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189B1 -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 Google Patents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189B1
KR101239189B1 KR1020110078774A KR20110078774A KR101239189B1 KR 101239189 B1 KR101239189 B1 KR 101239189B1 KR 1020110078774 A KR1020110078774 A KR 1020110078774A KR 20110078774 A KR20110078774 A KR 20110078774A KR 101239189 B1 KR101239189 B1 KR 10123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block
fixing
hand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689A (ko
Inventor
임경수
Original Assignee
임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수 filed Critical 임경수
Priority to KR102011007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1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촬영시에 흔들림을 방지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가 개시된다. 피정향 장치를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안내블록와 상기 안내블록의 전후진 운동을 안내하고 정해진 위치에 상기 안내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핸들와 상기 안내가이드가 3축에 대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안내가이드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균형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이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균형추가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 지주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stabilized equipment support, primarily for use with hand-held}
본 발명은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체결되고 좌우 흔들림으로부터 무게중심을 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지주와 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어 이동시에 흔들림에 의해 프레임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짐벌과 짐벌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포함되는 핸드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진과 후진이 가능한 레일이 한 개 이상 형성된 안내가이드 및 레일에 삽입되어 전진 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안내블록이 포함된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에 대한 것이다. 콤팩트 비디오나 캠코더 등은 이동 촬영 시에 비디오나 캠코더등의 흔들림을 안정화 시키도록 하는 휴대장비(스테디 캠: Steady cam)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영상물인 영화 혹은 비디오, 카메라들은 통상적으로 유연한 고품질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 각 이동 촬영시 초점이 흔들리지 않는 촬영 결과물을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로 인해, 흔들리지 않는 결과물을 얻고자 TV 및 영화 산업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스텐디 캠(stadicam)은 비교적 이동촬영 시에 흔들림이 예방되도록 개발 되었다.
스테디 캠은 영화촬영에 쓰이는 피정향 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촬영을 하는 장비물인 카메라 또는 비디오카메라로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핸드폰이나 콤팩트한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영화와 같은 영상물을 제작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특1990-005219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스테디 캠은 비디오카메라나 카메라 사용위주로 제작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두께가 얇은 핸드폰 및 기타 저장 장치의 장착이나 결합이 겸용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폰이나 피정향 장치 등의 연속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휴대 장비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스테이지의 중앙에 위치시킨 후 조절볼트를 사용하여 전진과 후진 좌우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추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조작이 힘들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비디오카메라나 카메라에도 사용하면서 비교적 두께가 얇은 핸드폰과 같은 콤팩트한 피정향 장치에서도 상용이 가능한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피정향 장치의 초점을 조절 후 조절볼트를 사용하여 조절하지 않고 레일을 따라서 전진과 후진을 하여 초점을 조절하면서도, 구조가 간다하며 제작 원가를 절약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동촬영 중에 장비의 흔들림으로 인해 장비가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핀이 배치된 영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피정향 장치를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안내블록과 상기 안내블록의 전후진 운동을 안내하고 정해진 위치에 상기 안내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핸들과 상기 안내가이드가 3축에 대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안내가이드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균형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이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균형추가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 지주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블록은 피정향 장치에 마련된 고정부와 결합되어 피정향 장치를 안내블록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정향 장치에 고정부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그 피정향 장치를 상기 안내블록에 고정시키기 위한 피정향 장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안내블록은 저면에 장홀을 구비하며, 안내가이드는 안내블록과 접촉하는 면 위로 돌출되거나 후퇴하여 면 아래로 수납될 수 있는 핀을 구비하고, 핀은 상기 안내블록의 저면에 마련된 홈과 작용하여 상기 안내블록의 전후진 운동이 소정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형추는 일단부에 무게추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무게추 지주 및 지주의 타단부와 무게추 지주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지주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안내가이드는 안내블록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레일이 양측에 구비되고 안내블록이 레일에 삽입되고, 레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안내블록을 고정하고, 레일의 거리가 멀어지면 안내블록이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는, 비디오카메라나 카메라에도 사용하면서 비교적 두께가 얇은 핸드폰과 같은 콤팩트한 피정향 장치에서도 상용이 가능한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정향 장치의 초점을 조절 후 조절볼트를 사용하여 조절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레일의 구간에 피정향 장치를 위치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고 제작 시에 제작원가를 절약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이동촬영 중에 장비의 흔들림으로 인해 장비가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핀이 배치된 영상 흔들림 방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의 단면도.
도 4 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블록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가이드의 저면도.
