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60Y1 -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60Y1
KR200494960Y1 KR2020210001889U KR20210001889U KR200494960Y1 KR 200494960 Y1 KR200494960 Y1 KR 200494960Y1 KR 2020210001889 U KR2020210001889 U KR 2020210001889U KR 20210001889 U KR20210001889 U KR 20210001889U KR 200494960 Y1 KR200494960 Y1 KR 200494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lens
monopod
mount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태
Original Assignee
박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태 filed Critical 박성태
Priority to KR2020210001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망원 렌즈,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등 여러 종류의 렌즈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에 관한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고 스마트폰이 설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면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MONOPOD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망원 렌즈,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등 여러 종류의 렌즈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발신 및 수신 통화 등을 위한 통신 모듈 외에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스마트폰의 카메라 모듈에는 손떨림 보정, 각종 필터링 등의 기술이 적용되어 통상의 카메라 장치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였다.
최근 생산되는 스마트폰의 경우 디지털 줌 기능 외에 광학 줌 기능이 구비되어 원거리의 피사체를 보다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광학 줌 기능은 통상의 망원 렌즈보다 낮은 성능을 가지므로 다양한 피사체를 촬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별이나 달을 촬영하거나 접근하기 어려운 야생 동물 등을 촬영하는데 한계가 있어 전문적인 촬영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0253호(2017.10.11.)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삼각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마트폰 삼각대는,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고 좌우방향각도 조정이 가능한 제1고정대와, 상기 제1고정대에 연결되며 전후방향각도 조정이 가능한 제2고정대와, 다단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막대봉과, 상기 막대봉에 연결되며 외측 3방향으로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힌지부에는 회동 및 고정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가변다리를 포함한다.
상술한 스마트폰 삼각대는 3개의 가변다리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함으로써 피사체를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나, 모노포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워 한 손으로 들고 이동하거나 촬영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렌즈 등의 보조 장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영상을 촬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0253호(2017.10.11.)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망원 렌즈,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등 여러 종류의 렌즈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고 스마트폰이 설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면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힌지 볼트와, 상기 힌지 볼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링크와, 상기 연결 링크의 일단에 구비되며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링은, 상기 연결 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를 상기 아우터 튜브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 볼트와, 상기 조절 볼트를 고정하는 고정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벤딩되는 제2연결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에는 상기 힌지 볼트가 관통되며 상기 연결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링은 피봇 볼트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연결부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헤드부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거치부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설치되는 거치부 외에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여러 종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마련된 이너 튜브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렌즈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부를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렌즈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설치되는 거치부 또는/및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부를 이동시킬 수 있어, 초점 거리와 물리적 배율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를 낚시할 때 사용할 경우, 원거리에 있는 찌의 움직임을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의 사용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10)는, 지지부(100)와, 지지부(100)의 상단에 설치된 헤드부(200)와, 헤드부(200)에 마련된 거치부(300) 및 장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00)는 모노포드(10)에 설치되는 스마트폰(S)과 렌즈(L)를 지지하는 다리이다. 지지부(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로 이루어지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로 조립된 다단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텔레스코픽 형태의 지지부(100)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S)과 렌즈(L)의 위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할 수 있다.
헤드부(200)는 지지부(100)와 거치부(300) 및 장착부(40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헤드부(2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의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앵글(220)로 이루어진다.
헤드부(200)의 베이스(210)는 지지부(100)의 상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베이스(210)는 지지부(100)와 볼 조인트(ball joint)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헤드부(200)에 설치되는 스마트폰(S)과 렌즈(L)의 기울기 및 높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헤드부(200)의 앵글(220)에는 스마트폰(S)과 렌즈(L)의 설치를 위한 거치부(300)와 장착부(400)가 구비되는데, 이때 거치부(300)는 앵글(220)에 고정 결합되고, 장착부(400)는 앵글(22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거치부(300)와 장착부(400)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결합한 이유는 스마트폰(S)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렌즈(L)의 위치를 조절하여 렌즈(L)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S)의 카메라(미도시)는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데, 렌즈(L)가 설치되는 장착부(400)를 회전 및 이동시키면 카메라(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L)를 배치할 수 있다.
거치부(300)는 스마트폰(S)이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00)의 앵글(220)에 접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300)가 헤드부(200)의 앵글(220)에 접합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앵글(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치부(30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스마트폰(S)을 설치할 수 있도록 확장 및 수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거치부(300)는, 앵글(220)에 접합되는 고정 부재(310)와, 고정 부재(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320)와, 이동 부재(3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로 구성된다.
