소작업시에는 작업대의 전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지상에서 이동시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바(800)와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상으로부터 상기 작업대의 높이를 감지하여 지상에 근접시 상기 실린더 바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높이감지 센서(810) 및 상기 실린더 바의 하부 전후에 설치되고, 지상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바퀴(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100)가 지상에 근접하면 상기 높이감지 센서(810)에 의해 실린더 바(800)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고소작업시에는 높이감지 센서(810)에 의해 실린더 바(800)가 후퇴하기 때문에 바퀴가 건물 등에 닿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소작업 중 무게중심이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기울어짐이 발생시 이를 보상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작업대
200: 와인더 210: 와이어
300: 지지대
400: 풀리 뭉치 410: 제1 풀리
420: 제2 풀리 430: 사이드 패널
500: 전동 실린더
600: 코일 스프링
700: 블록 스톱
800: 실린더 바 810: 높이감지 센서
820: 바퀴

Claims (3)

  1.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전동 와인더;
    상기 전동 와인더 상부의 작업대 전방에 설치하되, 중간 지점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 결합된 상하부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면서 상부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작업대가 좌우로 이동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와인더에서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를 상기 작업대 상부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하되,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단에 제1 풀리가 축 설치되고, 상기 제1 풀리의 후방으로 제2 풀리가 위치하는 한편,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의 좌 또는 우에는 사이드 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가 축 결합되면서 상기 제1 풀리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풀리의 축이 회전하도록 풀리 뭉치;
    상기 지지대의 상부 후방과 상기 풀리 뭉치의 제2 풀리 하측 사이드 패널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무게 중심이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가 전후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대로부터 풀리 뭉치를 밀거나 당기면서 전후 수평을 유지하는 전동 실린더; 및
    상기 지지대의 좌 또는 우측에 위치하면서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와인더와 풀리 뭉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동 와인더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급제동하여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 스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하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전후로 길이 조절하도록 하되, 고소작업시에는 작업대의 전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지상에서 이동시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실린더 바;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상으로부터 상기 작업대의 높이를 감지하여 지상에 근접시 상기 실린더 바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높이감지 센서; 및
    상기 실린더 바의 하부 전후에 설치되고, 지상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KR1020160129940A 2016-10-07 2016-10-07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KR101690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940A KR101690273B1 (ko) 2016-10-07 2016-10-07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940A KR101690273B1 (ko) 2016-10-07 2016-10-07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273B1 true KR101690273B1 (ko) 2016-12-28

Family

ID=5772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940A KR101690273B1 (ko) 2016-10-07 2016-10-07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9927A (zh) * 2017-11-16 2018-06-12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悬挑梁拉压约束器及其使用方法
KR101902186B1 (ko) 2017-03-17 2018-09-28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식 노내 시스템비계의 승강시스템
CN110668335A (zh) * 2019-09-03 2020-01-10 广州林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机械制造的使用寿命长的起重系统
KR102107753B1 (ko) * 2019-06-20 2020-05-07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데이터를 이용한 과하중 방지용 스마트가설작업 인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724A (ja) * 1991-09-27 1993-04-06 Nippon Bisoo Kk 吊下式作業機の傾斜修正装置
JP2009155926A (ja) * 2007-12-27 2009-07-16 Nihon Bisoh Co Ltd ゴンドラ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724A (ja) * 1991-09-27 1993-04-06 Nippon Bisoo Kk 吊下式作業機の傾斜修正装置
JP2009155926A (ja) * 2007-12-27 2009-07-16 Nihon Bisoh Co Ltd ゴンドラ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86B1 (ko) 2017-03-17 2018-09-28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식 노내 시스템비계의 승강시스템
CN108149927A (zh) * 2017-11-16 2018-06-12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悬挑梁拉压约束器及其使用方法
KR102107753B1 (ko) * 2019-06-20 2020-05-07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데이터를 이용한 과하중 방지용 스마트가설작업 인양장치
CN110668335A (zh) * 2019-09-03 2020-01-10 广州林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机械制造的使用寿命长的起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273B1 (ko)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JP6154921B1 (ja) 風力発電装置におけるブレード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装置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CN110382395B (zh) 用于在电梯设备的电梯竖井中执行安装过程的装配系统
JP5621017B1 (ja)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抑制システム
KR101872923B1 (ko) 드론형 고소작업장치
JPH06126664A (ja) 荷重取扱装置
US3638757A (en) Mobile elevating scaffolds
JP4618505B2 (ja) 物品搬送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JPH0524795A (ja) 昇降装置
JP2009196790A (ja) エレベータ
JP2597324B2 (ja) 自動車載置台の昇降装置
JP3187619B2 (ja) 床パネルの敷設装置
JP7316660B2 (ja) 多段昇降装置
CN113401757A (zh) 轨道定位系统
JP5305344B2 (ja) 巻上機据付装置
CN215326574U (zh) 吊装组件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CN216764174U (zh) 一种建筑稳定用吊装设备
JPH07300284A (ja) ガイドレールの芯出し装置
KR102233802B1 (ko) 이동 리프트
JPH07215699A (ja) 荷揚げリフト
KR102359449B1 (ko)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KR20190001452A (ko) 카메라 중량 변화에 대응하는 밸런스 웨이트 위치 이동형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