도 7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가이드의 결합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의 측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넓은 면을 갖는 프레임(12), 좌우 흔들림으로부터 무게중심을 잡아주면서 프레임(12) 일측 하단부에 체결되는 지주부재(20), 프레임(12)의 하단부 중앙에 배치되어 이동시 흔들림에 의해 프레임(12)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한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바 형태로 형성된 핸들(70), 프레임(12)의 상부에 체결되고 직선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레일(41)이 구비된 안내가이드(40), 안내가이드(40)의 상단부는 피정향 장치(80)가 체결되고 레일(41)에 삽입되어 전진 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안내블록(50)이 포함된다.
연결부재(10)는 기본골격을 제공하는 프레임(12)와 후술할 손잡이(74)가 프레임(12)의 중심에 배치되는 조절부재(16)와 프레임(12)의 하단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두께부재(14)로 구비된다.
프레임(12)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의 기본 골격을 제공한다. 프레임(12)는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이는 구조적 강성을 높이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과 경량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2)의 상단부에는 후술할 안내가이드(40)가 체결되도록 직사각형태의 평면이 구비된다.
두께부재(14)는 프레임(12)이 손잡이의 회전에 걸리지 않도록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두께부재(14)는 일측 내부에 조절부재(16)가 체결되는 관통홀이 배치된다. 두께부재(14)는 지주부재(20)의 타측 단부에 위치되어 프레임(12)과 체결되고 조절부재(16)가 체결되는 관통홀이 구비된다. 두께부재(14)는 강성을 높이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과 경량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재(16)는 피정향 장치(80)의 무게중심을 하중방향(정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12)의 중앙하단부에 배치된다. 조절부재(16)는 관통홀을 통하여 프레임(12)의 중앙하단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조절부재(16)는 피정향 장치(80)의 무게중심을 하중방향 즉 손잡이(74)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다. 조절부재(16)의 일측에는 환형 턱(162)이 배치된다. 환형 턱(162)은 후술할 짐벌(76)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짐벌(76)에 오목히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환형턱(162)의 형태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지주부재(20)는 프레임(12)의 일측 하단부에 체결되어 무게중심을 중력중심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주부재(20)는 무게중심이 손잡이(74)의 저면까지 배치되도록 한다. 지주부재(20)는 손잡이(74)의 하단까지 곡선으로 감싸듯이 구비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는 지주(20)의 형태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면 무게중심을 손잡이(74)보다 밑에 형성하기 위함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 곡선을 설명하고 있다. 지주부재(20)는 구조적 강성을 높이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부재(20)는 영상 촬영 중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지 않도록 일부구간이 개구되도록 구비되는 게 바람직하다. 지주부재(20)는 균형추(22)를 사용자의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거나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지주연결부(226)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주부재(20)의 일측 단부는 프레임(12)와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균형추(22)가 체결된다. 균형추(22)는 피정향 장치(80)의 무게 중심이 좌우측 방향으로 쏠릴 경우 무게중심이 핸들(70)의 중심에 놓이도록 쏠림이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무게추 지주(224)를 일정각도 조절 후 고정한다. 그러면 일정각도로 조절된 무게추 지주(224)와 무게추(222)의 위치와 무게로 인해 핸들(70)의 중앙에 무게중심으로 향하도록 한다.
또한, 균형추(2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게추 지주(224)를 고정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는, 무게추(222)의 일측은 지주부재(2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측은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222)가 고정된다. 이는 갑작스러운 좌우 이동에 대하여 무게 중심의 변화에 대하여 무게추(222)가 순간적으로 반대 방향에 위치 후 제위치를 찾아가는 방식으로 갑작스러운 좌우 이동에 대해서 무게추 지주(224)와 무게추(22)가 회전하여 흔들림을 상쇠하여 좌우의 갑작스러운 동작에 상대적으로 흔들리지 않는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도 6과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내가이드(40)는 프레임(12)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후술할 안내블록(50)이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안내가이드(40)의 양측에 안내블록(50)이 체결되도록 홈이 형성된 레일(41)이 형성된다. 이는 레일(41)의 형태와 수량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사용자가 전진과 후진의 조절이 가능한 어떠한 형태의 레일(41)도 상관이 없다.
안내가이드(40)는 일측에 배치되는 레일(41)의 폭을 조절 하는 조절볼트(48)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고정조절부재(46)가 배치된다. 이는 레일(41)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지면, 안내블록(50)을 고정하며 레일(41)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면 안내블록(50)을 전진 후진하거나 안내블록(50)을 안내가이드(40)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조절볼트(48)는 안내블록(50)의 폭에 맞게 레일(41)의 거리를 조절하여 안내블록(5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조절볼트(48)는 안내블록(50)의 폭보다 레일(41)의 거리가 크게 하면 안내블록(50)이 전진 후진을 하여 위치를 조절하면 피정향 장치(80)의 초점과 무게중심이 결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안내가이드(4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이동시에 안내블록(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42)이 배치된다.