고정 부재(310)와 이동 부재(320)는 스마트폰(S)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 부재(310)와 이동 부재(320)의 내측에는 스마트폰(S)을 긁힘 없이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쿠션(330)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스프링(미도시)은 이동 부재(320)를 고정 부재(310) 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스마트폰(S)이 거치부(300)에 쉽게 설치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장착부(400)는 렌즈(L)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00)의 앵글(22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부(400)를 살펴보면, 헤드부(200)의 앵글(220)에 구비되는 힌지 볼트(410)와, 힌지 볼트(41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링크(420)와, 연결 링크(420)의 일단에 구비되며 렌즈(L)가 설치되는 장착링(430)으로 구성된다.
힌지 볼트(410)는 연결 링크(420)의 회전 중심임과 동시에 연결 링크(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힌지 볼트(410)는 헤드부(200)의 앵글(220)에 접합되며, 힌지 볼트(410)에는 나비너트(440)가 결합되어 연결 링크(420)를 특정 각도 및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연결 링크(4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422)와, 제1연결부(422)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벤딩된 제2연결부(424)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부(422)는 헤드부(200)의 앵글(220), 좀 더 상세하게는 앵글(220)에 접합된 힌지 볼트(410)에 결합되며, 힌지 볼트(410)가 관통되는 제1체결공(426)이 형성된다. 이때, 제1체결공(426)은 제1연결부(4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를 갖는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연결 링크(420)는 힌지 볼트(410)를 중심으로 회전 및 이동하게 되므로 장착링(430)에 설치된 렌즈(L)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S)의 기종에 따라 카메라(미도시)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렌즈(L)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제2연결부(424)에는 장착링(430)이 결합된다. 즉, 장착링(430)에 피봇 볼트(450)가 마련되고 제2연결부(424)에는 제2체결공(428)이 형성되며, 피봇 볼트(450)가 제2체결공(428)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때, 제2체결공(428)은 제2연결부(4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를 갖는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장착링(430)은 피봇 볼트(450)를 중심으로 회전 및 이동하게 되므로 렌즈(L)의 각도 및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L)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구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의 카메라(미도시)와 렌즈(L)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와 물리적 배율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피봇 볼트(450)에도 나비너트(440)가 결합되어 장착링(430)을 특정 각도 및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렌즈(L)가 설치되는 장착링(430)은 연결 링크(420)의 제2연결부(424)에 결합되는 아우터 튜브(432)를 포함한다. 아우터 튜브(43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며, 외주면 일측에 피봇 볼트(450)가 마련된다.
아우터 튜브(432)의 내부에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이너 튜브(434)가 구비되는데, 이때 이너 튜브(434)는 아우터 튜브(432)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너 튜브(434)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아우터 튜브(432)의 외주면 타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절 볼트(436)와, 조절 볼트(436)를 고정하는 고정 너트(4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장착링(430)은 이너 튜브(434)가 아우터 튜브(432)의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다양한 크기(직경)의 렌즈(L)를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다. 즉, 망원 렌즈,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등 여러 종류의 렌즈(L)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를 낚시할 때 사용할 경우, 원거리에 있는 찌의 움직임을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의 경우 헤드부(20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10)의 헤드부(2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의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앵글(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210)의 상면에는 전후방향(도 5) 또는 좌우방향(도 6)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30)과,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240)이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240)에는 스마트폰(S)이 설치되는 거치부(3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210)에 가이드 레일(230)과 가이드 블록(240)이 구비될 경우 스마트폰(S)이 설치되는 거치부(300)를 전후방향(도 5) 또는 좌우방향(도 6)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S)의 기종에 따라 카메라(미도시)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렌즈(L)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S)의 카메라(미도시)와 렌즈(L)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와 물리적 배율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230)은 전후방향(도 5) 또는 좌우방향(도 6)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한 쌍의 가이드 레일(230) 중 하나를 랙 기어(250) 형태로 제작하고, 랙 기어(250)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60)를 가이드 블록(24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랙 기어(250)와 피니언 기어(260)를 사용하면 가이드 블록(240)에 구비된 거치부(300), 즉 거치부(300)에 설치된 스마트폰(S)을 전후방향(도 5) 또는 좌우방향(도 6)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S)의 카메라(미도시)와 렌즈(L)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S)의 카메라(미도시)와 렌즈(L)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와 물리적 배율을 더욱 정밀하게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모노포드 100: 지지부