고정조절부재(46)는 안내블록(50)의 폭보다 레일(41)이 거리가 크게 위치될 경우 이동시에 안내블록(50)이 빠져서 피정향 장치(8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핀(42)이 배치된다. 안내가이드(40)는 고정핀(42)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고정핀(42)이 안착되는 고정홀(44)이 상단부 표면에 형성된다.
고정조절부재(46)는 사용자가 고정조절부재(46)를 레일 방향으로 가압을 가하면서 회전을 고정핀(42)이 고정홀(44)에 안착되면 안내블록(50)을 안내가이드(40)에서 분리 할 수 있다. 반대로 고정조절부재(46)를 가압하여 반대로 회전을 하면 고정핀(42)이 안내가이드(40)의 상단부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내블록(50)은 안내가이드(40)에 배치된 레일(41)을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전진과 후진으로 이동시킨다. 안내블록(50)은 안내가이드(40)의 양측에 형성된 홈의 레일(41)을 따라 대응되는 결합 홈이 양측에 배치된다. 안내블록(50)은 안내가이드(60) 상부 평면에 돌출되는 고정핀(42)이 걸리도록 하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장홀(52)이 형성된다.
안내블록(5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홀(52)의 내부 구간에 고정핀(42)이 배치된다. 안내블록(50)은 이동 찰영중에 흔들림으로 인해 안내가이드(40)로 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42)이 배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내가이드(40)와 고정핀(42)이 이중으로 피정향 장치(80)의 파손을 방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안내블록(50)은 장홀(52) 내부에 체결이 가능한 고정볼트(54)가 배치된다. 고정볼트(54)는 안내블록(50) 상단부까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고정볼트(54)는 후술할 고정부재(60)와 체결되어 피정향 장치(80)와 같은 비교적 얇은 핸드폰 등을 고정한다. 고정볼트(54)는 피정향 장치(비디오카메라, 카메라 등)가 기존의 삼각대 등에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홀을 이용하여 안내블록(50)과 체결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부재(60)는 피정향 장치(80)를 안내블록(50)에 고정시킨다. 고정부재(60)는 피정향 장치(80)를 고정하기 위하여 바이스 방식으로 피정향 장치(80)를 끼워서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고정부재(60)의 일측 하단부에는 고정볼트(54)와 체결되는 홈이 구비되고 타측 상단부에는 피정향 장치(80)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피정향 장치 고정부재(62)가 구비된다. 고정부재(60)는 피정향 장치(80)의 외부 면이 접하는 부분은 피정향 장치(80)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이동시에 충격으로 인하여 피정향 장치(80)가 고정부재(6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부재(60)는 비교적 얇은 피정향 장치(80)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피정향 장치(80)를 고정하여 촬영이 가능하다.
핸들(70)은 무게중심을 하중방향(정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짐벌(76)과 프레임(74)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용자가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74)가 구비된다.
짐벌(76:볼베어링)은 상부에 있는 프레임(12)과 격리되어 외부의 흔들림을 최소한으로 줄여 주도록 한다. 짐벌(76)은 조절부재(16)에 구비된 환형 턱(162)의 내부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짐벌(76)은 피정향 장치(80)의 중량을 지지할수 있도록 일정 가압에 대해서 강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짐벌(76)은 3축(x,y,z축)에 대해서 자유로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짐벌의 하단부는 손잡이(74)와 체결된다. 짐벌(76)은 손잡이(74)에 가해지는 힘의 각도와 흔들림을 프렘임(12)에 전달하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74)는 상단부 프레임(12)와 격리되어 자유로이 선회 및 회전 가능한 짐벌(76)이 배치되고 하단부는 테이블에 놓일 수 있도록 평면부(722)가 형성된다.
손잡이(74)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가 가능하도록 바 형태로 형성된다. 바의 표면에는 손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재질의 스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바닥의 파지가 편리하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74)는 구조적 강성을 높이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74)는 전체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경량금속을 사용하는게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정향 장치(핸드폰)에 촬영이 가능한 초점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부재(60)에 위치시키면, 피정향장치 고정부재(62)를 사용하여 핸드폰을 고정한다. 핸드폰의 고정이 끝나면 고정부재(60)를 안내블록(50)의 상단부로 돌출된 고정볼트(54)에 체결한다. 안내가이드(40)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안내블록(50)이 삽입되면, 안내블록이 고정되도록 조절볼트(48)를 사용하여 레일간의 거리를 가까워지도록 조절한다. 레일의 조절이 끝나면 고정조절부재에 가압을 가하면서 회전을 하면 고정핀(42)이 장홀(52)의 내부에 위치 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핸드폰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이때 지주(20)가 무게 중심을 손잡이(74)의 하단부에 위치 시켜서 짐벌(76)에 가해주는 하중을 무게중심(정방향)으로 손잡이(74)에 위치시켜준다. 이때 핸드폰 영상 촬영의 초점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게추 지주를 회전하여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보완해준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10: 연결부재
12: 프레임 14: 두께부재
16: 조절부재 162: 환형턱
20: 지주부재 22: 균형추
222: 무게추 224: 무게추 지주
226: 지주연결부
40: 안내가이드
41: 레일 42: 고정핀
44: 고정홀 46: 고정조절부재
48: 조절볼트
50: 안내블록
52: 장홀 54: 고정볼트
60: 고정부재 62: 피정향 장치 고정부재
70: 핸들
72: 평면부 74: 손잡이
76: 짐벌(볼베어링)
80: 피정향 장치

Claims (6)

  1. 피정향 장치를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안내블록;
    상기 안내블록의 전후진 운동을 안내하고 정해진 위치에 상기 안내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안내가이드;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핸들;
    상기 안내가이드가 3축에 대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안내가이드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균형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이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균형추가 상기 안내가이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 지주 부재
    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블록은
    피정향 장치에 마련된 고정부와 결합되어 피정향 장치를 안내블록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피정향 장치에 고정부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그 피정향 장치를 상기 안내블록에 고정시키기 위한 피정향 장치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블록은 저면에 장홀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안내블록과 접촉하는 면 위로 돌출되거나 후퇴하여 면 아래로 수납될 수 있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은 상기 안내블록의 저면에 마련된 홈과 작용하여 상기 안내블록의 전후진 운동이 소정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는
    일단부에 무게추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무게추 지주; 및
    상기 지주의 타단부와 상기 무게추 지주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지주 연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안내블록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양측에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블록은 양측의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양측의 레일간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안내블록을 고정하고, 상기 양측의 레일간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안내블록이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KR1020110078774A 2011-08-08 2011-08-08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KR10123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774A KR101239189B1 (ko) 2011-08-08 2011-08-08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774A KR101239189B1 (ko) 2011-08-08 2011-08-08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689A KR20130016689A (ko) 2013-02-18
KR101239189B1 true KR101239189B1 (ko) 2013-03-06

Family

ID=4789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774A KR101239189B1 (ko) 2011-08-08 2011-08-08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64A (ko) 2018-08-06 2020-02-14 현대건설주식회사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조명일체형 카메라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299A1 (ko) * 2017-12-04 2019-06-13 고영화 촬영 보조장치
KR102019901B1 (ko) * 2017-12-04 2019-09-11 고영화 촬영 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131A (ja) * 1996-03-27 1997-10-07 Fuji Photo Optical Co Ltd テレビカメラ装置
KR200342057Y1 (ko) 2003-11-21 2004-02-14 주식회사 홍일정보기술 핸드헬드 카메라 안정화 장치
JP2008131539A (ja) 2006-11-24 2008-06-05 Katsuhiko Inoue ハンドヘルド用ビデオカメラ安定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131A (ja) * 1996-03-27 1997-10-07 Fuji Photo Optical Co Ltd テレビカメラ装置
KR200342057Y1 (ko) 2003-11-21 2004-02-14 주식회사 홍일정보기술 핸드헬드 카메라 안정화 장치
JP2008131539A (ja) 2006-11-24 2008-06-05 Katsuhiko Inoue ハンドヘルド用ビデオカメラ安定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64A (ko) 2018-08-06 2020-02-14 현대건설주식회사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조명일체형 카메라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689A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9182B (zh) 用以平穩地支持動作敏感影像擷取裝置之穩固安裝架及方法
US8029197B2 (en) Hand-held image stabilization and balancing system for cameras
US9052573B2 (en) Video camera motion stabilizing device
EP2283646B1 (en) Apparatus for support and movement of a camera
US7916211B2 (en) Imaging apparatus and lock mechanism
KR101239189B1 (ko)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KR102019901B1 (ko) 촬영 보조장치
GB2427932A (en) Optical image stabilizer
KR100928806B1 (ko) 이동촬영 보조장치
CN210771365U (zh) 一种拍摄设备及增稳装置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KR101957928B1 (ko)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WO2021169778A1 (zh) 增稳式手持机架及手持摄影器材
CN213452790U (zh) 云台组件及其镜头支架
KR101344454B1 (ko) 볼헤드용 u-타입 클램프
US20150222819A1 (en) Imaging apparatus
KR102141863B1 (ko) 캠 거치구조
KR100911152B1 (ko) 손목형 카메라 지지장치
KR200494960Y1 (ko)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KR200494226Y1 (ko) 가변형 촬영장비 이동거치대
JP2002333684A (ja) 移動撮影用全周カメラ装置
CN216896544U (zh) 一种云台锁定机构
KR102112841B1 (ko) 촬상유닛을 포함하는 촬영장치
JPH10191118A (ja) 撮像装置
JP6710880B1 (ja) 撮影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