200: 헤드부 210: 베이스
220: 앵글 230: 가이드 레일
240: 가이드 블록 300: 거치부
310: 고정 부재 320: 이동 부재
330: 쿠션 400: 장착부
410: 힌지 볼트 420: 연결 링크
422: 제1연결부 424: 제2연결부
426: 제1체결공 428: 제2체결공
430: 장착링 432: 아우터 튜브
434: 이너 튜브 436: 조절 볼트
438: 고정 너트 440: 나비너트
450: 피봇 볼트 S: 스마트폰
L: 렌즈

Claims (5)

  1.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고 스마트폰이 설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면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힌지 볼트와, 상기 힌지 볼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링크와, 상기 연결 링크의 일단에 구비되며 렌즈가 설치되는 장착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링크에는 상기 힌지 볼트가 관통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공은 상기 연결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를 가지며,
    상기 힌지 볼트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 링크를 회전 및 이동시킬 경우 렌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헤드부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거치부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을 이동시킬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를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링은,
    상기 연결 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를 상기 아우터 튜브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 볼트와, 상기 조절 볼트를 고정하는 고정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벤딩되는 제2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링은 피봇 볼트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연결부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피봇 볼트를 중심으로 상기 아우터 튜브를 회전 및 이동시킬 경우 렌즈의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는 낚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KR2020210001889U 2021-06-17 2021-06-17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KR200494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89U KR200494960Y1 (ko) 2021-06-17 2021-06-17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89U KR200494960Y1 (ko) 2021-06-17 2021-06-17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960Y1 true KR200494960Y1 (ko) 2022-02-08

Family

ID=8025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89U KR200494960Y1 (ko) 2021-06-17 2021-06-17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522A (ko) * 2013-02-21 2013-12-17 이종훈 다기능 핸드폰 렌즈 및 카메라 삼각대 복합 고정장치
KR20160087633A (ko) * 2015-01-14 2016-07-22 손상열 모노포드 역할을 겸하는 낚시용 뜰채 및 이를 이용하는 낚시 뜰채용 방수팩
KR20170110253A (ko) 2016-03-23 2017-10-11 박남길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KR20180117300A (ko) * 2017-04-19 2018-10-29 이민준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522A (ko) * 2013-02-21 2013-12-17 이종훈 다기능 핸드폰 렌즈 및 카메라 삼각대 복합 고정장치
KR20160087633A (ko) * 2015-01-14 2016-07-22 손상열 모노포드 역할을 겸하는 낚시용 뜰채 및 이를 이용하는 낚시 뜰채용 방수팩
KR20170110253A (ko) 2016-03-23 2017-10-11 박남길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KR20180117300A (ko) * 2017-04-19 2018-10-29 이민준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6688A1 (en) Framework for installation of coupling components
AU2010337022B2 (en) Balanced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AU2010202548A1 (en)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KR100803504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70019949A1 (en) Stand apparatus for photographic uses
JP2006317945A (ja) カメラ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と当該装置を使用する方法
US20050078956A1 (en) Apparatus for fastening a camera to an observation telescope
US6717727B2 (en) Universal camera mounting adapter and method
KR20200015964A (ko)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조명일체형 카메라 지지대
KR200494960Y1 (ko)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US20040076421A1 (en) Portable stand
JP5038694B2 (ja) 望遠撮影装置
KR101957928B1 (ko)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KR101239189B1 (ko) 영상촬영 흔들림 방지기
CN213512772U (zh) 支架组件
CN211577638U (zh) 一种超远长焦镜头连接器
KR102561344B1 (ko) 촬영 지원 장치
CN216052417U (zh) 一种可上下调节的手机拍照架结构
CN214375756U (zh) 一种手机拍摄辅助装置
JP6710880B1 (ja) 撮影器具
KR102532926B1 (ko) 망원렌즈 서포트 플레이트
US20230076570A1 (en) Light Guiding Arrangemen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uch Arrangement
JP2005234416A (ja) カメラシシテム
JP2009276464A (ja) 簡易型照準器搭載のレンズ鏡筒
KR20230012813A (ko) 스마트폰 천체사진 촬영용 망원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